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526Y1 -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526Y1
KR200208526Y1 KR2020000022876U KR20000022876U KR200208526Y1 KR 200208526 Y1 KR200208526 Y1 KR 200208526Y1 KR 2020000022876 U KR2020000022876 U KR 2020000022876U KR 20000022876 U KR20000022876 U KR 20000022876U KR 200208526 Y1 KR200208526 Y1 KR 200208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x
present
support shaft
displa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환
Original Assignee
노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환 filed Critical 노영환
Priority to KR2020000022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526Y1/ko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상품 진열용 박스는 통상의 박스 재료에 1회의 가공에 의해 절단선 및 꺽임선을 형성하고, 박스 상부와 4개의 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취하며, 4개의 지지축 및 각각의 지지축과 이웃하는 4개의 측면판이 다층 구조로 되어 있고, 측면판의 돌기를 하판의 삽입홀에 끼움으로써 분리가 자유롭도록 하판과 결합된다.

Description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ASSEMBLING STRUCTURE OF BOX FOR DISPLAYING GOODS}
본 고안은 상품 진열용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1회의 가공으로 절단선 및 꺽임선을 형성하여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이 가능한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동일한 물품을 적층하여 저장시키므로써 상품을 포장하거나 상품을 진열하는 용도로 박스(box)가 사용되는데, 단순히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박스에 있어서는 밀폐구조로 된 대략 직육면체의 한면을 개방하여 상품의 인입 및 반출이 수행된다. 반면에, 진열용 박스는 포장용 박스와는 상이하게 상면 및 4개의 측면이 개방된 개방형 구조를 취하는 바, 이 개방부를 통해 상품 공급자 또는 소비자는 자유롭게 상품을 인입 및 반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품 진열용 박스에서 상품 공급자 또는 소비자에 의한 상품의 인입 및 반출이 무수히 반복되면, 박스는 물리적인 손상에 의해 원형이 손상되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품 공급자는 소망하지 않던 시기에 이를 교체하여야만 하였다.
지금까지의 상품 진열용 박스에 있어서는, 개방부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부, 즉 박스 본체의 모서리 근방부근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그 내측에 박스 본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수단, 예를 들면 별도의 보강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고 있으나, 이러한 작업은 번거로운 일일뿐더러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상품 진열용 박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견고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상품 진열용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상품 진열용 박스를 제조하는데 있어 접착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끼워 맞춤식으로 제조하므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량의 박스를 적층할시에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는 통상의 박스 재료에 절단선 및 꺽임선을 1회 공정으로 형성하여, 박스 상부와 4개의 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취하고, 4개의 지지축 및 측면판이 다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측면판의 일부가 하판으로부터 분리가 자유롭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4개의 지지축의 다층 구조를, 박스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소정 각도로 구부려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전개도.
도 3은 도 1의 박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평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정면도, 도 5b는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전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전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판 15 ----- 제1측면부
15a ----- 제1좌측면지지부 15b ----- 제1우측면지지부
15c ----- 제1측면판 17 ----- 제3측면부
17a ----- 제3좌측면지지부 17b ----- 제3우측면지지부
17c ----- 제3측면판 19 ----- 제1지지축
11, 11a, 11', 11a' 13, 13a, 13', 13a' ----- 삽입홀
19a, 19b, 19c, 19d, 19a', 19b', 19c', 19d' ----- 지지편
19' ----- 제2지지축 21 ----- 제3지지축
21' ----- 제4지지축 30 ----- 측면지지부 삽입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전개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품 진열용 박스는 하판(10)을 중심으로 한 제1 내지 제4측면부(15, 15', 17, 17')와, 이웃하는 측면부 사이에서 각각의 측면부(15, 15', 17, 17')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축(19, 19', 21, 21')으로 구성된다.
하판(10) 상에는 다수의 홀(11, 11a, 11', 11a', 13, 13a, 13', 13a')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홀은 후술하는 4개의 측면판(15c, 15c', 17c, 17c')의 돌기부분이 끼워지는 삽입홀이다. 이러한 돌기는 하판(10)의 삽입홀에 분리가 자유롭도록 삽입되어 각각의 측면판(15c, 15c', 17c, 17c')을 고정시킨다.
제1측면부(15)는 제1좌측면지지부(15a)와, 제1우측면지지부(15b)와, 제1측면판(15c)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대향하는 제2측면부(15')는 제2좌측면지지부(15a')와, 제2우측면지지부(15b')와, 제2측면판(15c')으로 이루어진다.
