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037B1 -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037B1
KR100485037B1 KR10-2004-0106011A KR20040106011A KR100485037B1 KR 100485037 B1 KR100485037 B1 KR 100485037B1 KR 20040106011 A KR20040106011 A KR 20040106011A KR 100485037 B1 KR100485037 B1 KR 100485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winding
main body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761A (ko
Inventor
이주동
Original Assignee
이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동 filed Critical 이주동
Priority to KR10-2004-0106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037B1/ko
Publication of KR2005000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로서 낚시바늘(21)에 외력이 가해지면 권취축(30)에 연결되어 감겨있던 태엽스프링(32)이 풀리면서 태엽스프링(32)과 연결된 권취축(30)의 회전으로 낚시대에 연결된 낚시줄(20)이 귄취축(30)에 권취됨에 따라 본체(10)가 상승됨으로써, 물고기가 본체(10)에 연결된 낚시바늘(21)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의 숙련된 기술과 민첩한 동작 없이도, 미끼를 건드린 물고기가 낚시바늘(21)에 걸리도록 하여, 미끼의 낭비를 방지하고 낚시의 성공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낚시를 좀더 편리하고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전한 레져스포츠로서 각광받고 있는 낚시의 저변확대와 관련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WINDING TYPE QUICK CAPTURING APPARATUS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로서 낚시바늘(21)에 외력이 가해지면 권취축(30)에 연결되어 감겨있던 태엽스프링(32)이 풀리면서 태엽스프링(32)과 연결된 권취축(30)의 회전으로 낚시대에 연결된 낚시줄(20)이 귄취축(30)에 권취됨에 따라 본체(10)가 상승됨으로써, 물고기가 본체(10)에 매달린 낚시바늘(21)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낚시대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낚시에 있어서, 물고기가 미끼를 건드릴 때의 느낌을 낚시대를 잡고 있는 손의 촉각으로만 느끼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통상 낚시바늘(21)을 일정 수심으로 유지시켜주는 일종의 부표(浮標)인 낚시찌의 움직임을 보고 물고기의 입질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입질로 인한 낚시찌의 움직임과 물결이나 바람에 의한 낚시찌의 움직임을 구별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낚시찌가 움직일 때 민첩하게 움직이지 않으면 물고기가 미끼만 빼서 달아나게 되므로, 초보자들의 경우 물고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낚시바늘(21)에 외력이 가해지면 권취축(30)에 연결된 태엽스프링(32)이 풀리면서 순간적으로 권취축(30)이 회전되어 상부의 낚시줄(20)을 감아서 당기므로 본체(10)가 상승됨으로써, 물고기가 순식간에 낚시바늘(21)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0) 내에 태엽스프링(32)의 일단과 고정된 권취축(30)이 설치되고 권취축(30)에는 낚시대의 낚시줄(20)이 연결되되 일측에는 권취축(30)을 고정하고 해제하는 멈춤판(40)이 설치된 구조로서, 물고기가 낚시바늘(21)에 걸린 미끼를 건드리면, 낚시바늘(21)과 연결된 멈춤판(40)이 권취축(30)의 고정을 해제하면서 태엽스프링(32)이 풀리게되고 본체(10)가 상승하여 낚시바늘(21)이 물고기를 재빠르게 포획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조 및 작동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물속에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전체적으로 곡선의 외형으로 이루어져, 사용시 물의 저항을 보다 적게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체(10)의 내부에는 권취축(30)이 설치되는데 권취축(30)과 본체(10)에는 태엽스프링(32)의 양단이 연결된다.
이때, 권취축(30)의 일측면에는 권취기어(31)가 형성되며, 권취기어(31)의 하단에는 기어를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하는 멈춤판(40)이 권취기어(31)의 이와 접촉되는데, 권취기어(31)는 도면에서와 같이 래칫(RATCHET)기어로 형성된다.
권취축(30)에는 낚시줄(20)이 권취되어 본체(10) 상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후 낚시대에 연결되고, 멈춤판(40)에도 낚시줄(20)이 연결되어 본체(10)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낚시바늘(21)에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연결과정에서 처음에 태엽스프링(32)을 감기 위하여 권취축(30)에 권취된 낚시줄(20)을 위로 잡아당기면 권취축(30)과 연결되어있는 태엽스프링(32)이 강하게 감기게 되고 멈춤판(40)이 권취기어(31)의 이에 밀착됨으로써 권취기어(31)를 강제고정하게 되어 낚시를 하기위한 준비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멈춤판(40)은 본체(10) 외부의 고정버튼(11)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권취기어(31)에서 멈춤판(40)을 임의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취축(30)에 연결되어 있는 낚시줄(20)은 상부의 낚시대에 연결하고, 멈춤판(40)과 연결되어 있는 낚시줄(20)은 낚시바늘(21)과 연결하여 본 발명을 설치한다.
