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739Y1 -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739Y1
KR200206739Y1 KR2020000016568U KR20000016568U KR200206739Y1 KR 200206739 Y1 KR200206739 Y1 KR 200206739Y1 KR 2020000016568 U KR2020000016568 U KR 2020000016568U KR 20000016568 U KR20000016568 U KR 20000016568U KR 200206739 Y1 KR200206739 Y1 KR 200206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mobile rack
bent
sl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성 Naiki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성 Naiki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성 Naiki
Priority to KR2020000016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7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739Y1/ko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빌랙의 서류지지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곽 커버의 양측으로 기둥을 조립한 후 받침 프레임를 연결시켜 각종 서류철이나 책등을 보관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은 금속판의 중앙을 다단으로 절곡시켜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시킨 슬라이드홈과 그 슬라이드홈에 삽탈되고, 상측으로 개구되며, 개구된 상측 양단에 일정한 가이드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슬라이드구와 상기 삽탈 프레임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삽탈하거나 고정하고, 일정한 두께로 대향되게 절곡한 서포터로 구성이 된다.
또한, 상기 삽탈 프레임은 알루미늄 및 플라스틱 압출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이 된다.

Description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 {Paper support apparatus of mobilrack}
본 고안은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의 진료기록부등의 서류나 얇은 책을 세워서 보관할때 상기의 서류나 얇은 책이 좌굴되어 뒤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은 서적,파일,문서등 대량의 문서를 한정된 공간에 수납하는데 효율적이고, 적합한 장치이다.
이러한 모빌랙은, 먼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양측면의 폭이 짧고, 상대적으로 좌,우길이가 긴 직육방체를 이루고 있다.
또한, 바닥 프레임(10)의 네 귀퉁이에는 기둥(20)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기둥(20) 사이에 서류를 올려 넣는 받침 프레임(70)을 다수개로 수직으로 일정하게 배치하며, 모빌랙의 좌,우측면을 이루는 내측 측면패널(30)과 외측 측면패널 (40)은 각기 다수개로 등분되어 안쪽과 바깥쪽으로 기둥(20)과 결합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이 된 모빌랙을 한 쪽으로 이동을 할 경우에는 조작할 수 있도록 외측 측면패널(40)부위에 핸들(50)을 설치하고, 이 핸들(50)과 체인으로 연동되는 작동기구(60)는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내,외측 측면패널(30,40)이 이루는 내부공간에서 조립이 된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 프레임(70)의 하측에는 고정구 (80)가 상기 받침 프레임(70)의 하측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고정구(90)의 내측으로 서류등을 지지하는 지지대(80)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역 방향으로 삽탈하는 구조로 구성이 된다.
이렇게 하여 구성이 된 종래의 모빌랙은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대량의 문서를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작동이 되는 종래의 모빌랙은 대량의 문서를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반면, 병원에서의 환자 진료 차트와 같은 얇은 문서등을 장기간 보관하여야 하는 서류일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80)가 상측에 결합이 되어 서류의 상단 부분만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80)의 구성은 중력이나 서류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서류의 중간 부위에서 좌굴이 일어나 서류가 구부려지는 것이다.
이로서 상기와 같이 좌굴이 일어나 구부려진 서류가 몇 년동안 지속이 되어 귀중한 서류가 훼손이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의 지지대(80)와 결합이 되는 고정구(90)는 상기 받침 프레임(70)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구(90)에 지지대(80)을 삽입하여 좌,우로 이동하여 서류를 지지한다.
그러나, 상기 고정구(90)에 고정이 된 상기 지지대(80)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지지대(80)의 탄성을 이용하여 지지대(80)의 하단을 잡고 내측으로 가압한 후 좌,우로 이동시키게끔 되어 있으나 역으로 설치되어 있는 불편함으로 인해 이동시 고정구(90)의 내측과 마찰이 필연적으로 생긴다.
