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179B1 -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179B1
KR101455179B1 KR20130094498A KR20130094498A KR101455179B1 KR 101455179 B1 KR101455179 B1 KR 101455179B1 KR 20130094498 A KR20130094498 A KR 20130094498A KR 20130094498 A KR20130094498 A KR 20130094498A KR 101455179 B1 KR101455179 B1 KR 101455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ompression plate
screen
contaminant
pist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억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최기억
주식회사 가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억, 주식회사 가온텍 filed Critical 최기억
Priority to KR2013009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 등에 포함된 협잡물을 세정, 탈수하여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협잡물을 세정 후 세정된 협잡물로부터 수분을 탈수시키는 방식으로 피스톤과 압착판을 이용한 압착식 방식을 적용하면서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스크린의 공극의 형성방향과 협잡물을 가압하는 피스톤부 및 압착판의 이동방향을 일치시켜 스크린의 공극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비율을 낮추고 아울러 스크린 공극 사이에 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며, 압착판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투수공을 통해 압착판에 의해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하여 탈수효율을 증대시키고, 압착판의 후진시에는 압착판의 투수공에 삽입되는 투수공삽입핀을 통해 투수공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상기 투수공삽입핀의 단면이 전방을 향해 축경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투수공삽입핀의 말단이 투수공에 걸쳐 있더라도 투수공을 통한 수분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작동과정에서 투수공삽입핀이 항상 투수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양자 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An Inpurity Dewatering Device pressed by Piston}
본 발명은 하수 등에 포함된 협잡물을 세정, 탈수하여 배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협잡물을 세정 후 세정된 협잡물로부터 수분을 탈수시키는 방식으로 피스톤과 압착판을 이용한 압착식 방식을 적용하면서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스크린의 공극의 형성방향과 협잡물을 가압하는 피스톤부 및 압착판의 이동방향을 일치시켜 스크린의 공극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비율을 낮추고 아울러 스크린 공극 사이에 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며, 압착판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투수공을 통해 압착판에 의해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하여 탈수효율을 증대시키고, 압착판의 후진시에는 압착판의 투수공에 삽입되는 투수공삽입핀을 통해 투수공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상기 투수공삽입핀의 단면이 전방을 향해 축경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투수공삽입핀의 말단이 투수공에 걸쳐 있더라도 투수공을 통한 수분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작동과정에서 투수공삽입핀이 항상 투수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양자 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정 등에서 하수가 배출될 시에 가정용 정화조 등을 통해 1차로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 등이 걸러진 상태에서 하수처리장으로 하수가 유입되었던 반면에, 근래에는 하수의 유입방식이 분류식으로 변화함에 따라 하수에 다량의 협잡물이 포함된 상태에서 하수처리장에 하수가 유입되게 되므로, 하수처리장 등에서 하수를 처리하기 이전에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특허 문헌)
등록특허 제10-0853152호(2008. 08. 22. 공고) "원심 스크류 탈수기"
위 (특허 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던 협잡물 처리 또는 협잡물 탈수장치의 경우에는, 대부분 원통형의 스크린 내에서 회전하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협잡물을 가압하고 그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 방식이 주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크류를 사용하는 압축 및 탈수장치의 경우, 스크린에 형성되는 공극은 종방향임에 반해 스크류의 회전방향은 횡방향이어서 스크린의 공극 내에 이물질이 끼이는 비율이 증대되게 되고, 이러한 스크린의 공극 내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스크류 말단에 브러쉬를 장착하더라도 브러쉬의 운동방향과 스크린의 공극 형성방향이 일치하지 않아 스크린의 공극 내 끼인 이물질의 완전한 제거가 어려울 뿐더러 브러쉬도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스크류를 활용한 압착 및 탈수 방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방식의 협잡물 탈수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잡물을 세정 후 세정된 협잡물로부터 수분을 탈수시키는 방식으로 피스톤과 압착판을 이용한 압착식 방식을 적용하여 탈수효율을 높이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스크린의 공극의 형성방향과 협잡물을 가압하는 피스톤부 및 압착판의 이동방향을 일치시켜, 스크린의 공극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비율을 낮추고 아울러 스크린 공극 사이에 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착판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투수공을 통해 압착판에 의해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하여 탈수효율을 증대시키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착판의 후진시에는 압착판의 투수공에 삽입되는 투수공삽입핀을 통해 투수공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상기 투수공삽입핀의 단면이 전방을 향해 축경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투수공삽입핀의 말단이 투수공에 걸쳐 있더라도 투수공을 통한 수분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작동과정에서 투수공삽입핀이 항상 투수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양자 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스톤부가 최대 후진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의 외측면에 맞닿는 라이너를 추가로 포함하여, 피스톤부의 후진시 협잡물이 피스톤부의 후측 또는 피스톤부와 스크린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정된 