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507Y1 -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507Y1
KR200205507Y1 KR2020000017803U KR20000017803U KR200205507Y1 KR 200205507 Y1 KR200205507 Y1 KR 200205507Y1 KR 2020000017803 U KR2020000017803 U KR 2020000017803U KR 20000017803 U KR20000017803 U KR 20000017803U KR 200205507 Y1 KR200205507 Y1 KR 200205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eight
ocher
roll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조
Original Assignee
김동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조 filed Critical 김동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5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4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6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Paper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생황토 80∼89 중량%, 수용성접착제 5∼10 중량%, 쑥 3∼5 중량% 및 뽕나무 뿌리의 추출액 3∼5 중량%의 혼합물을 물과 1:1로 넣는 믹서에는 교반날개를 아래쪽에 설치하면서 상단에는 퇴수구를 형성하고,
걸름용기의 내부에는 미세망을 설치하여 포함된 불순물이 제거하도록 하고,
넓은 용기의 양측에는 정역으로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로울러를 설치하여 부직포의 양측이 고정되어 교대로 감겨지거나 풀리면서 내부에 설치된 침전 로울러에 의해 항상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가압탱크에는 히터를 설치하여 가열압축시키도록 하고,
부직포의 표면에 황토가 묻어나도록 한 부직포를 건조기에서 건조시키고,
거의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 두 역회전로울러에 의해 그 사이를 이동하는 부직포를 압착하여 두께와 표면을 정리하도록 하고,
인쇄로울러나 엠보싱 로울러를 경유한 부직포의 표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다시 건조시킨 후 커터로 절단하면서 재단하여 로울러에 와인딩하여 제품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벽지나 장판으로 이용할 때 인체에 매우 유익함은 물론 시공이 간단하고 외관이 좋아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The manufacturing device of non-woven cloth soaked in yellow soil}
본 고안은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황토와 묽게 처리한 수용성접착제와 쑥 및 뽕나무 뿌리의 추출액을 혼합하여 침전시킨 후 물을 배출시킨 생황토의 침전 혼합물을 넣은 용기에 부직포를 적신 후 가압탱크에서 가열압축시켜 부직포가 황토화되도록 하여 황토가 80%이상 함침된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벽지나 장판으로 이용할 때 인체에 매우 유익하며 시공이 간단하고 외관이 좋아지도록 한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많은 사람들은 대부분의 자연환경이 파괴되거 생활환경이 오염되는 상태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와 공해에 시달리면서 생활하고 있음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그리고 사람이 하루의 일과 중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사무실이나 가정이 시멘트로 건축되어 있으므로 그 속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이 시멘트 공해에 의해 해를 입으면서 생활하고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이는 자연 공간에 시멘트로만 방수설비를 한 작은 연못에 물고기(잉어나 붕어 등)를 넣은 결과 24시간도 경과하지 않아 모두 죽었다는 연구결과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시멘트에 노출되어 있는 사람들이 많은 공해에 시달리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황토가 우리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황토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세포의 생리작용을 원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배출하도록 하며, 바이오 원적외선은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원활한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건강생활에 도움을 주고, 담배냄새를 비롯한 불쾌한 냄새를 원인인 양이온을 음이온화시켜 공기청정 효과 및 흡착력에 의한 항균과 항곰팡이의 효과가 있으며, 정화력과 분해력이 있는 황토는 인체의 독을 제거하는 제독련 및 해독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황토 1스푼에 2억 마리의 미생물이 살고 있어 다양한 효소들이 순환작용을 일으키며, 살아있는 생명체라 하여 약성을 가진 흙으로 사용되었고, 표면이 벌집구조 형태로 되어있어 그 구멍에 원적외선이 다량 흡수, 저장되어 열을 받으면 발산하여 다른 물체의 분자운동을 자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수한 세월동안 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규소성광물로서 태양에너지의 저장고라고도 하는 황토는 카탈리아제, 디페놀옥시디아제, 시카라제, 프로테아제 등이 포함되어 있어 독소제거, 분해력, 비료요소, 정화작용의 역할을 하며, 황토의 단열성과 축열성을 여름을 더욱 시원하게 하고 겨울에는 따스하게 하여 철저한 습도조절 및 통풍조절의 능력을 갖는 것이다.
