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008A - 충격흡수용 구두 - Google Patents

충격흡수용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008A
KR20070049008A KR1020050106174A KR20050106174A KR20070049008A KR 20070049008 A KR20070049008 A KR 20070049008A KR 1020050106174 A KR1020050106174 A KR 1020050106174A KR 20050106174 A KR20050106174 A KR 20050106174A KR 20070049008 A KR20070049008 A KR 20070049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heel
shoe
shock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7206B1 (ko
Inventor
안시노
Original Assignee
안시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시노 filed Critical 안시노
Priority to KR1020050106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206B1/ko
Publication of KR2007004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의 뒷굽을 개량하여 보행을 할 때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구두(1)의 뒷굽(10)에 수납홈(10a)이 형성되고, 수납홈(10a)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체(20)를 삽입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충격흡수용 구두에 있어서, 승강판(21)의 하부에는 가이드관(21a)이 형성되어 받침판(22)에 형성된 가이드관(22a)에 결합되고, 가이드관(21a)(22a)들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30)이 삽입되어 승강판(21)이 탄력적으로 승강되며, 승강판(21)의 상부면에는 만곡면을 이루는 탄성패드(23)가 부착된 탄성체(20)와; 상기 탄성체(20)가 중창(11)에 뚫려진 구멍(11a)을 통해 뒷굽(10)의 수납홈(10a)에 삽입되고, 중창(11)에는 마감부재(12)가 부착되어 구멍(11a)이 덮여지며, 마감부재(12)는 탄성패드(23)에 의하여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구두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구두, 뒷굽, 탄성체

