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524Y1 -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구조 - Google Patents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524Y1
KR200206524Y1 KR2019980008788U KR19980008788U KR200206524Y1 KR 200206524 Y1 KR200206524 Y1 KR 200206524Y1 KR 2019980008788 U KR2019980008788 U KR 2019980008788U KR 19980008788 U KR19980008788 U KR 19980008788U KR 200206524 Y1 KR200206524 Y1 KR 200206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lever
spool
rail
coil spring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773U (ko
Inventor
박보국
Original Assignee
박보국
주식회사은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보국, 주식회사은성사 filed Critical 박보국
Priority to KR2019980008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524Y1/ko
Priority to JP10227246A priority patent/JPH11332435A/ja
Publication of KR199900417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7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고안의 목적]
본고안은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 특히 미끼를 던지는 리일의 클러치조작과 키킹조작을 연속해서 행하도록 하는 푸시레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푸시레버의 누름동작에 의한 순간작동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푸시레버의 누름동작을 해제하였을때 즉, 푸시레버에서 엄지손가락을 뗄경우 별도의 키킹조작없이도 푸시레버가 코일스프링의 복귀탄성에 의해 원복되게 한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고안은 푸시레버를 누르는 엄지손가락에 힘을 주지않고 엄지손가락이 푸시레버의 어느위치에 닿더라도 푸시레버의 순간작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을 뿐아니라 빈번한 조작을 반복하더라도 피로를 느끼거나 하는 일이 없어 초심자라도 원활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푸시레버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고, 다른 특징은 푸시레버를 누르고 있던 엄지손가락만 떼게 되면 푸시레버가 자동으로 복귀되게 한 푸시레버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고안의 구성]
대향하는 리일측판(2)(2')사이에 지지된 스풀, 상기 리일측판(2')의 내부에 수납되어 핸들측(4)의 동력을 스풀(3)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미도시됨)이 동력전달기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동력을 스풀(3)에 전달 또는 분리시키는 클러치 기구(미도시됨), 스풀(3)후측의 리일측판(2)(2')사이에 가설되어 상기 클러치기구를 작동시켜 핸들축(4)의 동력을 분리하여 스풀(3)을 자유회전상태로 하는 푸시레버(5)로 구성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1)에 있어서, 푸시레버(5)를 관통하고 있는 지지축봉(6)의 일측은 끝단부(7)에 코일스프링(8)을 탄력설치하여 리일측판(2)내의 돌봉(9)과 연결하는 한편 타측은 동력전달기구를 밀어주는 작동핀(7')의 안쪽으로 코일스프링(8')을 탄력설치하여 리일측판(2')내의 돌봉(9')과 연결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구조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양베어링형 리일은 핸들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드라이버 기어가 피니언을 구동시키고 그 피니언의 회전력을 스풀축에 전달하여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을 회전시키는 작동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니언과 그 피니언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스풀축사이에는 낚시줄을 투척할 경우 스풀에 감겨진 낚시줄이 자유롭게 풀릴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스풀축과 피니언의 접속상태가 해제되게 하고, 반대로 방출된 낚시줄을 감을때에는 피니언의 회전력이 스풀축에 자동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클러치수단과 그 클러치수단을 작동시키는 키킴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같은 클러치 및 키킹장치는 통상 푸시레버의 누름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레벨 호울더가 요크 플레이트를 밀게 되면 