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842Y1 -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 Google Patents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842Y1
KR200208842Y1 KR2020000022266U KR20000022266U KR200208842Y1 KR 200208842 Y1 KR200208842 Y1 KR 200208842Y1 KR 2020000022266 U KR2020000022266 U KR 2020000022266U KR 20000022266 U KR20000022266 U KR 20000022266U KR 200208842 Y1 KR200208842 Y1 KR 200208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oundproof
repair
soundproof pane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2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황
Original Assignee
강철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황 filed Critical 강철황
Priority to KR20200000222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8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842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방음벽을 이루며 적층 조립되어진 방음판넬중 부분 파손이 발생되어진 경우 해당부위만을 교체하는 것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되어 작업시간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수용 방음판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길이와 형태를 갖는 콘크리트몰탈(1)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세워진 각각의 지주용 파이프체(3) 사이에 합성수지재의 방음판넬(4)이 적층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방음벽(100)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4)의 파손시 교체되어지는 보수용 방음판넬(40)은, 길이방향의 단면을 중심으로 전면판(40a)과 후면판(40b)이 각각 분리된 형태를 이루되, 각 단면부위에는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게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A SOUNDPROFING PANEL OF COMPOSITE SOUNDPROFING WALL FOR REPAIR}
본 고안은 조립식 방음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리파동의 기본원리인 음파 간섭을 이용하여 방음벽의 내부에서 소음이 자연 소멸되도록 하는 방음벽의 파손시 파손부위만 선택적으로 교체 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인접한 학교나 병원, 주택가 등 소음의 방지가 필요한 곳에는 소음방지벽이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소음은 산업 발달에 따른 부산물인 시끄러운 소리로서 각종 차량의 증가와 기계류의 수 적인 증가로 인하여 소음 발생의 양적 증가 및 소음 노출 지역의 확대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다. 이에 따라 각종 소음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환경문제가 대두하게 되었고 이 목적에 부합되는 방음벽이 개발되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설치되어진 조립식 합성수지재 방음벽의 일 례를 나타낸 것이다.
제시된 도면에 따르면, 방음벽(100)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구조물로서, 일정길이와 형태를 갖는 콘크리트몰탈(1)의 내부 적소에는 상부측 외면에 나사부(21)가 형성되고 일정길이를 갖는 연결용 봉체 또는 파이프체(2)가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입설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나사부(21)는 몰탈(1)의 상부측 외면으로 일정 높이를 유지하여 각각 돌출되고, 상기 나사부(21)에는 하부측 내면에 나사부(31)가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지주용 파이프체(3)가 각각 결합되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방음벽판넬(4)은 양측에 상하로 상호 대향되는 한쌍의 결합공(41)이 형성되고, 흡음공(42)이 연통형성된 공명관(43)이 수직상 상호 교호를 이루어 조립가능하게 형성된 상태에서 각 지주용 파이프체(3) 사이에서 적층되어 지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지는 방음벽(100)은 도면에서와 같이 연결용파이프체(2)와 지주용파이프체(3)의 결합작업이 반복되어 완료되면, 각 파이프(3)와 파이프(3) 사이에 방음판넬(4)의 상기 결합공(41)이 하부에서 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하여 주기만 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립식 방음벽(100)이 완성되어지게 되고, 도로에서 발생된 소음은 흡음공(42)으로 흡음되어 