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444Y1 -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444Y1
KR200206444Y1 KR2020000019471U KR20000019471U KR200206444Y1 KR 200206444 Y1 KR200206444 Y1 KR 200206444Y1 KR 2020000019471 U KR2020000019471 U KR 2020000019471U KR 20000019471 U KR20000019471 U KR 20000019471U KR 200206444 Y1 KR200206444 Y1 KR 200206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oth
water supply
nozzle
supply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복균
Original Assignee
이복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복균 filed Critical 이복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4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 B01D33/04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filtering bands or the like supported on cylinders which are impervious for filtering whereby the filtration and squeezing-out take place between at least two filter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belt or band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즐을 통해 재활용 물(정선된 폐수)을 분사하여 벨트식 여과포를 세척하는 산업용 탈수장치의 여과포 세척장치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 목적은 급수파이프 속의 압력을 전자개폐밸브로써 자동 조절하여 노즐에 낀 이물질 제거를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고, 또 다른 목적은 가변노즐의 내부에 이물질이 잔류하지 못하게 하므로써 가변노즐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한편으로는 가변노즐의 단면에 분사가이드홈을 새로운 모양으로 형성하므로써 여과포 세척에 더 유리한 분사패턴과 분사량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여과포 세척장치는 벨트식 여과포(14)의 일측 하방에 그 폭을 따라 횡설한 급수파이프(120)와, 상기 급수파이프상에서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한 다수의 가변노즐(130)과, 상기 급수파이프의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 연결한 압력센서(150)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도입부에 연결한 수동밸브(160)와, 상기의 급수파이프(120)에 연결한 전자개폐밸브(170)와, 상기의 압력센서(150)로부터 정보를 받아 전자개폐밸브를 구동시키는 콘트롤기구부(180)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Washing apparatus for belt type filter of dehydrator}
본 고안은 노즐을 통해 재활용된 물(정선된 폐수)을 분사하여 벨트식 여과포를 세척하는 산업용 탈수장치의 여과포 세척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재활용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이물질에 의해 막혔을 때 전체 장치의 구동을 멈추지 않고서도 자동적으로 이물질을 제거시키면서 계속적으로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산업용 탈수장치의 구성예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은 벨트식 여과포를 사용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사용한 여과포 세척장치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휄트를 이용하여 제지 펄프의 수분을 탈수하는 제지장치에 사용한 휄트세척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1의 오폐수 처리장치 구성을 보면 좌, 우 양측의 구동 로울러(11) 및 종동 로울러(12)와, 그 아래의 아이들 로울러(13)에 벨트식 여과포(14)를 걸어 순환 회전하도록 한 후, 상기 여과포(14)위에 폐수(W)를 공급하면 폐수의 이물질(S)들은 벨트식 여과포(14)에 걸러 지면서 일측의 이물질 수집통(15)에 수거되고, 여과된 폐수는 물받이(16)를 따라 다음 공정으로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일측의 수집통(15)에 이물질(S)을 쏟고 아래로 회전하는 여과포(14)는 다시 폐수를 여과하기 위해 상측으로 순환 이동하게 되므로 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여과포 세척장치(100)로써 세척을 하게 된다.
한편, 도 2의 제지장치를 보면 1차 탈수과정(20a)과, 2차 탈수과정(20b)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휄트 세척장치(100a)는 각각의 과정에 모두 사용되고, 젯트 분사장치(100b)는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즉, 1차 탈수과정(20a)은 역시 구동 로울러(11)와, 종동 로울러(12)와, 아이들 로울러(13)에 휄트(14a)를 걸어 순환회전시킨 상태에서 펄프가 섞인 물을 공급하면 물은 휄트(14a)의 밑으로 빠져 물받이(16)를 통해 배수되고, 펄프(P)는 다음의 2차 탈수과정(20b)으로 넘어간다.
2차 탈수과정(20b)도 구동 로울러(11)와, 종동 로울러(12)와, 아이들 로울러(13)에 휄트(14a)를 걸어 순환 회전시키도록 한 것인데, 펄프(P)가 얹힌 채 지나가는 휄트(14a)의 위, 아래에 프레스 로울러 셋트(17)를 설치하여 펄프를 눌러 짜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1차 탈수과정(20a)과 2차 탈수과정(20b)에 사용된 휄트 세척장치(100a)는 동일한 형태이고, 또 도 1에서 설명한 여과포 세척장치(100)와도 같은데 젯트 분사장치(100b)는 분사노즐만이 다르다.
