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025Y1 -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 - Google Patents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025Y1
KR200207025Y1 KR2020000017152U KR20000017152U KR200207025Y1 KR 200207025 Y1 KR200207025 Y1 KR 200207025Y1 KR 2020000017152 U KR2020000017152 U KR 2020000017152U KR 20000017152 U KR20000017152 U KR 20000017152U KR 200207025 Y1 KR200207025 Y1 KR 200207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uit
outer blades
mot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무
Original Assignee
송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희무 filed Critical 송희무
Priority to KR2020000017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0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A01D46/253Portable motorised fruit pic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2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수의 개화시나 열매가 맺혀지는 시기에 같은 송이내의 꽃이나 열매중에서 보다 실한 꽃이나 열매를 남겨두고 같은 송이내의 적화나 적과를 잘라내는 적화 및 적과(摘果) 작업시 사용되는 적과기에 관한 것으로,
안내공이 형성된 내,외측날을 결합구와 결합축으로 결합하고, 가이드공과 안내돌기가 형성된 이동구상의 안내돌기를 내,외측날의 안내공에 삽입하여 이동구가 가이드공에 삽입된 가이드핀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케이스의 전측으로 출몰되면서 내,외측날이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된 과수용 적과기에 있어서,
전기한 케이스의 내부에, 내,외측날이 설치된 피스톤로드를 지지하며 가이드봉의 이동통로가 형성된 지지몸체가 삽입된 몸체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봉상의 왕복체를 삽입하되, 왕복체의 중앙에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보다 직경이 큰 돌턱을 형성하며, 지지몸체의 일측에는 모터를 내장하되, 모터의 일측에는 나사축을 형성하여 전기한 왕복체의 나사공과 나삽하며, 왕복체의 선단에는 삽입공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에는 전기한 가이드봉을 삽입하여 되는 것이며, 별도의 작동조절기에 의해 모터를 정역구동하여 왕복체를 왕복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Electric fruit thinning device for use in fruit trees}
본 고안은 과수의 개화시나 열매가 맺혀지는 시기에 같은 송이내의 꽃이나 열매중에서 보다 실한 꽃이나 열매를 남겨두고 같은 송이내의 적화나 적과를 잘라내는 적화 및 적과(摘果) 작업시 사용되는 적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단용 날의 작동을 전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적과 작업이 보다 쉽고 편리하며,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에 관한 것이다.
사과나 배와 같이 한송이에 6~8개의 꽃이 피어서 한송이에 6~8개의 열매를 맺는 종류의 과일을 그냥 성장하게 하면 과일의 크기가 작아서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보통 한송이당 제일 충실한것 1개만을 남겨두고 나머지는 제거한다.
한편, 과수나무 한 그루당 꽃의 수효가 너무 많이 피었을 때는 나무의 크기와 수령에 알맞게 열매를 남겨두기 위해서 일부는 송이채로 중간중간에서 제거하기도 한다.
반대로 과수나무 한 그루당 꽃의 수효가 너무 적게 피면 한송이에 열매를 2개씩 남겨 두어서 성장케 하기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적화 및 적과 방법으로는 개화기에 적화처리 작업시에는 약재살포와 손작업방법이 있고 열매가 맺혀진 시기에는 적과를 가위로 절단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약재살포로 적화처리 작업시에는 우천시 등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약재 살포에 의한 적화 처리 효과가 매우 저조하며 날씨가 좋을 때는 40%정도의 효과가 발생하며 이때 처리 되지 못한 것은 열매가 맺혀진 후에 가위로 제거하게 되므로서 2중의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고 그 효과 또한 뛰어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화기에 약재를 살포하지 않고 손으로 일일이 꽃을 따서 적화처리작업을 하기도 한다.
이때는 한송이당 4~6번 정도의 손질을 해야 하며 착과시 적과처리는 한송이당 3~4번 정도의 가위질을 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손의 피로감을 쉽게 느끼게되어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통상의 가위로 꽃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가위로 꽃을 자른 후 손잡이 부분을 벌리게되면 기윗날의 등이 남겨둔 꽃의 줄기(과일 꼭지)를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적화 제거작업시에는 가위를 사용치 않고 있다.
