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286Y1 - 주방용기 - Google Patents

주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286Y1
KR200207286Y1 KR2020000018564U KR20000018564U KR200207286Y1 KR 200207286 Y1 KR200207286 Y1 KR 200207286Y1 KR 2020000018564 U KR2020000018564 U KR 2020000018564U KR 20000018564 U KR20000018564 U KR 20000018564U KR 200207286 Y1 KR200207286 Y1 KR 200207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protrusion
kitchen
container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성
Original Assignee
김영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성 filed Critical 김영성
Priority to KR2020000018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2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2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예컨대 반구형이나 U형상의 단면 또는 박스형인 수용부(2)와, 봉형상이나 막대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3)를 갖추고 있는 주방용기(1)에서, 상기 수용부(2)의 안쪽 측면부(4)에서 바닥면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5;25;35;45;55)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숙련되지 않고서도 식재료를 용기(1)내에 수용한 채로 이 내용물을 흔들어 혼합하거나 반죽을 뒤집는 등의 조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방용기 {Kitchenware}
본 고안은 주방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용공간을 갖춘 용기의 측면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서, 조리할 때 식재료가 용기내에서 혼합이나 뒤집히기 또는 위치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주방용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프라이팬(fry pan)이나 냄비와 같은 형상의 일반적인 주방용기는 예컨대 대략 반구형이나 U형상의 단면 또는 대체로 박스형인 수용부와, 봉형상이나 막대형상 등으로 형성된 손잡이를 갖추어(또는 손잡이를 갖추지 않을 수 있다) 요리하는 사람이 상기 수용부내에 식재료를 넣고서 가열기구나 조리대 등에서 식재료를 가열 또는 혼합함으로써 요리를 만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다양한 맛을 내기 위해, 또는 여러 식재료들을 잘 익히도록 하기 위해서, 종종 요리하는 사람은 상기 용기의 수용부에 식재료를 넣은 채로 이 내용물을 흔들어 혼합하거나 응고된 반죽을 뒤집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주방용기는 단순한 가열용기 또는 보관용기로서의 역할만 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식재료를 용기내에 수용한 채로 이 내용물을 흔들어 혼합하거나 반죽을 뒤집는 등의 작용은 아주 잘 숙련된 요리사의 동작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요리를 해야 하는 요리사에게는 노동부하가 증가하게 되는 한편, 숙련되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용기 밖으로 식재료들이 떨어져 불필요한 식재료의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이는 수용공간을 갖춘 용기의 안쪽 측면부에서 바닥면에 걸쳐 돌출부가 형성되어서, 식재료를 흔들어 조리할 때 식재료가 용기내에서 잘 혼합되고 고르게 가열될 수 있도록 위치이동이나 뒤집히기 등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주방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A-A'선 단면도이다.
1 : 용기 2 : 수용부
3 : 손잡이 4 : 측면부
15,25,35,45,55 : 돌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예컨대 반구형이나 U형상의 단면 또는 박스형인 수용부와, 봉형상이나 막대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를 갖추고 있는(또는 손잡이를 갖추지 않은) 주방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안쪽 측면부에서 바닥면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는데,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사시도로서, 이 용기(1)는 대략 U형상의 단면을 가진 수용부(2)와, 봉형상의 손잡이(3)를 갖추고 있음과 더불어, 상기 수용부(2)의 안쪽 측면부(4)에 쟁기날 형상으로 된 돌출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2)는 U형상의 단면을 갖는 수용부(2)로 이루어진 용기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대략 반구형이나 박스형의 용기가 사용될 수 있음과 더불어, 상기 손잡이(3)의 형상도 도시된 바와 같은 봉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막대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2)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는 한편, 이러한 손잡이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수용부(2)는 종래와 마찬가지의 재료, 예컨대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은 재료로 제조되는 반면, 상기 손잡이(3)는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나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져 상기 수용부의 외부에 나사 등과 같은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쟁기날 형상으로 된 돌출부(15)는 프레스 가공 또는 주조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별도의 부품으로 만들어진 후 용접 등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상기 수용부(2)의 안쪽 측면부(4)에 접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수용부(2)의 형상이 반구형으로 되면, 상기 돌출부(15)는 안쪽 측면부에서 바닥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도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요리하는 사람이 이와 같이 형성된 용기(1)에 가늘게 절단되고 다져진 식재료를 넣은 채로 이 내용물을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수평하게, 또는 위아래로 수직하게 흔들게 되면, 상기 식재료들이 수용부(2)내에서 이동되다가 상기 돌출부(15)에 부딪혀 그 이동방향이 바뀌게 되면서 잘 혼합되게 되거나, 가열면이 뒤집혀 바뀌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사시도로서,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그 돌출부의 형상이 상이한 것만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제 1실시예와 그 구조 및 작용은 동일한 바, 도 2에 도시된 돌출부(25)는 대체로 수평하게 형성된 파형형상을 하고 있는 바, 넣어진 식재료들이 수용부(2)내에서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흔들려 이동되다가 상기 돌출부(25)에 부딪히게 되면, 그 이동방향이 상기 돌출부(25)의 파형상을 따라 바뀌게 되면서 잘 혼합되게 되는 한편, 상기 식재료들이 아래에서 위로 이동되다가 상기 돌출부(25)에 부딪히게 되면, 그 가열면이 뒤집혀 바뀌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사시도로서,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도 그 돌출부의 형상이 상이한 것만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제 1실시예와 그 구조 및 작용은 동일한 바, 도 3에 도시된 돌출부(35)는 그 형상이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되어 있되, 예컨대 왼쪽 상단의 모서리부가 수용부(2)쪽으로 돌출하여 전체적으로 비스듬한 적어도 하나의 경사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넣어진 식재료들이 수용부(2)내에서 흔들려 이동되다가 상기 돌출부(35)에 부딪히게 되면, 그 이동방향이 바뀌게 되거나 가열면이 뒤집혀 바뀌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사시도로서,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 또한 그 돌출부의 형상이 상이한 것만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제 1실시예와 그 구조 및 작용은 동일한 바, 도 4에 도시된 돌출부(45)는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되고서 대체로 'ハ'모양으로 배열된 2개의 경사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넣어진 식재료들이 수용부(2)내에서 흔들려 이동되다가 상기 돌출부(45)에 부딪히게 되면, 그 이동방향이 바뀌게 되면서 잘 혼합되게 된다.
도 5a는 본 고안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선 단면도로서,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도 그 돌출부의 형상이 상이한 것만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제 1실시예와 그 구조 및 작용은 유사한 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돌출부(55)는 수용부(2)의 대략 중간높이에서 그 안쪽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면서 수평하게 수용부(2)의 안쪽 측면부(4)를 따라 형성되어 있어서, 넣어진 식재료들이 아래에서 위로 이동되다가 상기 돌출부(55)에 부딪히게 되면, 그 가열면이 뒤집혀 바뀌거나 서로 잘 혼합되게 된다. 상기 돌출부(55)는 바람직하기로 용기(1)의 바깥에서 공지된 프레스 가공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주조성형에 의해 용기(1)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기의 돌출부의 형상은,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도시된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임의의 공지된 방식에 의해 더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숙련되지 않고서도 식재료를 용기내에 수용한 채로 이 내용물을 흔들어 혼합하거나 반죽을 뒤집는 등의 조리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6)

