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602Y1 -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애 방지 회로 - Google Patents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애 방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602Y1
KR200207602Y1 KR2019980019981U KR19980019981U KR200207602Y1 KR 200207602 Y1 KR200207602 Y1 KR 200207602Y1 KR 2019980019981 U KR2019980019981 U KR 2019980019981U KR 19980019981 U KR19980019981 U KR 19980019981U KR 200207602 Y1 KR200207602 Y1 KR 200207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signal
card
state
redund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322U (ko
Inventor
엄재욱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20199800199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60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3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602Y1/ko

Link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해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로 구현된 이중화 제어회로에서 모두 경보상태로 유지하다가 동시에 정상상태로 천이될 경우에 발생하는 불안정한 이중화 상태를 제어하도록 한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애 방지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중화로 구현된 이중화 제어회로에서 모두 경보상태로 유지하다가 동시에 경보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천이되는 경보해소신호가 인가될 경우에, 액티브 상태인 제어회로에서는 경보해소신호를 지연없이 출력하고, 스탠바이 상태인 제어회로에서는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인가함으로서, 동시에 정상상태로 천이하는 불안정한 상태로 인한 이중화된 회로의 장애를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애 방지 회로
본 고안은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애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로 구현된 이중화 제어회로에서 모두 경보상태로 유지하다가 동시에 정상상태로 천이될 경우에 발생하는 불안정한 이중화 상태를 제어하도록 한 교환기에서 이중화부 장채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환기에서 이중화 제어회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화로 구현된 카드 보드(CARD A, CARD B)를 구비하고, 해당 카드 보드(CARD A, CARD B)는 기타기능블록(10a,10b)과, 이중화를 제어하여 액티브 상태 및 스탠바이 상태를 결정하는 이중화 제어부(20a,20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중화 제어부(20a,20b)는 상태진단부(21a,21b)와, 경보송신부(22a,22b)와,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태진단부(21a,21b)는 상위프로세서와 상기 기타기능블록(10a,10b)으로부터 경보신호를 수집하여 해당 경보신호에 따라 경보상태신호를 발생하거나, 정상상태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경보송신부(22a,22b)로 인가한다.
상기 경보송신부(22a,22b)는 상기 상태진단부(21a,21b)로부터 인가되는 최종경보신호를 각각 자신 및 상대측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로 인가한다.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는 상기 각각의 경보송신부(22a,22b)로부터 인가되는 자신의 경보신호 및 이중화된 상대측의 경보신호와, 이중화된 상대측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로부터 이중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최종적인 자신의 이중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기타 기능 블록(10a,10b), 하위 프로세서 및 이중화된 상대측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로 송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중화로 구현된 제1카드보드(CARD A)와, 제2카드보드(CARD B)가 모두 정상상태이고,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는 액티브 상태이며, 해당 제2카드보드(CARD B)는 스탠바이 상태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예를 들어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에서 경보가 발생하여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와 제2카드보드(CARD B)사이에 이중화 절체가 수행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액티브 상태인 제1카드보드(CARD A)내의 기타기능블록(10a,10b)에서 경보발생신호를 상태진단부(21a,21b)로 송신하게 된다.
이에, 해당 액티브 상태인 제1카드보드(CARD A)내의 상태진단부(21a,21b)에서는 해당 기타기능블록(10a,10b)으로부터 인가된 경보발생신호와 상위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에 따라 최종경보신호를 발생하여 경보송신부(22a,22b)로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해당 액티브 상태인 제1카드보드(CARD A)내의 경보송신부(22a,22b)에서는 해당 상태진단부(21a,21b)로부터 인가된 최종경보신호를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내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와,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b)로 동시에 송신하게 된다.
이에, 스탠바이 상태인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b)에서는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내의 경보송신부(22a)로부터 수신된 경보신호와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경보송신부(22a,22b)로부터 수신된 경보신호를 비교하게 되는데, 이때 제2카드보드(CARD B)는 정상상태이고, 제1카드보드(CARD A)는 경보상태이므로 해당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b)에서는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로부터 수신한 이중화 제어신호 즉, 액티브 상태를 무시하게 된다.