한편, 열매가 맺혀진 후 적과처리 작업시에는 조그만 가위로 적과 제거 절단작업을 하기도 하는데 한 송이당 평균 3번 정도의 가위질을 해야하므로 작업자의 손과 손목에 큰 피로감을 느끼게 되어 장시간의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인은 200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8678호와 같이 양측에 설치된 내,외측날의 작동을 외부로 부터 공급받은 공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실린더와 피스톤을 설치하여 구성하므로서 1송이당 1번의 작업으로 보다 정확한 적과작업이 이루어 질 뿐만아니라, 작업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최소화 하여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과수용 적과기를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공압을 이용한 과수용 적과기는 항상 공압장치가 부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비교적 작업면적이 넓은 과수원등에서 공압공급장치를 항상 함께 움직여가며 이동하여야 하므로 이동이 불편하고, 공압공급장치로부터 공압호스를 인출하여 작업하는 경우에도 그 공압공급호스의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속도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압에 의해 적과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호스등이 적과기에 비해 굵고, 작업의 특성상 적과기가 자유자재로 유동되어야 하지만, 공압호스는 비교적 유동이 자유롭지 못하여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작업중 공압호스가 꺾여 공압이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한 과수용 적과기에 있어서, 내,외측날을 별도의 구동모터 및 회전 나사축에 의해 작동되게 하고, 별도의 작동조절기를 작업자가 손으로 압지레버를 파지시 작동되도록 하므로서 공압에 비해 전원의 공급이 용이하고 전선에 의해 구동력을 인가받으므로서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장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전원의 세기가 조절가능하므로 내,외측날의 구동속도를 가감할 수 있어 과수의 종류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작동 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작동 설명도로서, 압지레버의 피스톤로드와 모터간의 작동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 적과기의 적과작업상태를 나타낸 작동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내측날
3 : 외측날 4 : 결합구
5 : 결합축 6 : 안내돌기
7 : 안내공 8 : 이동구
9 : 피스톤로드 10 : 가이드핀
11 : 가이드공 12 : 피스톤로드
13 : 압지레버 14 : 스프링
15 : 지지몸체 16 : 스프링
17 : 접지판 18 : 접지판
19 : 모터 20 : 나사축
21 : 스프링 22 : 몸체
23,23' : 이격단자 24 : 작동조절기
25 : 접지단자 26 : 이동통로
27 : 가이드봉 28 : 나사공
29 : 왕복체 30 : 돌턱
31 : 삽입공 32,32' : 단자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고, 도 2 는 분리사시도이다.
안내공(7)이 형성된 내,외측날(2)(3)을 결합구(4)와 결합축(5)으로 결합하고, 가이드공(11)과 안내돌기(6)가 형성된 이동구(8)상의 안내돌기(6)를 내,외측날(2)(3)의 안내공(7)에 삽입하여 이동구(8)가 가이드공(11)에 삽입된 가이드핀(10)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케이스(1)의 전측으로 출몰되면서 내,외측날(2)(3)이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된 과수용 적과기에 있어서,
