KR200208951Y1 -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 Google Patents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951Y1
KR200208951Y1 KR2020000020646U KR20000020646U KR200208951Y1 KR 200208951 Y1 KR200208951 Y1 KR 200208951Y1 KR 2020000020646 U KR2020000020646 U KR 2020000020646U KR 20000020646 U KR20000020646 U KR 20000020646U KR 200208951 Y1 KR200208951 Y1 KR 200208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bending
pattern
piec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남
Original Assignee
조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춘남 filed Critical 조춘남
Priority to KR2020000020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95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HDF나 MDF등의 고·중·저밀도 압축강화목판(이하 목판이라 통칭함)이나 합판등 목재로 되는 판재의 일면에 박피무늬목편이 접착된 상태의 목판을 일면에 카페트나 스펀지와 같은 쿠션제를 접합하여 되는 프레스에 의해 목판의 휨이나 벤딩현상을 열압프레싱장치 냉압프레싱장치에 의해 교정하여, 건축내장재 또는 가구패널(판재)등의 제조나 혹은 바닥재 및 돗자리용 나무자리의 제조시, 종래 목편의 일면측에 무늬목편 압착시 발생되는 벤딩현상(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목편의 타면측에 무늬목편을 부착하여 목편의 휨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제작공정을 삭제토록 함으로써 작업공정의 대폭적 감소와 이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휨등 벤딩현상이 기피된 상태의 평형성 높은 상질의 목편을 제공하기 위한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The chip for a construction interior panel of a room and a grass mat}
본 고안은 건축내장재, 가구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에 관한 것으로, 건축내장재 또는 가구재의 패널(판재)등의 제조나 혹은 바닥재 및 돗자리용 나무자리의 제조시, 종래 목편의 일면측에 무늬목편 압착시 발생되는 벤딩현상(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목편의 타면측에 무늬목편을 부착하여 목편의 휨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제작공정을 삭제토록 함으로써 작업공정의 대폭적 감소와 이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은 물론 휨등 벤딩현상이 기피된 상태의 평형성 높은 상질의 목편을 제공하기 위한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의 제조방법과 그 목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내장재나 가구재 패널(판재), 또는 나무자리(예컨데, 나무 돗자리, 대나무 돗자리, 마루판재 등)에 채택되어 사용되는 판재(이하 목편이라 통칭함)등을 제조, 생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대나무나 원목등을 그대로 가공처리하여 채택 사용하여 왔으나, 이와같이 원목등을 가공하여 목편으로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이거니와 폐목발생률이 높고 생산단가가 높게 되는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근래에는 폐원목등을 이용하여 고밀도 섬유판인 HDF(High Density Fiber Board), 식물섬유로 주원료로 하여 내구성 및 강성등의 물성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줄일수 있도록 하는 성형 열압한 MDF(Medium Density Fiber Board), HB(Hard Board)등의 고밀도 압축강화목, 합판등의 목재류를 이용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고밀도 압축강화목과 같은 경우에 폐원목자재나 목재의 순수 섬유질을 추출하여 생산하게 되므로 목재의 강도, 물성등의 특성을 갖고 있는 반면에 순수한 자연목의 무늬결이나 색상등을 표현하지는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고 고밀도 압축강화목 표면층에 자연목의 무늬결을 형성하거나 색상등을 표현하기 