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442Y1 - 유체펌프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유체펌프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442Y1
KR200207442Y1 KR2020000016689U KR20000016689U KR200207442Y1 KR 200207442 Y1 KR200207442 Y1 KR 200207442Y1 KR 2020000016689 U KR2020000016689 U KR 2020000016689U KR 20000016689 U KR20000016689 U KR 20000016689U KR 200207442 Y1 KR200207442 Y1 KR 200207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cylinder
fluid
silencer
inn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훈
Original Assignee
윤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경훈 filed Critical 윤경훈
Priority to KR2020000016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4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9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펌프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통체(10)와, 양단이 상기 외통체(10)의 양측면 중앙을 통과하여 고정되고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구멍(21)이 천공된 내통체(20)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외통체(10)와 내통체(20)의 이격공간에 내주홀(31)이 상기 내통체(20)의 외면에 고정되고 외주단이 상기 외통체(1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밀폐형 칸막이판(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소음기는 유체펌프에 적용시 유체의 이동에 따른 유체의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의 흐름을 보다 안정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체펌프용 소음기{A MUFFLER FOR PUMP}
본 고안은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 펌프의 입출구단에 장착되어져 펌프 작동시 이동되는 유체의 흐름을 안정되게 유도함과 동시에 그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유체펌프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기는, 일반차량이나 산업용 기계의 배기라인에 적용되어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발산되는 배기가스로부터의 소음을 줄이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 산업기계의 엔진출력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소음을 줄이고자 다양한 종류의 소음기가 제안된 바 있고, 또한 현재에도 다양한 구조를 갖는 소음기가 다수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기한 소음기들은 주로 자동차 또는 산업기계의 배기가스로부터 발생되는 소음만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었고, 통상 유체를 이용한 펌프등에서는 상기와 같은 소음기가 그 구조상의 불합리로 적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음기가 자동차등의 배기라인 뿐만 아니라 유체펌프에도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유체펌프에서 발생되는 유체의 소음 뿐만 아니라 유체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음기가 펌프의 입출구단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소음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외통체 11: 덮개판
12: 내통체 고정홀 20: 내통체
21: 구멍 22: 입구단 후렌지
23: 출구단 후렌지 30: 칸막이판
31: 내주홀 32: 와류실
40: 보조외통체 41: 소음차단실
P: 펌프 M: 소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통체와 양단이 상기 외통체의 양측면 중앙을 통과하여 고정되고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내통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외통체와 내통체의 이격공간에 내주홀이 상기 내통체의 외면에 고정되고 외주단이 상기 외통체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밀폐형 칸막이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내통체와 외통체 사이에서 축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외통체의 외측에 상기 외통체를 감싸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직경이 큰 소음차단용 보조외통체가 추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에 따라 본 고안은, 유체펌프의 작동시 소음기의 입구단을 통해 유체가 유입되게 되면 유체는 내통체의 구멍을 통해 칸막이판 사이의 와류실내를 단계적으로 출입하게 되면서 유체의 압력 조절 및 유동방향을 원활하게 유도하게 되어 그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체펌프용 소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음기가 유체펌프의 입구단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음기가 유체펌프의 동작에 따른 유체의 흐름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음기(M)는, 외통체(10)와, 내통체(20) 및 이들 사이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칸막이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통체(10)는, 내부가 빈 중공 파이프형의 관체로 제작되며, 그 양단은 덮개판(11)에 의해 각각 폐쇄되고, 상기 덮개판(11)에는 내통체 고정홀(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내통체(20)는 상기 외통체(10)보다 직경이 작은 파이프형의 관체로 제작되고, 상기 외통체(10)내에 삽입되며, 그 양단은 상기 외통체(10)의 덮개판(11)에 형성된 고정홀(12)을 통과하여 소정길이 노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체(20)의 외주면 즉, 상기 외통체(10) 내에 삽입된 부분에는 복수개의 복수개의 구멍(21)이 천공된다.
상기 칸막이판(30)은, 중앙에 상기 내통체(20)의 외경에 용접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내통체(20)의 외경과 동일한 내주홀(31)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외통체(10)의 내주면에 용접 고정되게 된다.
