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218Y1 - 마우스의 이동방향 절환 장치 - Google Patents

마우스의 이동방향 절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218Y1
KR200207218Y1 KR2020000005625U KR20000005625U KR200207218Y1 KR 200207218 Y1 KR200207218 Y1 KR 200207218Y1 KR 2020000005625 U KR2020000005625 U KR 2020000005625U KR 20000005625 U KR20000005625 U KR 20000005625U KR 200207218 Y1 KR200207218 Y1 KR 200207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terminal
signal
mous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덕
Original Assignee
고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덕 filed Critical 고영덕
Priority to KR2020000005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마우스에 있어서, 스위치 절환부로 부터 수직방향 정상모드에서 단자(1,4)에 수직방향 증가신호를 연결하고, 단자(3,6)에 수직방향 감소신호를 연결하며, 단자(2)에 마우스 콘트롤러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을 연결하고 단자(5)에 마우스 콘트롤러의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을 연결한다. 정상모드에서 스위치 위치에 따라 단자(1)과 (2)가 연결되고, 단자(5)와 (6)이 연결되도록 한다. 단자(2)를 통해서 수직방향 증가신호가 마우스 콘트롤러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에 입력되고, 단자(5)를 통해서 수직방향 감소신호가 마우스 콘트롤러의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에 입력된다.
수직방향 반대 모드 절환시 스위치 절환부로부터 수직방향 증가신호를 단자(4, 5)에 연결하고, 수직방향 감소신호를 단자 (2, 3)에 연결한다. 단자(5)를 통해서 수직방향 증가신호가 마우스 콘트롤러의 감소신호 입력단에 입력되고, 단자(2)를 통해서 수직방향 감소신호가 마우스 콘트롤러의 증가신호 입력단에 입력된다.
수평방향 증가신호와 감소신호도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수평방향 스위치 절환부를 이용하여 신호의 입력을 바꾼다.

Description

마우스의 이동방향 절환 장치 {X,Y AXIS SWITCHING SYSTEM FOR MOUSE}
본 고안은 컴퓨터 시스템등의 입력장치의 마우스(Mouse) 이동방향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움직임을 반대로 바꾸어 줌으로서 선택하여 사용토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이동방향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는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상에서 커서 또는 다른 물체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입력장치의 일종으로써, 손에 쥐기편한 모양의 작은 상자 모양으로 되어 있어 잡고 평평한 책상 바닥을 움직이거나, 볼이 위쪽으로 향하여 손으로 볼을 직접 돌려 그에 따라 화면에 화살표나 십자 모양의 마우스 포인터가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특정한 위치에 마우스 포인터를 갖다 놓고 버튼을 누르거나(Click), 버튼을 누른채로 마우스를 끌고 다니거나(drag), 상기 버튼을 재빨리 두번 연속하여 누르는(double-click)등의 동작으로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다. 상기 마우스가 그래픽 입력장치로서 갖는 장점은 입력좌표의 정확성과 손쉬운 커서 이동 기능, 그리고 버튼 기능의 다양한 조합으로매우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마우스는 근래에 그래픽 뿐만 아니라 윈도우와 메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위해서도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입력장치로서 종류로는 고무공을 이용하는 기계식 또는 볼식과 빛을 이용하는 광센서식, 그리고 이를 조합한 광 기계식이 있다.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제품들은 책상과 같은 바닥에서 움직여 사용하는 것과 볼을 손으로 돌려 사용하는 제품이 있다. 이 두 제품들 사이에는 같은 방향으로 마우스의 포인터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회전시키는 볼의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이 반대가 되어야 한다. 