이는 고려 때의 팔만대장경이 오랜 세월동안에도 정확하고 완벽하게 보관될 수 있었던 것은 그 보관장소인 장격각의 내부가 황토로 만들어졌다는 점과 오늘날 서울대학교에 보관된 규장각의 도서 또한 황토의 기운에 의한 효과를 보고 있다는 점에서 그 효능을 확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인체에 유익한 황토를 가정이나 사무실의 벽과 바닥에 시공하기 위한 연구가 행하여 졌고 황토를 직접 시공할 수 없는 상태에서 황토를 이용한 장판이나 벽지를 제조하는 방안이 마련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황토를 이용한 침대, 황토를 이용한 장판 및 황토를 이용한 벽지 등 여러 용도에서 황토를 이용한 제품이 많이 개발되어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요즈음 많이 생산되는 황토 제품은 실질적으로 황토의 함유 비율이 10∼30%로 낮거나 인체와 접하지 않는 상태로 제조되고 있어 그 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다.
더구나 황토를 부직포나 망사에 얇게 도포한 상태인 모든 황토를 이용한 장판이나 벽지는 황토의 성질상 건조상태에서는 수분을 증발하여 가루로 되거나 수분이 많으면 수분을 흡수하는 특성에 의하여 황토가 점차 없어지므로 장기간 사용시 그 효능이 매우 낮아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생황토와 묽게 처리한 수용성접착제와 쑥 및 뽕나무 뿌리의 추출액을 혼합하여 침전시킨 후 물을 배출시킨 생황토의 침전 혼합물을 넣은 용기에 부직포를 적신 후 가압탱크에서 가열압축시켜 부직포가 황토화되도록 하여 황토가 80%이상 함침된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벽지나 장판으로 이용할 때 인체에 매우 유익하며 시공이 간단하고 외관이 좋아지도록 한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생황토 80∼89 중량%와 묽게 처리한 수용성접착제 5∼10 중량%와 쑥 3∼5 중량% 및 뽕나무 뿌리의 추출액 3∼5 중량%의 혼합물이 물과 1 : 1의 중량비로 넣어지는 믹서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를 아래쪽에 설치하여 내용물을 잘 혼합시키도록 하고,
상기 믹서의 상단에 형성한 퇴수구를 통하여 생황토 혼합물이 아래쪽에 침전된 상태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걸름용기의 내부에는 미세망을 설치하여 생황토의 침전 혼합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르도록 하고,
상기의 불순물이 제거된 생황토 혼합물을 충진시키는 넓은 용기의 양측에는 모터의 회전력을 축을 통하여 전달받으면서 정역으로 회전하는 제 1 로울러와 모터의 회전력을 축을 통하여 전달받으면서 정역으로 회전하는 제 2 로울러에 양측이 고정되어 교대로 감겨지거나 풀리도록 한 0.1∼15mm정도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를 정역으로 와인딩시키는 중에 용기의 내부에 설치된 침전 로울러에 의해 항상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여 부직포가 생황토 혼합물에 충분히 젖도록 하고,
상기의 생황토 혼합물에 적셔진 부직포가 뚜껑을 통하여 넣어지는 가압탱크에는 히터를 설치하여 가열시 발생하는 열로 100℃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0∼30Kg/cm2의 압력이 유지되어 침전된 생황토 혼합물이 부직포의 섬유조직으로 침투하면서 황토화시키도록 하고,
생황토 혼합물의 혼용된 원액이 넣어지는 용기에는 부직포를 함침시키면서 통과시켜 부직포의 전체 표면에 골고루 황토가 묻어나도록 하고,
생황토 혼합물이 함침된 부직포를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히터의 발열에 의해 40∼80℃의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기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의 부직포가 이동하는 경로에는 거의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 두 역회전로울러가 각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그 사이를 이동하는 부직포를 압착하여 두께와 표면을 정리하도록 하고,
상기의 표면검사가 완료된 부직포가 이동하는 경로에 거의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 두 역회전로울러가 각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그 사이를 이동하는 부직포를 재차 압착하여 두께와 표면을 정리하도록 하고,
일반적인 인쇄로울러나 일반적인 엠보싱 로울러를 경유하는 중에 인쇄나 엠보싱에 의한 무늬를 완성한 부직포의 표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의 접착제가 도포된 부직포를 건조기의 내부를 통과시키면서 다시 건조시키고,
상기의 건조까지 완료된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를 커터로 절단하면서 재단하여 로울러에 와인딩하여 제품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벽지나 장판으로 이용할 때 인체에 매우 유익함은 물론 시공이 간단하고 외관이 좋아지도록 한 것이다.