전기한 케이스(1)의 내부에, 내,외측날(2)(3)이 설치된 피스톤로드(9)를 지지하며 가이드봉(27)의 이동통로(26)가 형성된 지지몸체(15)가 삽입된 몸체(22)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봉상의 왕복체(29)를 삽입하되, 왕복체(29)의 중앙에는 나사공(28)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보다 직경이 큰 돌턱(30)을 형성하며, 지지몸체(15)의 일측에는 모터(19)를 내장하되, 모터(19)의 일측에는 나사축(20)을 형성하여 전기한 왕복체(29)의 나사공(28)과 나삽하며, 왕복체(29)의 선단에는 삽입공(31)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31)에는 전기한 가이드봉(27)을 삽입하여 되는 것이며, 별도의 작동조절기(24)에 의해 모터(29)를 정역구동하여 왕복체(29)를 왕복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지지몸체(15)와 모터(19)의 사이공간에는 왕복체(29)의 외주연에 스프링(16),접지판(17), 접지판(18), 스프링(21)순으로 삽입하고, 양측 접지판(17)(18)의 사이공간인 몸체(22)의 상,하양측에 단자(32)(32')를 돌출 형성하여 접지판(17)(18)의 좌우 이동에 의해 단락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작동조절기(24)의 내부에는 상하 이격단자(23)(23')를 형성하고 그 사이공간에 전기한 이격단자(23)(23')를 단락하며 전원이 공급되는 접지단자(25)를 형성하되, 접지단자(25)의 상부에는 압지레버(13)에 의해 상하 왕복되도록 피스톤로드(12)를 스프링(14)으로 탄설하되,
작동조절기(24)의 하측 이격단자(23')의 일단은 상측 이격단자(23)와 접지하고, 타단은 몸체(22)의 하부 선단의 단자(32)와 접지되게 하며, 상측 이격단자(23)의 선단은 전기한 하측 이격단자(23')는 물론 모터(19)의 일측과 연결하고 타단은 몸체(22)의 후단에 형성된 단자(32')와 접지되게 하는 것이며, 각각의 접지판(17)(18)은 모터(19)의 타단과 접지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도시와 같이 전원의 인가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하게 되면, 그 선단부의 나사축(20)이 회전하게 되고, 나사축(20)의 회전에 의해 그 나사축(20)에 삽입되어 있던 왕복체(29)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왕복체(29)의 전진작용에 의해 그 선단의 삽입공(31)에 삽입되어 있던 가이드봉(27)이 동시에 전진하게 되고, 왕복체(29)의 선단에 결합된 피스톤로드(9)가 함께 전진하게 되어 그 선단의 내,외측날(2)(3)이 케이스(1)외부로 돌출되면서 서로 교차되는 것이다.
또한, 반대로 모터(19)가 역회전을 하는 경우에는 그 나사축(20)의 역회전에 의해 왕복체(29)가 후진하게 되고, 왕복체(29)의 선단 삽입공(31)에 삽입되어 있는 가이드봉(27)이 동시에 후진작용을 하게되며, 왕복체(29)의 후진은 결국 내,외측날(2)(3)이 연결된 피스톤로드(9)를 후진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작동조절기를 본 고안 본체에 연결 구성하므로서, 자동으로 내,외측날(2)(3)이 작동되게 할 수 있는 것인데, 그 작동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적과기 케이스(1) 상측에 설치된 압지레버(13)를 손으로 압지하게 되면 사용자의 압지력에 의해 스프링(14)으로 탄설된 피스톤로드(12)가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피스톤로드(1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접지단자(25)가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접지단자(25)가 일정높이 이하로 하강하게 되면, 작동조절기(24) 내측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단자(23')와 접지되며 이격단자(23')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격단자(23')에 전원이 공급되면 일측 이격단자는 상부 이격단자(23)의 일측과 접지되어 있고 상부의 이격단자(23)는 다시 모터(19)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이격단자(23')의 타측은 몸체 내부의 단자(3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기한 단자(32)는 접지판(17)을 통해 모터(19)의 타측단자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압지레버(13)와 연동되는 피스톤로드(12)가 하강하게 되면, 모터(19)에 정회전 전원이 공급되며 나사축(2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이에 삽입된 왕복체(29)를 전진시키는 것이며, 왕복체(29)의 전진과 함께 내,외측날(2)(3)이 결합된 피스톤로드(9)가 함께 전진되어 내,외측날(2)(3)을 작동 시키는 것이다.
