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102B1 -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 Google Patents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102B1
KR101425102B1 KR1020130007711A KR20130007711A KR101425102B1 KR 101425102 B1 KR101425102 B1 KR 101425102B1 KR 1020130007711 A KR1020130007711 A KR 1020130007711A KR 20130007711 A KR20130007711 A KR 20130007711A KR 101425102 B1 KR101425102 B1 KR 101425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kitchen
pair
present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5171A (ko
Inventor
이보석
김도영
배은식
Original Assignee
이보석
김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석, 김도영 filed Critical 이보석
Priority to KR1020130007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1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9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1Cooking spoons; La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47J43/282Spoons for serving ice-c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4Guards or sheaths for scissors, e.g. combined with manicuring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에 관한 것으로, 소정길이로 가위날을 구비하고 힌지축에 의해 서로 교차하여 힌지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은 오목한 수저형상을 중앙을 절개하여 각각의 몸체에 분리 형성되어, 상기 가위날이 겹쳐졌을 때 오목한 수저형상을 구비하게 되는 한 쌍의 수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MULTIPURPOSE SCISSORS FOR KITCHEN}
본 발명은 주방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 도구는 요리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집게, 생선이나 후라이 등의 부침요리를 할 때 사용되는 뒤집게, 음식재료를 다듬거나 자를 수 있는 가위, 계량을 하거나 맛을 보거나 섞기 위해 젓는 역할을 하는 스푼 등 다양한 용도의 각각의 조기용 도구를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렇게 용도별로 각각 조리기구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협소한 주방공간에서 조리도구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공간활용이 비효율적이고, 정리정돈도 잘 되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복잡해 보인다. 또한 요리 도중에 필요한 조리도구를 바꿔가며 사용하게 됨으로써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한편 튀김을 하는 경우, 또는 뜨거운 냄비에서 내용물을 집을 경우 자칫 튀는 기름 또는 뜨거운 열기에 의해 자칫 음식물, 재료 등을 집으려는 손 부위에 기름이 튀거나, 뜨거운 열기가 미쳐 화상을 입을 우려가 큰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는, 소정길이로 가위날을 구비하고 힌지축에 의해 서로 교차하여 힌지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은 오목한 수저형상을 중앙을 절개하여 각각의 몸체에 분리 형성되어, 상기 가위날이 겹쳐졌을 때 오목한 수저형상을 구비하게 되는 한 쌍의 수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에는 손잡이부측으로 오목한 반구 형상의 보호커버가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커버는 내열성의 단열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수저부는 끝단이 넓은 삼각형 모양으로 구비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수저부는 서로 대응되는 면이 요철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수저부는 서로 대응되는 면이 돌기와 이에 대응되는 홈으로 구비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기본적인 가위의 형태에서 식재료 등 필요한 것을 자르는 가위날의 끝을 수저형상으로 오목하게 구비하여, 음식 간을 보거나 계량을 하거나 저을 수 있는 스푼기능을 하고, 또한 수저형상을 반으로 갈라지게 하고, 그 결합되는 부분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음식 재료 등을 집을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여 가위를 주방에서 다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위의 손잡이부에 보호 커버를 구비하여 튀김을 집어내거나, 뜨거운 냄비에서 내용물을 집을 경우 화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의 가위날이 합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에 보호커버가 추가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의 수저부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의 수저부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의 가위날이 합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에 보호커버가 추가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의 수저부를 나타낸 부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의 수저부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는 몸체(10), 손잡이부(20) 및 수저부(30)를 포한한다.
상기 몸체(1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힌지축(14)에 의해 서로 교차하여 힌지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서로 마주하는 일측에는 각각 소정길이로 가위날(12)을 구비한다. 상기 힌지축을 기점으로 상기 가위날(12)이 합쳐지면서 식재료 등의 물건을 자를 수 있는 절단 기능을 한다.