Description

충격흡수용 구두{Dress shoes for absorbing sock}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구두 10 : 뒷굽
10a : 수납홈 11 : 중창
11a : 구멍 12 : 마감부재
13 : 깔창 20 : 탄성체
21 : 승강판 21a, 22a : 가이드관
21b, 22b : 지지턱 21c : 결합구
22 : 받침판 23 : 탄성패드
30, 31 : 코일스프링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의 뒷굽을 개량하여 보행을 할 때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의 기능은 보행할 때에 지면으로부터 발바닥을 보호하며, 걷는 동작을 편안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이 지면에 닿는 순간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발목과 무릎 등의 관절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과 착용하는 의류 등과 함께 패션 역할을 하는 기능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구두의 바닥은 지면과 마찰력을 높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고, 걸음걸이를 정확하게 하도록 발뒤꿈치 부위를 높인 고무재질의 바닥창이 구비되어 있으며, 바닥창에는 발가락과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갑피가 씌워진 구성으로 되어 있고, 바닥창과 갑피 사이에는 발바닥의 안착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안창과 깔창을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된 종래의 구두는 사용자가 보행을 할 때 먼저 뒷굽의 후면이 지면에 닿아 충격을 발생시키고, 이어서 바닥창이 지면에 닿는다.
이때, 뒷굽이 지면에 닿는 순간 사용자의 체중이 발뒤꿈치에 집중되므로 뒷굽에 가장 많은 충격이 발생되고, 발이 지면에 닿을 때 발생되는 충격은 고무를 단단하게 압축하여 제조하는 뒷굽로는 충분하게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없었 다.
따라서, 보행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은 발목과 무릎으로 전달되어 관절이나 척추에 나쁜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충격이 척추를 통해 머리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뇌를 비롯한 신체에 피로를 유발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두의 뒷굽을 개량하여 착용자가 보행할 때 뒷굽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장시간 동안 구두를 신고 보행을 하더라도 신체의 피곤함이 줄이고 발목과 무릎의 관절에도 무리를 가하지 않는 충격흡수용 구두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구두(1)의 뒷굽(10)에 수납홈(10a)이 형성되고, 수납홈(10a)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체(20)를 삽입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충격흡수용 구두에 있어서, 승강판(21)의 하부에는 가이드관(21a)이 형성되어 받침판(22)에 형성된 가이드관(22a)에 결합되고, 가이드관(21a)(22a)들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30)이 삽입되어 승강판(21)이 탄력적으로 승강되며, 승강판(21)의 상부면에는 만곡면을 이루는 탄성패드(23)가 부착된 탄성체(20)와; 상기 탄성체(20)가 중창(11)에 뚫려진 구멍(11a)을 통해 뒷굽(10)의 수납홈(10a)에 삽입되고, 중창(11)에는 마감부재(12)가 부착되어 구멍(11a)이 덮여지며, 마감부재(12)는 탄성패드(23)에 의하여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구두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 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두(1)의 뒷굽(10)에는 수납홈(10a)이 형성되어 있고, 수납홈(10a)에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체(20)가 삽입되어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20)는 승강판(21), 받침판(22), 코일스프링(30) 및 탄성패드(2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승강판(21)의 하부에는 가이드관(21a)이 형성되어 있고, 받침판(22)에도 가이드관(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판(21)의 가이드관(21a)은 받침판(22)의 가이드관(22a)에 결합되고, 가이드관(21a)(22a)들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30)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판(21)이 코일스프링(30)에 의하여 지지되어 탄력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판(21)의 상부면에는 만곡면을 이루는 탄성패드(23)가 부착되어 있고, 탄성패드(23)는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이 충격에 대한 흡수력이 우수한 합성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체(20)는 중창(11)에 뚫려진 구멍(11a)을 통해 뒷굽(10)의 수납홈 (10a)에 삽입된다.
상기 중창(11)에는 마감부재(12)가 부착되어 있고, 마감부재(12)에 의하여 중창(11)의 구멍(11a)이 덮여진다.
상기 마감부재(12)는 탄성패드(23)에 의하여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된 상태에서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판(21)의 가이드관(21a) 외부에는 원형의 지지턱(21b)이 형성되어 있고, 받침판(22)의 가이드관(22a) 외부에도 원형의 지지턱(2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턱(21b)(22b)들 사이에는 원통형 코일스프링(31)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30)은 원추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일스프링(30)의 상부는 승강판(21)의 저면에 돌출된 결합구(21c)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3은 중창(11)의 상부에 놓여지는 깔창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구두(1)를 착용하게 되면 발의 뒤꿈치가 탄성패드(23)에 의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마감부재(12)와 접촉되어 탄성을 보유한 탄성패드(23)에 의하여 신체의 하중을 1차적으로 완화시키면서 압축되고, 탄성체(20)의 승강판(21)도 압축되면서 하강됨과 동시에 승강판(21)을 지지하는 원추형 코일스프링(30)과 원통형 코일스프링(31)이 압축되면서 2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어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대부분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 구두(1)의 앞쪽이 지면에 닿게 되고 뒷굽(10)은 지면에서 들려지면 뒷굽(10)에 가해지던 하중이 해소되므로 압축되었던 원추형 코일스프링(30)과 원통형 코일스프링(31)은 최초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걸음을 걸을 때 구두(1)의 뒷굽(10)에 구비된 탄성체(20)에서 발생하는 압축과 복원작용에 의하여 착용자가 보행을 할 때 발생되는 충격은 대부분 완충되어 해소되는 것이다.
또한, 탄성체(20)의 원추형 코일스프링(30)과 원통형 코일스프링(31)의 탄성계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면 서로 다른 탄성계수로 인하여 원추형 코일스프링(30)과 원통형 코일스프링(31)의 압축과 복원이 각각 다른 시점에 이루어지므로 충격흡수력을 더욱 좋아지도록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구두를 착용하고 보행을 할 때 탄성패드(23)가 1차적으로 압축되면서 충격이 완화되고, 2차적으로 탄성체(20)의 원추형 코일스프링(30)과 원통형 코일스프링(31)이 압축되면서 충격이 흡수되어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대부분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보행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구두(1) 착용자의 관절이나 척추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동시에 탄성체(20)가 발뒤꿈치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이므로 충격 의 전달이 확실하게 차단되고, 보행을 할 때 쿠션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것으로서 충격흡수용 구두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구두(1)의 뒷굽(10)에 수납홈(10a)이 형성되고, 수납홈(10a)에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된 탄성체(20)를 삽입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충격흡수용 구두에 있어서,
    승강판(21)의 하부에는 가이드관(21a)이 형성되어 받침판(22)에 형성된 가이드관(22a)에 결합되고, 가이드관(21a)(22a)들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30)이 삽입되어 승강판(21)이 탄력적으로 승강되며, 승강판(21)의 상부면에는 만곡면을 이루는 탄성패드(23)가 부착된 탄성체(20)와;
    상기 탄성체(20)가 중창(11)에 뚫려진 구멍(11a)을 통해 뒷굽(10)의 수납홈(10a)에 삽입되고, 중창(11)에는 마감부재(12)가 부착되어 구멍(11a)이 덮여지며, 마감부재(12)는 탄성패드(23)에 의하여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구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21)과 받침판(22)의 가이드관(21a)(22a)들의 외부에는 원형의 지지턱(21b)(22b)들이 각각 형성되고, 지지턱(21b)(22b)들 사이에는 원통형 코일스프링(31)이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구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30)은 원추형으로 구성되고, 코일스프링(30)의 상부는 승강판(21)의 저면에 돌출된 결합구(21c)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구두.
KR1020050106174A 2005-11-07 2005-11-07 충격흡수용 구두 KR100757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174A KR100757206B1 (ko) 2005-11-07 2005-11-07 충격흡수용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6174A KR100757206B1 (ko) 2005-11-07 2005-11-07 충격흡수용 구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008A true KR20070049008A (ko) 2007-05-10
KR100757206B1 KR100757206B1 (ko) 2007-09-10