상기 칸막이판(30)은 상기 내통체(20)와 외통체(10) 사이의 이격공간에 복수개의 와류실(32)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내외통체(20)(10)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중 부호 22,23은 내통체(20)의 입출구단 후렌지로서, 유체펌프의 입구단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유체펌프용 소음기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설치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체펌프(P)의 입구단에 본 고안에 따른 소음기(M)의 출구단 후렌지(23)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나서 유체펌프(P)를 동작시키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체가 내통체(20)의 입구단으로 유입되게 된다. 동시에 내통체(20)를 통과하는 유체는 내통체(20)에 형성된 구멍(21)을 통해 와류실(32)로 출입되며 그 압력을 분산하게되고 이와같은 동작을 펌프 동작시 반복하게 되면서 유체의 유동소음을 줄이게 된다.
즉, 유동되는 유체는 큰 압력을 가지며 내통체(20)의 입구단을 통해 유입되다가 내통체(20)의 구멍(21)을 통해 복수개의 와류실(32)을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출입을 하면서 그 압력이 분산되게 되고 이때 유체는 안정성을 가지며 유동하게 됨에 따라 그 소음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기(M)의 소음을 줄이고자 상기 외통체(10)의 외측에 상기 외통체(10)를 감싸도록 소정간격을 두고 직경이 큰 소음차단용 보조외통체(40)를 추가로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유체펌프용 소음기는, 내통체와 외통체 및 보조외통체에 의해 유체 이동에 따른 소음이 현격히 줄어들게 되고, 또한 내외통체에 형성된 내통체의 구멍과 다수개의 와류실에 의해 유동되는 유체의 소음이 줄어들게 됨은 물론 유체의 유동 안정성 및 유동 안정성으로 인한 유체 펌프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외통체(10)와, 양단이 상기 외통체(10)의 양측면 중앙을 통과하여 고정되고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구멍(21)이 천공된 내통체(20)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외통체(10)와 내통체(20)의 이격공간에 내주홀(31)이 상기 내통체(20)의 외면에 고정되고 외주단이 상기 외통체(1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밀폐형 칸막이판(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30)이 소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체(10)의 외측에 소정폭의 소음차단실(41)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통체(10)를 감싸며 소음차단용 보조외통체(40)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KR2020000016689U 2000-06-12 2000-06-12 유체펌프용 소음기 KR200207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689U KR200207442Y1 (ko) 2000-06-12 2000-06-12 유체펌프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689U KR200207442Y1 (ko) 2000-06-12 2000-06-12 유체펌프용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442Y1 true KR200207442Y1 (ko) 2000-12-15

Family

ID=1966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689U KR200207442Y1 (ko) 2000-06-12 2000-06-12 유체펌프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4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2006A (zh) * 2016-03-16 2017-09-26 细美事有限公司 泵和液体供应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02006A (zh) * 2016-03-16 2017-09-26 细美事有限公司 泵和液体供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5398B1 (en) Muffler assembly for engine
KR930016660A (ko) 압축기의 배출측 소음기
RU2002106740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ниж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оксидов азота в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ах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0207442Y1 (ko) 유체펌프용 소음기
US3515242A (en) Exhaust silenc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59704226D1 (de) Schalldämpfer für Kraftfahrzeuge
KR200207444Y1 (ko) 유체펌프용 소음기
JPH0849521A (ja) 消音器
JPH05332121A (ja) 排気消音器
KR200207443Y1 (ko) 유체펌프용 소음기
KR200178296Y1 (ko) 산업용 소음기
DE50012121D1 (de) Schalldämpfereinsatz
KR200178295Y1 (ko) 산업용 소음기
KR100482517B1 (ko) 자동차용 소음 저감형 머플러 구조
JP2005330839A (ja) マフラーにおける排気管接続構造
KR19980062238A (ko) 차량용 배기가스 배출장치
US3082840A (en) Muffler
KR200346657Y1 (ko) 차량의 배기장치
JPS5913293Y2 (ja) 触媒コンバ−タ
JP4464881B2 (ja) 消音器
JP2501657Y2 (ja) エンジンのマフラ
KR200233470Y1 (ko) 자동차 소음기의 심관
KR200233508Y1 (ko) 기류유도관을 갖는 자동차용 소음기
KR0137764Y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소음기
KR19980025663A (ko) 자동차의 소음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