이때, 권취축(30)에 연결되어있던 태엽스프링(32)이 권취축(30)의 회전과 함께 감기게되고 권취축(30)은 연결된 멈춤판(40)으로 인하여 강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물속에 담가놓은 후 물고기가 낚시바늘(21)의 미끼를 잡아당기게 되면 낚시바늘(21)에 연결된 낚시줄(20)이 멈춤판(40)을 하강시키게 되고, 강제고정되어 있던 태엽스프링(32)이 풀리면서 권취축(30)이 빠르게 회전하게되고 낚시대에 연결된 낚시줄(20)이 권취축(30)에 신속히 권취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체(10)가 상승하게 되고 본체(10)에 매달린 낚시바늘(21)을 잡아당긴 물고기를 재빠르게 포획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권취기어(31)를 일반적인 평기어로 형성하되 멈춤판(40)을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하여 멈춤판(40)에 연결된 낚시줄(20)에 외력이 가해질때 탄성을 가진 멈춤판(40)이 완만하게 만곡되면서 권취축(30)에서 이탈하여 권취축(30)의 회전이 이루어지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멈춤판(40)의 자체탄성으로 인하여 권취축(30)의 회전을 신속하게 정지하게 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로 구성된 본 발명은 낚시바늘(21)의 단계적인 견인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포획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포획목적이 되는 물고기의 크기 및 무게에 맞게 본 발명을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탄성을 가진 멈춤판(40)이 형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로써, 설치과정 및 작동 원리는 동일하나 본체(10) 외부의 고정버튼(11)이 필요하지않고 낚시바늘(21)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멈춤판(40)이 탄성에 의하여 신속히 권취기어(31)에 접촉하여 권취기어(31)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단계적인 낚시줄(20)의 권취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권취축(30)과 본체(10)에는 태엽스프링(32)의 양단이 연결되고, 권취축(30)에는 권취기어(31)가 연결되되, 권취기어(31)는 래칫(RATCHET)기어로 형성되며, 권취기어(31)의 하부에는 멈춤판(40)이 설치되되, 멈춤판(40)은 본체(10) 외부의 고정버튼(11)과 연결되고, 권취축(30)에는 낚시줄(20)이 권취되어 본체(10) 상부를 관통하여 낚시대에 연결되며, 멈춤판(40)에는 낚시줄(20)이 연결되어 본체(10) 하부를 관통하여 낚시바늘(21)에 연결되고, 낚시바늘(21)에 외력이 작용하면 낚시바늘(21)에 연결된 낚시줄(20)이 멈춤판(40)을 잡아당겨 권취기어(31)의 고정을 해제하고, 감겨있던 태엽스프링(32)이 풀리면서 권취축(30)이 빠르게 회전하여, 권취축(30)에 연결된 낚시줄(20)을 빠르게 권취함으로써 본체(10)가 상승하여 본체(10)에 매달린 낚시바늘(21)이 상승됨을 특징으로 하는 귄취식 낚시용 순간포획장치이고 또한, 권취축(30)과 본체(10)에는 태엽스프링(32)의 양단이 연결되고, 권취축(30)에는 권취기어(31)가 연결되되, 권취기어(31)는 평기어로 형성되며, 권취기어(31)의 하부에는 탄성소재의 멈춤판(40)이 설치되고, 권취축(30)에는 낚시줄(20)이 권취되어 본체(10) 상부를 관통하여 낚시대에 연결되며, 멈춤판(40)에는 낚시줄(20)이 연결되어 본체(10) 하부를 관통하여 낚시바늘(21)에 연결되고, 낚시바늘(21)에 외력이 작용하면 낚시바늘(21)에 연결된 낚시줄(20)이 멈춤판(40)을 잡아당겨 권취기어(31)의 고정을 해제하고, 감겨있던 태엽스프링(32)이 풀리면서 권취축(30)이 빠르게 회전하여, 권취축(30)에 연결된 낚시줄(20)을 빠르게 권취함으로써 본체(10)가 상승하여 본체(10)에 매달린 낚시바늘(21)이 상승됨을 특징으로 하는 귄취식 낚시용 순간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사용자의 숙련된 기술과 민첩한 동작 없이도, 미끼를 건드린 물고기가 빠르게 낚시바늘(21)에 걸리도록 하여, 미끼의 낭비를 방지하고 낚시의 성공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낚시를 좀더 편리하고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전한 레져스포츠로서 각광받고 있는 낚시의 저변확대와 관련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본체
11 : 고정버튼
20 : 낚시줄
21 : 낚시바늘
30 : 귄취축
31 : 귄취기어
32 : 태엽스프링
40 : 멈춤판

Claims (2)

  1. 권취축(30)과 본체(10)에는 태엽스프링(32)의 양단이 연결되고;
    권취축(30)에는 권취기어(31)가 연결되되;
    권취기어(31)는 래칫(RATCHET)기어로 형성되며;
    권취기어(31)의 하부에는 멈춤판(40)이 설치되되;
    멈춤판(40)은 본체(10) 외부의 고정버튼(11)과 연결되고;
    권취축(30)에는 낚시줄(20)이 권취되어 본체(10) 상부를 관통하여 낚시대에 연결되며;
    멈춤판(40)에는 낚시줄(20)이 연결되어 본체(10) 하부를 관통하여 낚시바늘(21)에 연결되고;
    낚시바늘(21)에 외력이 작용하면 낚시바늘(21)에 연결된 낚시줄(20)이 멈춤판(40)을 잡아당겨 권취기어(31)의 고정을 해제하고, 감겨있던 태엽스프링(32)이 풀리면서 권취축(30)이 빠르게 회전하여, 권취축(30)에 연결된 낚시줄(20)을 빠르게 권취함으로써 본체(10)가 상승하여 본체(10)에 매달린 낚시바늘(21)이 상승됨을 특징으로 하는 귄취식 낚시용 순간포획장치.