공명관(43) 내에서 상쇄되어 제거될 수 있게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 방음벽 구조는 합성수지재로서 도로변에 설치되어지는 관계로 차량의 추돌사고 등에 의해 쉽게 파손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파손되어진 방음벽이 도시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신속하게 복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같은 복구작업은, 다수의 방음판넬(4)이 조립식으로 적층되어져 있으므로 파손이 발생된 해당 판넬만을 새로운 판넬로 교체하여 줌으로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그러나, 도 2에서 'A'로 표시되어진것과 같이 방음벽(100)의 하단부에서 부분 파손이 발생된 경우, 이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해당 방음판넬(A) 뿐만 아니라 상단부에 적층된 판넬을 포함하는 인접된 방음판넬(4)을 모두 탈거시킨 후 파손되어진 판넬을 교체해야 하는데, 이러한 보수작업은 파손이 발생되지 않은 다른 판넬도 탈거시킨 후 다시 조립해야 함으로 작업시간 및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부분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보수용 방음판넬 구조를 제공함으로서 방음벽의 부분파손시 해당부위의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보수용 방음판넬은,
길이방향의 단면을 중심으로 전면판과 후면판이 각각 분리된 형태를 이루되, 각 단면부위에는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게된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으로는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단면부위에서 상호간에 대응되어지는 형태의 돌출부 및 돌입부가 적소에 다수개 형성되어진 것임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넬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판넬간의 조립결합에 의해 완성되어진 방음벽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수용 방음판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보수용 방음판넬의 결합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보수용 방음판넬의 설치 작업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지주용 파이프체 4 : 방음판넬
40 : 보수용 방음판넬 40a: 전면판
40b: 후면판 41 : 결합공
42 : 흡음공 43 : 공명관
45 : 돌출부 46 : 돌입부
100 : 방음벽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수용 방음판넬의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4는 판넬간의 결합부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상기 판넬이 설치되어지는 상태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시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보수용 방음판넬(4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보수용 방음판넬(40)은 기 설치되어짐에 따라 방음벽(100)을 이루고 있는 개개의 방음판넬(4)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이루되, 길이방향의 단면을 중심으로 전면판(40a)과 후면판(40b)으로 각각 분리된 상태로 결합가능하게 제작되어지게 된다.
특히, 전면판(40a)과 후면판(40b)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면부위에서 돌출부(45)와 돌입부(46)가 상호간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판(40a)측에 돌출부(45)만을 후면판(40b)측에 돌입부(46)만을 각각 일률적으로 형성하였으나, 상호간에 서로 교번되면서 대응하도록 돌출부와 돌입부를 형성하는것 또한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전,후면판(40a,40b)을 결합시켰을 경우 일반 방음판넬(4)의 형태와 동일하게 결합공(41), 흡음공(42), 공명관(43) 등의 구조를 이룰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지는 본 고안의 보수용 방음판넬(40)은 기 설치되어진 방음판넬(4)의 파손시 교체용으로 사용되어지게 되는데,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즉, 종래 기술에서 설명되어진 도 2에서와 같이 방음벽(100)을 이루고 있는 방음판넬(4)중 부분적인 파손('A'부위)이 발생되어진 경우, 지주용 파이프체(3)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는 해당 방음판넬(A)을 통상의 분리수단을 이용하여 강제로 탈거시킨다.
방음판넬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탈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그 상단에 적층되어지거나 인접되어져 있는 다른 방음판넬(4)들은 교호되어지면서 지주용 파이프체(3)에 결합되어져 있는 결합공(41)구조로 인해 위치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고 해당부위만 공간부로 남게된다.