상기 몸체(10)의 상기 힌지축(14)을 기준으로 상기 가위날(12)이 형성된 맞은 편 일단에는 각각 손잡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20)는 이용자가 본 발명인 주방용 다용도 안전 가위를 이용하기 위해 손잡이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한쪽에는 엄지손가락이, 다른 한쪽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홀이 구비된다. 상기 홀의 형상은 대체로 타원형으로 구비되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기 손잡이부(20)가 마련된 곳과 반대측인 타단에는 오목한 수저형상을 중앙을 절개한 한 쌍의 수저부(30)가 분리되어 각각의 몸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위날(12)이 겹쳐지면서 상기 한 쌍의 몸체(1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모아졌을 때, 한 쌍의 상기 수저부(30)는 오목한 수저형상을 구비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주방에서 간을 보거나, 식재료, 또는 조미료등을 넣을 때 수저 대신에 본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20) 부근에는 상기 손잡이부(20) 측으로 오목한 대체로 반구 형상의 보호커버(40)가 더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40)는 본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의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상기 몸체(10)의 힌지축(40) 부근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보호커버(40)만 분리 제거 ㄱ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보호커버(40)는 내열성의 단열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주방용 다용도 안전 가위를 이용하여 뜨거운 기름통에서 튀김 등을 집어내거나, 뜨거운 국물 등에서 재료를 집거나 하는 등 뜨거운 기름 또는 음식이 튀어 자칫 화상을 입을 우려가 큰 경우에 손잡이부(20)를 잡고 있는 이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상기 수저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타원형의 수저형상으로 구비되어 질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수저부(30)는 끝단이 넓은 삼각형 모양으로 구비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수저기능 이외에 넓은 후라이팬 등이나, 볶음팬등에서 볶음 요리를 하는 등에 이용될 수 있는 주걱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데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수저부(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는 면이 요철형상(32)으로 구비되어져 상기 수저부(30)를 이용하여 식재료 등을 집을 때 마찰을 증가시켜 집게로서의 활용을 용이하게 도와준다. 그러나 상기 수저부(30)의 절개부분의 형상을 요철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수저부(30)는 서로 대응되는 면이 돌기(34)와 이에 대응되는 홈(35)으로 구비되어질 수도 있고,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알 수 있는 것처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어 질 수도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는 식재료 등을 절단할 수 있는 가위 기능을 기본으로 하여, 가위날 끝부분에 수저 형상의 수저부와 상기 수저부를 절개하여 집게 역할까지 구비함으로써, 주방에서의 요리를 하는 데 필요한 여러 가지 주방기구 대신에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하나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따로 여러 가지 주방기구가 필요하지 않고, 요리를 수행함에 있어 하나의 도구로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어, 조리기구를 이것 저것 바꿔 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방용 다용도 안전 가위에 보호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뜨거운 기름 또는 음식물을 이용하는 요리를 할 때에도 손에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몸체
12 : 가위날
14 : 힌지축
20 : 손잡이부
30 : 수저부
32 : 요철
34 : 돌기
35 : 홈
40 : 보호커버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소정길이로 가위날(12)을 구비하고 힌지축(14)에 의해 서로 교차하여 힌지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타단은 오목한 수저형상을 중앙을 절개하여 각각의 몸체(10)에 분리 형성되어, 상기 가위날(12)이 겹쳐졌을 때 오목한 수저형상을 구비하게 되는 한 쌍의 수저부(30);를 포함하는 주방용 가위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수저부(30)는 서로 대응되는 면이 요철형상(32)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6. 소정길이로 가위날(12)을 구비하고 힌지축(14)에 의해 서로 교차하여 힌지연결되는 한 쌍의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는 손잡이부(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타단은 오목한 수저형상을 중앙을 절개하여 각각의 몸체(10)에 분리 형성되어, 상기 가위날(12)이 겹쳐졌을 때 오목한 수저형상을 구비하게 되는 한 쌍의 수저부(30);를 포함하는 주방용 가위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수저부(30)는 서로 대응되는 면이 돌기(34)와 이에 대응되는 홈(35)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KR1020130007711A 2013-01-23 2013-01-23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KR101425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711A KR101425102B1 (ko) 2013-01-23 2013-01-23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711A KR101425102B1 (ko) 2013-01-23 2013-01-23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171A KR20140095171A (ko) 2014-08-01
KR101425102B1 true KR101425102B1 (ko) 2014-08-06

Family

ID=5174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711A KR101425102B1 (ko) 2013-01-23 2013-01-23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101A (ko) 2017-11-16 2019-05-24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방용 가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723U (ja) * 2003-03-11 2003-10-03 貢 赤羽 ハサミ付きスプー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723U (ja) * 2003-03-11 2003-10-03 貢 赤羽 ハサミ付きスプ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101A (ko) 2017-11-16 2019-05-24 영산대학교산학협력단 주방용 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5171A (ko) 201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106132A2 (en) Finger tongs
US5711027A (en) Hand and finger shield
US20080092262A1 (en) Cooking Gloves
KR101425102B1 (ko) 주방용 다용도 안전가위
GB2482981A (en) A grilling device
CN113453600A (zh) 可延展炊具把手
KR20120139208A (ko) 다기능 집게
KR20110082424A (ko) 손잡이 착탈식 조리기구
KR101311373B1 (ko) 결합형 조리및식사도구 세트
JP5550421B2 (ja) 柄付き調理器具
KR20160046678A (ko) 다기능 조리용 뒤집개
JP7231769B1 (ja) 調理器具
JP3200333U (ja) 複合おろし器
JP2015132430A (ja) 加熱調理用具
US20090114660A1 (en) Anti-splatter device
US20230309754A1 (en) Multi-angle cooking utensil with replaceable implement
KR200212712Y1 (ko) 다용도 조리용 주걱
KR102373122B1 (ko) 다용도 도마
KR20120009337A (ko) 집게로 변형할 수 있는 포크
KR102484110B1 (ko) 프라이팬
KR200411800Y1 (ko) 테이블용 요리판 세트
JP3211419U (ja) 角付け返し万能杓文字
JP3187585U (ja) ターナー
KR200306500Y1 (ko) 절단기능이 있는 주방용 뒤지개
JP3208058U (ja) 卵調理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