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331Y1 -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구조 - Google Patents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331Y1
KR200208331Y1 KR2020000022101U KR20000022101U KR200208331Y1 KR 200208331 Y1 KR200208331 Y1 KR 200208331Y1 KR 2020000022101 U KR2020000022101 U KR 2020000022101U KR 20000022101 U KR20000022101 U KR 20000022101U KR 200208331 Y1 KR200208331 Y1 KR 200208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jaws
shaft
friction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용
Original Assignee
안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지용 filed Critical 안지용
Priority to KR2020000022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3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3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리브에 의해 축에 고정되어서 서로 맞물림 체결되어지는 플랜지의 조오 사이로 게재되어 마찰음을 방지시키는 마찰음 방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축((1)(2)에 끼움 설치되고, 테이퍼지게 형성된 외주면의 일단에 조임너트(30)가 체결되어지는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축(1)(2)에 설치된 키(3)가 체결되는 키홀을 가지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과 상응하게 테이퍼진 구멍을 가지고, 일측으로 고정볼트(25)가 체결되는 볼트구멍을 가지는 관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판(22)으로는 조오(23)가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20)와; 상기 플랜지(20)의 조오(23) 사이로 개재되는 마찰음 방지부재(40)로 구성된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마찰음 방지부재(40)는, 플랜지(20)의 플랜지판(22) 가장자리로부터 약간 들어가서 형성된 조오(23)를 감쌀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밴드(41)와, 밴드의 의 일측면으로 플랜지(20)의 조오(23)와 조오(23) 사이로 삽입 위치하는 삽입체(42)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체(42)의 사이에는 조오(23)에 형성되어진 구멍(26)에 끼워지는 고정돌기(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으로는 밴딩수단을 가지되, 상기 밴딩수단은 일단에 한쌍의 밴딩핀(45)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밴딩핀(45)이 끼움 고정되어지는 고정구멍들(44)이 타측단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플랜지를 양쪽으로 밀어내지 않고도 교환이 가능하여 설치 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상의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 구조 {AAA}
본 고안은 동력원의 동종축에 피동축을 연결하여 동력원의 동력을 피동력원으로 전달할 수 있게 축과 축을 연결하는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리브에 의해 축에 고정되어서 서로 맞물림 체결되어지는 플랜지의 사이로 게재되어 마찰음을 방지시키는 마찰음 방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력원의 축과 피동력원의 축을 연결할 때 사용되어지는 커플링은, 테이퍼진 외주면을 가지고, 축에 키 결합되어지는 슬리브와, 이 슬리브의 외주면 으로 끼워져 조임너트에 의해 조임 고정되어지는 플랜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와 플랜지로 이루어진 커플링을 동력원의 동력축과 피동력축에 설치하여서 피동력원에 동력원의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에 커플링을 설치하여 동력을 전달할 때 회전방향이 전환되어지거나 회전속도 가감시 발생되는 토크현상으로 인하여 커플링에서 마찰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마찰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플링을 구성하는 플랜지에 마찰음 방지부재를 게재하여 마찰음을 해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찰음을 해소하기 위하여 커플링에 사용되어지는 마찰음 방지부재는 다양한 형태롤 착안된바 있으나, 종래의 마찰음 방지부재는 커플링의 플랜지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장착하거나 교환하고자할 때에는 플랜지를 양쪽으로 밀어낸 상태에서 마찰음 방지부재를 교환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상의 불편함이 있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커플링을 구성하는 플랜지의 조오 사이로 삽입되어지는 삽입체가 밴드상에 일전간격을 이루며 배하여져 있고, 삽입체의 사이로 플랜지의 조오 구멍에 끼움 고정되어지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밴드의 양단에는 밴딩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마찰음 방지부재를 교환할 때 종래와 같이 플랜지를 양쪽으로 밀어내지 않고 교환이 가능하여 설치 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상의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마찰음 방지부재가 플랜지의 조오에 설치되어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마찰음 방지부재가 적용된 상태의 커플링 설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20 : 플랜지 22 : 플랜지판
23 : 조오 24 : 관부
25 : 고정볼트 26 : 구멍
30 : 조임너트 40 : 마찰음 방지부재
41 : 밴드 42 : 삽입체
43 : 고정돌기 44 : 고정구멍
45 : 밴딩핀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축((1)(2)에 끼움 설치되고, 테이퍼지게 형성된 외주면의 일단에 조임너트(30)가 체결되어지는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축(1)(2)에 설치된 키(3)가 체결되는 키홀을 가지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과 상응하게 테이퍼진 구멍을 가지고, 일측으로 고정볼트(25)가 체결되는 볼트구멍을 가지는 관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판(22)으로는 조오(23)가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20)와; 상기 플랜지(20)의 조오(23) 사이로 개재되는 마찰음 방지부재(40)로 구성된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마찰음 방지부재(40)는, 플랜지(20)의 플랜지판(22) 가장자리로부터 약간 들어가서 형성된 조오(23)를 감쌀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밴드(41)와, 밴드의 의 일측면으로 플랜지(20)의 조오(23)와 조오(23) 사이로 삽입 위치하는 삽입체(42)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체(42)의 사이에는 조오(23)에 형성되어진 구멍(26)에 끼워지는 고정돌기(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으로는 밴딩수단을 가지되, 상기 밴딩수단은 일단에 한쌍의 밴딩핀(45)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밴딩핀(45)이 끼움 고정되어지는 고정구멍들(44)이 타측단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마찰음 방지부재가 플랜지의 조오에 설치되어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마찰음 방지부재가 적용된 상태의 커플링 설치 구성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는 축(1)(2)에 조임너트(30)를 먼저 끼우고, 그 다음 플랜지(20)를 끼운후, 마지막으로 슬리브(10)의 키홀을 축(1)(2)에 설치된 키(3)와 일치시켜 가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가조립되어진 커플링을 축에 세팅할 때에는 먼저, 슬리브(10)를 축(1)(2)의 적정한 위치에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슬리브(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슬리브(10)의 외주면으로 플랜지(20)를 위치시키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슬리브(10)의 일단으로 형성된 나사산(12)에 조임너트(30)를 조여 플랜지(20)를 슬리브(10)의 확관부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되어지는 플랜지(20)에 의해 슬리브(10)는 축(1)(2)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짐과 동시에 플랜지(20)는 슬리브(10)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어지게 되고, 이때 플랜지(20)에 형성되어 있는 조오(23)가 서로 맞물림 되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플랜지(20)를 고정볼트(25)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축(1)(2)에 커플링이 설치되어진 상태에서 플랜지(20)의 조오(23)사이에 마찰음 방지부재(40)의 삽입체(42)를 조오(23) 사이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장착하게 된다.