2개의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는 요크를 상·하로 작동시키게 되고 그 요크의 승강작동에 따라 피니언과 스풀측의 클러치작용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클러치 조작응의 푸시레버는 리일 측판사이에 횡으로 가설 축으로 지지시켜서 핸들을 한손의 엄지손가락으로 푸시레버를 하방으로 압압회동하여 클러치수단을 분리하는 것이 미국특허 제4168812호, 제4142694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7-22638호 공보 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것들의 방식은 어느것이나 축으로 관통지지되는 푸시레버를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푸시레버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압압 회동되어야 함에 따라 그 조작이 어렵고 그 때문에 낚시줄이 백래시현상을 일으키거나 유인미끼를 포인트에 정확히 투입하지 못하는 지장을 가져오는 동시에 빈번히 조작하면 엄지손가락에 힘이 들어가 있으므로 피로하여 고통을 느끼는 등의 결함이 있어 특히 초심자에게는 취급하기 어려운 단점이 대두되는 한편, 푸시레버를 누르고 있던 엄지손가락을 떼었을때에는 다시 키킹조작을 시켜야만 푸시레버가 원상태로 복귀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것으로서, 본고안은 푸시레버를 누르는 엄지손가락에 힘을 주지않고 엄지손가락이 푸시레버의 어느위치에 닿더라도 푸시레버의 순간작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을 뿐아니라 빈번한 조작을 반복하더라도 피로를 느끼거나 하는 일이 없어 초심자라도 원찰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푸시레버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고, 다른 특징은 푸시레버를 누르고 있던 엄지손가락만 떼게 되면 푸시레버가 자동으로 복귀되게 한 푸시레버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푸시레버를 관통하고 있는 지지축봉에 있어 일측은 끝단부에 코일스프링을 탄력설치하여 리일측판내의 돌봉과 연결하는 한편 타측은 동력전달기구를 밀어주는 작동핀의 안쪽으로 코일스프링을 탄려설치하여 리일측판내의 돌봉과 연결함으로써 푸시레버를 누를 경우 지지축봉이 작동핀쪽으로 기울면서 편심회동되게 하고 있다.
제1도는 본고안의 푸시레버가 설치된 양베어링형 리일의 정면 구성도.
제2도는 본고안 푸시레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베어링형 리일 2,2' : 리일측판
5 : 푸시레버 6 : 지지축봉
7 : 끝단부 7' : 작동핀
8,8' : 코일스프링 9,9' : 돌봉
이하, 본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고안 푸시레버의 작동상태를 일부단면구성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대향하는 리일측판(2)(2')사이에 지지된 스풀, 상기 리일측판(7')의 내부에 수납되어 핸들축(4)의 동적을 스풀(3)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미도시됨)이 동력전달기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동력을 스풀(3)에 전달 또는 분리시키는 클러치 기구(미도시됨), 스풀(3)후측의 리일측판(2)(2')사이에 가설되어 상기 클러치기구를 작동시켜 핸들축(4)의 동력을 분리하여 스풀(3)을 자유회전상태로 하는 푸시레버(5)로 구성되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1)에 있어서, 푸시레버(5)를 관통하고 있는 지지측봉(6)의 일측은 끝단부(7)에 코일스프링(8)을 탄력설치하여 리일측판(2)내의 돌봉(9)과 연결하는 한편 타측은 동력전달기구를 밀어주는 작동핀(7')의 안쪽으로 코일스프링(8')을 탄력설치하여 리일측판(2')내의 돌봉(9')과 연결되게 한 구조이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고안을 리일측판(2)(2')의 돌봉(7)(9')과 연결된 코일스프링(8)(8')에 탄력설치된 지지축봉(6)이 푸시레버(5)를 관통하고 있어 푸시레버(5)를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가볍게 누르면 지지축봉(6)의 일측은 끝단부(7)에 코일스프링(8)이 탄력설치되고 타측은 작동핀(7')안쪽에 코일스프링(8')이 탄력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지축봉(6)은 작동핀(7')측으로 기울면서 편심 회동되어 작동핀(7')이 동력전달기구에 전달되어 클러치기구를 작동시켜 핸들축(4)의 동력을 분리하여 스풀(3)을 자유회전상태로 놓게 되는 것인바, 상기의 상태에서 푸시레버(5)를 누르고 있던 엄지손가락을 떼면 푸시레버(5)는 코일스프링(8)(8')의 복귀탄성에 의해 별도의 키킹조작없이도 자동으로 원복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은 푸시레버를 누르는 엄지손가락에 힘을 주지않고 푸시레버의 어느위치에 닿더라도 가볍게 누르면 푸시레버는 작동핀 쪽으로 기울면서 편심회동되어 푸시레버의 순간작동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그로 인한 클러치조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고, 다른한편, 푸시레버률 누르고 있던 엄지손가락만 떼어내면 별도의 키킹조작없이도 푸시레버가 자동으로 복귀되어 빈번한 조작을 반복하여도 