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464Y1 - 쿠션 신발 - Google Patents

쿠션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464Y1
KR200208464Y1 KR2020000019699U KR20000019699U KR200208464Y1 KR 200208464 Y1 KR200208464 Y1 KR 200208464Y1 KR 2020000019699 U KR2020000019699 U KR 2020000019699U KR 20000019699 U KR20000019699 U KR 20000019699U KR 200208464 Y1 KR200208464 Y1 KR 200208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eel
tread
shoe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2020000019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464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구성 및 외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면의 평탄도 여부와 관계없이 충격 완화 작용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쿠션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쿠션 신발은, 뒷굽을 갖는 신발창과; 상기 신발창에 결합되는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과 뒷굽 사이에서 디딤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디딤판의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이 수용되는 스프링 안치 부재와; 상기 디딤판과 뒷굽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디딤판의 탄성적인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쿠션 신발{CUSHION SHOES}
본 고안은 충격 완화 작용을 하는 스프링의 압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쿠션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 및 외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면의 평탄도 여부와 관계없이 충격 완화 작용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쿠션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착용자의 발 부위를 보호하는 한편, 보행시에 인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자 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전제에 두고 제작된 것으로, 상기 충격 완화를 위해 통상 신발창에는 뒷굽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뒷굽만으로는 충격 완화 작용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최근에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충격 완화 작용을 증가시키는 한편, 스프링 압축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충격 완화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쿠션 신발을 도시한 것으로, 뒷굽(110)을 외부굽(110a) 및 이 외부굽(110a)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는 내부굽(110b)으로 분리 구성하고, 내부굽(110b)의 상부에 홈을 만들어 스프링(112)을 설치하며, 내부굽(110b)이 일정한 간격만큼만 움직이도록 내부굽(110b) 아래쪽으로부터 원통형 공간(114)을 형성하고, 이곳을 통해 암나사(116)를 넣어 창(118)에 고정되어 있는 숫나사(120)에 연결시켜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쿠션 신발은 보행시에 내부굽(110b)이 지면에 닿고 하중이 가해지면 내부굽(110b)이 외부굽(110a)의 내부에서 상승하면서 스프링(112)에 의한 완충 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하중이 제거될 때에는 내부굽(110b)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신발 착용자가 숫나사(120)와 암나사(116)의 결합량을 조절하여 스프링(112)의 압축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기호 내지 취향에 맞게 충격 완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뒷굽을 내부굽과 외부굽으로 구성한 쿠션 신발은 내부굽이 외부굽의 내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상하 이동되므로 상기 굽의 마모 작용이 심하게 일어나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는 한편, 내부굽 또는 외부굽의 마모시에는 뒷굽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수선비가 저렴하지 못하다.
또한, 내부굽과 외부굽 사이에 이물질이 끼거나, 또는 지면이 평탄하지 못하여 내부굽이 지면의 패인 부분에 낄 경우에는 내부굽의 상하 이동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여 충격 완화 작용이 불만족스럽게 일어나게 되며, 뒷굽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내부굽이 외부굽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외관성이 좋지 못하며, 내부굽과 외부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습기 등이 침투할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구성 및 외관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지면의 평탄도 여부와 관계없이 충격 완화 작용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쿠션 신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쿠션 신발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 신발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뒷굽을 갖는 신발창과;
상기 신발창에 결합되는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과 뒷굽 사이에서 디딤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디딤판의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이 수용되는 스프링 안치 부재와;
상기 디딤판과 뒷굽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디딤판의 탄성적인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부재;
를 포함하는 쿠션 신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신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 신발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창에 구비된 뒷굽(10)의 중심부에는 소정 깊이의 내부 공간(12)이 제공되며, 이 공간(12)에는 경질재의 스프링 안치 부재(14)가 삽입 설치되고, 스프링 안치 부재(14)에는 스프링이 안치되는 소정 깊이의 스프링 안치홈(16)이 제공된다.