상기한 마찰음 방지부재(40)를 장착할 때에는 밴드(4)의 일측단부로 설치되어 있는 삽입체(42)를 조오(23)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밴드(41)를 감아 돌리면, 밴드(41)상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는 삽입체(42)가 조오(23) 사이사이로 삽입되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때 밴드(4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43)는 조오(23)의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잇는 구멍(26)으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한 방식에 의해 삽입체(42)를 조오(23)사이에 삽입 설치한 상태에서 밴드(41)의 일측단부로 형성되어진 밴딩핀(45)에 타측단부로 형성된 고정구멍(44)을 끼워 밴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커플링의 플랜지(20) 조오(23) 사이에 마찰음 방지부재(40)를 장착하므로서 회전동작시 발생되는 마찰음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마찰음 방지부재(40)를 교환하고자 할 때에는 밴딩핀(45)으로부터 고정구멍(44)을 분리시킨 후 밴드(41)를 풀어내게 되면, 삽입체(42)가 조오(23) 사이에 분리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는 종래와 같이 플랜지를 양쪽으로 밀어내지 않고도 교환이 가능하여 설치 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상의 번거러움을 해소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축((1)(2)에 끼움 설치되고, 테이퍼지게 형성된 외주면의 일단에 조임너트(30)가 체결되어지는 나사산(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축(1)(2)에 설치된 키(3)가 체결되는 키홀을 가지는 슬리브(10)와; 상기 슬리브(10)의 외주면과 상응하게 테이퍼진 구멍을 가지고, 일측으로 고정볼트(25)가 체결되는 볼트구멍을 가지는 관부(24)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판(22)으로는 조오(23)가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20)와; 상기 플랜지(20)의 조오(23) 사이로 개재되는 마찰음 방지부재(40)로 구성된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마찰음 방지부재(40)는, 플랜지(20)의 플랜지판(22) 가장자리로부터 약간 들어가서 형성된 조오(23)를 감쌀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는 밴드(41)와, 밴드의 의 일측면으로 플랜지(20)의 조오(23)와 조오(23) 사이로 삽입 위치하는 삽입체(42)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체(42)의 사이에는 조오(23)에 형성되어진 구멍(26)에 끼워지는 고정돌기(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으로는 밴딩수단을 가지되, 상기 밴딩수단은 일단에 한쌍의 밴딩핀(45)이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밴딩핀(45)이 끼움 고정되어지는 고정구멍들(44)이 타측단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
KR2020000022101U 2000-08-03 2000-08-03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구조 KR200208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01U KR200208331Y1 (ko) 2000-08-03 2000-08-03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01U KR200208331Y1 (ko) 2000-08-03 2000-08-03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331Y1 true KR200208331Y1 (ko) 2000-12-15

Family

ID=19666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101U KR200208331Y1 (ko) 2000-08-03 2000-08-03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3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1598A1 (en) Pipe clamp, in particular, pipe coupling
SE9900729L (sv) Handverktygsmaskin, särskilt skruvdragare
US5848947A (en) Split power transfer member
WO1998055279A1 (en) Guide bar and tensioning mechanism for chain saws
KR200208331Y1 (ko)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구조
US6848345B2 (en) Adjustable head for a wrench
ATE308035T1 (de) Druckmessvorrichtung
US6095450A (en) Pivot for a winding device
US4016770A (en) Pulley assembly
US6222108B1 (en) Percussion amplitude adjustable pedal drum-beating device
KR0135622B1 (ko) 차량용 체인렌치
KR200226270Y1 (ko) 호스고정용 클램프
JP2002181269A (ja) 楕円ホースの連結部分の固定用クランプ
JP4288580B2 (ja) シャフトとヨークの結合構造
KR200320705Y1 (ko) 커플링의 마찰음 방지부재구조
JP2594640Y2 (ja) ホースクランプ
KR200339999Y1 (ko) 프레임 연결장치
KR200267709Y1 (ko) 동력장치의 동력전달 부재
JP2596195Y2 (ja) 回転伝動構造
KR200400263Y1 (ko) 키 박스와 커버의 결합구조
KR100373422B1 (ko) 렌치
KR200313519Y1 (ko) 플랜지 체결용 훅크볼트
GB2142268A (en) Road vehicle wheel brace
KR100372518B1 (ko) 미세,거시조정 수단을 갖는 결속밴드
KR200255992Y1 (ko) 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