도 1a,1b는 본 고안의 제조장치들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믹서 3 : 교반날개
4 : 퇴수구 5 : 걸름용기
6 : 미세망 8, 9 : 로울러
10 : 침전 로울러 11 : 부직포
12 : 가압탱크 14 : 히터
16, 21 : 건조기 17, 18, 19, 20 : 역회전 로울러
도 1은 본 고안의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생황토 80∼89 중량%와 묽게 처리한 수용성접착제 5∼10 중량%와 쑥 3∼5 중량% 및 뽕나무 뿌리의 추출액 3∼5 중량%의 혼합물이 물과 1 : 1의 중량비로 넣어지는 믹서(1)에는 모터(2)에 의해 회전하는 교반날개(3)를 아래쪽에 설치하여 내용물을 잘 혼합시키도록 하고,
상기 믹서(1)의 상단에 형성한 퇴수구(4)를 통하여 생황토 혼합물이 아래쪽에 침전된 상태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고,
걸름용기(5)의 내부에는 미세망(6)을 설치하여 생황토의 침전 혼합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르도록 하고,
상기의 불순물이 제거된 생황토 혼합물을 충진시키는 넓은 용기(7)의 양측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력을 축을 통하여 전달받으면서 정역으로 회전하는 제 1 로울러(8)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력을 축을 통하여 전달받으면서 정역으로 회전하는 제 2 로울러(9)에 양측이 고정되어 교대로 감겨지거나 풀리도록 한 0.1∼15mm정도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11)를 정역으로 와인딩시키는 중에 용기(7)의 내부에 설치된 침전 로울러(10)에 의해 항상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여 부직포(11)가 생황토 혼합물에 충분히 젖도록 하고,
상기의 생황토 혼합물에 적셔진 부직포가 뚜껑(13)을 통하여 넣어지는 가압탱크(12)에는 히터(14)를 설치하여 가열시 발생하는 열로 100℃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0∼30Kg/cm2의 압력이 유지되어 침전된 생황토 혼합물이 부직포(11)의 섬유조직으로 침투하면서 황토화시키도록 하고,
생황토 혼합물의 혼용된 원액이 넣어지는 용기(15)에는 부직포(11)를 함침시키면서 통과시켜 부직포(11)의 전체 표면에 골고루 황토가 묻어나도록 하고,
생황토 혼합물이 함침된 부직포(11)를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히터의 발열에 의해 40∼80℃의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기(16)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의 부직포가 이동하는 경로에는 거의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 두 역회전로울러(17)(18)가 각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그 사이를 이동하는 부직포(11)를 압착하여 두께와 표면을 정리하도록 하고,
상기의 표면검사가 완료된 부직포(11)가 이동하는 경로에 거의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 두 역회전로울러(19)(20)가 각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그 사이를 이동하는 부직포(11)를 재차 압착하여 두께와 표면을 정리하도록 하고,
일반적인 인쇄로울러나 일반적인 엠보싱 로울러를 경유하는 중에 인쇄나 엠보싱에 의한 무늬를 완성한 부직포의 표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의 접착제가 도포된 부직포(11)를 건조기(21)의 내부를 통과시키면서 다시 건조시키고,
상기의 건조까지 완료된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11)를 커터로 절단하면서 재단하여 로울러(22)에 와인딩하여 제품을 완성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는 생황토 80∼89 중량%와 묽게 처리한 수용성접착제 5∼10 중량%와 쑥 3∼5 중량% 및 뽕나무 뿌리의 추출액 3∼5 중량%의 혼합물을 물과 1 : 1의 중량비로 믹서(1)에 넣어 모터(2)에 의해 아래쪽에 설치된 교반날개(3)가 회전함에 따라 1시간 정도 잘 혼합되도록 한다.
