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017Y1 -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Google Patents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5017Y1 KR200205017Y1 KR2020000018366U KR20000018366U KR200205017Y1 KR 200205017 Y1 KR200205017 Y1 KR 200205017Y1 KR 2020000018366 U KR2020000018366 U KR 2020000018366U KR 20000018366 U KR20000018366 U KR 20000018366U KR 200205017 Y1 KR200205017 Y1 KR 20020501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frame
- wheelchair
- fixed
- electric mo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편이를 위하여 구조 변경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좌석 및 등받이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여 바닥에 근접될 때 까지 내려 앉을 수 있으며, 특히 좌석은 전후방향으로 기동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방바닥이나 차량 등으로 쉽게 자리를 옮기도록 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좌석에는 그 가운데에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용변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구성은, 바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직립 프레임과; 상기 고정 직립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며, 제 1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직립 프레임상에 연동되는 좌석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 지지 프레임과; 상기 좌석 프레임의 저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발판과; 상기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수단과; 상기 승강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 2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좌석 판재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좌석 이송장치가 더욱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형상 변경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자립하여 움직이기 곤란한 환자 또는 장애인 등을 위하여 휠체어가 제공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휠체어에 의지하는 환자 등은 보호자의 도움에 의해서만 방바닥, 침대 또는 차량으로 옮겨 탈 수 있는 정형적인 구조를 가진다. 또한, 용변시에도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야만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근래에는 사용자의 편이를 위해 전동식 휠체어가 보급되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기동성 향상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제공되어 왔던 휠체어는 환자 또는 장애자의 기초적 활동의 편이를 위한 세밀한 배려는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다. 즉, 휠체어에 올라 타는 문제, 또는 휠체어로부터 내려 특정 장소로 몸을 이동시키는 문제 또는 용변문제 등과 같은 세밀한 배려가 요구된다 하겠다.
위와 같은 요구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휠체어 사용자의 활동범위를 넓힘에 의해 사용자 및 보호자의 편이에 기여하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여러 형태로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바닥, 차량으로부터 또는 그 역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휠체어에 탄 상태에서도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휠체어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바람직한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의 측면 구성도.
도 2는 승강장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배면 구성도.
도 3은 좌석의 전후방 이송장치를 도시하기 위한 휠체어의 개략적 저면도.
도 4는 등받이와 좌석이 서로 접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a는 좌석만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좌석의 용변 구멍의 다른 방식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직립 고정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의 연결 방식을 도시하는 개략적 단면도.
도 8은 제 1,2 블럭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직립 고정 프레임(8)과 등받이 프레임(12)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2의 C-C선의 따라 취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 ; 하부 프레임 8 ; 직립 고정 프레임
12 ; 등받이 프레임 16 ; 좌석 지지 프레임
20 ; 팔걸이 22 ; 스위치
24 ; 팔걸이 프레임 26, 58a, 58b ; 나사축
28, 56 ; 제 1, 2 전동모터 30, 60a,60b ; 제 1, 2블럭 40 ; 등받이 15 ; 좌석
42 ; 브레이크 레버 14 ; 롤러
44 ; 배터리 48 ; 발판
64, 64' 용변 구멍 66, 66' ; 용변 구멍 개폐 뚜껑
위와 같은 목적은, 좌석과, 등받이 및 바퀴를 가지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바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고정 프레임과; 상기 직립 고정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며, 제 1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직립 프레임상에 연동되는 좌석 지지 프레임 및 등받이 지지 프레임과; 상기 좌석 지지 프레임의 저부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는 발판과; 상기 전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수단과; 상기 승강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제 2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상기 좌석 판재를 전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좌석 이송장치가 더욱 포함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좌석은 그의 가운데에 용변 구멍이 형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승강장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배면 구성도이다.
전방 및 후방에 각각 1쌍의 바퀴(2,4)가 하부프레임(6)에 장착된다. 전방에 고정되는 바퀴(2)는 방향 전환을 용이하게 하도록 회전 롤러방식 또는 캐스터 방식을 취한다. 후방에 고정되는 바퀴(4)는 완충기능과 하중 지지기능을 위하여 타이어 형식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바퀴에는 구동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휠체어 사용자는 보호자의 도움으로 기동할 수 있다. 그러나 단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사용자 스스로도 휠체어를 기동하기 위한 공지의 보조 핸들이 부착되는 방식일 수 있다.