이로 인해, 상기 고정구(90)의 도장이 박리되어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구(90)의 내측면과 그 내측면과 상호 마찰이 되는 상기 지지대(80)의 접촉부위에 녹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녹은 모빌랙 자체의 외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보관중인 서류의 내용물에도 흘러내려 보관중인 귀중한 서류가 훼손이 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따랐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병원의 진료기록부등의 서류나 얇은 책을 세워서 보관할때 상기의 서류나 얇은 책이 좌굴되어 뒤틀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서류를 수납, 지지하기 위한 받침 프레임과 지지부재의 마찰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생기는 부식 발생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모빌랙의 서류지지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고안인 지지대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지지대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지지대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바닥 프레임 120; 기둥
130; 내측 프레임 140; 외측 프레임
150; 핸들 170; 받침 프레임
180; 서포트 210; 삽탈 프레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빌랙의 서류지지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곽 커버의 양측으로 기둥을 조립한 후 받침 프레임를 연결시켜 각종 서류철이나 책등을 보관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프레임은 금속판의 중앙을 다단으로 절곡시켜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시킨 슬라이드홈과 그 슬라이드홈에 삽탈되고, 상측으로 개구되며, 개구된 상측 양단에 일정한 가이드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슬라이드구와 상기 삽탈 프레임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삽탈하거나 고정하고, 일정한 두께로 대향되게 절곡한 서포터로 구성이 된다.
또한, 상기 삽탈 프레임은 알루미늄 및 플라스틱 압출물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고안인 지지대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지지대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인 지지대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3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빌랙은 대체로 양측면의 폭이 짧고, 상대적으로 좌,우길이가 긴 직육방체를 이루고 있다.
또한, 바닥 프레임(110)의 네 귀퉁이에는 기둥(120)이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기둥 사이에 서류를 올려 넣는 받침 프레임(170)을 다수개로 수직으로 일정하게 배치하며, 모빌랙의 좌,우측면을 이루는 내측 측면패널(130)과 외측 측면패널 (140)은 각기 다수개로 등분되어 안쪽과 바깥쪽으로 기둥과 결합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이 된 모빌랙을 한 쪽으로 이동을 할 경우에는 조작할 수 있도록 외측 측면패널(140)부위에 핸들(150)을 설치하고, 그 핸들(150)과 체인으로 연동되는 작동기구(160)는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내,외측 측면패널(140,150)이 이루는 내부공간에서 조립이 된다.
이는 종래의 방법과 동일한 구성이고,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인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가장 중요한 특징중의 하나인 상기 받침 프레임(170)의 상면 중앙 부위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다단으로 절곡하여 상향으로 개구되게 슬라이드홈(200)이 형성이 되는 것이다.
또한, 다단으로 절곡이 된 상기 슬라이드홈(200)은 기존의 평편하고, 도 1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장방형인 종래 받침 프레임(170) 구조의 단점인 프레임 자체 및 서류의 하중에 의한 좌굴 및 비틀림을 방지하는 구조인 것이다.
이와 더불어, 도 4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슬라이드홈(200)에 삽탈이 되고, 역시, 다단이며, 가로 방향으로 길게 절곡이 되는 삽탈 프레임(210)은 상향으로 개구되게 성형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삽탈 프레임(210)의 외곽 전,후면(220)은 상기 슬라이드홈(200)의 내측 전,후면(230)과 슬라이딩되도록 적당한 유격을 가지고, 받침 프레임(170)의 상면과 동일한 면이 되도록 삽탈 프레임(210)의 전,후 양단을 가로 방향으로 동일하게 내측으로 절곡하여 가이드부(240)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이 된 상기 삽탈 프레임(210)의 가이드부(240)는 전,후 양단에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삽탈 프레임(210)은 경제적인 측면 및 가공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재료나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압출금형에 의한 압출물로 생산하면 철판에 의한 절곡시 발생하는 재료 자체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경량화하며,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 중의 또다른 하나인 부식의 발생이 없거나 미세하여 서류나 문서의 보관시 상기 종래의 고안에서 발생되는 녹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삽탈 프레임(210)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서포트(180)는 동일한 지름이고, 상기 받침 프레임(17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직각으로 상기 서포트(180)의 양단(190)을 직각으로 절곡한 후 후미의 일정부위의 양단을 다시 직각으로 절곡한 후 말미를 'U'자 형으로 절곡하여 받침대(190a)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구비된 상기 서포트(180)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서포트(180)의 외측 양단(190)을 가압하거나 해제하여 상기의 삽탈 프레임(170)에 삽입을 하여 고정하고, 이동하는 구조인 것이다.
