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1206Y1 - 과수용 적과기 - Google Patents

과수용 적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206Y1
KR200191206Y1 KR2020000004968U KR20000004968U KR200191206Y1 KR 200191206 Y1 KR200191206 Y1 KR 200191206Y1 KR 2020000004968 U KR2020000004968 U KR 2020000004968U KR 20000004968 U KR20000004968 U KR 20000004968U KR 200191206 Y1 KR200191206 Y1 KR 200191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guide
outer blades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무
Original Assignee
송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희무 filed Critical 송희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2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05Non electric hybrid systems, e.g. comprising mechanical and/or hydraulic and/or pneumat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수의 개화시나 착과시에 실한 열매를 재배하기 위하여 같은 송이내의 적화(摘花) 및 적과(摘果) 작업시 사용되는 적과기에 관한 것으로, 안내공이 형성된 내,외측날을 결합구와 결합축으로 결합하고, 가이드공과 안내돌기가 형성된 이동구상의 안내돌기를 내,외측날의 안내공에 삽입하여 이동구가 가이드공에 삽입된 가이드핀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케이스의 전측으로 출몰되면서 내,외측날이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된 과수용 적과기에 있어서,
내,외측날이 결합된 결합구상에 피스톤이 설치된 피스톤 로드를 연결 설치하고, 이 피스톤을 후측에 스트로크 조절구가 설치된 실린더내에 내입하되,
실린더의 일측 케이스내에 별도의 피스톤과 실린더를 설치하여 케이스 상측에 설치된 압지레버에 의해 상하 승강되도록 피스톤 로드를 스프링으로 탄설하고, 실린더의 측벽에는 상,하부에 각각 배출구와 연결구를 설치하여, 내,외측날 왕복용 실린더의 양측에 설치된 연결구와 연결관으로 연결하고, 실린더의 측벽의 중앙부에 연결구를 설치하여 공기압축기로 부터 압축공기 유입되도록 유입관을 연결하여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수용 적과기{Fruit thinning device for use in fruit trees}
본 고안은 과수의 개화시나 열매가 맺혀지는 시기에 같은 송이내의 꽃이나 열매중에서 보다 실한 꽃이나 열매를 남겨두고 같은 송이내의 적화나 적과를 잘라내는 적화 및 적과(摘果) 작업시 사용되는 적과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단용 날의 작동을 공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적과 작업이 보다 쉽고 편리하며, 작업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과수용 적과기에 관한 것이다.
사과나 배와 같이 한송이에 6~8개의 꽃이 피어서 한송이에 6~8개의 열매를 맺는 종류의 과일을 그냥 성장하게 하면 과일의 크기가 작아서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보통 한송이당 제일 충실한것 1개만을 남겨두고 나머지는 제거한다.
한편, 과수나무 한 그루당 꽃의 수효가 너무 많이 피었을 때는 나무의 크기와 수령에 알맞게 열매를 남겨두기 위해서 일부는 송이채로 중간중간에서 제거하기도 한다.
반대로 과수나무 한 그루당 꽃의 수효가 너무 적게 피면 한송이에 열매를 2개씩 남겨 두어서 설장케 하기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적화 및 적과 방법으로는 개화기에 적화처리 작업시에는 약재살포와 손작업방법이 있고 열매가 맺혀진 시기에는 적과를 가위로 절단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약재살포로 적화처리 작업시에는 우천시 등 날씨가 좋지 않을 때는 약재 살포에 의한 적화 처리 효과가 매우 저조하며 날씨가 좋을 때는 40%정도의 효과가 발생하며 이때 처리 되지 못한 것은 열매가 맺혀진 후에 가위로 제거하게 되므로서 2중의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고 그 효과 또한 뛰어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화기에 약재를 살포하지 않고 손으로 일일이 꽃을 따서 적화처리작업을 하기도 한다.
이때는 한송이당 4~6번 정도의 손질을 해야 하며 착과시 적과처리는 한송이당 3~4번 정도의 가위질을 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손의 피로감을 쉽게 느끼게되어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통상의 가위로 꽃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가위로 꽃을 자른 후 손잡이 부분을 벌리게되면 기윗날의 등이 남겨둔 꽃의 줄기(과일 꼭지)를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적화 제거작업시에는 가위를 사용치 않고 있다.