협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측에 상기 압착판의 전후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는 협잡물유입방지슬라이딩막을 포함하여 피스톤부와 압착판의 전후 이동시 유입구로부터 피스톤부와 압착판 사이로 협잡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는 협잡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협잡물저장부; 상기 협잡물저장부의 협잡물이 이송되어 세척되는 협잡물세정부; 상기 협잡물세정부에서 세정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탈수시키는 협잡물탈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협잡물탈수부는 실린더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부가 상기 협잡물세정부에서 세정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고형물로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탈수부는 상기 피스톤부가 왕복운동하는 경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피스톤부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다수의 공극을 포함하여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린과, 상기 피스톤부의 전방에서 피스톤부의 전진시 피스톤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협잡물을 가압하는 압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은 압착판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투수공을 포함하여, 압착판에 의해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 상기 투수공을 통해 배출되어 탈수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전면에는 상기 압착판의 투수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투수공삽입핀을 포함하여, 상기 압착판의 후진시 상기 투수공삽입핀이 상기 투수공에 삽입되면서 투수공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압착판과 피스톤부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수공삽입핀은 그 단면이 전방을 향해 축경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가압을 위해 상기 압착판이 전진시에 상기 투수공삽입핀의 말단이 상기 투수공에 걸쳐 있더라도 투수공을 통한 수분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작동과정에서 투수공삽입핀이 항상 투수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양자 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탈수부는 상기 피스톤부가 최대 후진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의 외측면에 맞닿는 라이너를 추가로 포함하여, 피스톤부의 후진시 협잡물이 피스톤부의 후측 또는 피스톤부와 스크린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탈수부는 세정된 협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판의 전후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면서 피스톤부와 압착판의 전후 이동시 상기 유입구로부터 피스톤부와 압착판 사이로 협잡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협잡물유입방지슬라이딩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협잡물을 세정 후 세정된 협잡물로부터 수분을 탈수시키는 방식으로 피스톤과 압착판을 이용한 압착식 방식을 적용하여 탈수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스크린의 공극의 형성방향과 협잡물을 가압하는 피스톤부 및 압착판의 이동방향을 일치시켜, 스크린의 공극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비율을 낮추고 아울러 스크린 공극 사이에 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압착판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투수공을 통해 압착판에 의해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하여 탈수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압착판의 후진시에는 압착판의 투수공에 삽입되는 투수공삽입핀을 통해 투수공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상기 투수공삽입핀의 단면이 전방을 향해 축경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투수공삽입핀의 말단이 투수공에 걸쳐 있더라도 투수공을 통한 수분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작동과정에서 투수공삽입핀이 항상 투수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양자 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피스톤부가 최대 후진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의 외측면에 맞닿는 라이너를 추가로 포함하여, 피스톤부의 후진시 협잡물이 피스톤부의 후측 또는 피스톤부와 스크린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세정된 협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측에 상기 압착판의 전후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는 협잡물유입방지슬라이딩막을 포함하여 피스톤부와 압착판의 전후 이동시 유입구로부터 피스톤부와 압착판 사이로 협잡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의 횡방향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의 종방향 단면도
도 3은 스크린과 피스톤부 및 압착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협잡물세정부에서 세정된 협잡물이 유입구를 통해 협잡물탈수부 내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피스톤부 및 압착판이 전진하면서 협잡물을 가압하고 이때 수분이 탈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압착판의 전진시 투수공과 투수공삽입핀 사이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압착판의 후진시 투수공과 투수공삽입핀 사이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압착판의 전진시 제1회동돌기가 세워져 스크린의 공극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압착판의 후진시 제1회동돌기가 접혀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10은 압착판의 전진시 제2회동돌기가 세워져 스크린의 공극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11은 압착판의 후진시 제2회동돌기가 접혀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는 협잡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협잡물저장부(10); 상기 협잡물저장부(10)의 협잡물이 이송되어 세척되는 협잡물세정부(20); 상기 협잡물세정부(20)에서 세정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탈수시키는 협잡물탈수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잡물저장부(10)는 처리대상이 되는 협잡물이 유입되어 일시 저장되는 부분으로, 하수처리장에 유입되는 하수 등에 포함되어 있던 협잡물을 인양하여 이를 별도로 처리하기 위해 협잡물을 별도의 관로를 통해 상기 협잡물저장부(10)로 이송하여 일시 저장하게 된다.