  2. 권취축(30)과 본체(10)에는 태엽스프링(32)의 양단이 연결되고;
    권취축(30)에는 권취기어(31)가 연결되되;
    권취기어(31)는 평기어로 형성되며;
    권취기어(31)의 하부에는 탄성소재의 멈춤판(40)이 설치되고;
    권취축(30)에는 낚시줄(20)이 권취되어 본체(10) 상부를 관통하여 낚시대에 연결되며;
    멈춤판(40)에는 낚시줄(20)이 연결되어 본체(10) 하부를 관통하여 낚시바늘(21)에 연결되고;
    낚시바늘(21)에 외력이 작용하면 낚시바늘(21)에 연결된 낚시줄(20)이 멈춤판(40)을 잡아당겨 권취기어(31)의 고정을 해제하고, 감겨있던 태엽스프링(32)이 풀리면서 권취축(30)이 빠르게 회전하여, 권취축(30)에 연결된 낚시줄(20)을 빠르게 권취함으로써 본체(10)가 상승하여 본체(10)에 매달린 낚시바늘(21)이 상승됨을 특징으로 하는 귄취식 낚시용 순간포획장치.
KR10-2004-0106011A 2004-12-15 2004-12-15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KR100485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011A KR100485037B1 (ko) 2004-12-15 2004-12-15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011A KR100485037B1 (ko) 2004-12-15 2004-12-15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005U Division KR200377258Y1 (ko) 2004-12-01 2004-12-01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761A KR20050002761A (ko) 2005-01-10
KR100485037B1 true KR100485037B1 (ko) 2005-04-22

Family

ID=3721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011A KR100485037B1 (ko) 2004-12-15 2004-12-15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0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12B1 (ko) * 2013-08-26 2014-01-17 김재승 자동 챔질 기능이 구비된 수중찌
WO2015064778A1 (ko) * 2013-10-29 2015-05-07 김재승 자동 챔질 및 어신 감지 기능이 구비된 낚시찌
CN104872088A (zh) * 2015-06-15 2015-09-02 王太省 智能细线钓大鱼控制器以及安装上述控制器的钓鱼竿
KR101786196B1 (ko) 2015-09-07 2017-10-17 김재승 자동 챔질기능이 구비된 수중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890B1 (ko) * 2005-07-08 2007-05-23 하청 낚시용 권취 포획장치
KR102626809B1 (ko) * 2021-08-26 2024-01-18 전민성 자동 챔질 기능을 갖는 낚시용 수중 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912B1 (ko) * 2013-08-26 2014-01-17 김재승 자동 챔질 기능이 구비된 수중찌
WO2015064778A1 (ko) * 2013-10-29 2015-05-07 김재승 자동 챔질 및 어신 감지 기능이 구비된 낚시찌
KR101526237B1 (ko) * 2013-10-29 2015-06-09 김재승 자동 챔질 및 어신 감지 기능이 구비된 낚시찌
CN104872088A (zh) * 2015-06-15 2015-09-02 王太省 智能细线钓大鱼控制器以及安装上述控制器的钓鱼竿
KR101786196B1 (ko) 2015-09-07 2017-10-17 김재승 자동 챔질기능이 구비된 수중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761A (ko) 200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037B1 (ko)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US2694875A (en) Fishing attachment for fishing lines
US6493981B2 (en) Slip bobber with hook setting device
KR200377258Y1 (ko)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US6421949B1 (en) Ichthyological resuscitation apparatus
US2009298A (en) Automatic grab fishhook
US4998375A (en) Retractable wire barb for fish hook
JP5475365B2 (ja) 魚釣り用捕獲器
KR100720889B1 (ko)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KR200217473Y1 (ko) 어신감지용 낚시기구
CN209931272U (zh) 一种鱼竿
US3332121A (en) Fish stringer
US2753130A (en) Line fishing implement
CN207444058U (zh) 一种触发式鱼竿
JPH11113447A (ja) 釣針・釣具および疑似餌
CN106212402B (zh) 一种绑钩器及操作方法
US2591204A (en) Fishing reel
US4400902A (en) Automatic fishing apparatus
JP2004329036A (ja) フカセ釣り用浮き
US4398368A (en) Fish catcher
CN109619054B (zh) 一种鱼竿
US2718090A (en) Trap-like fishing device
JPS6334532Y2 (ko)
EP3911155B1 (en) An angling device
JP2017209092A (ja) 蛸釣り仕掛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