이는 도 3에서 보듯이 재활용 물 즉, 1차 여과된 폐수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110)과, 상기 노즐들이 설치되는 급수파이프(120)와, 급수파이프의 수동밸브(160)와, 급수파이프로 물을보내기 위한 펌프(도시하지 않았음)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노즐(11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파이프(120)에 암나사(111)를 가진 체결구(112)를 먼저 용접 고정한 후, 상기 암나사(111)에 육각면부(113)를 가진 노즐(110)의 숫나사(114)를 나사조립하여 체결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노즐(110)은 재활용 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노즐구멍(115)이 자주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노즐구멍(115)이 막히면 세척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오폐수 처리장치 전체를 정지시킨 후, 노즐을 분리하여 노즐구멍(115)을 뚫고 다시 조립하여 재 가동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새로운 노즐로 개량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새로운 노즐은 가변노즐(130)로서, 숫나사부(131)와 육각부(132)를 가지면서 끝단면에 분사구멍(133)을 가지는 노즐케이스(134)와, 그 내부에 삽입한 코일스프링(135)과, 상기 코일스프링(135)에 탄설되도록 노즐케이스(134)의 속에 삽입시키되, 직경을 따라 반으로 쪼개진 채 선단의 테이퍼부(136a)가 분사구멍(133)으로 출입되면서 노즐구멍(136b)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작동부재(136)와, 상기 작동부재(136)의 후미를 하나로 묶어주면서 노즐케이스(134)의 걸림턱(137)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환테홈(136d)에 끼우는 고무패킹(138)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급수파이프(120) 속의 수압이 적당히 높아졌을 경우, 고무패킹(138)을 포함한 작동부재(136)가 노즐케이스(134)의 속에서 코일스프링(135)을 누르고 전진하게 되고, 작동부재(136)가 전진하면 그 선단의 테이퍼부(136a)가 분사구멍(133) 속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분할되어 있던 노즐구멍(136b)이 작아진다.
노즐구멍(136b)이 작아지는 만큼 물을 쏘는 분사력이 커지므로 여과포를 세척하는 효과가 커진다.
그러다가 작아진 노즐구멍(136b)이 이물질로 막히게 되면 오폐수 처리장치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급수파이프(120)의 물 공급을 중단한다.
물공급이 중단되는 순간 급수파이프(120) 내부의 수압이 떨어지므로 가변노즐(130) 속의 작동부재(136)가 코일스프링(135)의 힘에 의해 후퇴하게 되며, 작동부재(136)가 후퇴하면 분사구멍(133)으로부터 내단이 빠져 나옴과 동시에 분할되어 있던 부분이 벌어지므로 노즐구멍(136b)에 끼어 있던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빠져 나가게 된다.
이물질이 제거되면 급수파이프(120)에 다시 물을 공급하여 여과포 세척작업이 계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여과포 세척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상기 가변노즐(130)은 물의 공급을 차단하였을 때, 노즐구멍(136b)에 낀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빠지도록 되어 있으나, 물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 개폐 작업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오폐수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자동운전이 불가능하다.