두 제품의 기능을 같이 제공하는 제품들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과는 반대로 마우스의 포인터가 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는 익숙치 않아서 불편한점이 많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우스 몸체에 수직방향 선택 스위치를 마련하여 수직방향의 반대모드로 선택하여 현재의 위쪽방향과 아래방향의 이동을 서로 바뀌도록 되어 있어 마우스와 트랙볼의 전환을 쉽게 하여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마우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우스 몸체에 수평방향 선택 스위치를 마련하여 수평방향의 반대모드로 선택하여 현재의 왼쪽방향과 오른쪽방향의 이동을 서로 바뀌도록 되어 있어 마우스와 트랙볼의 전환을 쉽게 하여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마우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마우스 수직방향 증가신호와 감소신호가 전달되는 내부 구조
제2도는 마우스 수평방향 증가신호와 감소신호가 전달되는 내부 구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 수직방향 스위치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 수평방향 스위치 예시도제5도는 일반적인 마우스 사시도제6도는 일반적인 마우스의 내부 구조도제7도는 수직방향 증가신호와 감소신호 발생부와 마우스 콘트롤러의 입력단자 예시도제8도는 수평방향 증가신호와 감소신호 발생부와 마우스 콘트롤러의 입력단자 예시도제9도는 마우스를 뒤집어 사용할 경우 수직신호 절환이 필요한 트랙볼 형태의 사시도제10도는 마우스를 뒤집어 사용할 경우 마우스의 후면이 컴퓨터를 향하도록 하여 수평신호 절환이 필요한 트랙볼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31:수직방향 발광다이오드32:수직방향 운동신호 검출용 광트랜지스터41:수평방향 발광다이오드42:수평방향 운동신호 검출용 광트랜지스터43:빛100:마우스 볼
200:마우스 콘트롤러
300:수직방향 스위치 절환부
301:수직방향 선택 절환부
400:수평방향 스위치 절환부
401:수평방향 선택 절환부500:슬롯이 형성된 디스크
Y1:수직방향 증가신호
Y2:수직방향 감소신호
Ya:마우스 콘트롤러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부
Yb:마우스 콘트롤러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부
X1:수평방향 증가신호
X2:수평방향 감소신호
Xa:마우스 콘트롤러 수평방향 증가신호 입력부
Xb:마우스 콘트롤러 수평방향 감소신호 입력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제5도는 일반적인 마우스의 구조이다. 제6도를 보면 마우스볼(100)과 마우스 볼에 접촉하여 그 운동을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나누어 전달해주는 디스크(500)가 있다. 그리고 수직방향의 운동을 검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발광다이오드(31)와 광트랜지스터(32), 수평방향의 운동을 검출하기 위해서 필요한 발광다이오드(41)와 광트랜지스터(42)가 있다. 그리고 이들의 신호를 받아들여 컴퓨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마우스 콘트롤러(200)으로 구성된다. 제7도는 마우스의 수직방향 신호검출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마우스의 운동을 전달하는 디스크(500)의 회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31)의 빛이 광트랜지스터(32)에 전달되고 이 신호의 차이에 따라 발생한 신호는 수직방향 증가신호(Y1)와 수직방향 감소신호(Y2)로 출력된다. 그리고 이 신호는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Ya)과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Yb)으로 들어간다.제1도는 기존 마우스에서 수직방향 광트랜지스터(32)에서 발생한 수직방향 증가신호(Y1)와 수직방향 감소신호(Y2)가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Ya)과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Yb)으로 연결되는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기존 마우스에서는 수직방향 증가신호(Y1)는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Ya)로 들어가고, 수직방향 감소신호(Y2)는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Yb)로 들어간다.제8도는 마우스의 수평방향 신호검출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마우스의 운동을 전달하는 디스크(500)의 회전에 따라 발광다이오드(41)의 빛(43)이 광트랜지스터(42)에 전달되고 이 신호의 차이에 따라 발생한 신호는 수평방향 증가신호(X1)와 수평방향 감소신호(X2)로 출력된다. 