위해, 무늬결이 형성된 함침지나 그라비아 인쇄기법에 의한 무늬결이나 색상이 표현된 페이퍼등을 고밀도 압축강화목 양표면층에 압착가열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박피무늬목편을 상기와 같이 고밀도 압축강화목의 양표면층에 압착가열하여 부착하는 기법으로 하여 고밀도 압축강화목에 목재의 특성이 십분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가구재나 건축내장재 또는 마루판재나 나무자리등의 목편을 사용하는 곳에 적용 채택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경우에도 상기 무늬결과 색상이 표현된 페이퍼나 함침지 또는 박피무늬목편을 상기의 HDF, MDF등의 고밀도 압축강화목 양표면층에 압착가열하여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휘어지는 벤딩현상이나 뒤틀림현상등을 피할 수 없게 되어, 작업상 많은 제약은 물론 사용상에도 많은 문제가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공개된 공개번호 실2000-0002147호(출원번호 제1998-12026호)가 있는바, 『 목판의 표면과 저면에 동일한 수축율을 갖는 무늬목을 접착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목판의 재질이 중밀도섬유합판 또는 고밀도섬유합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목판의 표면층에 목판과 동일한 수축율을 갖는 무늬목을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접착시킨 다음, 상기 목판의 저면층에도 상기와 같은 무늬목을 접착제등을 이용하여 접착하여서 되는 것인바, 이와같이 벤딩이나 휨등을 방지하기 위해 목판의 표면층에 접착하는 과정을 거친 후 재차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게 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목재를 박피목으로 얇게 슬라이스 편취하여 얻어지는 무늬목을 사용함에 따라 무늬목을 얻기 위해 많은 목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목재원의 낭비를 초래함은 물론, 작업공정의 번잡화와 각종 접착제의 대량 사용에 따른 자재소모의 과다와 함께 이에 따른 인력낭비 및 생산단가의 상승 및 작업시간의 연장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한편 가구재(예컨데 책상이나 식탁 저면)와 같은 경우에 목편의 저면층은 시각적으로 확인되지 않는 부위임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이 목재의 수축과 변형률 및 휨과 같은 벤딩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불필요하게 목편의 양면으로 수축율이 동일한 무늬목을 열압접착가공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으며, 나무자리용 고밀도 강화목이나 합판의 경우에 제품의 특성상 저면층에 폴리에스테르천이나 합성수지계 비닐레쟈로 일괄 배접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시각적인 확인이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벤딩이나 휨등의 교정을 위한 다수의 공정을 거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즉, 이와같은 종래의 공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요소수지와 멜라민 수지, 에멀죤 수지와 밀가루등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를 스프레다 로라를 통과시켜 MDF나 HDF와 같은 고밀도 압축강화목 또는 합판의 일면에 도포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 그 접착층에 상감무늬시트편을 접착하거나 또는 습식무늬목편을 접착하기 위해 스프레다를 통과시켜 습식무늬목편을 상기 고밀도 압축강화목판이나 합판등에 약간씩 겹치게 한 상태에서 중복되는 부위를 절단한 후 그 잔재 무늬목편을 들어내어 완전한 시트를 얻는 방법등으로 접착을 하게 된다.
이와같은 고밀도 압축강화목판 또는 합판과 박피의 무늬목편의 접착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무늬목편의 수분이 탈수됨에 따라 발생되는 무늬편끼리의 겹침현상이나 갈라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열압프레스 작업전에 스프레이등을 이용하여 수분을 충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는 열압 프레싱 작업중 열경화성수지로 되는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기까지 무늬목편의 수분을 충분히 유지시켜 주어 목재가 갖는 수축과 팽창의 