직립 고정 프레임(8)은 하부 프레임(6)의 후방 상부에 안착되어 상방향을 향해 직립한다. 하부 프레임(6)과 직립 고정 프레임(8)의 연결 구조는 사용자의 몸무게 전체를 지지하는 구조이어야 하므로, 그의 설계는 이와 같은 취지에 입각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직립 고정 프레임(8)은 후방으로 비스듬히 설치되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하부 프레임(6)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안착된다.
보호자로 하여금 휠체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10)가 직립 고정 프레임(10)의 상단에 제공된다.
등받이 프레임(12)은 직립 고정 프레임(8)의 중간 지점에 설치되며, 후술되는 승강장치에 의해 화살표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기동이 가능하다. 등받이 프레임(12)과 직립 고정 프레임(8)은 지지 롤러(14, 도 9 참조)를 매개수단으로 하여 마모 또는 소음이 없는 유연한 상대적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 롤러(14)는 등받이 프레임(12)과 일체로 제공되어 그의 상하 운동에 의해 직립 고정 프레임과 접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도 9는 직립 고정 프레임(8)과 등받이 프레임(12)의 연결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2의 C-C선의 따라 취한 일부 단면도이다. 플라스틱재인 2개의 롤러(14)는 등받이 프레임(12)를 구성하는 횡프레임(12a)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롤러(14)는 등받이 프레임(12)이 그의 축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직립 고정 프레임(8)과 레일 방식으로 구름 접촉을 한다.
등받이 프레임(12)의 중간 지점에는 좌석(15)을 지지하는 좌석 지지 프레임(16)이 등받이 프레임(12)과 일정한 각도(90°- 110°)로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에 의하여, 좌석 지지 프레임은 승강장치에 의해 등받이 프레임과 함께 상하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등받이 프레임(12)과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연결부(18)는 힌지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좌석 지지 프레임(16)이 연결부(18)를 중심으로 들어 올려짐으로써 각각의 프레임 및 등받이와 좌석이 상호 접혀질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팔걸이(20)가 더욱 제공된다. 팔걸이(20)는 일반적인 암체어(Armchair)와 유사한 위치에 제공되며, 그의 전방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장치 및 이송장치를 제어할 할 수 있는 스위치수단(22)이 제공된다. 팔걸이(20)는 좌석 지지 프레임(16)과 일체되도록 팔걸이 프레임(24)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의해 팔걸이(20)는 좌석 지지 프레임(12)과 함께 상하이동될 수 있으며, 좌석 지지 프레임(16)과 함께 들어 올려짐으로써 등받이 프레임(12)을 향해 접혀질 수 있게 된다(도 4 참조).
도 2를 참조하면, 승강장치는 직립 고정 프레임(8)의 중간 지점 세로 방향으로 고정된 센터 나사축(26)과, 상기 센터 나사축(26)을 회전시키는 제 1 전동 모터(28)와, 상기 나사축(26)을 따라 상하 운동되는 제 1 블럭(30)으로 구성된다.
제 1 블럭(30)은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중앙부(32)는 나사축(26)과 나사 결합되며, 양측부(34a,34b)는 역시 직립 고정 프레임(8)에 세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봉(36a,36b)의 외주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도 8 참조).