즉, 해당 제2카드보드는 제1카드보드의 경보상태임을 인식하여 자신이 스스로 액티브 상태로 하여,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와, 하위 프로세서 및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기타기능블록(10b)으로 액티브 상태임을 알리는 이중화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카드보드(CARD A)내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에서는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b)로부터 수신한 이중화 제어신호가 액티브 상태신호임을 인지하고,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내의 경보송신부(22a)로부터 수신한 상태가 경보상태임을 파악하여 자신이 송출하는 이중화 제어신호를 스탠바이 상태로 바꾸어 송출하여 이중화 절체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한편, 제1카드보드(CARD A)와, 제2카드보드(CARD B)에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동일한 경보신호에 의해 모두 경보상태로 유지하다가, 해당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된 경보신호중 경보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천이되는 경보해소신호가 인가되어 경보가 해소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먼저, 이중화로 구현된 카드보드(CARD A, CARD B)내의 이중화 제어부(20a,20b)에서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경보신호를 인가받아 경보상태로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해당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경보해소신호가 인가되면 액티브 상태 및 스탠바이 상태인 이중화 제어부(20a,20b)내의 상태진단부(21a,21b)에서는 상위프로세서로부터 경보해소신호를 경보송신부(22a,22b)로 인가하게 된다.
이에, 해당 각각의 이중화 제어부(20a,20b)내 경보 송신부(22a,22b)에서는 동시에 경보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천이되는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자신 및 상대측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로 송신하게 된다.
그런데, 각각의 이중화 제어부(20a,20b)내 경보송신부(22a,22b)에서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자신 및 상대측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로 송신하는데 있어, 자신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로의 송신 경로보다 상대측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로의 송신경로가 더 길기 때문에, 해당 각각의 이중화 제어부(20a,20b)내 경보송신부(22a,22b)에서 송신하는 경보해소신호를 각각 자신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에서 먼저 수신하게 된다.
그래서, 액티브 상태의 제1카드보드(CARD A)와, 스탠바이 상태의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23a,23b)에서는 동시에 자기 자신이 정상상태임을 인지하게 되고 상대측은 경보상태로 인지하여 불안정한 상태가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중화로 구현된 카드보드에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동일한 경보상태신호를 인가받아 모두 경보상태로 유지하다가, 해당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경보해소신호가 인가될 경우에, 각각의 이중화 제어부에서 경보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천이되는 경보해소신호를 자신과 상대측으로 동시에 송신하게 되는데, 이때 송신 경로의 길이 차이로 인하여 동시에 자기 자신은 정상상태이고 상대측은 경보 상태로 인지하는 불안정한 상태가 존재하게 된다.
그래서, 각각의 이중화 제어부에서는 동시에 자신이 액티브 상태로 판단하거나, 액티브 상태의 판단을 하지 못하는 장애상태가 발생하게 되어 이중화로 구현된 카드보드와 연동하는 주변의 시스템이 마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중화로 구현된 이중화 제어회로에서 모두 경보상태로 유지하다가 동시에 경보해소신호가 인가될 경우에, 액티브 상태인 제어회로에서는 경보해소신호를 지연없이 출력하고, 스탠바이 상태인 제어회로에서는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인가함으로서, 동시에 정상상태로 천이하는 불안정한 상태로 인한 이중화된 회로의 장애를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환기에서 이중화 제어회로를 나타낸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에서 이중화 제어회로를 나타낸 구성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를 나타낸 구성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a,30b: 기타기능블록 40a,40b: 이중화 제어부
41a,41b: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 41-1,41-3: 경보신호 선택출력부
41-2: 신호지연부 42a,42b: 상태진단부
43a,43b: 경보송신부 44a,44b: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액티브 상태 및 스탠바이 상태의 이중화를 제어하는 이중화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경보신호중에서 경보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천이하는 경보해소신호에 대해서 현재 이중화 제어신호가 스탠바이 상태일 경우에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고, 해당 이중화 제어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경우에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지연 없이 출력하는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와; 상기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를 수집하여 최종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상태 진단부와; 상기 상태 진단부로부터 인가되는 최종경보신호를 자신 및 상대측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로 인가하는 경보송신부와; 이중화 상태신호를 수신하여 최종적인 자신의 이중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주기적 이중화 제어신호를 상기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로 인가하는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하는 신호 지연부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 및 상기 신호 지연부로부터 인가되는 지연된 경보신호를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 및 상기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선택된 경보신호를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 인가되는 이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 경보신호 선택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에서 이중화 제어회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화로 구현된 카드보드(CARD A, CARD B)를 구비하고, 해당 카드보드(CARD A, CARD B)는 기타기능블록(30a,30b)과, 이중화 제어부(40a,40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중화 제어부(40a,40b)는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와, 상태진단부(42a,42b)와, 경보송신부(43a,43b)와,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44b)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경보신호중에서 경보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천이하는 경보해소신호에 대하여 자신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44b)로부터 수신한 이중화 제어신호가 스탠바이 상태일 경우에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키고, 해당 이중화 제어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경우에,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지연 없이 상기 상태진단부(42a,42b)로 인가한다.