특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마치게 되면, 목판은 상당한 휨현상이나 벤딩현상을 보이게 되며, 이와같은 제품은 상당한 만곡현상에 의해 재단, 코팅, 조립등의 작업시행시 작업의 어려움은 물론 불량률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이와같은 일차 접착공정이 완료된 다음, 타면측에 대한 접착공정을 상기와 동일한 수순으로 행하여 고밀도 압축강화목이나 합판등의 벤딩이나 휨현상을 배제하여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정에서 보다시피, 고밀도 압축강화목이나 합판등의 양면에 동일하게 무늬목편을 접착한 후 열압프레스작업을 각각 거쳐 완전한 목편을 제조하게 되므로, 불필요한 부위에 접착하는 공정 추가에 의해 이에따른 생산공정의 증가와 함께 생산단가의 증가 및 작업인력의 효율적 작업관리가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여러 문제점을 일시에 해결하여 작업공정의 단축은 물론, 생산단가의 현저한 저하 및 작업인력의 효율적 관리와 함께, 제품에 발생되는 벤딩이나 휨현상등을 완벽하게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열원의 공급에 의해 고온의 열이 전달되어지는 열판을 각각 구비하는 상하부프레스부(41, 42)로 구성되는 열압프레스부(40)와,
목판을 냉압하기 위한 상하부프레스부(51, 52)로 구성되는 냉압프레스부(50)와,
일면에만 박피무늬목편(20)이 접착제(30)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상기 열압프레싱부(40)에 공급되어 평활하게 교정되어지고, 상기 냉압프레스부(50)에 공급되어져 경화 고정되어지는 목판(10)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목편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목편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a는 목판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목판의 일면에 박피무늬목편을 접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열압프레스에 의해 목판의 휨이나 벤딩을 1차 교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3d는 재차 열압프레스에 의해 목판의 휨이나 벤딩현상을 2차 교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e는 냉압프레스에 의해 완벽하게 목판의 벤딩 및 힘을 교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스프레다 로울러 2: 상부로울러 3: 하부로울러
10: 목판 20: 박피무늬목편 30: 접착제 40: 열압프레스부
41: 상부프레스부 42: 하부프레스부 43: 쿠션재
50: 냉압프레스부 51: 상부프레스부 52: 하부프레스부
60: 절개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목편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목편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a는 목판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목판의 일면에 박피무늬목편을 접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c는 열압프레스에 의해 목판의 휨이나 벤딩을 1차 교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며, 도 3d는 재차 열압프레스에 의해 목판의 휨이나 벤딩현상을 2차 교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3e는 냉압프레스에 의해 완벽하게 목판의 벤딩 및 힘을 교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제 1 실시예 -
본 고안은 열원의 공급에 의해 고온의 열을 목판으로 전달하기 위한 열압프레스부(40)와, 목판을 냉압하기 위한 냉압프레스부(50)와, 일면에만 박피무늬목편 (20)이 접착제(30)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상기 열압프레스부(40)에 공급되어 평활하게 교정되어지고, 상기 냉압프레스부(50)에 공급되어져 경화고정되어지는 목판 (10)이 제공되어지게 되는바, 먼저 도1에서 보는바와 같이 종래와 같은 방법등에 의해 MDF나 HDF등의 고·중·저밀도 압축강화목이나, 합판등 일반적 목재로 되는 판재 즉, 목판(10)의 일면에 요소수지와 멜라멘 수지 및 에멀죤 수지, 밀가루등이 혼합되어서 되는 접착제(30)나 또는 적정한 성분으로 되는 일반적인 접착제(30)를 도포하기 위해, 스프레다 로울러(1)의 한측 로울러(2)(도면상 상부측 로울러)에 상기 접착제(30)가 도포된 상태에서 목판(10)을 상기 스프레다 로울러(1)로 진입시켜 목판(10)의 일측면(도면상 목판의 상면)에 상기 접착제(30)가 도포 되도록 한다.