한편, 열매가 맺혀진 후 적과처리 작업시에는 조그만 가위로 적과 제거 절단작업을 하기도 하는데 한 송이당 평균 3번 정도의 가위질을 해야하므로 작업자의 손과 손목에 큰 피로감을 느끼게 되어 장시간의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양측에 설치된 내,외측날의 작동을 외부로 부터 공급받은 공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실린더와 피스톤을 설치하여 구성하므로서 1송이당 1번의 작업으로 보다 정확한 적과작업이 이루어 질 뿐만아니라, 작업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최소화 하여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과수용 적과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작동설명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 내,외측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의 내,외측날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그 결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내측날
3 : 외측날 4 : 결합구
5 : 결합축 6 : 안내돌기
7 : 안내공 9,10 : 피스톤로드
11 : 압지레버 12 : 스프링
13 : 피스톤 14 : 연결구
15 : 실린더 16 : 피스톤
17 : 실린더 18 : 연결관
19 : 유입관 20 : 이동구
21 : 가이드공 22 : 가이드핀
23 : 스트로크 조절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안내공(7)이 형성된 내,외측날(2)(3)을 결합구(4)와 결합축(5)으로 결합하고, 가이드공(21)과 안내돌기(6)가 형성된 이동구(20)상의 안내돌기(6)를 내,외측날(2)(3)의 안내공(6)에 삽입하여 이동구(20)가 가이드공(21)에 삽입된 가이드핀(22)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케이스(1)의 전측으로 출몰되면서 내,외측날(2)(3)이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된 과수용 적과기에 있어서,
내,외측날(2)(3)이 결합된 결합구(4)상에 피스톤(13)이 설치된 피스톤 로드(9)를 연결 설치하고, 이 피스톤(13)을 후측에 스트로크 조절구(23)가 설치된 실린더(17)내에 내입하되,
실린더(17)의 일측 케이스(1)내에 별도의 피스톤(16)과 실린더(15)를 설치하여 케이스(1) 상측에 설치된 압지레버(11)에 의해 상하 승강되도록 피스톤 로드(10)를 스프링(12)으로 탄설하고, 실린더(15)의 측벽에는 상,하부에 각각 배출구(24)와 연결구(14)를 설치하여, 내,외측날 왕복용 실린더(17)의 양측에 설치된 연결구(14)와 연결관(18)으로 연결하고, 실린더(15)의 측벽의 중앙부에 연결구(14)를 설치하여 공기압축기로 부터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관(19)을 연결하여 설치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 적과기를 사용시에는 도 2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적과하고저 하는 나무의 열매가 달려 있는 줄기부분을 도 3a의 도시와 같이 양측의 내측날(2) 사이에 남기고저 하는 줄기를 삽입하고, 도 2의 도시와 같이 압지레버(11)를 눌러 이와 연동되는 피스톤(16)을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하부로 구분 형성된 피스톤(16)의 작동으로 인해 실린더(15)의 상부에 설치된 배출구(24)와 연결구(14)가 유입관(19)이 설치된 연결구(14)와 차단되는 동시에, 하측에 설치된 연결구(14)는 개방되어 유입관(19)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결관(18)을 통해 실린더(17)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기압축기로 부터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13)이 이동하면서, 반대측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는 다른 연결관(18)을 통해 실린더(17)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구(14)로 유입되어 다시 상부의 배출구(24)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피스톤 로드(9)가 전진하면서 결합구(4)와 연결된 내,외측날(2)(3)을 전진시키는 것인데, 이때, 도 4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은 내,외측날(2)(3)의 결합구성 및 작동으로 인해, 이동구(20)가 가이드핀(22)을 따라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한 내,외측날(2)(3)은 이동구(20)가 정지한 상태에서 더 전진하면서 내,외측날(2)(3)에 형성된 안내공(7)이 이동구(20)상에 설치된 안내돌기(6)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내,외측날(2)(3)이 서로 교차되어 도 3b의 도시와 같이 주변의 줄기를 모두 잘라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업을 마친 후에는 손으로 압지 하고 있던 압지레버(11)를 놓아 스프링(12)의 탄발력으로 피스톤(16)을 상승시키는 것인데, 이때 절단작업시와는 반대로 상측의 연결구(14)는 유입관(19)과 연통되고, 하측의 배출구(24)와 연결구(14)는 차단되어, 유입관(19)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부 연결구(14)를 통해 실린더(17) 내로 유입되어 피스톤(13)을 후진시키는 것이다.