상기 상태진단부(42a,42b)는 상기 기타기능블록(30a,30b)과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를 수집하여 최종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송신부(43a,43b)는 상기 상태진단부(42a,42b)로부터 인가되는 최종경보신호를 자신 및 상대측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44b)로 인가한다.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44b)는 상기 경보송신부(43a,43b)로부터 수신한 최종경보신호 및 이중화된 상대측 경보신호와, 이중화된 상대측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44b)로부터 이중화 상태신호를 수신하여 최종적인 자신의 이중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주기적 이중화 제어신호를 상기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로 인가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하는 신호지연부(41-2)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 및 상기 신호지연부(41-2)로부터 인가되는 지연된 경보신호를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3)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 및 상기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3)로부터 인가되는 선택된 경보신호를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44b)로부터 인가되는 이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1)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카드보드(CARD A)는 액티브 상태이고, 제2카드보드(CARD B)는 스탠바이 상태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내에서 경보가 발생하여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와 제2카드보드(CARD B)사이에 이중화 절체가 수행되는 동작은 종래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와, 제2카드보드(CARD B)에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경보상태로 유지하다가, 해당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경보신호중 경보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천이되는 경보해소신호가 인가되어 경보가 해소되는 과정을 살펴보자.
먼저,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와 제2카드보드(CARD B)내 각각의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에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경보발생신호가 인가될 경우에, 즉 도 4의 ㉮지점에서 경보발생되는데,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내의 신호지연부(41-2)에서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발생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인가하게 되고,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내의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3)에서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된 경보발생신호(c)에 따라 해당 신호지연부(41-2)로부터 인가되는 지연된 발생경보신호(a)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발생신호(b)중 해당 경보 발생신호(b)를 선택하여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내의 제1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1)로 출력시키게 된다.
이에, 액티브 상태인 제1카드보드(CARD A)일 경우에,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내의 제1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1)에서는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로부터 인가되는 액티브 상태의 이중화 제어신호(f)에 따라 해당 제2 경보신호 선택 출력부(41-3)로부터 인가되는 경보발생신호(e)에 상관없이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발생신호(d)를 제1카드보드(CARD A)내의 상태진단부(42a)로 출력시키게 된다. 즉, 도 4의 A와 같이 경보발생된 ㉮지점에서는 경보발생신호을 지연없이 출력하게 된다.
반면, 스탠바이 상태인 제2카드보드(CARD B)일 경우에,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b)내의 제1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1)에서는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b)로부터 인가되는 스탠바이 상태의 이중화 제어신호(f)에 따라 해당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3)로부터 인가되는 경보발생신호(e)를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상태진단부(42b)로 출력시키게 된다. 즉, 도 4의 B와 같이 경보발생된 ㉮지점에서는 경보발생신호를 지연없이 출력하게 된다.
