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326Y1 -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 Google Patents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326Y1
KR200260326Y1 KR2020010032284U KR20010032284U KR200260326Y1 KR 200260326 Y1 KR200260326 Y1 KR 200260326Y1 KR 2020010032284 U KR2020010032284 U KR 2020010032284U KR 20010032284 U KR20010032284 U KR 20010032284U KR 200260326 Y1 KR200260326 Y1 KR 200260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ywood
laminated
orthogonal
pla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욱조
Original Assignee
장욱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욱조 filed Critical 장욱조
Priority to KR2020010032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326Y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목재로부터 박피판과 소정두께를 갖는 중판을 얻은 후 상기 박피판과 소정두께의 중판을 상호 나무 무늬가 직교되는 방향으로 대접시킨 상태로 접착제등으로 열압착, 건조하여 얻는 1차가공판재 상하 표면층에 멜라민수지 또는 페놀수지를 적정량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된 1차가공판재를 상호 무늬결이 직교되도록 교호 적층하되 배접되는 상태로 적층하여 단위판재로 고정다음 성형틀에 의해 단위판재를 프레싱 열압착하며 원하는 형상으로 포밍시켜서 되는 2차가공판재를 소정 형상으로 재단 가공 한 후 외측면을 표면처리하여 재차 건조과정을 거쳐서 되는 합판을 이용하여, 가구나 책상, 의자 등에 사용되는 합판 제조생산 과정이 단순하고, 공정이 단축되도록 하여 가공제작의 용이함과 제조 원가의 절감 및 표면강도의 향상, 원목의 나무무늬결 질감이 충분하게 표현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적층 가압된 합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A thin skin plate and midium plate crossing the laminated wood}
본 고안은 가구재, 책상, 의자등에 채용되는 합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제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세하게는 원목재로부터 박피판재와 소정두께를 갖는 단판재를 얻은 후 상기 박피판재와 소정두께의 판재를 상호 무늬가 직교되는 방향으로 대접시킨 상태로 접착제등으로 열압착하여 1차가공판재(10)를 얻고, 각각의 1차가공판재 상하 표면층에 멜라민수지 또는 페놀수지를 적정량 도포하여 도포층을 갖은 후, 별도의 건조실에 투입 건조시켜 적정하게 건조된 1차가공판재를 상호 무늬결이 다르게 교호 적층하되 배접되는 상태로 적층하여 단위판재로 고정한 다음, 성형틀에 다수개 가공판재를 적층하여 프레싱 열압착하며 원하는 형상으로 포밍시켜 얻게 되는 2차 가공판재를 소정 형상으로 절단가공 한 후 외측면의 표면처리 후 재차 건조공정을 거쳐, 가구나 책상, 의자 등에 사용되는 합판제조생산 과정이 단순하고, 공정이 단축되도록 하여 가공제작의 용이함과 제조 원가의 절감 및 표면강도의 향상 및 원목의 나무무늬결 질감이 충분하게 표현 가능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적층 가압된 합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컫는 합판(合板; plywood)은 원목을 얇게 오려내고 이것을 섬유방향으로 직교하도록 배치한 후 겹쳐 붙인 것을 말하는데, 원목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데 따라 종이두루마리를 펴듯이 칼로 원목을 오려내는 로터리법(rotary)과 상하로 운동하는 칼로 얇게 오려내는 것으로 최대너비는 원목의 지름까지가 최대이나 아름다운 나뭇결을 생산하는 장점이 있는 슬라이서법(slicer)등에 의해 단판(單板; veneer)를 얻은 후,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단판(單板)의 섬유질 방향이 상호 직교되며 다수장 겹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카세인·비스코스·글루타민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열압하므로서, 완성된 합판을 얻고 있다.