제 1 블럭(30)은 등받이 프레임(12)을 구성하는 횡프레임(38) 내지 등받이(40)에 견고히 체결됨으로써, 등받이 프레임(12) 및 좌석 지지 프레임(16)을 동시에 상하강시키게 하는 것으로서, 승강장치와의 연결지점이다. 사용자의 몸무게 전체를 능히 지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제 1 블럭(30)과 등받이 프레임(12)의 결합은 충분히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 1 전동 모터(28)의 회전 운동은 등받이 프레임(12) 및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직립 고정 프레임(8)의 근지점에는 수동에 의해 마치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와 같은 작동을 하는 브레이크 레버(42)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승강장치를 구동하는 원동력은 차량에 쓰이는 것과 같은 충전식 배터리(44)이지만, 단지 이에 구속되지 아니하고 외부의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배터리(44)는 하부 프레임(6)에 고정설치되는 배터리함(46)에 안착되며, 밴드(도시생략)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발판(48)은 그를 지지하는 프레임(50)에 의해 좌석(15)의 전방 하부 적정한 위치에 설치된다(도 1 참조). 발판 지지 프레임(50)은 힌지 연결된 2곳의 연결부(52,54)에 의해 점선 및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저부에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발판(48)의 위치를 특정 위치(펼쳐지거나 접혀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도시생략)이 각각의 연결부(52,54)에 제공된다.
발판(48)의 위와 같은 접철식 구조는 좌석(15)이 하방으로 기동되거나 또는 전방으로 기동될 때를 위해서 제공된다.
도 3은 좌석(15)의 전후방 이송장치를 도시하기 위한 휠체어의 개략적 저면도이다. 특히, 발판(48)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부(52,54)를 회전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다.
좌석 전후방 이송장치(이하, 이송장치라 한다)는 전술한 승강장치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기동된다. 좌석(15) 저부에는 상방향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하여 그를 지지하는 좌석 지지 프레임(16)이 등받이 프레임(도시생략)과 연결된 상태로 제공된다. 제 2 전동 모터(56)가 좌석 지지 프레임(16) 후방에 고정 설치된다. 제 2 전동모터(56)의 회전은 나사축(58a,58b)에 전달되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는 제 2 블럭(60a,60b)은 좌석(15)의 저면에 고정된다. 이에 의하면, 나사축(58a,58b)의 축회전에 의해 제 2 블럭(60a,60b) 및 좌석(15)은 함께 전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는 것이다.
제 2 전동모터(56)는 변속장치(62a,62b) 및 동력 케이블(64,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와이어 형태)에 의해 각각의 나사축(58a,58b)에 동일한 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 2 전동모터(56), 변속장치(62a,62b)는 좌석 지지 프레임(16)을 구성하는 고정프레임(16a)에 고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2 블럭(60)은 브래킷(61)에 의해 좌석의 저부에 고정된다.
도 3의 점선은 좌석(15)이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 즉 좌석 프레임(16)으로부터 이탈하여 전방을 향하여 전진된 상태를 간략하게 표시한다. 좌석과좌석 프레임의 마찰은 그 사이에 롤러 또는 베어링과 같은 구름수단(도시생략)의 설치에 의해 감소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휠체어는 차량의 트렁크에 보관될 수도 있는 등 이동성이 우수하게 된다.
도 4a,b는 휠체어가 분리된 상태 및 등받이와 좌석이 서로 접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석 지지 프레임(16)은 등받이 프레임(12)과의 연결부 일 곳(18)을 중심으로 하여 들어 올려짐으로써 도 4a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4b와 같이 하부 프레임(6)은 좌석 및 등받이을 포함하는 상부와 분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부 프레임(6)과 요크 방식으로 결합하는 2개의 요크(71)가 제공된다. 요크(71)는 직립 고정 프레임(8)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고정되는 회전 파이프(70)에 용접으로 고정된다. 회전 파이프(70)는 그의 일측에 고정되는 레버(72, 도 1 참조)에 의해 축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의해 요크(71)는 휠체어 상부가 하부 프레임(6)으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휠체어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레버를 당겨 요크(71)의 개방된 부위가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오도록 하고 휠체어의 상부 전체를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상호 접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소정의 공지 수단, 예를 들면 벨트 또는 나사와 나비너트 등은 그의 도시 및 설명이 생략되지만, 능히 구비될 수 있는 사항임은 자명하다.
직립 고정 프레임(8)과 하부 프레임(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 방식을 가진다. 즉, 직립 고정 프레임(8)과 하부 프레임(6)은 지게 및 지게 받침대와 유사한 결합방식을 가지므로 용이한 착탈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휠체어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되어 이동 또는 보관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합 방식은 좌석이 등받이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에도 적용된다. 즉, 등받이 프레임(12)을 구성하는 횡프레임(12)의 양단과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절곡부(16b)에 위와 같은 결합방식이 채용된다(도 1 참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좌석을 최하방 및 최전방으로 기동시킨 상태가 도 10에 도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용변을 위한 배려가 제공된다.