피로를 느끼거나 하는 일이 없어 초심자도 원활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본고안은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 특히 미끼를 던지는 리일의 클러치조작과 키킹조작을 연속해서 행하도록 하는 푸시레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푸시레버의 누름동작에 의한 순간작동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푸시레버의 누름동작을 해제하였을때 즉, 푸시레버에서 엄지손가락을 뗄경우 별도의 키킹조작없이도 푸시레버가 코일스프링의 복귀탄성에 의해 원복되게 한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대향하는 리일측판(2)(2')사이에 지지된 스풀(3), 상기 리일측판(2')의 내부에 수납되어 핸들축(4)의 동력을 스풀(3)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에 설치되며 동력을 스풀(3)에 전달 또는 분리시키는 클러치기구, 그리고 스풀(3)후측의 리일측판(2)(2')사이에 가설되어 상기 클러치기구를 작동시켜 핸들축(4)의 동력을 분리하여 스풀(3)을 자유회전상태로 하는 푸시레버(5)로 구성되는 낚시용 양베어링의 리일(1)에 있어서, 푸시레버(5)에 지지축봉(6)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상기 지지축봉(7)의 일측은 끝단부(7)에 코일스프링(8)을 탄력 설치하여 리일측판(2)내의 들봉(9)과 코일스프링(8)으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축봉(6)의 타측은 동력전달기구를 밀어주는 작동 핀(7')의 안쪽으로 코일스프링(8')을 탄력 설치하여 리일측판(2')내의 돌봉(9')과 코일스프링(8')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구조.
KR2019980008788U 1998-05-21 1998-05-21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구조 KR200206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788U KR200206524Y1 (ko) 1998-05-21 1998-05-21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구조
JP10227246A JPH11332435A (ja) 1998-05-21 1998-08-11 釣用両軸受け型リールのプッシュレバー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788U KR200206524Y1 (ko) 1998-05-21 1998-05-21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73U KR19990041773U (ko) 1999-12-27
KR200206524Y1 true KR200206524Y1 (ko) 2001-01-15

Family

ID=1953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788U KR200206524Y1 (ko) 1998-05-21 1998-05-21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332435A (ko)
KR (1) KR2002065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773U (ko) 1999-12-27
JPH11332435A (ja) 199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3376B2 (ja) 自転車用シフト制御装置
DE10161452B4 (de) Batteriebetriebene Elektrowerkzeuge
DE60308626T2 (de) Werkzeugmaschine mit einem Elektromotor
RU2007126952A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лапароскопической хирургии
JPS6119659Y2 (ko)
JPH0325576Y2 (ko)
KR200206524Y1 (ko) 낚시용 양베어링형 리일의 푸시레버구조
AU6662696A (en) Automatic or semi-automatic dispensing machine for wipe material with selector device
EP0670112B1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JP357683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4548370A (en) Fishing reel clutch actuator
US3669378A (en) Fishing reel with manual or motor drive
JP2001202148A (ja) 作業機のクラッチレバーロック機構
JPS627068Y2 (ko)
KR870000339Y1 (ko) 스피닝릴의안내간 전개장치
JP3983191B2 (ja) 魚釣用リール
DE19614212A1 (de) Kettensägenbremsvorrichtung
JPS6062933A (ja) 魚釣用リ−ルのクラツチ操作兼サミング指当て装置
JPS627067Y2 (ko)
KR200247109Y1 (ko) 주차브레이크 조작장치
JPH06276904A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制動装置
JPS6130912Y2 (ko)
JPH032143Y2 (ko)
KR880003010Y1 (ko) 아우트 스푸울형 낚시용 스피닝리일의 베일아암 반전장치
JP2020099254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