제3측면부(17)는 제3좌측면지지부(17a)와, 제3우측면지지부(17b)와, 제3측면판(17c)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대향하는 제4측면부(17')는 제4좌측면지지부(17a')와, 제4우측면지지부(17b')와, 제4측면판(17c')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지지축(19)은 4개의 지지편(19a, 19b, 19c, 19d)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구성은 제2 내지 제4지지축(19', 21, 21')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한 구성은 소위 톰슨가공이라 불리는 방법에 의해 통상의 박스 재료에 절단선 및 꺽임선을 형성하므로써 정의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박스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로서, 본 고안의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은 먼저, 도 2에 나타내듯이, 제3측면부(17)의 제3좌측면지지부(17a)와 제3우측면지지부(17b) 및 영역 D를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다. 이때, 영역 D는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제거되고 제3좌측면지지부(17a)와 제3우측면지지부(17b)는 서로 경계가 되는 중앙만이 분리된다. 이어서, 제3좌측면지지부(17a), 제3우측면지지부(17b) 및 제4좌측면지지부(17a'), 제4우측면지지부(17b')를 하판(10)쪽을 향하여 접은 후 제3측면판(17c) 및 제4측면판(17c')이 제3좌측면지지부(17a), 제3우측면지지부(17b) 및 제4좌측면지지부(17a'), 제4우측면지지부(17b')를 덮도록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접고 제3측면판(17c) 및 제4측면판(17c')의 돌기부를 삽입홀(13', 13a)에 끼워 고정한다.
계속해서, 제1측면부(15)의 제1좌측면지지부(15a)와 제1우측면지지부(15b)를 각각 제3지지축(21) 및 제1지지축(19) 방향으로 접고, 제1지지축(19)의 지지편(19a, 19b, 19c, 19d)을 계단식으로 제1측면부(15)를 향하도록 화살표 B방향으로 접는다. 이때, 상기 지지편(19a, 19b, 19c, 19d)과 상응하는 제3지지축(21)의 지지편(도면 부호 나타내지 않음) 또한 계단식으로 제1측면부(15)를 향하도록 접는다. 이어서, 제1지지축(19)의 지지편(19d) 및 이에 상응하는 제3지지축(21)의 지지편을 제1측면판(15c)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도 3의 일점쇄선 화살표 방향으로 접는다.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제1지지축(19)의 지지편(19a)은 상기 제3좌측면지지부(17a)의 외측을 감싸게 되고, 이웃하는 지지편(19b)은 제3좌측면지지부(17a)의 내측을 감싸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1지지축(19)의 지지편(19d) 및 이에 상응하는 제3지지축(21)의 지지편을 제1측면판(15c)의 하부에 위치한 후, 제1측면부(15)의 제1측면판(15c)을 화살표 C방향으로 접은 후 제1측면판(15c)의 돌기부를 삽입홀(11, 11a)에 끼워 고정한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각 구성 요소간의 결합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내용 중 설명하지 않은 제2지지축(19')과 그것을 구성하는 지지편(19a', 19b', 19c', 19d') 및 제4지지축(19')과 그것을 구성하는 지지편(도면 부호 나타내지 않음)과 제2측면부(15')의 제2좌측면지지부(15a'), 제2우측면지지부(15b'), 및 제2측면판(15c')의 결합은, 상기한 제1측면부(15)와 제1지지축(19) 및 제3지지축(21)과의 상호 결합 관계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평면도,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측면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축(19, 19', 21, 21')은 이웃하는 측면부(15, 15', 17, 17')의 다수의 구성 요소들(15a, 15b, 15a', 15b', 17a, 17b, 17a', 17b')과 중첩되어 결합되므로써 다중층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지지축(19)은 제1측면부(15)측에서 제1우측면지지부(15b)와 지지편(19c)이 중첩되고, 제3측면부(17)측에서 중앙에 제3좌측면지지부(17a)의 일부를 게재하여 양쪽으로 두 지지편(19a, 19b)이 중첩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제1측면판(15c)은 제1지지축(19)의 지지편(19d) 및 제3지지축(21)의 지지편(도면 부호 나타내지 않음)이 접혀진 상태에서 그 일부를 중첩하여 감싸고, 제3측면판(17c)은 제3좌측면지지부(17a) 및 제3우측면지지부(17b)가 접혀진 상태에서 그 일부를 중첩하여 감싸고 있다.