그런 후에, 해당 제1카드보드(CARD A)와 제2카드보드(CARD B)내 각각의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에서 상위프로세서로부터 경보해소신호가 인가될 경우에, 즉 도 4의 ㉯지점에서 경보해소가 되는데,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내의 신호지연부(41-2)에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해소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지연된 경보해소신호(a)를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내의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3)로 인가하게 된다.
그래서,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내의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3)에서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된 경보해소신호(c)에 따라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내의 신호 지연부(41-2)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된 경보해소신호(a)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되는 경보해소신호(b)중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된 경보해소신호(a)를 선택하여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내의 제1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1)로 출력시키게 된다.
이에, 액티브 상태인 제1카드보드(CARD A)일 경우에,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b)내의 제1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1)에서는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b)로부터 인가되는 액티브 상태의 이중화 제어신호(f)에 따라 해당 제2 경보신호 선택 출력부(41-3)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된 경보해소신호(e)에 상관없이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해소신호(d)를 제1카드보드(CARD A)내의 상태진단부(42a,42b)로 출력시키게 된다. 즉, 도 4에 A와 같이 경보해소된 ㉯지점에서는 경보해소신호를 지연없이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스탠바이 상태인 제2카드보드(CARD B)일 경우에, 해당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b)내의 제1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1)에서는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b)로부터 인가되는 스탠바이 상태의 이중화 제어신호(f)에 따라 해당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3)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된 경보해소신호(e)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해소신호(d)중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된 경보해소신호(e)를 선택하여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상태진단부(42b)로 출력시키게 된다. 즉, 도 4에 B와 같이 경보해소된 ㉯지점에서는 경보해소신호를 소정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에, 현재 액티브 상태인 제1카드보드(CARD A)의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에서는 상위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경보발생신호과 경보해소신호를 지연없이 상태진단부(42a)로 전달하고, 스탠바이 상태인 제2카드보드(CARD B)의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b)에서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경보발생신호를 지연없이 출력하고, 경보해소신호에 대해서는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지연된 경보해소신호를 상태진단부(42a,42b)로 송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카드보드(CARD A)와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각각의 상태진단부(42a,42b)에서는 각각의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로부터 수신한 경보해소신호와 기타기능블록(30a,30b)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를 수집하여 최종경보신호를 발생시켜 각각의 경보송신부(43a,43b)로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제1카드보드(CARD A)와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각각의 경보송신부(43a,43b)에서는 해당 각각의 상태진단부(42a,42b)로부터 수신한 최종경보신호를 자신 및 상대측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44b)로 송신하게 된다.
이때, 해당 스탠바이 상태인 제2카드보드(CARD B)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b)에서는 자신의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b)에서 경보해소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하므로 자신의 경보송신부(43b)로부터 아직 경보상태인 신호를 수신하고, 제1카드보드(CARD A)내의 경보송신부(43a)로부터 경보해소신호를 수신하여 이중화 제어신호를 스탠바이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하위 프로세서와 기타기능블록(30b)으로 송신하게 된다.
동시에, 해당 액티브 상태인 제1카드보드(CARD A)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에서는 자신의 경보송신부(43a)로부터 경보해소신호를 수신하고, 상대측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경보송신부(43b)로부터 경보상태신호를 수신하여 이중화 제어신호를 액티브 상태로 계속 유지하며 하위 프로세서와 기타기능블록(30a)으로 송신하게 된다.