상기의 믹서(1)에서 모터(2)의 작동을 정지시켜 교반날개(3)의 회전을 멈추도록 한 후 1시간정도 침전시켜 물이 함유한 생황토 혼합물은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맑은 물이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퇴수구(4)를 개방하여 상층부의 맑은 물이 퇴수구(4)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의 생황토의 침전 혼합물을 미세망(6)이 내부에 설치된 걸름용기(5)의 내부로 이동시켜 아래로 이동하는 중에 미세망(6)에 의해 불순물이 걸러지면서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의 불순물이 제거된 생황토 혼합물을 넓은 용기(7)에 넣은 후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력을 축을 통하여 전달받으면서 정역으로 회전하는 제 1 로울러(8)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력을 축을 통하여 전달받으면서 정역으로 회전하는 제 2 로울러(9)에 양측이 교대로 감겨지거나 풀리도록 한 0.1∼15mm정도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11)를 정역으로 와인딩시키면서 용기(7)의 내부에 설치된 침전 로울러(10)에 의해 항상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는 부직포(11)가 생황토 혼합물에 충분히 젖도록 한다.
상기의 생황토 혼합물에 적셔진 부직포를 가압탱크(12)의 뚜껑(13)을 개폐시키면서 내부에 넣은 후 히터(14)를 가열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로 100℃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20∼30Kg/cm2의 압력에서 30분∼3시간 동안 가열압축하여 침전된 생황토 혼합물이 부직포(11)의 섬유조직으로 침투하면서 황토화되도록 한다.
상기의 생황토 혼합물의 혼용된 원액이 든 용기(15)에 30분∼1시간 동안 함침시키면서 통과시켜 부직포(11)의 전체 표면에 골고루 황토가 묻어나도록 한 후, 표면을 검사한다.
생황토 혼합물이 함침된 부직포(11)를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히터의 발열에 의해 40∼80℃의 온도를 유지하는 건조기(16)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면서 건조시킨다.
상기의 건조된 부직포를 상하로 배열되어 부직포(11)의 이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거의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 두 역회전로울러(17)(18)가 각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그 사이를 이동하는 부직포(11)를 압착하여 두께와 표면을 정리하도록 한다.
표면이 정리된 부직포(11)의 표면을 다시 검사하여 상태를 점검한다.
상기의 표면검사가 완료된 부직포(11)를 그 이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거의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 두 역회전로울러(19)(20)가 각각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모터 및 동력전달수단에 의하여 그 사이를 이동하는 부직포(11)를 재차 압착하여 두께와 표면을 정리하도록 한다.
상기의 표면처리가 완료된 부직포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일반적인 인쇄로울러를 경유하도록 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일반적인 엠보싱 로울러를 경유하는 중에 인쇄나 엠보싱에 의한 무늬를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의 엠보싱이 완료된 부직포의 표면에 일반적인 도포용 로울러를 이용하여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미세한 황토가 묻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접착제가 도포된 부직포(11)를 건조기(21)의 내부를 통과시키면서 다시 건조시킨다.