둘째, 상기 가변노즐(130)은 수압을 낮추었을 때,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빠지게 되는 장점은 있으나, 노즐구멍(136b)이 아닌 코일스프링(135) 장착부위, 혹은 고무패킹(138) 장착부위에 이물질이 끼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135)의 주위에 이물질이 끼어 누적되면 작동부재(136)의 작동이 불가능해지고, 따라서 노즐구멍(136b)의 확대/축소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셋째, 통상적으로 노즐(130)은 분사되는 물의 분사 폭을 넓히기 위해서 노즐구멍(136b)이 있는 끝단면에 V자형 분사가이드홈(136c)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V자형 분사가이드홈에 따르면 물의 분사패턴과 분사량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이 끝부분이 적고, 중앙이 많은 중앙 집중타입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여러개의 노즐(130)들이 급수파이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나열 설치되어 있더라도 균일하지 못하여 여과포 세척에 효과적이질 못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첫번째 목적은 노즐구멍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노즐을 사용하면서 급수파이프 속의 압력을 센서를 포함하는 자동밸브로써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노즐에 낀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면서 연속하여 자동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두번째 목적은 노즐구멍의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가변노즐을 구성하되, 그 내부에 이물질이 잔류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므로써 가변노즐의 기능을 잃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세번째 목적은 가변노즐의 노즐구멍 옆의 분사가이드홈을 새로운 모양으로 개선시키므로써 여과포 세척에 더 유리한 분사패턴과 분사량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한 바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여과포 세척장치는 구동 로울러 및 종동 로울러와, 그 아래의 아이들 로울러에 벨트식 여과포를 걸어 순환 회전하도록 한 후, 상기 여과포위에 폐수를 공급하여 폐수의 이물질들은 벨트식 여과포에 걸러 지면서 일측의 이물질 수집통에 수거되고, 여과된 폐수는 물받이를 따라 다음 공정으로 보내지도록 한 산업용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식 여과포의 일측 하방에 상기 여과포의 폭을 따라 횡설한 급수파이프와, 상기 급수파이프상에서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한 다수의 가변노즐과, 상기 급수파이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연결한 압력센서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도입부에 연결한 수동밸브와, 상기의 급수파이프에 연결한 전자개폐밸브와, 상기의 압력센서로부터 정보를 받아 전자개폐밸브를 구동시키는 콘트롤기구부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1은 여과포를 사용하는 오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휄트를 사용하는 제지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여과포 세척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세척장치에 사용된 노즐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개량 노즐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노즐이 갖는 분사패턴 및 분사량의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의 세척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세척장치에 사용되는 노즐의 분사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가변노즐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가변노즐의 비분사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노즐이 갖는 분사패턴 및 분사량의 설명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노즐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여과포 세척장치 120 : 급수파이프
140 : 가변노즐 150 : 압력센서
160 : 수동밸브 170 : 전자개폐밸브
143 : 분사구멍 144 : 노즐케이스
145 :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 146 : 작동부재
147 : 걸림턱 148 : 원형패킹
149 : 스프링 받침링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반적인 여과포 세척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여과포의 폭을 따라 횡설한 급수파이프(120)와, 상기 급수파이프상에서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한 다수의 가변노즐(140)과, 상기 급수파이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연결한 압력센서(150)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도입부에 연결한 수동밸브(160)와, 상기의 급수파이프(120)에 연결한 전자개폐밸브(170)와, 상기의 압력센서(150)로부터 정보를 받아 전자개폐밸브를 구동시키는 콘트롤기구부(18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고안의 가변노즐(140)은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파이프(120)의 체결구에 나삽하기 위한 숫나사부(141)와, 외주연의 육각부(142)와, 끝단면의 분사구멍(143)과 그 안쪽의 패킹(143a)을 가지는 노즐케이스(144)와, 상기 노즐케이스(144)의 내부 공간속에 내장한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45)과, 상기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35)에 탄설되도록 노즐케이스(144)의 속에 삽입시키되, 선단의 테이퍼부(146a)와, 중단의 환테부(146e)와, 후단의 환테홈(146d)과, 내부 중앙의 노즐구멍(146b)을 가진 채 직경을 따라 대칭으로 쪼개진 작동부재(146)와, 상기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45)과 작동부재(146)의 사이에 개입시킨 스프링 받침링(149)과, 상기 작동부재(146)의 환테홈(146d)에 끼워지고, 그 외경이 노즐케이스(144)의 내경에 맞게 끼워지므로써 내단턱(147)에 걸려 이탈 방지되도록 한 고무패킹(148)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의 가변노즐(140)이 갖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노즐케이스(144)의 원형구멍(143)의 안쪽에 O링의 패킹(143a)을 넣어 물 분사시 원형구멍(143)과 테이퍼부(146a)의 사이를 통해 물이 새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한 스프링 받침링(149)는 그 뒷쪽에 돌출부(149a)를 형성하고, 작동부재(146)의 플랜지부(146g)에는 받침자리(146h)를 형성하여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45)에 의해 뒤로 밀린 받침링(149)이 상기 플랜지부(146g)의 받침자리(146h)를 밀면 도 10에서와 같이 분할된 작동부재(146)의 선단이 벌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작동부재(146)의 환테홈(146d)을 후방쪽을 향해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큰 면취부(146i)를 형성하여 여기에 끼워진 고무패킹(148)이 전체적으로 접시모양을 이루도록 즉, 중앙이 오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상기한 작동부재(146)는 노즐구멍(136b)의 내경 끝부분에 세라믹팁(146f)을 부착하여 물을 직선형으로 분사하는 젯트 분사장치(100b)용 노즐로 적당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며, 작동부재(146)의 끝단면에 노즐구멍(146b)을 통과하는 U형 단면의 분사가이드홈(146f)을 형성하여 물의 분사상태를 더 좋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여과포 세척장치는 산업용 탈수장치 전체를 가동시키기 전에 재활용 물을 급수파이프(120)로 공급하되, 먼저 수동밸브(160)를 열어 두고 콘트롤기구부(180)를 작동시키면 압력센서(150)의 측정값에 따라 전자개폐밸브(170)가 열리고 닫힌다.