상기 협잡물세정부(20)는 상기 협잡물저장부(10)의 협잡물이 이송되어 세척되는 부분으로, 상기 협잡물저장부(10)에 저장된 협잡물의 양이 일정 수준 이상 채워진 경우, 상기 협잡물저장부(10)와 협잡물세정부(20) 사이를 개폐하는 밸브가 개방되어 협잡물저장부(10)로부터 협잡물세정부(20)로 협잡물이 이송되게 된다. 상기 협잡물세정부(20)에 협잡물이 이송되게 되면, 협잡물세정부(20)에서는 별도의 세척수를 주입하여 협잡물이 세척수와 함께 섞이도록 하고, 아울러 협잡물세정부(20) 내에 위치한 임펠러(210)를 임펠러모터(220)를 통해 회전시켜 협잡물세정부(20) 내에서 세척수와 함께 협잡물이 소용돌이치면서 세척되도록 한다. 특히, 세척수와 함께 소용돌이치면서 세척되는 협잡물은 협잡물 내에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 등의 덩어리들이 그 결합이 느슨해지면서 풀리게 되고 그에 따라 세척률도 높아지게 된다.
상기 협잡물탈수부(30)는 상기 협잡물세정부(20)에서 세정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탈수시키는 부분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협잡물세정부(20)에서 일정 정도 세정을 거친 협잡물은 상기 협잡물탈수부(30)의 유입구(31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협잡물탈수부(30)로 유입되게 되며, 이후 여기에서 가압 및 탈수되어 수분이 제거된 고형물로 압착된 후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협잡물탈수부(30)에 유입된 세척된 협잡물을 가압 및 탈수시키는 방식에 있어서, 종래 회전하는 스크류를 사용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피스톤 방식의 왕복 압착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협잡물탈수부(30)는 실린더(320)에 의해 왕복운동하면서 협잡물을 가압하는 피스톤부(330); 상기 피스톤부(330)가 왕복운동하는 경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피스톤부(33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다수의 공극(351)을 포함하여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이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린(350); 상기 피스톤부(330)의 전방에서 피스톤부(330)의 전진시 피스톤부(33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협잡물을 가압하는 압착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330)는 실린더(320)에 의해 왕복운동하면서 협잡물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협잡물탈수부(30)의 일측에 위치하던 상기 피스톤부(330)가 실린더(320)에 의해 협잡물탈수부(30)의 타측 즉, 수분이 제거된 압착된 고형물이 위치하게 되는 압착고형물존(380)까지 이동하게 되면, 협잡물탈수부(30) 내의 협잡물은 가압되면서 수분이 제거된 고형물로 변화된 채 상기 압착고형물존(380)에 쌓이게 되고, 이후 별도의 배관을 통해 고형물이 따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피스톤부(330) 전방에 별도로 위치하는 압착판(340), 그리고 투수공(341) 및 투수공삽입핀(332) 등의 구성과 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350)은 상기 협잡물세정부(20)로부터 유입구(310)를 통해 협잡물탈수부(30)로 유입되는 협잡물이 1차로 쌓이게 되는 부분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상측 일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태로서 상기 피스톤부(330)가 왕복운동하는 경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피스톤부(33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다수의 공극(351)을 포함하여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제거되는 수분이 공극(351)을 통해 하측의 수저장부(390)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수저장부(390)에 저장된 물은 별도의 드레인라인(391)을 통해 따로 배출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협잡물세정부(20)에서 사용되는 세척수로 재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스크린(350)은 특히 공극(351)이 형성되는 방향이 상기 피스톤부(330) 또는 후술할 압착판(340)의 왕복 이동하는 방향과 일치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330) 및/또는 압착판(34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스크린(350)의 공극(351)이 스크린(350) 내에서 이동하는 구성(본 발명에서는 피스톤부(330) 및/또는 압착판(340))의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즉,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의 방향과 달리 스크린에 형성되는 공극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스크린(350)의 공극(351)에 이물질이 끼이는 비율이 증대되는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며, 아울러 스크린(350)의 공극(351)의 형성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피스톤부(330) 및/또는 압착판(340)의 운동을 활용하여 스크린(350)의 공극(351)에 끼인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압착판(340)은 상기 피스톤부(330)의 전방에서 피스톤부(330)의 전진시 피스톤부(33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협잡물을 가압하는 구성으로, 상기 피스톤부(330)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의 단면, 바람직하게는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판(340) 역시 상기 피스톤부(330)와 동일하게 상기 스크린(350) 내에서 왕복이동하며 스크린(350) 내 쌓인 협잡물을 가압하여 탈수시켜 수분이 제거된 고형물만이 상기 압착고형물존(380)에 압착되도록 한다. 