이와같은 합판은 주택 내외장, 천정, 벽, 차량, 및 가구, 악기 등에 사용되는 일반합판(ordinary plywood), 콘크리트 양생용 및 건축용 산업소재로 사용되는 거푸집용 합판, 양면샌딩한 거푸집용 합판의 양면에 패널수지 필름을 함침한 합판인 태고합판, 원목을 섬유질화 전의 작은 칩을 성형하여 만드는 파티클보드, 중질도 섬유판으로 원목을 섬유질화하여 성형하여 가구용, 악기용, 몰딩재, 차량용으로 사용하는 MDF(Medium Densty Fiber Board), 제재목을 접합하여 그 위에 베니어를붙힌 것으로 일반합판의 후판을 대체하는 코아합판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다.
합판의 품질은 접착제의 양부에 따라 결정되는데, 합판에는 표면가공이 없는 보통합판과, 합판 표면에 오버레이(overlay)·프린트(print)· 도장(painting) 등의 가공된 특수합판이 있으며, 접착강도의 분류로 1류 2류 3류 합판으로 구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같은 합판 중 일반합판을 이용하여 가구재를 형성하게 되는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 특히 홀수층(3, 5, 7장 등)의 박판(薄板)을 섬유질 방향 즉 나무무늬결 방향을 상호 직교되는 상태로 적층하되 그 양면에 접착제등을 도포한 다음, 가열 압착하여서 얻게 되는데 이와같은 합판을 이용하여 의자나 책상 또는 장식장 내지 일반 가구재의 미려한 곡선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 곡선의 포밍작업이 상당히 힘들고, 설사 라운딩부 공정작업이 수행되더라도 그 곡선부위가 잘 부러지게 되어 불량품의 발생률이 상당하여 원목재료의 낭비가 상당하게 되고, 소망하는 곡률을 갖는 합판을 얻기가 상당히 어려웠다.
여기서 합판의 상면에 위치되는 상판을 표판이라 하고, 하판을 이판(裏板)이라 하고, 그 사이에 다수개 적층되는 단판을 심판(心板)이라 동업계에서는 칭하고 있다.
또한 합판의 구성 중에서 상면 또는 하면의 단판인 표판 또는 이판(裏板)에 나무무늬의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별도로 얇은 박피무늬목이나, 나무결의 질감이 표현되는 필름을 부착하는 별도의 공정을 요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생산공정의 번잡성은 물론이거니와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무늬목이나 필름을 상하 표판 또는 이판에 부착하더라도 외부조건 즉, 열변형이나 합판의 함습작용등 수분에 의한 비틀림현상에 따라 부착된 필름이나 박피무늬목이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미관을 해치게 되므로 이에 따른 유지보수를 별도 수행하여야 하는 번잡함과 사용상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합판을 이용하여 원하는 곡률에 의한 라운딩부를 갖으며, 미려한 디자인으로 표현가능하도록 하는 합판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제조된 합판의 상판 즉 표판과, 하판 즉 이판의 표면에 별도의 박피무늬목이나 나무 무늬결이 표현된 필름등을 부착하지 않고, 합판의 재료인 원목의 나무무늬결이 그대로 표현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박피무늬목이나, 필름을 부착하지 않고서도 원목이 갖는 나무 무늬결을 그대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여 가구재의 고품격화 및 상품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a,b는 본 고안의 1차가공판재를 이루는 박피판과 중판의 분리사시도 및 그 접합된 단면도이고,
도 2은 로울링 도포에 의해 도포되어 나오는 1차가공판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는 적정한 규격으로 절단된 상태의 1차가공판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a,b는 도 3에 의한 1차가공판재를 적층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및 그 결합 단면도이고,
도 5a,b는 도 4에 의해 제조된 상태의 1차가공판재를 이용하여 단위판재로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c는 그로부터 형성된 2차가공판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된 합판을 이용하여 형성된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합판에 의해 제조된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1차가공판재 11; 박피판 12; 중판
13; 멜라민수지 도포층 14; 가접수단 100; 단위판재
200; 성형틀 300; 2차가공판재 400; 의자
500; 책상
a; 접착제 R; 로울러 S; 수지공급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원목재로부터 박피판과 소정두께를 갖는 중판을 얻은 후 상기 박피판재와 소정두께의 중판재를 상호 무늬가 직교되는 방향으로 대접시킨 상태로 접착제등으로 열압착하여서 되는 1차가공판재 상하 표면층에 멜라민수지 또는 페놀수지로 되는 도포층을 갖고, 건조된 1차가공판재를 상호 무늬결이 다르게 교호 적층하되 배접되는 상태로 적층하여 단위판재로 고정 한 후, 성형틀에 의해 프레싱 열압착하여 2차가공판재를 얻은 상태에서, 외측면을 표면처리하여서 되는 합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에 의해 제조되는 합판을 이용하여 곡선(라운드부)를 갖는 의자를 제조하기 위한 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원목으로부터 로터리 방식에 의해 얇은 두께를 갖는 박피판(11)과 소정두께를 갖는 중판(12)으로 되는 각각의 단판을 얻는다.