상기의 건조까지 완료된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11)를 일반적인 커터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면서 재단하여 로울러(22)에 와인딩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제조한 황토가 80%이상 함침된 부직포를 건축의 내장재나 가구의 내외장재 그리고 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재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물과 혼합한 수용성 본드를 적은 양만 사용하면서 원하는 부위에 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연성인 부직포에 80% 이상의 황토가 함침되어 난연성으로 변화시켜 화재 발생시 불이 급격히 번지는 것과 연소시의 연기나 유독성 가스의 발생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에 의하여서는 생황토 80∼89 중량%, 수용성접착제 5∼10 중량%, 쑥 3∼5 중량% 및 뽕나무 뿌리의 추출액 3∼5 중량%의 혼합물을 물과 1:1로 넣는 믹서에는 교반날개를 아래쪽에 설치하면서 상단에는 퇴수구를 형성하고,
걸름용기의 내부에는 미세망을 설치하여 포함된 불순물이 제거하도록 하고,
넓은 용기의 양측에는 정역으로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로울러를 설치하여 부직포의 양측이 고정되어 교대로 감겨지거나 풀리면서 내부에 설치된 침전 로울러에 의해 항상 잠겨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가압탱크에는 히터를 설치하여 가열압축시키도록 하고,
부직포의 표면에 황토가 묻어나도록 한 부직포를 건조기에서 건조시키고,
거의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 두 역회전로울러에 의해 그 사이를 이동하는 부직포를 압착하여 두께와 표면을 정리하도록 하고,
인쇄로울러나 엠보싱 로울러를 경유한 부직포의 표면에 수용성 접착제를 도포하여 다시 건조시킨 후 커터로 절단하면서 재단하여 로울러에 와인딩하여 제품을 완성하도록 함으로써 벽지나 장판으로 이용할 때 인체에 매우 유익함은 물론 시공이 간단하고 외관이 좋아지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생황토 80∼89 중량%와 묽게 처리한 수용성접착제 5∼10 중량%와 쑥 3∼5 중량% 및 뽕나무 뿌리의 추출액 3∼5 중량%의 혼합물을 물과 1 : 1의 중량비로 넣는 믹서(1)의 하단에는 교반날개(3)를 장착하면서 상단에는 퇴수구(4)를 설치하고,
    걸름용기(5)의 내부에는 미세망(6)을 설치하고,
    넓은 용기(7)에는 정역으로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로울러(8)(9)에 부직포(11)의 양측을 고정시켜 0.1∼15mm정도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11)가 침전 로울러(10)에 의해 아래로 눌려진 상태에서 감겨지거나 풀리도록 하고,
    뚜껑(13)이 개폐되는 가압탱크(12)에 히터(14)를 설치하여 100℃ 미만의 온도와 20∼30Kg/cm2의 압력에서 30분∼3시간 동안 가열압축하도록 하고,
    용기(15)의 생황토 혼합물의 혼용된 원액에 함침되고 건조기(16)를 통과한 부직포(15)가 경유하는 경로에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 두 역회전로울러(17)(18)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하고,
    맞물리는 상태로 설치된 두 역회전로울러(19)(20)의 사이를 통과하고 건조기(21)의 내부를 통과한 부직포(11)를 절단하면서 로울러(22)에 권취하도록 한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
KR2020000017803U 2000-06-22 2000-06-22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 KR2002055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456A KR100391088B1 (ko) 2000-06-22 2000-06-22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456A Division KR100391088B1 (ko) 2000-06-22 2000-06-22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507Y1 true KR200205507Y1 (ko) 2000-12-01

Family

ID=196732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803U KR200205507Y1 (ko) 2000-06-22 2000-06-22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
KR10-2000-0034456A KR100391088B1 (ko) 2000-06-22 2000-06-22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456A KR100391088B1 (ko) 2000-06-22 2000-06-22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55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161A (ko) * 2001-11-06 2001-12-20 송윤강 건강보조 위생매트의 제조방법
CN113699681A (zh) * 2021-08-28 2021-11-26 许玉梅 一种无纺布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209A (ko) * 2000-08-24 2002-03-04 시국명 목분, 왕겨분, 쑥분등을 이용한 벽지 및 기계장치