또는 이와는 달리 상기 접착제(30)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여 도포할 수 있는바, 접착제(30)를 목판(10)에 도포하는 방법이나 방식은 여타의 방법으로 도포하여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접착제(30)가 도포된 상태의 목판(10)에 여러문양이나 무늬 또는 색상등이 표현된 상감무늬목편이나 박피무늬목편(20)(이하 박피무늬목편이라 통칭함)을 부착하게 되는바, 그 방법은 여러 실시예가 가능한바,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특허청에 기출원되어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192123호와 같은 방식에 의해 상감무늬목편으로 되는 박피무늬편목편(20)을 부착할 수 있으며, 기타 여러 방법에 의해 무늬목의 문양이나 무늬, 나무결의 색상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박피무늬목편 (20)을 상기 목판(10)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30)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접착제(30)가 일면에 도포된 상태의 목판(10)에 상감, 함침등의 기법등에 의해 여러문양이나 무늬, 색상등이 표현된 박피무늬목편(20)을 부착한 후, 박피무늬목편(20)의 수분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도록 종래와 같이 스프레이등을 이용하여 분사하여 박피무늬목편(20)끼리의 겹침이나 갈라지는 현상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런다음, 도4c에서 보는바와 같이 프레스작업에 의해 열압프레스하여 일정정도 벤딩현상등에 의해 휘어진 상태의 목판을 교정하게 되는바, 상기 열압프레스부(40)의 상하프레스부(41,42) 중에서 상부측(41) 또는 하부프레스부(42)의 어느 일면에 카페트나 스펀지와 같은 쿠션재(43)를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쿠션재(43)는 열판(44, 45)에 공급되는 열의 전도율의 감소를 유도하기 위함이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 목판의 벤딩이나 휨등이 일어나는 이유인 ①무늬목편자체에 의한 것과, ② 접착제의 성분에 의한 변형율, ③ 열에 의한 변형율, ④ 함습율의 차이에 의한 변형율등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은 열 및 함습율의 차이에 의한 변형율을 교정하고자 하며 이와같은 열과 함습율에 따른 변형율의 차이가 목판의 벤딩현상의 주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음은 주지와 같다.
따라서 이와같이 쿠션재(43)등을 부착함에 따라 상부 및 하부 프레스부(41, 42) 각각의 열판(44, 45)에 공급되는 열전도율을 달리하도록 함으로써, 목판(10)과 박피무늬목편(20)등에 함습되어 있는 수분을 탈취하여 이로인한 작용에 따라 벤딩된 상태의 목판(10)을 교정하도록 한다.
즉, 이와같이 열압프레스부(40)의 상부프레스(41)와 하부프레스(42)간의 열전도율을 상기 쿠션재(43)의 인위적 차단에 의해 달리되도록 하여, 벤딩현상에 의해 휘어진 상태의 목판(10) 양면으로 각기 다른 열전도에 의해 평활한 상태로 교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같은 작용을 위해 도 4c내지 도4d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의 순서에 의해 일면에만 박피무늬목편(20)이 접착된 상태의 목판(10)을 상부측프레스부(41)와 하부측프레스부(42)로 되는 열압프레스부(40)에 삽입하게 되는바, 만약 박피무늬목편(20)의 함습율이 클 경우 박피무늬목편(20)측의 목판(10)면이 볼록하게 되는 형상이므로, 상기한 쿠션재(43)가 부착된 상기 하부측프레스부(42)의 표면층에 박피무늬목편(20)이 부착되지 않은 오목한 상태의 목판(10)면이 향하도록 하여, 상기 열압프레스부(40)로 상기 목판(10) 진입시, 박피무늬목편(20)이 부착된 오목한 면이 상부측프레스부(41)와 당접되는 방향으로 하여 진입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형상이 도 4c에서 보는바와 같으며, 목판(10)은 수분함습율의 차이등에 의해 벤딩현상을 일으켜 상방으로 휘어진 상태이며, 볼록한 부위면에 박피무늬목편(20)이 부착된 상태이다.