이로 인해, 문서나 서류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지지함으로서, 문서나 서류등의 수납시 종래의 구조로 인한 서류의 훼손으로부터 서류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이 된 본 고안의 모빌랙은 종래의 모빌랙의 양 외측 측면패널(130,140) 및 기둥(120) 사이에 본 고안인 가로방향으로 길게 다단 절곡이된 받침 프레임(170)의 절곡이 되어 상향으로 개구된 슬라이드홈(200) 사이에 부식이 쉽게 되지 않는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 재질의 압출물로 성형하여 상기 슬라이드홈 (200)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의 삽탈 플레임(210)에 하측이 'U'자형인 받침대(190a)을 구비한 서포트(180)를 구비하여 안전하고, 깔끔하며, 효율적인 서류 및 문서를 보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단으로 절곡이 된 상기 받침 프레임(170)을 구비하여 받침 프레임(170) 자체 및 문서의 하중에 의한 비틀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받침 프레임(170)에 삽입되는 삽탈 프레임(210)은 플라스틱 및 알루미늄의 재질의 압출물로 성형이 되어 부식 방지와 경량화하는 효과가 있고, 상기 삽탈 프레임(210)에 삽입이 되어 문서를 고정하는 서포트(180)를 구비하여 문서를 하단에서 상단까지 지지하여 문서의 좌굴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외곽 커버의 양측으로 기둥을 조립한 후 받침프레임를 연결시켜 각종 서류철이나 책등을 보관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170)은 금속판의 중앙부위를 다단으로 절곡시켜 상측으로 개구되게 형성시킨 슬라이드홈(200)과;
    상기 슬라이드홈(200)에 삽탈되고, 상측으로 개구되며, 개구된 상측 양단에 일정한 가이드부(240)가 절곡되어 형성된 삽탈프레임(210)과;
    상기 삽탈프레임(210)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삽탈하거나 고정하고, 일정한 두께로 대향되게 절곡한 서포터(180)로 구성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탈프레임(210)은 알루미늄 및 플라스틱 압출물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
KR2020000016568U 2000-06-12 2000-06-12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 KR2002067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568U KR200206739Y1 (ko) 2000-06-12 2000-06-12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568U KR200206739Y1 (ko) 2000-06-12 2000-06-12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739Y1 true KR200206739Y1 (ko) 2000-12-15

Family

ID=73085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568U KR200206739Y1 (ko) 2000-06-12 2000-06-12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7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149B1 (ko) 2009-09-17 2012-1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도서관용 스마트 모빌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149B1 (ko) 2009-09-17 2012-1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도서관용 스마트 모빌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4563A (en) CD storage rack
AU2002236757B2 (en) Assemble-in-place modular storage
US6453518B1 (en) Holder for sheet material
US20040155564A1 (en) Expandable drawer organizer
KR200462232Y1 (ko) 이동식 텐션 북엔드가 구비된 서가
JPH0376240B2 (ko)
NL1016205C2 (nl) Inrichting voor het vastzetten van velvormig materiaal.
US5860535A (en) Shelf restraint
KR200407371Y1 (ko) 슬라이더를 갖는 책꽂이
KR200206739Y1 (ko) 모빌랙의 서류 지지고정구조
KR200433786Y1 (ko) 칸막이가 구비된 수납장
KR101115577B1 (ko) 광고판 스탠드
JP3412758B2 (ja) ブックサポート付き書架
JP2784639B2 (ja) 屈折式トレイ
KR200378394Y1 (ko) 책꽂이
KR102480044B1 (ko) 휨 방지 및 이탈방지 안전기능의 이동선반을 구비한 수납가구
CN210748072U (zh) 一种可调节书立
EP1470543B1 (en) Poster frame for a poster sign
KR20110007854A (ko) 책꽂이용 책 쓰러짐 방지구
JP2527782Y2 (ja) 仕切構造
JPH0584230U (ja) 本立て
JP3006538U (ja) 出し入れ自在棚板の取付構造
JP2552050Y2 (ja) アルバム収納ラック
KR200352127Y1 (ko) 코너 선반 장치
US1015444A (en) Account-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