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0889B1 -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0889B1
KR100720889B1 KR1020050057417A KR20050057417A KR100720889B1 KR 100720889 B1 KR100720889 B1 KR 100720889B1 KR 1020050057417 A KR1020050057417 A KR 1020050057417A KR 20050057417 A KR20050057417 A KR 20050057417A KR 100720889 B1 KR100720889 B1 KR 100720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ishing
groove
fishing line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2109A (ko
Inventor
하청
Original Assignee
하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청 filed Critical 하청
Priority to KR1020050057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0889B1/ko
Publication of KR2007000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0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0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6Apparatus on l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utomatic hoo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바늘(200)에 외력이 작용하면 낚시바늘(200)에 연결된 낚시줄(100)이 유격홈(14)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돌기(42)를 잡아당겨 걸림돌기(42)의 고정을 해제하고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0)이 늘어나면서 하부지지축(40)이 빠르게 상승하여 돌기고리(43)에 연결된 낚시줄(100)을 빠르게 잡아당김으로써 낚시줄(100)에 매달린 낚시바늘(200)이 상승되어 물고기가 순식간에 낚시바늘에 걸리도록 하는 낚시용 순간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낚시바늘, 낚시줄, 유격홈, 걸림돌기, 스프링

Description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QUICK CAPTURING APPARATUS FOR FISHING}
도 1은 본 발명의 낚시용 순간포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낚시용 순간포획장치를 나태낸 분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낚시용 순간포획장치를 나태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낚시용 순간포획장치를 나태낸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 낚시용 순간포획장치를 나태낸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낚시용 순간포획장치가 낚시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태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지지통 12: 상부고정홈
14: 하부고정홈 16, 18: 고정나사홈
20: 상부뚜껑 22: 상부통과홈
26: 고정나사홈 30: 하부뚜껑
32: 하부통과홈 36: 고정나사홈
40, 40-1: 하부지지축 42, 42-1: 걸림돌기
43, 43-1: 돌기고리 44, 44-1: 유격돌기
46, 46-1: 고정고리 47: 걸림축홈
50: 상부지지축 60: 스프링
100: 낚시줄 200: 낚시바늘
본 발명은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바늘(200)에 외력이 작용하면 낚시바늘(200)에 연결된 낚시줄(100)이 유격홈(14)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돌기(42)를 잡아당겨 걸림돌기(42)의 고정을 해제하고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0)이 늘어나면서 하부지지축(40)이 빠르게 상승하여 돌기고리(43)에 연결된 낚시줄(100)을 빠르게 잡아당김으로써 낚시줄(100)에 매달린 낚시바늘(200)이 상승되어 물고기가 순식간에 낚시바늘에 걸리도록 하는 낚시용 순간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대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낚시에 있어서 물고기가 미끼를 건드릴 때의 느낌을 낚시대를 잡고 있는 손의 촉각으로만 느끼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통상 낚시바늘을 일정 수심으로 유지시켜주는 부표인 낚시찌의 움직임을 보고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입질로 인한 낚시찌의 움직임과 물결이나 바람에 의한 낚시찌의 움직임을 구별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낚시찌가 움직일 때 민첩하게 움직이지 않으면 물고기가 미끼만 빼서 달아나게 되므로, 초보자들의 경우 물고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낚시바늘(200)에 외력이 작용하면 낚시바늘(200)에 연결된 낚시줄(100)이 유격홈(14)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돌기(42)를 잡아당겨 걸림돌기(42)의 고정을 해제하고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0)이 늘어나면서 하부지지축(40)이 빠르게 상승하여 돌기고리(43)에 연결된 낚시줄(100)을 빠르게 잡아당김으로써 낚시줄(100)에 매달린 낚시바늘(200)이 상승되어 물고기가 순식간에 낚시바늘에 걸려 물고기를 재빠르게 포획하게 된다.