한편 상기의 열압프레스부(40)의 상하프레스부(41, 42) 열판(44, 45)으로 열을 전도시키게 되는바(이때 열의 전도는 각기 동일한 온도에 의해 공급되어진다.), 일반적으로 관류식인 증기나 오일 또는 전기등에 의해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이때의 열압프레스부(40) 각각의 열판(44, 45)의 표면온도는 섭씨 80℃ ~ 110℃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열압프레스부(40)의 쿠션재(43)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상부프레스부(41)의 표면온도 섭씨 80℃ ~ 110℃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열판(44)에 의해 상기 목판(10)에 열이 전달되어지고, 하부프레스부(42)는 상기 쿠션재(43)의 열전도 저하 효과에 의해 목판(10)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가 상기 상부프레스부 (41)로부터 목판(10)에 전달되는 온도보다 작은 섭씨 60℃ ~ 80℃ 전후로 하여 전달되어진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열압프레스부(40)의 상부프레스(41) 하강에 따라 목판 (10)과 접촉되며 서서히 가압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전달하고 있는 상부프레스(41)의 열판(44)과 당접되는 목판(10)의 상면측(즉, 박피무늬목편(20)이 부착된 면)의 함유된 수분을 탈취하여 목판(10)이 오므라드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목판(10) 일면(즉 상부프레스측에 위치된 면)자체가 수축되는 효과를 가져오고, 이와는 반대로 쿠션재(43)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전달하고 있는 하부프레스(42)의 열판(45)과 당접되는 목판(10)의 배면측(즉, 박피무늬목편(20)이 부착되지 않은 면)에는 상대적으로 상기 쿠션재(43)에 의해 목판(10)내의 수분을 탈취하는 효과가 적어 비교적 적은 수분을 탈취하게 되므로 목판(10)의 전면측 수축율보다 작은 수축율(즉, 목판 양면의 상호 다른 수분 탈취율)에 의해 오목하게 휘어진 상태의 부위를 곧게 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열압과정에 의한 전도되는 열에 의해 목판(10)을 구성하고 있는 목재의 섬유질과 유분 및 이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30)가 열에 의하여 유동성을 얻게 되고, 이와같은 작업에 의해 곧게 펴진 상태에서 후술하는 냉압프레스부(50)의 냉압에 의해 가압하게 되면 곧은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방법에 의해 휨이나 벤딩현상등에 의해 변형된 목판(10)을 교정한 후에도 일정정도 벤딩현상이 발생될 수 있게 되는바, 재차 상기의 열압프레스부 (40)에 의한 2차교정을 시행하여 목판(10)의 벤딩현상을 완벽하게 교정하도록 한다.
즉 1차교정후에 초기때와는 반대로 박피무늬목편(20)이 부착되지 않은 측이 볼록하게 휘어질 수 있으므로, 이때에는 쿠션재(43)가 부착된 측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상태의 박피무늬목편(20)이 부착되지 않은 측이 당접되도록 하고, 상부프레스(41)의 열판(44)측으로는 상기와 같이 오목하게 휘어진 상태의 목판(10) 타면이 당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열압프레스부(40)를 작동시켜 서로 다른 온도의 전이에 따라 함습에 의한 수분의 탈취율을 달리하여 목판(10)의 휨을 교정하도록 한다.
아울러, 예컨데 넓은 목판(10)의 경우 위와같은 작업공정을 거친다 하더라도 완만하고 부분적인 만곡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때에도 상기한 방법에 의해 만곡된 부위를 부분적인 열압프레싱 가공에 의해 휘어진 상태의 목판(10)을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상기의 열압프레싱 작업시간은 100 ~ 130초가 가장 적당하다.
한편 이와는 달리 상기한 쿠션재(43)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교정작업이 가능한바,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열압프레스부(40) 상하부프레스(41, 42)의 열판(44, 45)에 전도되는 열을 상호 달리하여 즉, 공급되는 온도를 달리하도록 하여 상기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본 고안에서는 열전도율 저하 효과를 기대하는 쿠션재(43)의 채택과 무관하게 본 고안의 구현이 가능한바, 예컨데 목판(10)의 벤딩이나 휨현상등의 근본적 원인이 함습율에 의한 변형이므로, 상기 열압프레스부(40)에서 충분하게 열이 공급되어져 목판(10)과 박피무늬목편(20)으로 열이 충분하며 고르게 일정시간 공급가능하게 되면, 목판(10)과 박피무늬목편(20)의 연신작용에 의해 곧게 펴지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때 하기와 같은 냉압프레스부(50)의 작동에 의해 만곡이나 휨, 벤딩등에 의한 변형을 완벽하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같이 일정정도 목판(10)의 벤딩현상등에 의해 휘어진 상태의 교정이 완료되면, 냉압프레싱 작업을 거쳐 목판(10)의 섬유질과 유분 그리고, 접착제(30)등이 열의 공급에 의해 유동성을 갖게 되며 곧게 펴진상태에서 냉각시켜 곧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e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의 열압프레스부(40)의 상하 승강작동에 의해 평활하게 된 상태의 목판(10)을 냉압프레스부(50)의 상하프레스(51, 52)사이에 다수개로 적층되도록 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내지 24시간 가량에서 온도와 압력등을 밴딩된 정도나 소재의 두께등을 고려하여 냉압프레싱하여 목판(10)이 완벽하게 평활성을 갖은 상태로 경화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냉압프레스부(50)의 상하프레스부(51, 52) 사이에 다수개 적층시 목판(10)과 목판(10)을 상호 배접되는 방향으로 하여 적층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작업을 통하여 본원의 출원인은 합판두께 0.6mm에 대한 벤딩교정시에도 완벽하게 목판의 평활성을 얻을 수 있었다.