그리고 이 신호는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증가신호 입력단(Xa)과 수평방향 감소신호 입력단(Xb)으로 들어간다.제2도는 기존 마우스에서 수평방향 광트랜지스터(42)에서 발생한 수평방향 증가신호(X1)와 수평방향 감소신호(X2)가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증가신호 입력단(Xa)과 수평방향 감소신호 입력단(Xb)으로 연결되는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기존 마우스에서는 수평방향 증가신호(X1)는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증가신호 입력단(Xa)로 들어가고, 수평방향 감소신호(X2)는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감소신호 입력단(Xb)로 들어간다.제9도는 마우스를 뒤집은 상태로 마우스볼(100)을 직접 돌려 트랙볼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상태의 마우스볼(100)의 수직방향 운동은 제5도의 상태와는 반대가 되어야만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의 이동이 같아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 제3a도 내지 제3b도의 수직방향 스위치 절환부(300)을 설치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제3a, 3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회로구성도로서, 수직방향 스위치 절환부(300)로 부터 정상모드에서 단자(1,4)에 수직방향 증가신호(Y1)를 연결하고, 단자(3,6)에 수직방향 감소신호(Y2)를 연결하며, 단자(2)에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Ya)을 연결하고, 단자(5)에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Yb)을 연결하며, 그리고 단자(1)과 (2)가 연결되며, 상기 단자(5)와 (6)이 연결 되도록 하여 수직방향 반대모드 절환시 스위치 절환부(300)로 부터 수직방향 증가신호(Y1)는 단자(1,4)에 연결되고, 수직방향 감소신호(Y2)는 단자(3,6)에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 작동에 따라서 수직방향 증가신호(Y1)는 단자(4)와 연결된 단자(5)를 통하여 마우스 컨트롤러(200)의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Yb)으로 신호가 들어가고, 수직방향 감소신호(Y2)는 단자(3)과 연결된 단자(2)를 통하여 마우스 컨트롤러(200)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Ya)로 신호가 들어가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체적 일시예를 제3a, 3b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직방향 선택 절환부(300)의 선택에 따라 수직방향 정상모드와 수직방향 반대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데, 정상모드시 제3a도의 예와같이 선택 절환부(301)의 이동에 따라 수직방향 스위치 절환부(300)의 단자(1)과 (2)을 접속시키고, 단자(5)와 (6)를 접속시켜 단자(2)로 부터 수직방향 증가신호(Y1)의 입력을 마우스 콘트롤러(200)로 받아들이고, 단자(5)로 부터 수직방향 감소신호(Y2)의 입력을 마우스 콘트롤러(200)으로 받아 들이어 동작을 실행한다. 수직방향 반대모드시 선택 절환부(301)를 제3b도와 같이 이동시 수직방향 스위치 절환부(300)의 단자(2)와 (3)을 연결 시키고, 단자(4)와 (5)를 연결시켜, 수직방향 감소신호(Y2)의 입력은 단자(3)에 연결된 단자(2)를 통하여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Ya)으로 받아들여지고, 수직방향 증가신호(Y1)의 입력은 단자(4)에 연결된 단자(5)를 통하여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Yb)로 입력 신호가 받아들여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방향 선택 절환부(300)는 마우스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되어 질 수 있다.제10도는 마우스를 뒤집은 상태로 마우스볼(100)을 직접 돌려 트랙볼로 사용하는 경우인데 제9도의 경우와는 달리 마우스의 후면을 컴퓨터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상태의 마우스볼(100)의 수평방향 운동은 제5도의 상태와는 반대가 되어야만 화면에서 마우스 커서의 이동이 같아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 제4a도 내지 제4b도의 수평방향 스위치 절환부(300)을 설치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제4a, 4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회로구성도로서, 수평방향 스위치 절환부(400)로 부터 정상모드에서 