상기 단판의 두께는 얇은 박피판(11)으로 되는 대략 1mm 정도의 두께와 상기 박피판(11)과 접착하기 위한 중판(12)으로 되는 대략 2.4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단판을 얻도록 한다.
이와같이 얻게 되는 박피판(11) 또는 중판(12)을 원목에서 얻을 때 상당한 길이를 갖는 상태로 두루마리처럼 로울러 형상으로 얻어지는데 가공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적정한 크기로 절단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적정 크기로 절단된 박피판(11)과 중판(12)을 각각나무 무늬결 방향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포개지도록 하여 그 적층된 박피판(11)과 중판(12) 사이에 무취수지접착제(a)를 도포하여 접합시킨 다음 열프레싱에 의한 열압착 과정을 거쳐 상기 박피판(11)과 중판(12)이 열압 접착, 건조 되도록 하여 1차가공판재(10)를 얻게 된다.
이와같이 얻게 되는 1차가공판재(10)는 도 1a,b에서 보는바와 같이 설정두께를 갖는 중판(12)으로 된 단판에 박피판(11)을 접착제(a)를 이용, 도포하여 열압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1차가공판재(10)를 제조하고자 하는 가구에 맞게 재단할 수 있다. 즉 의자(400)를 제조하기 위해 의자(400)의 받침판 또는 등판의 크기에 따라 소정 크기로 재단하거나 또는 테이블이나 책상(500)과 같은 크기를 갖도록 설정 크기로 재단 한다.
이와같이 완성된 1차가공판재(10)를 얻은 후에, 그 1차가공판재(10) 상/하 표면에 각각 멜라민수지 또는 페놀수지를 적정량 도포하여 도포층(13)을 형성한다.
이때의 도포방법은 도 2에서 보듯이 상하 로울러(R) 사이에 상기의 1차가공판재(10)를 삽입하여 상측 로울러(R)에 위치되는 멜라민수지 또는 페놀수지등 수지공급부(S)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상기의 상하로울러(R)의 표면에 묻혀지게 되는데, 상기 1차가공판재(10)가 로울러(R)를 통과할 때 1차가공판재(10)의 상하표면층에 로울러(R)로부터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가 도포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단위판재(100)의 상하측면 중, 박피판(11)에 멜라민수지층 또는 페놀수지층이 더 두텁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로울러(R)에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박피판(11)이 상면에 위치되고, 중판(12)이 하면에 위치되도록 1차가공판재(10)를 진입시킬 때 수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가 상부측 로울러(R)를 따라 흐르면서 1차가공판재(10)의 상면 즉 박피판(11) 표면에 더 많은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의 도포층(13)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면 즉 중판(12)의 하면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의 도포층(1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항상 도포층(13)이 두텁게 형성되는 쪽은 1차가공판재(10)의 박피판 (11)측이 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1차가공판재(10)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개 적층 가압하여 단위판재(100)를 얻게 되는데, 단위판재(100)의 상측면과 하층면에는 항상 박피판(11)이 위치되도록 하여 멜라민 또는 페놀 수지로 되는 도포층(13)에 의해 나무결의 무늬를 그대로 표현하기 위해서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이 적정크기로 재단된 1차가공판재(10)를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를 상하표면층에 도포하는 공정을 거쳐서 되는 1차가공판재(10)는 폭 및 길이가 상당한 초기의 재단되지 않은 상태의 1차가공판재(10)의 경우 휨응력등이 내부적으로 발생하더라도 그 힘이 크게 작용되지 않으나, 적정한 크기로 재단된 1차가공판재(10)는 그 내부의 휨응력이 크게 발생되어 볼록하게 휘어지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두께가 두터운 판재 즉 박피판(11)과 접합되는 중판(12)의 휨응력이 더강하게 발생되어 도 3에서 보듯이 박피판(11)이 중판(12)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진다.