- 제 2 실시예 -
한편 본 고안은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의 궁극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즉, MDF나 HDF등과 같은 섬유질의 고밀도 압축강화목이나, 일반적 목판재등의 합판(목판)(10) 일면에 각종 문양이나 무늬가 형성되는 상감무늬목편이나 박피무늬목편(20)등을 상기의 접착제(30)등으로 상기 목판(10)과 접착되도록 한 후에, 그 저면에 길이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절개홈(60)을 형성하여 휨응력이 분산토록 함으로써, 열(熱)등에 의한 팽창과 수축등 물리적 반응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도록 하여, 목판의 벤딩현상등에 의한 휨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 제 3 실시예 -제 1,2 실시예에 의한 작업을 수행하여 나무자리용 목편을 제조한후, 열압프레싱 공정시 목판(10)의 저면부위에 우레탄이나 니스, U/V등의 도장용 도료층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목판(10)의 저면에 함침층을 형성하여 목수개 목판(10)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는 접착제(30)등이나 도료, 수지등이 목판(10)을 투과하여 하방의 타목편(10) 전면층에 부착되어 오염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도 도장시 건조불량과 부착불량을 방지하므로써, 상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때 일차 접착시 무늬목 접착면으로 휨이 발생되어지므로, 열압프레싱 작업을 거쳐 일정정도 벤딩 현상에 의해 휘어진 상태의 목판 교정시, 목판(10)의 휘어진 전면부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적재시킨 상태에서 열압프레싱 작업을 거친 후, 냉각 프레싱 작업을 거치게 되면 자연스럽게 목판(10)의 벤딩 현상이 교정되는 것을 본 출원인의 작업에 의해 확인하였다.상기와 같은 실시예등에 의해 가구재나 건축내장재는 물론, 나무 돗자리등의 생산시 상호 교호 반복적으로 조립하기 위한 단위편재의 표면층에 박피무늬편 시트나 상감무늬편 시트등을 부착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저면층에 변형(휨, 벤딩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이나 페이퍼등의 별도의 부착과정을 요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내장재나 가구재 마루판재 및 나무자리등에 채용되는 목판의 일면만을 무늬나 문양이 형성된 박피무늬목편이나 상감무늬목편등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 상태에서 일측(하부측)의 프레스에만 쿠션재를 부착한 상태에서 열전도율을 달리하며 열압프레싱하여 목판의 벤딩을 효율적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목판의 양면에 전부 박피무늬목편을 부착함으로 인한 작업공정의 번잡함과 원재료의 낭비등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비교적 얇은 목판의 휨정도를 간단하며 완벽한 상태로 평활하게 교정되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두꺼운 목판의 일부 휨정도에도 능동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목판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대폭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생산단가를 현저하게 절감시키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작업인력의 효율적 관리를 할 수 있어 생산성의 현저한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열원의 공급에 의해 고온의 열이 전달되어지는 열판(44,45)이 각각 형성되는 상하부프레스부(41, 42)로 구성되는 열압프레스부(40)와,
    목판을 냉압하기 위한 상하부프레스부(51, 52)로 구성되는 냉압프레스부 (50)와,
    일면에만 박피무늬목편(20)이 접착제(30)에 의해 접착된 상태로 상기 열압프레싱부(40)에 공급되어 평활하게 교정되어지고, 상기 냉압프레스부(50)에 공급되어져 경화 고정되어지는 목판(10)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압프레스부(40)의 상하부프레스부(41,42) 각각의 열판(44,45)에 열원으로부터 각기 온도를 달리하여 공급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목판(10)을 열압프레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압프레스부(40)의 상하부프레스부(41,42) 열판(44,45) 어느 일면에 쿠션재를 접합하여 상기 목판의 공급시 수분이 함습된 상태의 목판 수분탈취율을 달리하도록 하여 휨이나 벤딩현상을 갖는 목판(10)이 평활하게 교정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4. 목재로 되는 판재(목판)(10) 일면(상면)에 무늬나 문양등이 형성된 상감무늬목편 또는 박피무늬목편(20)을 접착제(30)등으로 접착시킨 후, 상기 목판(10) 타면(저면)에 절개홈(60)을 형설하여서 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5. 제 1 항에 있어서