그런 후에, 해당 스탠바이 상태인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b)에서는 해당 제2카드보드(CARD B)내의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b)에서 정한 소정 지연시간만큼의 시간이 지난후에 상대측과 자신으로부터 같은 정상상태신호를 수신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액티브 상태인 이중화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때문에 자신의 이중화 제어신호를 스탠바이 상태로 계속 유지하면서 송신하므로 경보해소과정을 이중화 제어부(40a,40b)의 장애없이 종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티브상태와 스탠바이 상태의 이중화 구조를 갖는 이중화 제어회로에서 모두 경보상태로 유지하다가 경보해소신호가 인가될 경우에, 해당 경보의 원인이 해소되어 동시에 정상상태로 천이되는 불안정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중화된 회로의 장애를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중화로 구현된 이중화 제어회로에서 모두 경보상태로 유지하다가 동시에 경보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천이되는 경보해소신호가 인가될 경우에, 액티브 상태인 제어회로에서는 경보해소신호를 지연없이 출력하고, 스탠바이 상태인 제어회로에서는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인가함으로서, 동시에 정상상태로 천이하는 불안정한 상태로 인한 이중화된 회로의 장애를 방지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2)

  1. 액티브 상태 및 스탠바이 상태의 이중화를 제어하는 이중화 제어회로에 있어서,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수신한 경보신호중에서 경보상태에서 정상상태로 천이하는 경보해소신호에 대해서 현재 이중화 제어신호가 스탠바이 상태일 경우에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하고, 해당 이중화 제어신호가 액티브 상태일 경우에 해당 경보해소신호를 지연 없이 출력하는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와; 상기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를 수집하여 최종경보신호를 발생하는 상태 진단부(42a,42b)와; 상기 상태 진단부(42a,42b)로부터 인가되는 최종경보신호를 자신 및 상대측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44b)로 인가하는 경보송신부(43a,43b)와; 이중화 상태신호를 수신하여 최종적인 자신의 이중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주기적 이중화 제어신호를 상기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로 인가하는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4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이중화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경보해소 지연부(41a,41b)는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를 소정 지연시간만큼 지연하는 신호지연부(41-2)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 및 상기 신호지연부(41-2)로부터 인가되는 지연된 경보신호를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3)와; 상위 프로세서로부터 인가되는 경보신호 및 상기 제2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3)로부터 인가되는 선택된 경보신호를 상기 이중화 제어신호 발생부(44a,44b)로부터 인가되는 이중화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제1 경보신호 선택출력부(41-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에서 이중화 제어회로.
KR2019980019981U 1998-10-19 1998-10-19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애 방지 회로 KR200207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981U KR200207602Y1 (ko) 1998-10-19 1998-10-19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애 방지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981U KR200207602Y1 (ko) 1998-10-19 1998-10-19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애 방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22U KR20000008322U (ko) 2000-05-15
KR200207602Y1 true KR200207602Y1 (ko) 2001-01-15

Family

ID=6971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981U KR200207602Y1 (ko) 1998-10-19 1998-10-19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애 방지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6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22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7491A (en) Clock selection control device
KR200207602Y1 (ko) 교환기에서 이중화부의 장애 방지 회로
JPH041543B2 (ko)
KR200236879Y1 (ko) Ipc이중화경로구조
KR100299673B1 (ko) 프로세서간 통신장치의 스탠바이 링크 테스트 방법
JP2606107B2 (ja) プロセッサ冗長化方式
KR1002255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이중화 장치
JPH04294660A (ja) 光加入者装置監視方式
JPH0398320A (ja) 冗長系を構成する現用、待機パッケージの切替制御方式
JP3059002B2 (ja) ルート切替装置
KR100279714B1 (ko) 클록 생성기 장치
KR0143971B1 (ko) 이중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3125864B2 (ja) 二重化システム
JP2624210B2 (ja) 装置内監視回路
KR100193063B1 (ko) 전전자교환기 내 광데이타 링크의 이중화 선택회로
KR0161163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이중화된 게이트웨이노드에 대한 글로벌버스 이중화구조
JP3065184B2 (ja) 冗長システムの障害監視装置
KR200193572Y1 (ko) 전송시스템의 보호라인 이중화장치
JPS61245635A (ja) ル−プバツク制御方式
JP2508606B2 (ja) 二重化装置
JP2002108407A (ja) 制御装置
KR20000028418A (ko) 교환기간의 스탠바이 아이피시 경로 시험방법
KR20000037970A (ko) 전전자 교환기의 프로세서 링크 경로 제어 장치
KR20010039096A (ko) 전자교환기의 통신포트 이중화 제어장치
KR19980063455U (ko) 파일롯 생성 블록의 이중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