Family

ID=38273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6174A KR100757206B1 (ko) 2005-11-07 2005-11-07 충격흡수용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20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4822A1 (ko) * 2012-10-02 2014-04-10 주식회사 니플렉스 척수 및 관절 질환 예방용 4단계 스프링쿠션 의료용 신발
KR200475071Y1 (ko) * 2010-03-25 2014-11-10 고종택 착탈식 완충부재를 구비한 신발
CN104510078A (zh) * 2014-12-19 2015-04-15 方柏明 一种鞋底减震器及其制作模具和方法以及减震鞋底及其制作方法
KR101541078B1 (ko) * 2014-04-25 2015-07-31 (주)앤제화 충격 흡수가 가능한 건강 기능성 구두
US9439828B2 (en) 2008-07-08 2016-09-13 Avex, L.L.C. Foot compression system
US9757302B2 (en) 2011-08-12 2017-09-12 Avex, Llc Foot compression and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US10369075B2 (en) 2015-03-03 2019-08-06 Avex, Llc Insole foot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s
US10799415B2 (en) 2011-12-02 2020-10-13 Avex, Llc Spring-driven foot compress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521B1 (ko) 2010-02-11 2010-06-08 남궁진 뒤꿈치 충격흡수와 보호장치
KR101537248B1 (ko) * 2010-10-13 2015-07-17 주식회사 풋바란스 인체의 균형과 발의 평형 유지용 건강신발
KR101033152B1 (ko) 2010-11-05 2011-05-11 (주)대승기업 탄성 굽 및 이를 이용한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738Y1 (ko) * 1998-06-15 2001-11-16 유부열 완충기능을갖는신발중창
KR20050043864A (ko) * 2005-04-19 2005-05-11 조용욱 점프용 기능신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9828B2 (en) 2008-07-08 2016-09-13 Avex, L.L.C. Foot compression system
KR200475071Y1 (ko) * 2010-03-25 2014-11-10 고종택 착탈식 완충부재를 구비한 신발
US9757302B2 (en) 2011-08-12 2017-09-12 Avex, Llc Foot compression and electrical stimulation system
US10799415B2 (en) 2011-12-02 2020-10-13 Avex, Llc Spring-driven foot compression system
WO2014054822A1 (ko) * 2012-10-02 2014-04-10 주식회사 니플렉스 척수 및 관절 질환 예방용 4단계 스프링쿠션 의료용 신발
KR101541078B1 (ko) * 2014-04-25 2015-07-31 (주)앤제화 충격 흡수가 가능한 건강 기능성 구두
CN104510078A (zh) * 2014-12-19 2015-04-15 方柏明 一种鞋底减震器及其制作模具和方法以及减震鞋底及其制作方法
US10369075B2 (en) 2015-03-03 2019-08-06 Avex, Llc Insole foot compression system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7206B1 (ko) 2007-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206B1 (ko) 충격흡수용 구두
KR101166466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KR101979490B1 (ko) 기능성 양말
KR101119566B1 (ko) 하체 근력강화를 유도하는 신발창
KR20100075793A (ko) 신발의 충격완화 조절이 가능한 탄성패드
WO2012108589A1 (en) Spring cushioned shoe
KR20110112975A (ko) 신발 밑창
KR101288691B1 (ko) 신발 밑창
KR101079709B1 (ko)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
KR101047067B1 (ko) 충격흡수용 구두 뒷굽의 제조방법
KR101251586B1 (ko)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KR200466692Y1 (ko) 볼링화
KR101435757B1 (ko) 신발깔창
KR101062081B1 (ko) 등산 효과, 신체 교정 효과, 발의 하중 분산 효과 및 지압 효과를 위한 기능성 신발
CN211747330U (zh) 一种缓震鞋底
KR200414220Y1 (ko) 좌우대칭형 샌들
KR200406142Y1 (ko) 에어 깔창
KR20130117104A (ko) 충격 흡수형 신발 구조
KR100782376B1 (ko) 키 높이 신발용 밑창의 경량화 및 충격완화 구조
KR102006595B1 (ko) 하이힐용 신발밑창
KR200417572Y1 (ko) 탄력체가 구비된 운동화.
KR200486203Y1 (ko) 발가락 스타킹
KR200418532Y1 (ko) 신발 안창
KR100373603B1 (ko) 신발 뒷굽의 높이조절 충격흡수 장치
KR200471925Y1 (ko) 구두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