단자(1,4)에 수평방향 증가신호(X1)를 연결하고, 단자(3,6)에 수평방향 감소신호(X2)를 연결하며, 단자(2)에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증가신호 입력단(Xa)을 연결하고, 단자(5)에 수평방향 감소신호 입력단(Xb)을 연결하며, 그리고 단자(1)과 (2)가 연결되며, 상기 단자(5)와 (6)이 연결 되도록 하여 수평방향 반대모드 절환시 스위치 절환부(400)로 부터 수평방향 증가신호(X1)는 단자(1,4)에 연결되고, 수평방향 감소신호(X2)는 단자(3,6)에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 작동에 따라서 수평방향 증가신호(X1)는 단자(4)와 연결된 단자(5)를 통하여 마우스 컨트롤러(200)의 수평방향 감소신호 입력단(Xb)으로 신호가 들어가고, 수평방향 감소신호(X2)는 단자(3)과 연결된 단자(2)를 통하여 마우스 컨트롤러(200)의 수평방향 증가신호 입력단(Xa)로 신호가 들어가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체적 일시예를 제4a, 4b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방향 선택 절환부(400)의 선택에 따라 수평방향 정상모드와 수평방향 반대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데, 정상모드시 제4a도의 예와같이 선택 절환부(401)의 이동에 따라 수평방향 스위치 절환부(400)의 단자(1)과 (2)을 접속시키고, 단자(5)와 (6)를 접속시켜 단자(2)로 부터 수평방향 증가신호(X1)의 입력을 마우스 콘트롤러(200)로 받아들이고, 단자(5)로 부터 수평방향 감소신호(X2)의 입력을 마우스 콘트롤러(200)으로 받아 들이어 동작을 실행한다. 수평방향 반대모드시 선택 절환부(401)를 제4b도와 같이 이동시 수평방향 스위치 절환부(400)의 단자(2)와 (3)을 연결 시키고, 단자(4)와 (5)를 연결시켜, 수평방향 감소신호(X2)의 입력은 단자(3)에 연결된 단자(2)를 통하여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증가신호 입력단(Xa)으로 받아들여지고, 수평방향 증가신호(X1)의 입력은 단자(4)에 연결된 단자(5)를 통하여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감소신호 입력단(Xb)로 입력 신호가 받아들여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방향 선택 절환부(400)는 마우스의 어느 위치에도 설치되어 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마우스 상/하 이동을 바꾸는 기능(function)이 스위칭 되도록 하되, 라인이 서로 엇갈리게되도록 하면 쉽게 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마우스로도 사용할 수 있고 뒤집어서 트랙볼로도 사용이 가능한 제품에서 발생하는 수직방향 신호의 오류를 수정하여 사용에 편리한 잇점이 있다. 좌/우 이동을 바꾸는 기능이 스위칭 되도록 하되, 라인이 서로 엇갈리도록 하면 쉽게 이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마우스로도 사용할 수 있고 위와 아래를 뒤집고 마우스의 후면을 컴퓨터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사용이 가능한 제품에서 발생하는 수평방향 신호의 오류를 수정하여 사용에 편리한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마우스의 수직방향 스위치 절환부(300), 마우스 콘트롤러(200)를 구비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의 수직방향 절환부(300)로부터 수직방향 정상모드에서 단자(1,4)에 수직방향 증가신호(Y1)를 연결하고, 단자(3,6)에 수직방향 감소신호(Y2)를 연결하며, 단자(2)에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Ya)을 연결하고, 단자(5)에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Yb)을 연결하며, 상기 단자(1)과 (2)가 연결되고, 상기 단자(5)와 (6)이 연결 되도록 하여 스위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직방향 증가신호(Y1)는 단자(1)과 연결된 단자(2)를 통하여 상기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Ya)으로 신호가 들어가고, 상기 수직방향 감소신호(Y2)는 단자(6)과 연결된 단자(5)를 통하여 상기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Yb)으로 신호가 들어가도록 구성되며, 반대로 수직신호 반대 모드 절환시 스위치 절환부(300)로부터 수직방향 증가신호(Y1)는 단자(1,4)에 연결되고, 수직방향 감소신호(Y2)는 상기 단자(3,6)에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직방향 증가신호(Y1)는 단자(4)와 연결된 단자(5)를 통하여 상기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감소신호 입력단(Yb)으로 신호가 들어가고, 상기 수직방향 감소신호(Y2)는 단자(3)과 연결된 단자(2)를 통하여 상기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직방향 증가신호 입력단(Ya)으로 신호가 들어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2. 