본 발명은 원통의 중간에 상부고정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홈(12)의 하부에 하부고정홈(14)이 형성되며 상단외주 및 하단외주에 고정나사홈(16, 18)이 형성된 원통형 형태의 지지통(10); 상기 지지통(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에 상부통과홈(22)이 형성되고 하단내주에 고정나사홈(26)이 형성된 상부뚜껑(20); 상기 지지통(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하부통과홈(32)이 형성되고 상단내주에 고정나사홈(36)이 형성된 하부뚜껑(30); 상기 지지통(10)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단은 원기둥축으로 형성되고 원기둥축의 하단은 관의 직경이 축소된 축관축이 형성되며 축관축의 상부에 고정고리(46)가 형성되고 축관축의 하단은 관의 직경이 확장되며 중심에 걸림축홈(47)이 형성된 원통축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축의 상단은 굴곡되어 전방축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축관축의 상단에는 걸림돌기(4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42)의 후단에는 낚시줄(100)이 연결된 돌기고리(4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42)의 하부에는 유격돌기(44)가 형성된 하부지지축(40); 상기 지지통(10) 내부의 하부지지축(40) 상단에 내장되며, 하부는 원기둥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위에서 축관된 원기둥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낚시줄(100)이 연결된 상부지지축(50); 하부지지축(40)의 원통축 외주에 장착된 스프링(6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낚시바늘(200)에 외력이 작용하면 낚시바늘(200)에 연결된 낚시줄(100)이 유격홈(14)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돌기(42)를 잡아당겨 걸림돌기(42)의 고정을 해제하고,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0)이 늘어나면서 하부지지축(40)이 빠르게 상승하여 돌기고리(43)에 연결된 낚시줄(100)을 빠르게 잡아당김으로써 낚시줄(100)에 매달린 낚시바늘(200)이 상승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순간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의 중간에 상부고정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홈(12)의 하부에 하부고정홈(14)이 형성되며 상단외주 및 하단외주에 고정나사홈(16, 18)이 형성된 원통형 형태의 지지통(10); 상기 지지통(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에 상부통과홈(22)이 형성되고 하단내주에 고정나사홈(26)이 형성된 상부뚜껑(20); 상기 지지통(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하부통과홈(32)이 형성되고 상단내주에 고정나사홈(36)이 형성된 하부뚜껑(30); 상기 지지통(10)의 내부에 내장되며, 중간부위는 중심에 걸림축홈(47-1)이 형성된 원통축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축의 하단은 관의 직경이 축소된 축관축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축의 상단은 관의 직경이 축소된 축관축이 형성되며 상기 축관축의 하부에 고정고리(46-1)가 형성되고 상기 축관축의 상단은 굴곡되어 전방축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축관축의 상단에는 유격돌기 (44-1)가 형성되며 상기 유격돌기(44-1)의 하부에는 걸림돌기(42-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42-1)의 후단에는 낚시줄(100)이 연결된 돌기고리(43-1)가 형성된 하부지지축(40-1); 상기 지지통(10) 내부의 하부지지축(40-1) 상단에 내장되며, 하부는 원기둥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위에서 축관된 원기둥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낚시줄(100)이 연결된 상부지지축(50); 하부지지축(40-1)의 원통축 외주에 장착된 스프링(6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낚시바늘(200)에 외력이 작용하면 낚시바늘(200)에 연결된 낚시줄(100)이 유격홈(14)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돌기(42-1)를 잡아당겨 걸림돌기(42-1)의 고정을 해제하고,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0)이 늘어나면서 하부지지축(40-1)이 빠르게 상승하여 돌기고리(43-1)에 연결된 낚시줄(100)을 빠르게 잡아당김으로써 낚시줄(100)에 매달린 낚시바늘(200)이 상승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순간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조 및 작동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물속에서 사용되는 특성상 전체적으로 원기둥형태, 원통형태 및 다각형의 통형태 외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사용시 물의 저항을 보다 적게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낚시용 순간포획장치는 상부에 연결되어 있는 낚시줄(100)은 상부의 낚시대에 연결하고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낚시줄(100)은 낚시바늘(21)과 연결하여 설치한다.