또한, 모터(19)의 회전에 의해 나사축(20)이 계속 회전하게 되면, 왕복체(29)의 전진 및 왕복체(29) 일측의 돌턱(30)이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스프링(21)이 탄지된 접지판(18)은 단자(32')와 접촉하며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나사축(20)이 계속 회전하면 왕복체(29)는 계속 전진하면서 선단의 접지판(17)과 돌턱(30)이 닿게 되고, 결국 접지판(17)은 단자(3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며, 모터(19)의 회전은 이와 동시에 정지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왕복체(29)의 전진작용에 의해 내,외측날(2)(3)이 교차되며 줄기를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고 있던 압지레버(13)를 놓게되면 스프링(14)의 탄발력으로 피스톤로드(12)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과 동시에 접지단자(25)는 상부의 이격단자(23)와 접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격단자(23)의 일측은 모터(19)의 일측단자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 단자(32') 및 접지판(18)을 통해 모터(19)의 타측단자에 연결되므로 모터의 구동이 가능하여 모터(19)는 역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는 공압에 비해 전원의 공급이 용이하고 전선에 의해 구동력을 인가 받으므로서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작업이 가능한 것이며, 작업장에서의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전원의 세기가 조절가능하므로 내,외측날의 구동속도를 가감할 수 있으므로 과수의 종류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자업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안내공(7)이 형성된 내,외측날(2)(3)을 결합구(4)와 결합축(5)으로 결합하고, 가이드공(11)과 안내돌기(6)가 형성된 이동구(8)상의 안내돌기(6)를 내,외측날(2)(3)의 안내공(7)에 삽입하여 이동구(8)가 가이드공(11)에 삽입된 가이드핀(10)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케이스(1)의 전측으로 출몰되면서 내,외측날(2)(3)이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된 과수용 적과기에 있어서,
    전기한 케이스(1)의 내부에, 내,외측날(2)(3)이 설치된 피스톤로드(9)를 지지하며 가이드봉(27)의 이동통로(26)가 형성된 지지몸체(15)가 삽입된 몸체(22)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봉상의 왕복체(29)를 삽입하되, 왕복체(29)의 중앙에는 나사공(28)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보다 직경이 큰 돌턱(30)을 형성하며, 지지몸체(15)의 일측에는 모터(19)를 내장하되, 모터(19)의 일측에는 나사축(20)을 형성하여 전기한 왕복체(29)의 나사공(28)과 나삽하며, 왕복체(29)의 선단에는 삽입공(31)을 형성하여 그 삽입공(31)에는 전기한 가이드봉(27)을 삽입하여 되는 것이며, 별도의 작동조절기(24)에 의해 모터(29)를 정역구동하여 왕복체(29)를 왕복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
KR2020000017152U 2000-06-16 2000-06-16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 KR200207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52U KR200207025Y1 (ko) 2000-06-16 2000-06-16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52U KR200207025Y1 (ko) 2000-06-16 2000-06-16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025Y1 true KR200207025Y1 (ko) 2000-12-15

Family

ID=1966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152U KR200207025Y1 (ko) 2000-06-16 2000-06-16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0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239A (ko) * 2019-10-01 2021-04-09 송준복 낱과일 채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239A (ko) * 2019-10-01 2021-04-09 송준복 낱과일 채집장치
KR102327551B1 (ko) * 2019-10-01 2021-11-17 송준복 낱과일 채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34561B (zh) 枸杞采摘机
CN102550528A (zh) 电动拔草机
CN108156952B (zh) 一种果蔬采摘器
KR101694862B1 (ko) 전동식 새순 절단기
CN202396339U (zh) 电动拔草机
KR200207025Y1 (ko)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
KR20160116634A (ko) 순치기용 전동 커팅장치
EP0741962A1 (en) Fruit picking apparatus
CN210928677U (zh) 一种脐橙种植用熟果采摘装置
KR200191206Y1 (ko) 과수용 적과기
JP2016021936A (ja) 摘果器具
CN108156950B (zh) 一种内轴凸轮旋转传动的梳齿荔枝采摘器
CN207911388U (zh) 一种内轴凸轮旋转传动的梳齿荔枝采摘器
CN113693053B (zh) 一种螺旋筋式除草器
CN205694295U (zh) 电动手持链式割草装置
CN213960824U (zh) 一种柿子采摘装置
CN213306369U (zh) 一种黄瓜种植嫁接器
CN208285852U (zh) 一种多足行走自动摘果机器人
KR102223566B1 (ko) 자동식 열매 수확기
CN203692018U (zh) 免切换的多模式修枝剪
CN217241575U (zh) 一种园艺杂枝叶修剪用便携式修枝剪
CN111955288A (zh) 一种农业种植用银耳采摘装置
CN111194613A (zh) 一种便携式辅助采摘工具
KR200207023Y1 (ko) 전동식 과일수확용 자동절단장치
CN211607465U (zh) 一种园林工具高度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