상기 스프링 안치 부재(14)의 중심부에는 내측에 원형의 빈 공간(18)이 형성된 돌출부(20)가 스프링 안치홈(16)의 높이만큼 돌출 설치되며, 선단부 측에는 신발의 휨을 보강하기 위해 중창의 하측에 제공되는 지지대(도시하지 않음)가 끼워지는 지지편(22)과, 힌지핀(24)이 결합되는 힌지부(26)가 제공되며, 스프링 안치홈(16)에는 스프링의 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 단부 고정부(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안치홈(16)에 안치되는 스프링은 하중의 흡수 및 분산을 위해, 돌출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내측의 주 스프링(28)과, 상기 주 스프링(28)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보조 스프링(30)으로 구성되고, 특히 보조 스프링(30)은 이후 기술하는 디딤판을 향해 확대되는 원추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치홈(16) 내부의 주변부에 별도의 보조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주 스프링(28)의 강도는 이 스프링의 최대 접점 허용치 내에서 무게 단위별로 설정되며, 보조 스프링(30)은 이 스프링의 탄발력이 주 스프링(28)의 탄발력에 비해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프링 안치 부재(14)의 크기는 신발창 뒷굽(10)의 크기와 디자인 또는 최대 하중의 무게 단위별로 설정된다.
또한, 스프링 안치 부재(14)의 외주면에는 상기 부재(14)가 뒷굽(1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향 돌기(32)가 복수개 제공되며, 상기 부재(14)의 상단부에는 신발창의 상면에 얹혀지는 걸림턱(34)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향 돌기(32)가 삽입되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 삽입홈을 뒷굽에 제공하여도 무방하다.
이로써, 스프링 안치 부재(14)를 뒷굽(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 설치하면, 뒷굽(10)과 스프링 안치 부재(14)의 결합 상태가 돌기(32)에 의해 견고히 유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 안치 부재(14)의 선단부를 더욱 길게 연장하면 이 연장부가 상기 지지대(도시하지 않음)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지지대와 지지편(22)을 제거할 수도 있다.
그리고, 힌지부(26)에 결합되는 상기 힌지핀(24)은 스프링 안치 부재(14)와 디딤판(36)의 선단부를 힌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디딤판(36)의 선단부에도 힌지핀(24)이 결합되는 힌지부(38)가 제공된다.
경질재로 이루어진 상기 디딤판(36)의 상면에는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압하는 지압 돌기(40)가 제공되고, 하면에는 스프링 안치홈(16)에 안치되는 스프링(28,30)의 다른 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되며, 중심부에는 조절 나사(42)가 관통 설치되는 관통공(44)이 제공되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딤판(36)의 측부는 착용자의 발목을 향해 소정 각도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조절 나사(42)는 조절핀(46)과 결합하여 스프링(28,30)의 압축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경질재의 조절핀(46)은 스프링 안치 부재(14)의 돌출부(20)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조절 나사(42)의 나삿니에 나사 결합되며, 조절핀(46)의 단부에는 돌출부(20)의 상단부에 접촉됨으로써 조절핀(46)의 상방향 이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48)가 제공된다.
그리고, 조절핀(46)의 승하강 작동시에 슬라이드 접촉에 따른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조절핀(46)은 이 핀이 관통되는 관통공(돌출부에 형성됨)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스토퍼(48)는 돌출부(20)의 내부 공간에 비해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디딤판(36)은 이 판(36)이 스프링 안치 부재(14)의 걸림턱(34)에 접촉되는 최대 하강 지점부터 조절핀(46)의 스토퍼(48)가 돌출부(20)의 상단부 내면에 접촉되는 최대 상승 지점까지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 디딤판(36)의 탄성적인 이동 거리는 조절 나사(42)와 조절핀(46)의 결합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뒷굽을 갖는 쿠션 신발에 있어서, 디딤판(36) 및 스프링 안치 부재(14)의 크기는 뒷굽(10)의 크기와 디자인 또는 최대 하중의 무게 단위별로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부재가 접촉되는 부분에 고무 패킹(50)을 설치하여 접촉에 따른 소음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쿠션 신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신발을 미착용한 상태에서는 디딤판(36)의 후부가 스프링(28,30)의 탄발력에 의해 힌지핀(2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이격된 상태이며, 디딤판(36)의 이격량은 조절 나사(42)와 조절핀(46)의 결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신발을 착용하여 디딤판(36)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하중에 의해 디딤판(36)이 스프링(28,30)을 압축하면서 하강되고, 조절 나사(42)에 결합된 조절핀(46)이 돌출부(20)의 내측으로 하강 작동된다.