상기 압착판(3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330)의 전방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피스톤축(331)을 통해 피스톤부(330)와 연결되는데, 상기 피스톤축(331)은 상기 피스톤부(330)의 전면으로부터 정해진 간격까지 상기 압착판(340)이 전진하거나 후진할 수 있게 한다(즉, 상기 피스톤축(331)에 의해 상기 압착판(340)은 전진시 피스톤부(330)의 전면으로부터 좀 더 먼 간격을 유지하고, 후진시 피스톤부(330)의 전면으로부터 좀 더 가까운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착판(340)은 실질적으로 협잡물과 직접 접촉하면서 협잡물을 가압하는 구성이므로, 압착판(340)에 의해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분리되는 수분이 상기 압착판(340)의 넓은 원판면을 통해서도 배출될 수 있으면 보다 빠른 탈수가 가능하게 될 것인바, 이를 위해 상기 압착판(340)은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판(340) 전체(압착판(340)의 원판면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투수공(341)을 포함하여, 압착판(340)에 의해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 상기 투수공(341)을 통해서도 배출되도록 하여 탈수효율을 증대시킨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부(330) 및 압착판(340)의 전진 이동에 따라 스크린(350) 내에 쌓여 있던 협잡물이 가압되게 되면, 가압되는 협잡물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스크린(350)의 공극(351)은 물론, 협잡물과 직접 접촉하며 가압하는 상기 압착판(340)에 형성된 다수의 투수공(341)을 통해서도 빠르게 배출되어 하측의 수저장부(390)에 저장되게 되는바, 탈수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협잡물 내 수분제거율도 높여 탈수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압착판(340)에 형성된 다수의 투수공(341)을 통해 수분을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투수공(341)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 상기 압착판(340)의 후진 이동시에 투수공(341)에 끼인 이물질이 압착판(340)과 피스톤부(330) 사이에 떨어질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된다면 결국 압착판(340)과 피스톤부(330) 사이에 쌓인 상당량의 이물질에 의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피스톤부(330)의 전면에는 상기 압착판(340)의 투수공(341)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투수공삽입핀(332)을 포함하여, 상기 압착판(340)의 후진시 상기 투수공삽입핀(332)이 상기 투수공(341)에 삽입되면서 투수공(341)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압착판(340)과 피스톤부(330)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투수공삽입핀(332)은 그 단면이 전방을 향해 축경되는 형태(즉, 투수공삽입핀(332)이 그 전방의 말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가늘어지는 형태(일 예로, 원뿔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협잡물의 가압을 위해 상기 압착판(340)이 전진시에도 상기 투수공삽입핀(332)의 말단이 상기 투수공(341)에 걸쳐 있더라도, (투수공(341)에 있는 투수공삽입핀(332) 말단의 직경이 투수공(34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음으로 인해)투수공(341)을 통한 수분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작동과정에서 투수공삽입핀(332)이 항상 투수공(3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양자 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투수공(341)은 압착판(340) 전체에 걸쳐 다수가 형성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는 상기 투수공삽입핀(332) 역시 다수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대일 매칭되는 관계인 투수공(341)과 투수공삽입핀(332) 간의 위치가 잦은 동작과정에서 약간이라도 틀어지게 되면 그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은 물론 피스톤부(330) 및/또는 압착판(340)의 작동에도 장애가 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부(330) 및/또는 압착판(340)의 전후진 왕복이동 과정 전체에 걸쳐 항상 상기 투수공삽입핀(332)이 투수공(341)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330) 및 압착판(340)이 전진이동시에, 피스톤축(331)에 의해 상기 압착판(340)이 피스톤부(330) 전면으로부터 좀 더 앞으로 이동하여 전진하더라도, 피스톤부(330)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투수공삽입핀(332)의 말단은 여전히 압착판(340)의 투수공(341) 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330) 및 압착판(340)의 전진이동시에는, 피스톤축(331)에 의해 상기 압착판(340)은 피스톤부(330) 전면에 좀 더 가깝게 이동하여 후진하게 되고, 이때 압착판(340)의 투수공(341)은 상기 투수공삽입핀(332)에 꽉 끼이게 되면서 투수공(341) 내 끼어 있던 이물질은 투수공(341)의 전방 즉, 압착판(340)의 전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협잡물탈수부(30)는 상기 피스톤부(330)가 최대 후진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330)의 외측면에 맞닿는 라이너(360)를 추가로 포함하여, 피스톤부(330)의 후진시 협잡물이 피스톤부(330)의 뒤쪽 또는 피스톤부(330)와 스크린(35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부(330)는 전후진 왕복이동을 하는 작동과정에서 협잡물탈수부(30)의 유입구(310)를 지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피스톤부(330)의 측면에는 협잡물 또는 이물질이 묻거나 쌓일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피스톤부(330) 측면에 있던 이물질 등이 피스톤부(330)의 후진시 피스톤부(330) 후방으로 