마우스의 수평방향 스위치 절환부(400), 마우스 콘트롤러(200)를 구비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의 수평방향 절환부(400)로부터 수평방향 정상모드에서 단자(1,4)에 수평방향 증가신호(X1)를 연결하고, 단자(3,6)에 수평방향 감소신호(X2)를 연결하며, 단자(2)에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증가신호 입력단(Xa)을 연결하고, 단자(5)에 수평방향 감소신호 입력단(Xb)을 연결하며, 상기 단자(1)과 (2)가 연결되고, 상기 단자(5)와 (6)이 연결 되도록 하여 스위치 작동에 따라 상기 수평방향 증가신호(X1)는 단자(1)과 연결된 단자(2)를 통하여 상기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증가신호 입력단(Xa)으로 신호가 들어가고, 상기 수평방향 감소신호(X2)는 단자(6)과 연결된 단자(5)를 통하여 상기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감소신호 입력단(Xb)으로 신호가 들어가도록 구성되며, 반대로 수직신호 반대 모드 절환시 스위치 절환부(400)로부터 수평방향 증가신호(X1)는 단자(1,4)에 연결되고, 수평방향 감소신호(X2)는 상기 단자(3,6)에 연결된 상태에서 스위치 작동에 따라 상기 수평방향 증가신호(X1)는 단자(4)와 연결된 단자(5)를 통하여 상기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감소신호 입력단(Xb)으로 신호가 들어가고, 상기 수평방향 감소신호(X2)는 단자(3)과 연결된 단자(2)를 통하여 상기 마우스 콘트롤러(200)의 수평방향 증가신호 입력단(Xa)으로 신호가 들어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KR2020000005625U 2000-02-29 2000-02-29 마우스의 이동방향 절환 장치 KR200207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625U KR200207218Y1 (ko) 2000-02-29 2000-02-29 마우스의 이동방향 절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625U KR200207218Y1 (ko) 2000-02-29 2000-02-29 마우스의 이동방향 절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218Y1 true KR200207218Y1 (ko) 2000-12-15

Family

ID=1964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625U KR200207218Y1 (ko) 2000-02-29 2000-02-29 마우스의 이동방향 절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2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3882B2 (ja) Gui制御を伴うワイヤレス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方法
US6351257B1 (en) Pointing device which uses an image picture to generate pointing signals
KR100301234B1 (ko) 대치형 터치패드를 구비한 선택 호출 무선기
EP1917572A1 (en) Free-space pointing and handwriting
KR200207218Y1 (ko) 마우스의 이동방향 절환 장치
JP2002366300A (ja) スクロール機能付きマウス
JPH0580938A (ja) 入力装置
KR100686366B1 (ko) 휴먼입력장치의 스크롤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휴먼입력장치
JP2000056897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100469704B1 (ko) 트랙볼을이용한휴대폰사용자인터페이스장치
KR0139553Y1 (ko) 마우스의 버튼절환 장치
JP3939877B2 (ja) 位置情報入力装置
KR100364738B1 (ko) 볼마우스 및 트랙볼마우스 겸용 무선마우스
JPS6151227A (ja) 座標入力装置
KR200177857Y1 (ko) 포인팅 디바이스
JPH04358219A (ja) 方向変換機能付きの位置指示装置
KR200198056Y1 (ko) 원터치 화면 이동 마우스
JPH11282620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7102366A (ja) マウス
KR200319984Y1 (ko) 스틱 마우스
JPS60186925A (ja) ジヨイステイツク
US20060181507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xact vertical or horizontal motion-with a dual-axis input device
JPS6093310A (ja) 座標入力装置
JPS60209830A (ja) 移動量入力装置
JPH05282096A (ja) マ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