즉, 산업용 탈수장치를 가동시키면 여과포(14)가 순환하면서 여과작업을 실시하기 시작하며(도 1 및 도 2 참조), 이와 동시에 여과포 세척장치도 작동되는 바, 여과포를 세척하다가 가변노즐(140)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면 급수파이프 내의 압력이 높아지므로 이를 압력센서(150)가 감지하게 되고,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값보다 높으면 콘트롤기구부(180)가 전자개폐밸브(170)를 차단시킨다.
전자개폐밸브(170)가 차단되므로 인해 물 공급이 중단되면 수압이 낮아지고, 수압이 낮아지면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45)에 의해 작동부재(146)가 후퇴하되, 스프링 받침링(149)의 돌출부(149a)가 작동부재(146)의 받침자리(146h)를 누르므로 분할되어 있던 작동부재의 선단부가 벌어지고, 선단부가 벌어지면 노즐구멍(146b)이 커지므로 이물질이 쉽게 배출되며, 이후 가변노즐(140)의 노즐구멍(146b)은 정상상태로 준비된다.
콘트롤기구부(180)의 지시에 따라 작동되는 전자개폐밸브(170)의 차단시간은 실제 약 1초정도이며, 이 시간이 지나면 다시 개방되어 급수파이프(120)에 물이 채워지고 내부 수압이 다시 상승하여 노즐로 물이 분사되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여과포 세척장치는 가변노즐(140)의 막힘을 자동적으로 해소시켜 가면서 계속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산업용 탈수장치(또는 제지장치)는 노즐의 막힘 때문에 전체를 가동중지시키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급수파이프로 물을 차단/공급하는 작업도 자동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고안의 가변노즐(140)에 대한 작동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서 보듯이 급수파이프(120) 내부의 수압이 작동부재(146)의 후미에 미치면 작동부재(146)가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35)의 힘을 이기고 노즐케이스(144)의 내부에서 최대한 전진한다.
전진된 작동부재(146)는 그 끝단의 테이퍼부(146a)가 분사구멍(143)의 내경에 의해 눌리므로 노즐구멍(146b)이 최소로 작아지고, 물이 정상적으로 분사된다.
이때, 원형구멍(143)과 작동부재(146)의 테이퍼부(146a) 사이에는 패킹(143a)가 있기 때문에 물이 새지 않고 오직 노즐구멍(146b)을 통해서만 분사된다.
이와 같이 분사과정을 거치는 중에 이물질이 노즐구멍(146b)이 끼이게 되면 노즐구멍(146b)이 막히므로 수압이 높아지며, 수압이 높아지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자개폐밸브(170)와 콘트롤기구부(180)의 작동으로 급수파이프(120) 내의 수압을 떨어트린다.
수압이 떨어지면 작동부재(146)의 후미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므로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35)의 탄성에 의해 작동부재(146)가 후퇴하게 되고, 그 선단 테이퍼부(146a)가 분사구멍(143)에서 빠지면 상기 작동부재가 두쪽으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 받침링(149)에 의해 노즐구멍(146b)이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노즐구멍(146b)을 막고 있던 이물질이 약하게 흐르는 물에 의해 분사구멍(143)을 따라 밖으로 배출되고, 잠시 후 다시 높아지는 수압에 의해 작동부재(146)가 다시 전진하면 그 선단의 테이퍼부(146a)가 패킹(143a)이 있는 분사구멍(143) 속으로 들어가므로 노즐구멍(146b)이 작아져 다시 정상적인 분사작업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의 가변노즐(140)은 작동부재(146)를 받치고 있는 스프링이 종래의 코일 스프링과 달리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35)이기 때문에 물이 스프링의 내부로 흐르되, 물에 섞인 이물질이 스프링의 바깥쪽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스프링의 사이에 이물질이 낄 틈이 없다.
따라서 전, 후진 습동하는 작동부재(146)와 노즐케이스(144)의 사이에 작은 이물질들이 쌓이지 않는다.