    목판(10)의 저면부에 도료층을 형성하거나, 함침층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포함하는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KR2020000020646U 2000-07-19 2000-07-19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KR200208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46U KR200208951Y1 (ko) 2000-07-19 2000-07-19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646U KR200208951Y1 (ko) 2000-07-19 2000-07-19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442A Division KR20000063516A (ko) 2000-07-19 2000-07-19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제조방법 및 그 목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951Y1 true KR200208951Y1 (ko) 2001-01-15

Family

ID=7308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646U KR200208951Y1 (ko) 2000-07-19 2000-07-19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9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864A (ko) * 2017-05-22 2018-1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압축가공목재 제조방법
KR20230106944A (ko) 2022-01-07 2023-07-14 주식회사 트리포트 천연우드시트를 이용한 내외장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864A (ko) * 2017-05-22 2018-1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압축가공목재 제조방법
KR102441112B1 (ko) * 2017-05-22 2022-09-07 유한회사 지승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압축가공목재 제조방법
KR20230106944A (ko) 2022-01-07 2023-07-14 주식회사 트리포트 천연우드시트를 이용한 내외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3398B2 (en)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non-planar door skin
US1133855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composite, the timber composite obtained and decorative panels comprising such timber composite
KR20160106634A (ko) 베니어판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US1170186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composite, the timber composite obtained and decorative panels comprising such timber composite
EP2422027A2 (en) Floor panel
CN101480806A (zh) 集成材细木工高强度装饰板材及其制备方法
JPH0596282U (ja) 木質化粧材
CN103112056A (zh) 环保节能实木复合多层装饰板的制作方法
KR200208951Y1 (ko)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CN101148059A (zh) 一种芦苇复合板材生产工艺
KR20000063516A (ko)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제조방법 및 그 목편
KR20230112166A (ko) 미끄럼 방지 및 찍힘 개선용 마루재 및 그 제조방법
CN206913350U (zh) 一种塑面耐磨胶合板
JPH11151704A (ja) 木質床材の製造方法
KR100549696B1 (ko) 가구재용 오버레이 화장판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가구재용 오버레이 화장판
KR200260326Y1 (ko)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JP5770418B2 (ja) 化粧板
KR200239850Y1 (ko) 화장마루판
KR101666366B1 (ko) 동조 엠보된 원목마루판 제조 방법
JP2014113825A (ja) 化粧板および化粧板の製造方法
KR20150016674A (ko) 하이그로시 엠보 멜라민 보드
JPH09290408A (ja) 圧縮木質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04954A (ko) 오동나무판재를 이용한 바닥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닥재
KR20170120274A (ko) 강마루용 hpm시트 제조방법
JPH08174507A (ja) 建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