이와같이 되는 재단된 1차가공판재(10)를 별도의 건조실에 순차적으로 진입시켜 대략 80~10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4~5분 정도 건조실을 이송시키며 건조시킨다.
그런다음, 상기와 같이 적정크기로 재단되는 1차가공판재(10)를 다수겹 겹쳐진 상태에서 가접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 3에서 보듯이 적정 크기로 재단되어 건조된 상태의 1차가공판재(10)는 휨응력에 의한 현상에 의해 어느 일측면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현상을 보이게 되는데 항상 박피판(11)측이 볼록한 면을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되는 1차가공판재(10)를 여러겹 적층하여 가접하게 되는데, 최종 합판의 상판 즉, 합판의 최상판에 해당되는 표판은 볼록한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되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층이 두텁게 형성되는 박피판(11) 항상 윗면에 위치되도록 하고, 그 하방으로 오목한 면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한 최상판 즉 표판과 오목한 부위가 대접되는 위치로 다른 1차가공판재(10)를 적층시키게 된다.
이때 최상판인 표판 하방으로 다수개 적층되는 1차가공판재(10)는 설정두께를 갖는 중판(12)이 항상 윗면으로 오도록 하고 그 하면은 박피판(11)이 위치되도록 하여 결국 오목한 면이 항상 윗쪽으로 향하도록 한다.
즉, 최종 합판의 제조시 최상판에 해당되는 표판의 상면은 항상 멜라민 수지또는 페놀수지가 두텁게 도포되는 박피판(11)이 위치되는 것이고, 최종합판의 최하판에 해당되는 이판의 최하면 또한 항상 멜라민 수지 또는 페놀수지가 두텁게 도포되는 박피판(11)이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되는 1차가공판재(10)를 다수겹 겹쳐지도록 하여 적층하게 되는데, 보통 1차가공판재(10)는 4단 즉, 박피판재와 중판(12)을 헤아리게 되면 8단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홀수층에 의해 합판이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본 고안에서는 짝수층에 의해 합판이 이루어지는데 그 차이점이 있다.
이와같이 최상판의 표판에 해당되는 1차가공판재(10)는 윗면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고, 그 하방으로 적층되는 1차가공판재(10)들은 하방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다수개 (여기서는 3개의 1차가공판재)를 적층하여 단위판재(100)를 형성한 다음, 그 단위판재(100)의 각각의 주연부를 타커 등의 가접수단(14)을 이용하여 가접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 1차가공판재(10)를 적층할 때 각각의 1차가공판재 (10)의 무늬결이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적층하여야 한다.
즉, 박피판(11) 기준으로 하여 적층할 경우 예컨데 최상판의 표판에 해당되는 1차가공판재(10)의 박피판(11)이 가로방향으로 무늬결을 갖으며 위치되면, 그 아래에 위치되는 타 1차가공판재(10)는 박피판(11)의 무늬결이 직교되도록 하여 위치시키고, 그 아래에 위치되는 또다른 1차가공판재(10)는 이와 다시 직교되는 방향으로 위치시켜 적층시키는 등 상호 교호적으로 직교 되며 적층시켜야 한다.
이와같이 적층되는 1차가공판재(10)들은 항상 각각의 박피판(11) 무늬형성방향은 동일한 방향이고, 박피판(11)과 접합되어 있는 중판(12)의 무늬들 또한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어지게 되는 것으로 항상 박피판(11)의 나무결 무늬와 중판(12)의 나무결 무늬는 직교되는 위치이다.