이때, 디딤판(36)은 이 판(36)의 하면이 스프링 안치 부재(14)의 상단부에 접촉될 때까지, 또는 스프링(28,30)에 의한 이 판(36)의 최대 하강 거리만큼 하강된다.
따라서, 디딤판(36)의 하강 작동시에는 스프링(28,30)에 의한 완충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어서, 보행을 위해 착용자가 지면에서 발을 들어올리면, 뒷굽(10)이 지면과 떨어질 때 스프링(28,30)의 탄발 작용에 의해 디딤판(36)과 조절핀(46)이 상승 작동되며, 디딤판(36) 상측의 깔창(52)은 뒷굽이 지면과 떨어져 있는 동안 계속적으로 착용자의 발바닥에 밀착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착용감이 향상된다.
이러한 반복 작용으로 인해 신발 착용자는 구보나 보행시 딱딱한 지면을 보행하더라도 잔디밭이나 카페트 위를 걷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시간의 보행 또는 운동을 하더라도 뒷굽을 통해 인체의 각 부분에 전달되는 충격이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디딤판(36)의 승하강 작동시에는 스프링 안치홈(16) 내부의 공기가 펌핑 작용에 의해 디딤판(36)의 측면과 신발 측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신발 외부로 배출되므로, 땀으로 인해 발생되는 악취 등을 배출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신발의 사용에 있어서, 신발 착용자가 조절 나사(42)와 조절핀(46)사이의 결합량을 조절하여 디딤판(36)의 탄성적인 이동 거리(디딤판과 스프링 안치 부재 사이의 최대 유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자신의 기호 내지 취향에 맞게 충격 완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조절 나사(42)를 풀어 디딤판(36)을 개방한 후 스프링의 수량 등을 자신의 취향 내지 기호에 맞게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스프링 안치 부재를 장착할 수 있는 뒷굽을 갖는 모든 신발에 적용 가능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쿠션 신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조절핀의 승하강 작동시에 이 핀과 돌출부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조절핀의 승하강 작동에 따른 부품 마모 염려가 전혀 없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신발 착용자는 반복적인 하중 인가에 따른 피로 현상으로 인해 스프링의 교환이 필요한 경우 등에만 필요 부품을 교환하면 되므로, 뒷굽 전체를 교환해야만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수선비가 저렴하다.
둘째, 신발의 사용중에 있어서 조절핀과 돌출부 사이에 이물질이 끼일 염려가 전혀 없고, 또는 지면이 평탄하지 못하여 뒷굽이 지면의 패인 부분에 끼일 경우에도 디딤판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므로 어떠한 경우에라도 충격 완화 작용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셋째,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구조물이 신발 내부에 장치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뒷굽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외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습기 침투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넷째, 디딤판의 상측에 장치되는 깔창이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착용자의 발바닥에 항상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디딤판의 펌핑 작용에 의해 신발 내부의 공기가 신발 외부로 배출되므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뒷굽을 갖는 신발창과;
    상기 신발창에 결합되는 디딤판과;
    상기 디딤판과 뒷굽 사이에서 디딤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디딤판의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이 수용되는 스프링 안치 부재와;
    상기 디딤판과 뒷굽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디딤판의 탄성적인 이동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부재;
    를 포함하는 쿠션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안치 부재는 조절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한 공간부를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쿠션 신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디딤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조절 나사와, 상기 돌출부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조절 나사의 나삿니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돌출부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조절핀으로 이루어지는 쿠션 신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안치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 안치 부재가 뒷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향 돌기가 복수개 제공되는 쿠션 신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안치 부재에는 뒷굽의 상부면에 얹혀지는 걸림턱이 제공되는 쿠션 신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돌출부와 조절핀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주 스프링과, 상기 주 스프링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보조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스프링은 상기 디딤판을 향해 직경이 확대 형성되는 쿠션 신발.