이와같이 파손된 방음판넬(A)의 탈거가 완료되면, 본 고안의 보수용 방음판넬(40)을 해당부위에 장착함으로서 방음벽(100)의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보수용 방음판넬(40)의 설치는 각각 성형 제작되어진 전면판(40a)과 후면판(40b)을 각각 방음벽(100)의 전면과 후면에서 작업자가 힘을 가함으로서 결합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각 결합부위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5)가 그 대응되는 위치의 돌입부(46)에 압입되어짐으로 전면판(40a)과 후면판(40b)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후면판(40a,40b)의 상호간 접촉면(미도시)에 접착제 등을 미리 도포시켜 줌으로서 상호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결국, 전,후면판(40a,40b)이 결합되어짐에 따라 지주용 파이프체(3)에 양측이 고정되어지게되고, 상호간의 결합에 따라 내부에 형성되어진 공명관(43)은 상하부에 기 설치되어져 있던 방음판넬(4)들의 그것과 연통되어지는 설치구조를 이루게 되어, 본 고안의 보수용 방음판넬(40)이 기존의 방음판넬(4)들과 함께 방음벽(10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비교예로서 즉, 종래 기술에서는 방음벽의 부분파손시 해당부위 방음판넬만을 교체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그 상부에 적층되어진 다른 판넬들 까지 모두 탈거시킨 후 교체작업을 수행하거나 이것이 여의치 않은 경우 그대로 방치함으로 인해 도시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본 고안의 보수용 판넬구조에 의하면 방음벽의 파손발생시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해당부위의 판넬만을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방음판넬의 교체가 이루어지게 되어 보수 교체를 위한 작업시간 및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보수용 방음판넬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예를 들면, 보수용 방음판넬을 이루는 전면판과 후면판간의 결합 단면형태를 다른 형태로 형성하거나,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수단을 상기 실시예에서 제시된 수단 외에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여러가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보수용 방음판넬 구조는, 방음벽을 이루며 적층 조립되어진 방음판넬중 부분 파손이 발생되어진 경우 해당부위만을 교체하는 것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되어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전면판과 후면판이 상호간의 조립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되어짐으로 작업효율 또한 향상시키는 이점을 나타낸다.

Claims (3)

  1. 일정길이와 형태를 갖는 콘크리트몰탈(1)의 상부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세워진 각각의 지주용 파이프체(3) 사이에 합성수지재의 방음판넬(4)이 적층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방음벽(100)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4)의 파손시 교체되어지는 보수용 방음판넬(40)은,
    길이방향의 단면을 중심으로 전면판(40a)과 후면판(40b)이 각각 분리된 형태를 이루되, 각 단면부위에는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전면판(40a)과 후면판(40b)의 단면부위에서 상호간에 대응되어지는 형태의 돌출부(45) 및 돌입부(46)가 다수개 형성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전면판(40a)과 후면판(40b)이 상호간에 접촉되어지는 단면부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KR2020000022266U 2000-08-04 2000-08-04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KR200208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266U KR200208842Y1 (ko) 2000-08-04 2000-08-04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266U KR200208842Y1 (ko) 2000-08-04 2000-08-04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188 Division 2000-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842Y1 true KR200208842Y1 (ko) 2001-01-15

Family

ID=7308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266U KR200208842Y1 (ko) 2000-08-04 2000-08-04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8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61B1 (ko) 2018-11-07 2020-02-26 주용산업 주식회사 유지보수용 지주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61B1 (ko) 2018-11-07 2020-02-26 주용산업 주식회사 유지보수용 지주를 이용한 방음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302B1 (ko) 플라스틱 방음패널
KR20020005348A (ko)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208842Y1 (ko) 조립식 방음벽의 보수용 방음판넬
KR20180023160A (ko) 완충기능이 개선된 방음벽 지주
KR101844645B1 (ko) 횡하중 흡수형 건축용 패널 조립체
KR101143413B1 (ko) 방음패널의 볼트고정체를 구비한 방음벽
KR100645234B1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20090027020A (ko) 흡음기능을 가진 방음벽 지주
JP4105136B2 (ja) 前背面分離式遮音壁
KR20060115563A (ko) 방음구조물
KR100922628B1 (ko) 건설 현장용 조립식 방음벽
KR102119837B1 (ko) 도로용 방음벽 및 방음터널용 지주
KR100963493B1 (ko) 파형무늬 조립식 방음판
KR200425367Y1 (ko) 흡음형 방음판넬 구조
KR100990354B1 (ko) 방음벽용 방음패널
KR20040071930A (ko) 방음판 고정장치
KR100679932B1 (ko) 플라스틱 청정 방음패널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648377B1 (ko) 방음벽
KR200313145Y1 (ko) 양면 흡음형 방음판
KR20020005257A (ko) 방음벽
KR200307676Y1 (ko) 방음벽용 분리형 방음판의 이음 구조물
KR200300024Y1 (ko) 분리형 방음판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KR200175890Y1 (ko) 조립식 방음판넬
KR20170077487A (ko) 도로 방음벽용 흡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