이와같이 얻게된 단위판재(100)를 이용하여 실제품에 적용되는 일정 곡률에 의해 라운딩부를 갖는 2차가공판재(300)를 성형하는 공정으로, 상기 가접된 단위판재(100)를 도 5에서 보듯이 간략하게 도시한 성형틀(200)에 수납하여 프레싱하게 되면, 도 5c에서와 같은 2차가공판재(300)를 얻을 수 있다.
이때 본원 출원인은 성형틀(200)의 온도는 130~150℃ 를 항상 유지하도록 하고, 그 프레싱 가압력을 120~150kg/㎠으로 하고, 성형틀(200)내의 가압시간을 8~12분 정도로 하였을 때 최적의 2차가공판재(300)를 얻을 수 있었다.
본 공정의 성형틀(200)에서 일정부위를 라운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가압력 및 온도와 시간에 의해 적정한 곡률에 의한 라운딩부를 갖는 2차가공판재(300)를 얻게 된다.
여기서, 상기 2차가공판재(300)를 성형틀(200)에 삽입할 때, 최상판 즉 표판 및 최하판 즉 이판 각각의 박피판(11)의 무늬결이 항상 성형틀(200)에 삽입되는 방향과 일치되도록 하고, 그 사이에 개재된 소정 두께를 갖는 중판(12)들에 형성되는 무늬의 방향은 항상 성형틀(200)에 삽입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서 반드시 성형틀(20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는 이유는 소정 두께를 갖는 중판(12)에 형성되는 무늬결의 방향이 성형틀(200)의 진입방향과 동일하였을 경우에는 성형과정에 의해 라운딩부가 성형될 때 무늬결방향에 의해 그 곡면부위가 원만하게 라운딩되지 못하고,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기 때문에, 성형 진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2차가공판재(300)가 수납되어야 하는 것이다. 즉 라운딩 처리는 항상 소정두께를 갖는 중판(12)의 나무결 방향과 동일하게 처리되어야 원만한 포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가티 형성된 2차가공판재(300)를 이용하여 본원 실시예에서와 같이 의자를 제조하고자 할 때 원하는 외주면의 형상에 따른 폼(form)에 맞는 형상을 갖도록 재단하고, 그 재단된 외측면을 우레탄 라카등으로 도포 처리하여 의자(400)의 일부에 채용되는 합판이 제조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얻게 되는 합판을 이용하여 의자(400)를 생산하게 되면,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일정 곡률에 의한 라운드부를 갖는 합판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한 합판을 이용하여 외관이 미려한 의자(400)등의 가구재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한 실시예 즉 의자(400)에 해당되는 것과는 달리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작업자 또는 사용자(주문자)가 원하는 형상을 갖는 테이블 등에 표현되는 소망 곡선 즉 라운드부를 갖는 미려하며 고품격화되고, 의장미를 갖는 가구재의 생산이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합판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의자 뿐만이 아니라, 도어용 합판, 가구용 문짝, 인테리어용 벽체, 등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의자 책상 테이블 장식장 등의 가구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그 가구재의 일부를 곡률을 갖으며 일정하게 라운딩 처리되며 포밍되는 가구재를 손쉽게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로 되는 도포층이 박피판에 도포되며 가열압착 되므로써, 박피판에 형성되어 있던 나무무늬결이 그대로 재생되어 원목의 질감을 충분하게 표현할 수 있어, 가구의 고품격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원목 질감을 표현하기 위해 별도의 박피무늬목을 접착하거나 원목 무늬가 표현된 필름을 접착하는 작업이 삭제 되므로, 이에 따른 공정의 감소는 물론, 별도로 소요되는 박피무늬목·필름등을 요하지 않게 되어 생산공정 및 생산비용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박피판에 형성되는 원목의 무늬가 그대로 재생되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그 질감이 지속되고, 종래와 같이 박피무늬목이나 필름등을 부착하였을 경우처럼 오랜시간 경과후 박리되는 현상이 없으므로, 가구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상승시키게 되는 사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에 의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박피판(11)과 소정두께를 갖는 중판(12)을 무늬결이 서로 직교되도록 접착하여 열가압 건조하여서 되는 1차가공판재(10)를 복수개 적층하여 가압, 건조하되, 최상에 위치되는 1차가공판재(10) 상면에 박피판(11)이 위치되도록 하고, 그 최상의 1차가공판재(10) 하방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1차가공판재(10)들은 배접되는 상태로 위치되도록 하여 최하에 위치되는 1차가공판재(10)의 하면이 박피판(11)으로 위치되고,