본 발명의 낚시용 순간포획장치에 있어서 상부뚜껑(20)의 상부통과홈(22)으로 튀어나와 돌출된 상부지지축(50)의 상단에는 낚시줄(100)이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된 후 낚시대에 연결되고, 하부뚜껑(30)의 하부통과홈(32)으로 튀어나와 돌출된 낚시줄(100)은 지지통(10)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낚시바늘(200)에 연결되게 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순간포획장치에 있어서 걸림돌기(42)는 유격홈(14)에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링(60)은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지지축(40)이 강제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낚시를 하기위한 준비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순간포획장치를 물속에 담가놓은 후 물고기가 낚시바늘(200)의 미끼를 잡아당기게 되면 낚시바늘(200)에 연결된 낚시줄(100)이 유격홈(14)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돌기(42)를 잡아당겨 걸림돌기(42)의 고정을 해제하고,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0)이 늘어나면서 하부지지축(40)이 빠르게 상승하여 돌기고리(43)에 연결된 낚시줄(100)을 빠르게 잡아당김으로써 낚시줄(100)에 매달린 낚시바늘(200)이 상승하게 되고 하부지지축(40)에 매달린 낚시바늘(200)을 잡아당긴 물고기를 재빠르게 포획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는 낚시바늘(200)의 단계적인 견인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포획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포획목적이 되는 물고기의 크기 및 무게에 맞게 본 발명의 장치를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서 하부지지축(40)은 하부지지축(40)의 상단에 걸림돌기(4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42)의 후단에 돌기고리(4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42)의 하부에는 유격돌기(44)가 형성된 것이다. 그런데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형태로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 하부지지축(40-1)은 하부지지축(40-1)의 상단에 유격돌기(44-1)가 형성되며 상기 유격돌기(44-1)의 하부에 걸림돌기(42-1)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42-1)의 후단에 돌기고리(43-1)가 형성된 것이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순간포획장치를 물속에 담가놓은 후 물고기가 낚시바늘(200)의 미끼를 잡아당기게 되면 낚시바늘(200)에 연결된 낚시줄(100)이 유격홈(14)에 고정되어 있는 유격돌기(44-1)를 잡아당겨 유격돌기(44-1)의 고정을 해제하고,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0)이 늘어나면서 하부지지축(40-1)이 빠르게 상승하여 돌기고리(43-1)에 연결된 낚시줄(100)을 빠르게 잡아당김으로써 낚시줄(100)에 매달린 낚시바늘(200)이 상승하게 되고 하부지지축(40-1)에 매달린 낚시바늘(200)을 잡아당긴 물고기를 재빠르게 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의 숙련된 기술과 민첩한 동작 없이도, 미끼를 건드린 물고기가 빠르게 낚시바늘에 걸리도록 하여 미끼의 낭비를 방지하고 낚시의 성공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낚시를 좀더 편리하고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전한 레져스포츠로서 각광받고 있는 낚시의 저변확대와 관련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다.

Claims (2)

  1. 원통의 중간에 상부고정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고정홈(12)의 하부에 하부고정홈(14)이 형성되며 상단외주 및 하단외주에 고정나사홈(16, 18)이 형성된 원통형 형태의 지지통(10); 상기 지지통(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에 통과홈(22)이 형성되고 하단내주에 고정나사홈(26)이 형성된 상부뚜껑(20); 상기 지지통(1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에 통과홈(32)이 형성되고 상단내주에 고정나사홈(36)이 형성된 하부뚜껑(30); 상기 지지통(10)의 내부에 내장되며, 상단은 원기둥축으로 형성되고 원기둥축의 하단은 관의 직경이 축소된 축관축이 형성되며 축관축의 상부에 고정고리(46)가 형성되고 축관축의 하단은 관의 직경이 확장되며 중심에 걸림축홈(47)이 형성된 원통축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축의 상단은 굴곡되어 전방축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축관축의 상단에는 걸림돌기(42)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42)의 후단에는 낚시줄(100)이 연결된 돌기고리(4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42)의 하부에는 유격돌기(44)가 형성된 하부지지축(40); 상기 지지통(10) 내부의 하부지지축(40) 상단에 내장되며, 하부는 원기둥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위에서 축관된 원기둥축으로 형성되며 상단에 낚시줄(100)이 연결된 상부지지축(50); 및 하부지지축(40)의 원통축 외주에 장착된 스프링(6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낚시바늘(200)에 외력이 작용하면 낚시바늘(200)에 연결된 낚시줄(100)이 유격홈(14)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돌기(42)를 잡아당겨 걸림돌기(42)의 고정을 해제하고,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0)이 늘어나면서 하부지지축(40)이 빠르게 상승하여 돌기고리(43)에 연결된 낚시줄(100)을 빠르게 잡아당김으로써 낚시줄(100)에 매달린 낚시바늘(200)이 상승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순간포획장치.