또, 본 고안의 가변노즐(140)은 작동부재(146) 후미의 원형패킹(148)이 오목한 접시모양으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원형패킹(148)과 노즐케이스(144)의 걸림턱(147) 사이에 이물질이 잔류한다 하더라도 상기 원형패킹(148)이 이물질을 긁어 내도록 되어 있어 누적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의 가변노즐(140)에서는 도 9에서 보듯이 물 분사가이드홈(146c)을 U자형으로 개량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 우로 퍼지는 물의 분사 패턴이 일정해지고 분사량이 균일해 진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가변노즐을 사용하는 여과포 세척장치에서 급수파이프의 밸브 개폐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운전자의 특별한 조작 없이도 노즐구멍에 이물질이 수시로 자동배출되며, 따라서 산업용 탈수장치 전체의 운전을 중단하는 일이 없어 탈수 처리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본 고안에 따른 가변노즐은 내부의 스프링을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으로 하였기 때문에 스프링 주위에 이물질이 잔류하지 못하고, 작동부재 후단의 고무패킹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조립하여 접시모양이 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노즐케이스의 걸림턱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아 가변노즐의 작동이 정확하고 부드러워진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가변노즐은 그 끝단면에 노즐구멍을 지나는 형태로 U형 단면의 분사가이드홈을 형성였기 때문에 물의 분사량이 중앙과 좌, 우측 모두 균일하고, 분사패턴이 일정하여 여과포 세척효율이 매우 뛰어나며, 젯트 분사장치에 사용되는 가변노즐은 세라믹팁을 부착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에 수명이 오래가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구동 로울러(11) 및 종동 로울러(12)와, 그 아래의 아이들 로울러(13)에 벨트식 여과포(14)를 걸어 순환 회전하도록 한 후, 상기 여과포(14)위에 폐수(W)를 공급하여 폐수의 이물질(S)들은 벨트식 여과포(14)에 걸러 지면서 일측의 이물질 수집통(15)에 수거되고, 여과된 폐수는 물받이(16)를 따라 다음 공정으로 보내지도록 한 산업용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벨트식 여과포(14)의 일측 하방에 상기 여과포의 폭을 따라 횡설한 급수파이프(120)와, 상기 급수파이프상에서 임의의 간격으로 설치한 다수의 가변노즐(140)과, 상기 급수파이프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연결한 압력센서(150)와, 상기 급수파이프의 도입부에 연결한 수동밸브(160)와, 상기의 급수파이프(120)에 연결한 전자개폐밸브(170)와, 상기의 압력센서(150)로부터 정보를 받아 전자개폐밸브를 구동시키는 콘트롤기구부(180)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변노즐(140)은 급수파이프(120)에 고정된 체결구에 나삽하기 위한 숫나사부(141)와, 외주연의 육각부(142)와, 끝단면의 분사구멍(143)과, 그 안쪽의 패킹(143a)을 가지는 노즐케이스(144)와,
    상기 노즐케이스(144)의 내부 공간속에 내장한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35)과,
    상기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35)에 탄설되도록 노즐케이스(144)의 속에 삽입시키되, 선단의 테이퍼부(146a)와, 중단의 환테부(146e)와, 후단의 환테홈(146d)과, 내부 중앙의 노즐구멍(146b)을 가진 채 직경을 따라 대칭으로 쪼개진 작동부재(146)와,
    상기 스파이어럴 파이프 스프링(135)과 작동부재(146)의 사이에 개입시킨 스프링 받침링(149)과,
    상기 작동부재(146)의 환테홈(146d)에 끼워지고, 그 외경이 노즐케이스(144)의 내경에 맞게 끼워져 내단턱(147)에 걸려 이탈 방지되도록 한 원형패킹(148)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부재(146)의 환테홈(146d)은 후방을 향해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하여 여기에 끼워진 고무패킹(148)이 접시모양을 이루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부재(146)는 노즐구멍(146b)의 끝단면에 노즐구멍(146b)을 통과하는 U형 단면의 분사가이드홈(146c)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부재(146)는 젯트 분사장치에 적합하도록 노즐구멍(146c)의 내경 끝부분에 세라믹팁(146f)을 부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KR2020000019471U 2000-07-07 2000-07-07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KR20020644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844A KR100359735B1 (ko) 2000-07-07 2000-07-07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844A Division KR100359735B1 (ko) 2000-07-07 2000-07-07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444Y1 true KR200206444Y1 (ko) 2000-12-01

Family