    상기 각각의 박피판(11)에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로 되는 도포층(13)이 형성되어 단위판재(100)로 형성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가공판재(10)에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에 의한 도포층(13) 형성시, 박피판(11)에 중판(12)의 하면보다 상대적으로 두터운 도포층(1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재(100)는 1차가공판재(10)가 짝수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재(100)의 최상면 및 최하면은 항상 박피판(11)이 위치되며 그 나무 무늬결의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가공판재(10)는 상호 나무결 무늬가 직교되는 방향으로 적층 되는 것을 포함하는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KR2020010032284U 2001-10-23 2001-10-23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KR200260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84U KR200260326Y1 (ko) 2001-10-23 2001-10-23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284U KR200260326Y1 (ko) 2001-10-23 2001-10-23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218A Division KR20010100169A (ko) 2001-10-23 2001-10-23 박피판과 중판이 직교 적층되는 합판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되는 합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326Y1 true KR200260326Y1 (ko) 2002-01-10

Family

ID=73110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284U KR200260326Y1 (ko) 2001-10-23 2001-10-23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3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175B1 (ko) 2018-10-11 2019-04-26 (주) 투템디자인 휨 방지용 패널이 구비된 파티클보드
CN114103170A (zh) * 2021-09-09 2022-03-01 湖南城市学院 一种木塑复合板、制备方法及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3175B1 (ko) 2018-10-11 2019-04-26 (주) 투템디자인 휨 방지용 패널이 구비된 파티클보드
CN114103170A (zh) * 2021-09-09 2022-03-01 湖南城市学院 一种木塑复合板、制备方法及应用
CN114103170B (zh) * 2021-09-09 2023-12-19 湖南城市学院 一种木塑复合板、制备方法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228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ecorative substrate and decorative substrate produced thereby
US4142007A (en) Embossed laminated board
JP2003236994A (ja) 複合成形可能な化粧積層板
KR101518419B1 (ko) 모양지의 무늬가 외부로 돌출 표현토록 한 hpl시트 제조방법
KR200260326Y1 (ko) 박피판과 중판이 복수개 직교 적층 가압된 합판
US3869326A (en) Textured film finished panels and method therefor
WO1996003262A1 (en) Shaping wood substitutes
US2231345A (en) Method of making multiply trays
EP2062727A1 (en) Method for engraving boards and board obtained by said method
KR20010100169A (ko) 박피판과 중판이 직교 적층되는 합판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되는 합판
KR100545364B1 (ko) 원목 판넬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원목판넬
KR101525918B1 (ko) 고밀도압축목재패널의 제조공법
US20040231265A1 (en) Method of forming a molded plywood door skin, molded plywood door skin, and door manufactured therewith
JPH03254902A (ja) 表裏面に繊維板層を有する木質板
CN101104281A (zh) 一种型面木质空心板的制造方法
JPH09174506A (ja) 木質建築材の製造方法
JP3733509B2 (ja) 交走木理を有する単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8951Y1 (ko) 건축내장재 및 나무자리용 목편
RU2755070C1 (ru) Ламинат с синхронной структурой
US1999243A (en) Veneered products
KR100203445B1 (ko) 화장판의 제조방법
RU14028U1 (ru) Деталь для мебели
KR20050048857A (ko) 안정성과 편안함이 우수한 의자
JPS6121241Y2 (ko)
JP2745471B2 (ja) 乾式ファイバーボー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