상술한 예는 본 고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다층 구조를 설명하는 일례이나,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박스는 대향측이 대칭 구조를 취하므로 도면 부호를 사용하지 않은 부분, 즉 제3 및 제4지지축(21, 21')의 다층구조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상술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전개도, 도 7은 평면도로서, 본 실시예의 구성 중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앞선 실시예와 다른 점은 4개의 지지축의 다층 구조를, 박스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소정 각도로 구부려 형성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인 예로써,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축(19)의 이웃하는 두 지지편(19b, 19c) 사이에 단일 꺽임선을 형성하여 박스의 조립 완성시 박스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모퉁이를 직각으로 유지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축(19)의 이웃하는 두 지지편(19b, 19c) 사이에 이중 꺽임선(L)을 형성하여 박스의 조립 완성시 박스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모퉁이를 소정 각도(θ)로 유지한다. 여기서, θ는 바람직하게 90。 미만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박스는 대향측이 대칭 구조를 취하므로 제2, 제3 및 제4지지축(19', 21, 21')에서 상기 제1지지축(19)과 같이 박스 안쪽의 모퉁이를 소정 각도로 유지하는 구조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더라도 상술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박스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의 모퉁이를 소정 각도로 유지하므로써 외벽을 지지하기 때문에 견고성이 높아져 상품의 잦은 인입 또는 반출에 의해 박스의 원형이 훼손되는 것으로부터 박스를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품 진열용 박스의 전개도로서, 본 실시예의 구성 중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가 앞선 두 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판(10)의 각 모서리 부분에 다수의 측면지지부 삽입홀(30)을 형성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도 2 및 도 6으로 나타낸 상품 진열용 박스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다수의 측면지지부(15, 15', 15a, 15a', 17a, 17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박스 하판의 측면지지부 삽입홀에 다수의 측면지지부를 삽입하므로써 박스의 적층시 안정된 적층을 보장한다.
본 고안의 상품 진열용 박스는 다수의 지지축 및 각각의 지지축과 이웃하는 다수의 측면판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또한, 박스를 제조하는데 있어 접착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끼워 맞춤식으로 제조하므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이에 따라 분해가 자유로와 다량의 박스를 이동시키기 편리하고, 그 결과 제조 비용 및 물류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박스 상부와 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상품 진열용 박스에 있어서,
    다수의 측면지지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지지축 및 각각의 지지축과 이웃하는 다수의 측면판이 상기 지지축 및 측면판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다층 구조를 형성하고, 측면판이 분리가 자유롭도록 하판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 상에서 박스 안쪽의 모퉁이를 90。 미만의 꺽임각 θ를 두고 경사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용 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이 측면판의 돌기를 하판의 삽입홀에 끼움으로써 하판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용 박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에 상기 측면지지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용 박스.
KR2020000022876U 2000-08-11 2000-08-11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 KR200208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876U KR200208526Y1 (ko) 2000-08-11 2000-08-11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876U KR200208526Y1 (ko) 2000-08-11 2000-08-11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518A Division KR100398986B1 (ko) 2000-08-11 2000-08-11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526Y1 true KR200208526Y1 (ko) 2001-01-15

Family

ID=73057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876U KR200208526Y1 (ko) 2000-08-11 2000-08-11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5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3366Y1 (ko) 접철식 컨테이너 박스용 힌지 및 이를 사용한 접철식컨테이너 박스
KR200208526Y1 (ko)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
WO2022033170A1 (zh) 双开门包装盒
KR100398986B1 (ko) 상품 진열용 박스의 조립구조
JP2008273565A (ja) セパレート型外装箱
JP2018122904A (ja) 包装箱
JP2007182249A (ja) 蓋付きカートン
JP6272932B2 (ja) 包装容器
JP2009073537A (ja) ラップラウンド箱
JP3141543U (ja) 組立て式箱
JP7335151B2 (ja) 梱包箱、および物品の梱包構造
JP2000142669A (ja) 箱 体
JP7298472B2 (ja) 簡易組箱
JP3985951B2 (ja) 包装箱
US200900787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es integrated with product containers
KR200496652Y1 (ko) 우유팩형 상자
JP2567475Y2 (ja) 包装箱
KR20080005757U (ko) 포장용 상자
JP7182909B2 (ja) 梱包容器及び梱包容器用シート材
JPH11139422A (ja) 食品包装箱
JP3099415U (ja) 段ボール箱
JP2008155960A (ja) ピザ用包装箱
JP4647841B2 (ja) テーパーボックス
KR200230565Y1 (ko) 운반과 전시용으로 동시 사용 가능한 포장 상자
JP2009096513A (ja) キャリーカー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