KR100443159B1 (ko) * 2002-03-21 2004-08-04 박주성 황토장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황토장판
KR100514823B1 (ko) * 2002-09-04 2005-09-14 권길평 건축용 천연벽지 제조방법
KR100720889B1 (ko) * 2005-06-30 2007-05-23 하청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KR100906077B1 (ko) 2007-07-30 2009-07-02 정영철 황토 부직포 제조장치
KR101353912B1 (ko) * 2013-08-20 2014-01-23 주식회사네이처시스 천연 마섬유 난연성 보드 제조용 함침 장치
KR101977509B1 (ko) * 2017-12-26 2019-05-13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한방 약재성분을 포함하는 의류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부직포, 볼형섬유 충전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498B1 (ko) * 1996-12-20 1999-09-01 최준호 신발용 피혁원단 부직포의 제조방법
KR100478751B1 (ko) * 1998-11-07 2005-08-10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광투광성및박테리아차단성이우수한복합부직포의제조방법
KR20000031854A (ko) * 1998-11-10 2000-06-05 전병민 기능성 직물의 제조방법
KR100307261B1 (ko) * 1998-12-18 2001-09-24 김이홍 황토가 함유된 유지 직물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98046B1 (ko) * 1998-12-24 2001-08-07 김영재 원적외선 방사형 섬유원단 제조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0299699B1 (ko) * 1999-06-09 2001-09-22 이정룡 황토흙을 이용한 직물지의 제조방법
KR100338135B1 (ko) * 1999-08-20 2002-05-24 정재숙 원적외선 섬유직포의 소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161A (ko) * 2001-11-06 2001-12-20 송윤강 건강보조 위생매트의 제조방법
CN113699681A (zh) * 2021-08-28 2021-11-26 许玉梅 一种无纺布制造方法
CN113699681B (zh) * 2021-08-28 2022-08-26 广东好念头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无纺布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271A (ko) 2002-01-05
KR100391088B1 (ko) 200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5507Y1 (ko)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의 제조장치
KR101173290B1 (ko) 빨래 건조실 겸용 개인용 사우나
KR19990018493A (ko) 온돌식침대의 황토매트 및 그 제조방법
US20200206718A1 (en) Odor absorbing paint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200222609Y1 (ko) 황토타일과 구조
KR100626716B1 (ko) 건축용 내장판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내장판넬
US7879252B1 (en) Functional cotton spray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building material using the same
TW531584B (en) A material for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building material, laying material, and spraying agent thereof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0855109B1 (ko) 제올라이트 함유 부직포 초배지
KR20090098479A (ko) 식물성 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용 마감재의 제조방법
JPH0220287B2 (ko)
KR100796729B1 (ko) 건물 실내 내장재의 기능성 코팅액 제조방법
KR100913898B1 (ko) 친환경 내외장 마감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110322B1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한 기능성 코튼스프레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20110047646A (ko)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200418067Y1 (ko) 기능성 지류
KR19990024071A (ko) 기능성 도료
KR100927132B1 (ko) 원목 자연 향 발생장치
KR200271191Y1 (ko) 건축자재
KR100918179B1 (ko) 건축물 내부의 습도를 조절해주는 히팅용기를 이용하여 건축물에 함유된 독성을 중화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방법
KR20000033319A (ko) 황토접착제
KR200440050Y1 (ko) 침대용 건강 매트리스
KR100508461B1 (ko) 포죠란 분말을 이용한 초배지
KR101018030B1 (ko) 황토내장재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