떨어지게 되면 피스톤부(330) 후방에는 추후 지속적으로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이로 인한 여러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라이너(360)를 형성하여, 상기 피스톤부(330)가 최대 후진한 상태에서는 피스톤부(330)의 측면이 상기 라이너(360)에 맞닿으면서 피스톤부(330) 측면에 있던 이물질이 제거되어 피스톤부(330) 뒤쪽으로 이물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330) 및 압착판(340)이 전후진 왕복이동 하는 과정에서 협잡물탈수부(30)의 유입구(310)를 지나면서 피스톤부(330)와 압착판(340) 사이에 협잡물이 떨어지게 되어 쌓이게 되면 이 역시 추후 이로 인한 여러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협잡물탈수부(30)는 세정된 협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310)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판(340)의 전후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면서 피스톤부(330)와 압착판(340)의 전후 이동시 상기 유입구(310)로부터 피스톤부(330)와 압착판(340) 사이로 협잡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협잡물유입방지슬라이딩막(3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협잡물탈수부(30)의 유입구(310) 측에 추가로 설치되는 상기 협잡물유입방지슬라이딩막(370)은 상기 압착판(340)의 전후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딩 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판(340)이 전진 이동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협잡물유입방지슬라이딩막(370) 역시 전진 슬라이딩하면서 유입구(310)로부터 압착판(340)과 피스톤부(330) 사이를 커버하여 유입구(310)에 부착되어 있던 잔존 협착물이 설사 낙하하더라도 상기 협잡물유입방지슬라이딩막(370)에 막혀 압착판(340)과 피스톤부(330) 사이로는 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압착판(340)의 후진 이동시에는 협잡물유입방지슬라이딩막(370) 역시 후진 슬라이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의 형성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피스톤부(330) 및/또는 압착판(340)의 운동을 활용하여 스크린(350)의 공극(351)에 끼인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는, 상기 협잡물탈수부(30)가 상기 압착판(340)에 연동하여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세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 상기 스크린세척부(미도시)는 상기 압착판(340)의 외주면에 힌지결합하여, 압착판(340)의 전진시에는 압착판(340)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세워져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압착판(340)의 후진시에는 접히는 다수의 제1회동돌기(352); 압착판(340)의 전진시에 압착판(340)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세워지는 상기 제1회동돌기(352)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353);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동돌기(352)는 상기 압착판(340)의 외주면에 힌지결합하는 구성으로, 상기 스크린(350)에 공극(351)이 형성되는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압착판(340)의 외주면에서도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제1회동돌기(352)가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1회동돌기(352)는 상기 압착판(340)의 전진시에는 세워지고 압착판(340)의 후진시에는 접혀지는데,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판(340)이 전진시에는 압착판(340)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던 상기 제1회동돌기(352)는 압착판(340)의 이동속도 또는 스크린(350) 내부에 쌓여 있는 협잡물에 걸려 회동하여 압착판(34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세워져 상기 제1회동돌기(352)의 말단이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로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압착판(340)이 전진이동을 계속하게 되면, 상기 제1회동돌기(352)는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에서 연동하여 전진이동하면서 공극(351) 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압착판(340)의 전진시에 압착판(340)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세워진 상기 제1회동돌기(352)의 후면은 상기 제1지지부(353)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제1회동돌기(352)는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판(340)이 후진시에는 압착판(340)의 외주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던 상기 제1회동돌기(352)는 압착판(340)의 이동속도 등에 의해 다시 접혀진 상태로 압착판(340)에 연동하여 후진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스크린세척부(미도시)는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의 형성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피스톤부(330) 및/또는 압착판(340)의 운동을 활용하여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에 끼인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압착판(340)에 연동하여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세척부(미도시)의 다른 예로, 상기 