이때 역시 반대측의 유체는 연결관(18)을 통해 하측의 연결구(14)를 통과하여 하측의 배출구(24)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내,외측날(2)(3) 왕복용 실린더(17)의 후측에 스트로크 조절구(23)을 설치하여 피스톤의 행정거리를 조절하므로서 내,외측날(2)(3)의 삽탈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내측날(2)의 끝단 돌출부위는 케이스(1)로 부터의 돌출길이를 비교적 길게하고 끝을 날카롭지 않게 하여 작업시 남기고저하는 줄기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함은 물론 작업도중 날로부터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내,외측날(2)(3)이 전진하면서 교차하여 절단한 후 교차된 상태에서 케이스(1) 내로 후진하므로 남겨두는 줄기는 물론 그 주변의 다른 줄기를 상하게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개화시에 적화제거 및 착과시에 적과제거 작업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으며, 남겨두는 꽃에 피해를 주지않고 동력을 사용하므로서 손에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공압에 의한 실린더의 작동으로 적과 작업을 할 수 있는 적과기를 구성하므로서, 작업자가 적과작업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양측에 설치된 내,외측날의 작동을 외부로 부터 공급받은 공압에 의해 작동하도록 실린더와 피스톤을 설치하여 구성하므로서, 보다 정확한 적과작업이 이루어 질 뿐만아니라 한송이당 1회의 작업으로 적화 및 적과 제거가 완료되므로 작업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을 최소화 하여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안내공(7)이 형성된 내,외측날(2)(3)을 결합구(4)와 결합축(5)으로 결합하고, 가이드공(21)과 안내돌기(6)가 형성된 이동구(20)상의 안내돌기(6)를 내,외측날(2)(3)의 안내공(6)에 삽입하여 이동구(20)가 가이드공(21)에 삽입된 가이드핀(22)의 안내에 따라 슬라이딩되어 케이스(1)의 전측으로 출몰되면서 내,외측날(2)(3)이 서로 교차되도록 구성하고, 내,외측날(2)(3)이 결합된 결합구(4)상에 피스톤(13)이 설치된 피스톤 로드(9)를 연결 설치하여, 이 피스톤(13)을 실린더(17)내에 내입하되,
    케이스(1)내에 별도의 피스톤(16)과 실린더(15)를 설치하여 케이스(1) 상측에 설치된 압지레버(11)에 의해 상하 승강되도록 피스톤 로드(10)를 스프링(12)으로 탄설하고, 실린더(15)의 측벽에는 상,하부에 각각 배출구(24)와 연결구(14)를 설치하여, 내,외측날(2)(3) 왕복용 실린더(17)의 양측에 설치된 연결구(14)와 연결관(18)으로 연결하고, 실린더(15)의 측벽의 중앙부에 연결구(14)를 설치하여 공기압축기로 부터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관(19)을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적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내,외측날(2)(3)에 형성된 안내공(7)이 서로 교차되도록 안내돌기(6)에 의해 결합되어 안내공(7)이 안내돌기(6)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내,외측날(2)(3)이 서로 교차되게 구성하되, 결합축(5)에 의해 결합구(4)와 결합된 내,외측날(2)(3)이 이동구(20)의 가이드핀(22)이 결합된 가이드공(21)을 따라 왕복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적과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실린더(17)의 후측에 스트로크 조절구(23)를 나사결합하여 스트로크 조절구(23)의 조절에 의해 피스톤(13)의 왕복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적과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1)내에 별도로 설치된 실린더(15) 내의 피스톤(16)이 상측으로 이동시에는 유입관(19)으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측의 연결구(14)를 통해 내,외측날(2)(3) 왕복용 실린더(17)의 전측내부로 유입되어 피스톤(13)을 후퇴시키고, 피스톤(16)이 하측으로 이동시에는 유입된 공기가 하측의 연결구(14)를 통해 내,외측날(2)(3) 왕복용 실린더(17)의 후측으로 유입되어 피스톤(13)을 전진 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수용 적과기.