  1. 예컨대 반구형이나 U형상의 단면 또는 박스형으로 된 수용부(2)와, 봉형상이나 막대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3)를 갖춘 주방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2)의 안쪽 측면부(4)에 또는 이 안쪽 측면부(4)에서 바닥면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5)는 쟁기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5)는 파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35)는 그 형상이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되어 있되, 상단의 한쪽 모서리부가 수용부(2)쪽으로 돌출하여 전체적으로 비스듬한 경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45)는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되고서 'ハ'모양으로 배열된 2개의 경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55)는 수용부(2)의 중간높이에서 그 안쪽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면서 수평하게 수용부(2)의 안쪽 측면부(4)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
KR2020000018564U 2000-05-31 2000-06-29 주방용기 KR200207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64U KR200207286Y1 (ko) 2000-05-31 2000-06-29 주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5450 2000-05-31
KR2020000015450 2000-05-31
KR2020000018564U KR200207286Y1 (ko) 2000-05-31 2000-06-29 주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286Y1 true KR200207286Y1 (ko) 2000-12-15

Family

ID=2663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64U KR200207286Y1 (ko) 2000-05-31 2000-06-29 주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2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2213A (en) Microwave cooking and serving dish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US8381640B1 (en) Spaetzle preparation apparatus
US4632347A (en) Holder for kitchen utensils and complementing stand
JP4705183B2 (ja) 殻出し卵用ステージング装置、殻出し卵の保管方法および殻出し卵の調理方法
US20170209002A1 (en) Colander shafted kitchen utensil
US20160066743A1 (en) Cooking Pot with Straining Lid and Spoon Support
US2367448A (en) Food frying unit
US20070261568A1 (en) Triangular frying pan
US6193181B1 (en)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for cooking preparation, such as multipurpose domestic robot, and multipurpose working container
US4773317A (en) System for cooking dried food stuff
US20170020341A1 (en) Multi-function kitchen utensil
KR20220034228A (ko) 조리기구 어셈블리
KR200207286Y1 (ko) 주방용기
US20150118370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US1377258A (en) Erank-c
KR102678757B1 (ko) 조리기구
JP2002240864A (ja) 電子レンジ加熱調理用食品の包装体
KR200166317Y1 (ko) 구이기능을갖는남비
JP3208058U (ja) 卵調理器具
JP3907019B2 (ja) 離乳食用の調理容器
KR20200030814A (ko) 도마
JP3200333U (ja) 複合おろし器
EP0516882B1 (en) Multi-purpose kitchen utensil
KR101425102B1 (ko)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