  2. 삭제
KR1020050057417A 2005-06-30 2005-06-30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KR100720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417A KR100720889B1 (ko) 2005-06-30 2005-06-30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417A KR100720889B1 (ko) 2005-06-30 2005-06-30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109A KR20070002109A (ko) 2007-01-05
KR100720889B1 true KR100720889B1 (ko) 2007-05-23

Family

ID=3786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417A KR100720889B1 (ko) 2005-06-30 2005-06-30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0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9504A (zh) * 2017-08-03 2017-12-08 王龙 一种防止鱼打桩的辅助渔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7439A (zh) * 2017-02-23 2017-06-20 杨永春 一种自动钓鱼钩
CN108935355B (zh) * 2018-10-11 2020-12-22 陈达 一种自动式鱼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809A (ko) * 1998-06-23 2000-01-15 송진호 낚시 포획구
KR200227106Y1 (ko) 2001-01-12 2001-06-15 문주연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
KR200249270Y1 (ko) 2001-05-08 2001-11-16 이방현 자동포획낚시장치
KR20020000271A (ko) * 2000-06-22 2002-01-05 김동조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809A (ko) * 1998-06-23 2000-01-15 송진호 낚시 포획구
KR20020000271A (ko) * 2000-06-22 2002-01-05 김동조 황토가 함침된 부직포와 그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227106Y1 (ko) 2001-01-12 2001-06-15 문주연 물고기 자동 포획장치
KR200249270Y1 (ko) 2001-05-08 2001-11-16 이방현 자동포획낚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271060000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9504A (zh) * 2017-08-03 2017-12-08 王龙 一种防止鱼打桩的辅助渔具
CN107439504B (zh) * 2017-08-03 2020-08-11 王龙 一种防止鱼打桩的辅助渔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109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1546B2 (en) Case Structure for Housing Fishing Hook and its Fixing Method
KR100720889B1 (ko)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CN107593648A (zh) 一种自动起竿钓鱼架
NZ196862A (en) Noose of trap attached to anchor through spring: spring not extendable beyond elastic limit
US7334367B2 (en) Fishing rod with casting mechanism
KR101216718B1 (ko) 원터치형 새우 채집 장치
US5309667A (en) Lacchia leg snare
KR101089140B1 (ko) 이단자립 낚시찌
KR100485037B1 (ko)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KR20200108605A (ko) 자동 포획 낚시장치
JP2007037423A (ja) 捕獣用罠
WO2010115849A2 (en) An animal trap incorporating a bait container
JP2011030507A (ja) 小動物捕獲装置
RU2314685C1 (ru) Подледная жерлица с объемным сигнализатором
KR100471681B1 (ko) 입질 감지장치를 구비한 낚시 받침대
KR200251189Y1 (ko) 접이식 새우 포획망
CN207400229U (zh) 一种自动起竿钓鱼架
KR200377258Y1 (ko)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TWM580875U (zh) Safety trap spring structure improvement
KR200316173Y1 (ko) 입질 감지장치를 구비한 낚시 받침대
JP2015218038A (ja) 鳥獣防護ネット
KR100326169B1 (ko) 잠자리채
US7461475B2 (en) Device with an automatic strike preferably usable for fishing
KR200437567Y1 (ko) 낚시장치
KR100795521B1 (ko) 낚시찌 회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