KR2020000019699U 2000-07-10 2000-07-10 쿠션 신발 KR200208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699U KR200208464Y1 (ko) 2000-07-10 2000-07-10 쿠션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699U KR200208464Y1 (ko) 2000-07-10 2000-07-10 쿠션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464Y1 true KR200208464Y1 (ko) 2001-01-15

Family

ID=7308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699U KR200208464Y1 (ko) 2000-07-10 2000-07-10 쿠션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464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70B1 (ko) 2009-09-14 2010-03-17 권동혁 스프링 신발
WO2011149218A3 (ko) * 2010-05-27 2012-05-03 Park Cheol Su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
KR101209269B1 (ko) * 2010-12-31 2012-12-06 신병민 기능성 신발
KR200466443Y1 (ko) * 2012-06-27 2013-04-18 정민욱 대용량형 탄창
KR200482027Y1 (ko) 2015-09-14 2016-12-07 이태현 교환 가능한 구두 뒷굽
US9538809B2 (en) 2010-05-27 2017-01-10 Cheol Su Park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CN108618257A (zh) * 2018-06-18 2018-10-09 苏立峰 通型变底弹簧鞋
KR200490591Y1 (ko) * 2019-08-19 2019-12-04 김영석 스프링 쿠션신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670B1 (ko) 2009-09-14 2010-03-17 권동혁 스프링 신발
WO2011030990A1 (ko) * 2009-09-14 2011-03-17 권동혁 스프링 신발
WO2011149218A3 (ko) * 2010-05-27 2012-05-03 Park Cheol Su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
US9538809B2 (en) 2010-05-27 2017-01-10 Cheol Su Park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KR101209269B1 (ko) * 2010-12-31 2012-12-06 신병민 기능성 신발
KR200466443Y1 (ko) * 2012-06-27 2013-04-18 정민욱 대용량형 탄창
KR200482027Y1 (ko) 2015-09-14 2016-12-07 이태현 교환 가능한 구두 뒷굽
CN108618257A (zh) * 2018-06-18 2018-10-09 苏立峰 通型变底弹簧鞋
KR200490591Y1 (ko) * 2019-08-19 2019-12-04 김영석 스프링 쿠션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5053B1 (ko) 높이 조절용 완충 하이힐
KR200150995Y1 (ko) 통풍식 신발용 펌핑어셈브리
KR101059463B1 (ko) 접철식 힐굽을 구비한 하이힐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KR200208464Y1 (ko) 쿠션 신발
GB2032761A (en) Heel for shoe
KR20070049008A (ko) 충격흡수용 구두
KR200412036Y1 (ko) 키 높이용 보조 신발깔창
KR19980058063U (ko) 쿠션신발창
KR200371481Y1 (ko) 신발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EP3747300A1 (en) Shoe with replaceable heel
KR100999901B1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CN205321402U (zh) 一种防滑鞋底
KR102130728B1 (ko) 충격 완화, 발목 꺾임 및 질병 예방이 가능한 하이힐
WO2011067726A2 (en) Cushioned heel for footwear
KR102106942B1 (ko)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KR101056647B1 (ko)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
KR200191004Y1 (ko) 신발의 충격 완충장치
US6755426B2 (en) Snowboarding boot
KR101033152B1 (ko) 탄성 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KR200265533Y1 (ko) 완충용구두뒤창구조
CN218515264U (zh) 一种缓冲效果好的运动鞋
KR100907386B1 (ko) 다기능 건강 신발
KR200238273Y1 (ko) 판스프링이 내장된 신발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