ID=196767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471U KR200206444Y1 (ko) 2000-07-07 2000-07-07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KR1020000038844A KR100359735B1 (ko) 2000-07-07 2000-07-07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844A KR100359735B1 (ko) 2000-07-07 2000-07-07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64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305B1 (ko) * 2001-10-31 2007-10-17 주식회사 포스코 분사 노즐 구멍 막힘 자동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613B1 (ko) * 2001-12-20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분할형 스프레이 노즐
US7216406B2 (en) 2004-09-29 2007-05-15 Intel Corporation Method forming split thin film capacitors with multiple voltages
KR200475074Y1 (ko) * 2014-09-15 2014-11-04 주식회사 대양상사 자동 세척 노즐
CN107382011B (zh) * 2017-07-31 2020-11-03 杭州绿夏环境科技有限公司 污泥压滤处理系统和污泥压滤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2011A (ja) * 1981-12-26 1983-07-04 Kubota Ltd ろ布洗浄装置
JPS603998A (ja) * 1983-06-21 1985-01-10 Japan Organo Co Ltd ベルトプレス型脱水装置の洗浄水量制御方法
JPH01233098A (ja) * 1988-03-11 1989-09-18 Ngk Insulators Ltd ベルトプレス脱水機のベルト洗浄方法
JPH05336854A (ja) * 1992-06-05 1993-12-21 Yamatake Honeywell Co Ltd 灌水制御装置
KR200156049Y1 (en) * 1997-07-07 1999-10-01 Hojung Environment Industry Co Dehydrating apparatus for treating industrial wastes
KR100329528B1 (ko) * 1999-10-11 2002-03-23 김정태 슬러지 탈수기용 여과포 세척장치
KR200188391Y1 (ko) * 2000-02-14 2000-07-15 한국탈수기주식회사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305B1 (ko) * 2001-10-31 2007-10-17 주식회사 포스코 분사 노즐 구멍 막힘 자동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9735B1 (ko) 2002-11-07
KR20020004698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63168B1 (de)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rockenrasierapparat
EP0959711B1 (de)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rockenrasierapparat
EP0963167A1 (de)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en trockenrasierapparat
KR200206444Y1 (ko) 산업용 탈수장치의 벨트식 여과포 세척장치
DE69012241T2 (de) Selbstreinigender Unterdruckfilter mit dauerndem endlosem Bandfiltermedium, insbesondere zur Reinigung von industriellen Schmier- und Kühlflüssigkeiten.
CH679562A5 (de) Drahtelektrode-zufuhreinrichtung in einer mit drahtschnitt arbeitenden, elektroerosiven bearbeit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uehren einer drahtelektrode.
WO1992001500A1 (de) Filtriervorrichtung für thermoplastisches kunststoffmaterial
KR20050096739A (ko)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KR101455179B1 (ko)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DE3942067A1 (de) Drahtfuehrungsvorrichtung fuer eine drahterodiermaschine
DE3842640A1 (de) Einrichtung zum waschen und nachspuelen von geschirr in einer geschirrspuelmaschine
DE60204837T2 (de) Kaffeemaschine
KR100257025B1 (ko) 슬럿지 탈수 처리장치
EP1498167A1 (de) Vorrichtung zum Filtern von verunreinigten Flüssigkeiten, wie Kühlschmiermittel, insbesondere aus Werkzeugmaschinen
DE3740992A1 (de) Vorrichtung zum filtern von durch feststoffteilchen verunreinigten fluessigkeiten, insbesondere schmieroel, schneidemulsionen und dergleichen
KR200218959Y1 (ko) 이동식 걸름망을 갖는 슬러지 제거장치
KR20020027986A (ko) 이동식 걸름망을 갖는 슬러지 제거장치
DE331485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entrifugalen reinigung von gebrauchten mineraloelen
CN212636541U (zh) 高效无丝网熔体过滤器
JP3783091B2 (ja) フィルタープレスにおける洗浄装置
CN221206950U (zh) 一种隔膜压滤机用滤布连接机构
DE202012101772U1 (de) Filtervorrichtung
US43892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reting fibrous filter cartridges or other tubular articles
KR100832429B1 (ko) 필터프레스 여과판 자동세척장치
DE3831684A1 (de) Verfahren zum sieben oder filtern von trink-, brauch- und abwaesser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