스크린세척부(미도시)는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에서 스크린(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일측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압착판(340)의 전진시에는 스크린(350)의 내면까지 돌출되도록 세워져 압착판(340)의 전진에 연동하여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압착판(340)의 후진시에는 접히는 다수의 제2회동돌기(354); 압착판(340)의 전진시에 세워지는 상기 제2회동돌기(354)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355);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회동돌기(354)는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에서 스크린(3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는 압착판(340)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임)하며 일측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스크린(350)에 형성되는 공극(351)마다 그 내부에 다수의 제2회동돌기(354)가 각각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회동돌기(354)는 상기 압착판(340)의 전진시에는 세워지고 압착판(340)의 후진시에는 접혀지는데,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판(340)이 전진시에는 압착판(34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회동돌기(354) 역시 연동하여 전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일측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2회동돌기(354)는 압착판(340)의 이동속도 또는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에 끼어 있는 협잡물이나 이물질 등에 걸려 회동하여 세워져 그 말단이 스크린(350)의 내면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압착판(340)이 전진이동을 계속하게 되면, 상기 제2회동돌기(354)는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에서 세워진 상태로 연동하여 전진이동하면서 공극(351) 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압착판(340)의 전진시에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에서 세워진 상기 제2회동돌기(354)의 후면은 상기 제2지지부(355)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제2회동돌기(354)는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판(340)이 후진시에는 스크린(350)의 공극(351)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제2회동돌기(354)는 압착판(340)의 이동속도 등에 의해 다시 접혀진 상태로 압착판(340)에 연동하여 후진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스크린세척부(미도시)는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의 형성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피스톤부(330) 및/또는 압착판(340)의 운동을 활용하여 상기 스크린(350)의 공극(351)에 끼인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협잡물저장부 20: 협잡물세정부
210: 임펠러 220: 임펠러모터
30: 협잡물탈수부 310: 유입구
320: 실린더 330: 피스톤부
331: 피스톤축 332: 투수공삽입핀
340: 압착판 341: 투수공
350: 스크린 351: 공극
352: 제1회동돌기 353: 제1지지부
354: 제2회동돌기 355: 제2지지부
360: 라이너 370: 협잡물유입방지슬라이딩막
380: 압착고형물존 390: 수저장부
391: 드레인라인

Claims (7)

  1. 협잡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협잡물저장부와; 상기 협잡물저장부의 협잡물이 이송되어 세척되는 협잡물세정부와; 상기 협잡물세정부에서 세정된 협잡물을 가압하여 탈수시키는 협잡물탈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협잡물탈수부는 실린더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전방에서 피스톤부의 전진시 피스톤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협잡물을 가압하는 압착판과, 상기 피스톤부가 왕복운동하는 경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피스톤부 및 압착판의 둘레를 둘러싸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공극을 포함하며,
    상기 협잡물탈수부는 상기 스크린의 공극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세척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세척부는 상기 압착판의 외주면에 힌지결합하여 압착판의 전진시에는 압착판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세워져 상기 스크린의 공극 내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고 압착판의 후진시에는 일정 정도 접히는 제1회동돌기와, 상기 압착판의 전진시에 상기 제1회동돌기의 후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판은 압착판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투수공을 포함하여, 압착판에 의해 가압되는 협잡물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 상기 투수공을 통해 배출되어 탈수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의 전면에는 상기 압착판의 투수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투수공삽입핀을 포함하여, 상기 압착판의 후진시 상기 투수공삽입핀이 상기 투수공에 삽입되면서 투수공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여 압착판과 피스톤부 사이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공삽입핀은 그 단면이 전방을 향해 축경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가압을 