KR2020000004968U 2000-02-23 2000-02-23 과수용 적과기 KR2001912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678A KR20010083978A (ko) 2000-02-23 2000-02-23 과수용 적과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678A Division KR20010083978A (ko) 2000-02-23 2000-02-23 과수용 적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206Y1 true KR200191206Y1 (ko) 2000-08-16

Family

ID=196490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678A KR20010083978A (ko) 2000-02-23 2000-02-23 과수용 적과기
KR2020000004968U KR200191206Y1 (ko) 2000-02-23 2000-02-23 과수용 적과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678A KR20010083978A (ko) 2000-02-23 2000-02-23 과수용 적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839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7493A (zh) * 2011-04-25 2011-10-19 华南农业大学 一种超声波对靶电动疏花疏果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1911345T1 (sl) 2006-10-10 2012-09-28 Michael Blanke Reguliranje gostote sadeĺ˝ev sadnega drevja
CN105638093A (zh) * 2016-03-03 2016-06-08 甘肃农业大学 一种气动式花椒采摘机
CN109451987A (zh) * 2018-12-24 2019-03-12 马黛 一种苹果采摘用手持可伸缩苹果采摘器
CN112868380A (zh) * 2020-12-28 2021-06-01 青海和众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手持式苹果摘取设备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864U (ko) * 1975-07-18 1977-03-02
JPS60168355U (ja) * 1984-04-17 1985-11-08 石黒 正雄 果実用電気鋏
JPH081123U (ja) * 1993-11-02 1996-07-30 博之 浪波 りんごの摘花ハサミ
JP3048734U (ja) * 1997-11-07 1998-05-22 ▲孟▼▲敦▼ 王 多用途電動伸縮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7493A (zh) * 2011-04-25 2011-10-19 华南农业大学 一种超声波对靶电动疏花疏果机
CN102217493B (zh) * 2011-04-25 2012-08-22 华南农业大学 一种超声波对靶电动疏花疏果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978A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9225B (zh) 电动打顶抑芽剪
KR200191206Y1 (ko) 과수용 적과기
CN109964645B (zh) 一种气囊式水果采摘装置
KR200404417Y1 (ko) 줄기뿌리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포토센서 감지식 양파탈피기
CN210959498U (zh) 一种喷气式桑葚采摘机
CN208798382U (zh) 一种同时进行烟草打顶及抹芽的装置
CN2925048Y (zh) 高空摘果器
CN102715022B (zh) 一种可伸缩气动树木园艺剪
CN203040241U (zh) 一种可伸缩气动树木园艺剪
WO2009091157A2 (ko) 적과가위
CN110495309A (zh) 一种扦插枝条切断器
CN108738697A (zh) 多朝向柑橘自动采摘装置及其采摘方法
KR200207025Y1 (ko) 전동식 과수용 적과기
CN210808305U (zh) 一种用于柚子采摘的枝条切断装置
CN209057601U (zh) 一种绿化施工养护用的树枝修剪装置
CN209390722U (zh) 一种油茶种植用油茶枝条修剪装置
CN203692018U (zh) 免切换的多模式修枝剪
CN105519361B (zh) 一种转轴嫁接机
CN214482260U (zh) 一种简易蒜薹采收装置
CN215421723U (zh) 一种花椒种植摘取装置
CN220733574U (zh) 一种方便抽蒜薹工具
CN216314137U (zh) 一种环境整治用防滑落的植被茎秆修剪钳
CN219893890U (zh) 一种新型草莓采摘钳
CN110771375B (zh) 一种柚子树培育辅助去皮器
CN2116339U (zh) 气动桑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