위해 상기 압착판이 전진시에 상기 투수공삽입핀의 말단이 상기 투수공에 걸쳐 있더라도 투수공을 통한 수분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작동과정에서 투수공삽입핀이 항상 투수공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양자 간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탈수부는 상기 피스톤부가 최대 후진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부의 외측면에 맞닿는 라이너를 추가로 포함하여, 피스톤부의 후진시 협잡물이 피스톤부의 후측 또는 피스톤부와 스크린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탈수부는 세정된 협잡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압착판의 전후 왕복이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딩되면서 피스톤부와 압착판의 전후 이동시 상기 유입구로부터 피스톤부와 압착판 사이로 협잡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협잡물유입방지슬라이딩막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KR20130094498A 2013-08-09 2013-08-09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KR101455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498A KR101455179B1 (ko) 2013-08-09 2013-08-09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498A KR101455179B1 (ko) 2013-08-09 2013-08-09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179B1 true KR101455179B1 (ko) 2014-11-03

Family

ID=52288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4498A KR101455179B1 (ko) 2013-08-09 2013-08-09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1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788B1 (ko) * 2016-05-03 2017-11-15 (주) 원스틸산업개발 취수로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1897717B1 (ko) 2018-02-05 2018-10-31 주식회사 동신기공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
KR102379522B1 (ko) * 2021-11-01 2022-03-28 (주)조인엔텍 협잡물 분리 성능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999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포스코 콘덕트롤 고무 표면의 블리스터 제거장치
KR100701240B1 (ko) 2005-06-24 2007-03-29 정양성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8049275A (ja) * 2006-08-25 2008-03-06 Kurita Water Ind Ltd 汚泥濃縮装置
KR20110101514A (ko) * 2010-03-08 2011-09-16 (주)흥선산기 리젝트 프레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999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포스코 콘덕트롤 고무 표면의 블리스터 제거장치
KR100701240B1 (ko) 2005-06-24 2007-03-29 정양성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8049275A (ja) * 2006-08-25 2008-03-06 Kurita Water Ind Ltd 汚泥濃縮装置
KR20110101514A (ko) * 2010-03-08 2011-09-16 (주)흥선산기 리젝트 프레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788B1 (ko) * 2016-05-03 2017-11-15 (주) 원스틸산업개발 취수로의 이물질제거장치
KR101897717B1 (ko) 2018-02-05 2018-10-31 주식회사 동신기공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
KR102379522B1 (ko) * 2021-11-01 2022-03-28 (주)조인엔텍 협잡물 분리 성능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780B1 (en) Industrial separator and dewatering plant
KR100990193B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 감량장치
CA2865310C (en) Industrial separator and dewatering plant
KR101455179B1 (ko)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세정탈수장치
KR2016012929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2599B1 (ko) 스크린 세척이 가능한 피스톤 압착식 협잡물 탈수장치
KR20070038082A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JP4072685B2 (ja) 縦型スクリュープレス並びにその運転方法
JP2002001589A (ja) 連続式加圧脱水機
KR101513549B1 (ko) 트윈 구동이 가능한 압착식 협잡물 탈수장치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1133112B1 (ko) 슬러지, 유분, 협잡물 종합 탈수 처리 장치
KR102379522B1 (ko) 협잡물 분리 성능이 향상된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1437908B1 (ko) 물과 응집 슬러지의 비중 차이를 이용한 수직형 스크류 탈수기
KR100331993B1 (ko) 자동노즐이 장착된 산업용탈수기
CN104399706A (zh) 转鼓式木片洗涤装置
KR102202951B1 (ko) 자동 세척기능이 구비된 고액분리장치
KR100929037B1 (ko) 협잡물 제거장치
JP2003126900A (ja) し渣移送脱水機
JP4270970B2 (ja) 夾雑物除去装置
KR20090002003U (ko) 싱크대설치식 음식물 탈수장치의 회전여과망
KR101573805B1 (ko) 하수구 준설차량의 물 회수장치
KR100702670B1 (ko) 슬러지 탈수 장치
KR0126989Y1 (ko) 용수 여과기
KR100962219B1 (ko)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