도 5a는 좌석(15)만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1개의 넓직한 용변 구멍(64)이 좌석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용변 구멍은 사용의 편이를 위해 적당한 크기로 형성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평상시에는 판자와 같은 뚜껑(66)에 의해 폐쇄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의 구체적 방식이 채용될 수 있으며, 그 가운데 하나는 구멍(64)의 테두리 부분에 단턱을 형성하고 그에 안착되는 방식의 뚜껑(66)을 씌우거나 열거나 하는 방식일 수 있다(도 6b 참조). 뚜껑(66)의 중간부에는 옴폭 패인 형식의 손잡이(68)가 제공된다.
도 6은 좌석의 용변 구멍의 다른 방식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미닫이식 뚜껑(68')은 좌석(15)과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측방으로 열려지거나 닫혀지게 된다. 용변시 사용자는 몸을 일측으로 기울이고 손잡이(68')를 측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용변 구멍(64')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때에 따라서, 미닫이식 뚜껑의 개폐방향은 도시된 바와는 다른 방향이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시 및 설명은 생략되지만, 용변 구멍(64,64')의 저부, 즉 좌석(15)의 저부에는 용변을 받을 수 있는 적당한 형상의 용변 용기(도시 생략)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위의 용변 용기는 외부에서 별도로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발판(48)을 소정의 각도로 위치 고정함으로써, 용변 용기의 받침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도 1 참조).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휠체어의 사용자는 휠체어로부터 이탈하여 자동차 또는 방, 소파 또는 바닥으로 이동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즉, 스위치를 작동하여 좌석을 하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방바닥과 같은 저지점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역도 마찬가지가 된다. 또한, 차량에 탑승시에 좌석을 전진 이동시키게 되면(도 1 또는 도 3 참조), 자동차의 도어 휀더에 걸리지 않고 차량 시트에 보다 인접한 상태까지 접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휠체어 탑승자는 보다 용이하게 차량에 오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역도 마찬가지가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좌석에 마련되는 용변 구멍에 의해 휠체어를 이탈하지 아니하고도 용변을 볼 수 있게 되어 거동이 거의 불가한 중환자 등에게 상당히 바람직하며, 보호자의 힘겨운 도움 없이도 용변을 볼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Claims (3)
- 좌석(15), 등받이(40) 및 바퀴(2,4)를 가지는 휠체어에 있어서,상기 바퀴를 지지하는 하부 프레임(6)과;상기 하부 프레임(6)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직립 고정 프레임(8)과;상기 직립 고정 프레임(6) 상에 세로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나사축(26) 및 가이드 봉(36a,36b)과; 상기 나사축(26)과는 나사결합하며 상기 가이드 봉과는 슬라이딩 운동되도록 결합되는 제 1 블럭(32)과; 상기 나사축(26)으로 하여금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제 1 전동 모터(28)를 포함하는 승강장치와;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블럭(3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등받이 프레임(12) 및 좌석 지지 프레임(16)과;상기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저부에 좌석 저부를 향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판 지지 프레임(50) 및 그의 상면에 고정되는 발판(48)과;상기 제 1 전동 모터(28)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4)와;상기 승강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지지 프레임(16)의 저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는 나사축(58a,58b)과; 상기 나사축(58a,58b)을 회전시키는 제 2 전동 모터(56)와; 상기 나사축에 나사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좌석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블럭(60a,60b)을 포함하는 좌석 이송장치와;상기 좌석 이송장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15)은 그의 가운데에 용변을 위한 용변 구멍(64) 및 그에 개폐되는 뚜껑(6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8366U KR200205017Y1 (ko) | 2000-06-27 | 2000-06-28 |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35777A KR20020001293A (ko) | 2000-06-27 | 2000-06-27 |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KR2020000018366U KR200205017Y1 (ko) | 2000-06-27 | 2000-06-28 |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35777A Division KR20020001293A (ko) | 2000-06-27 | 2000-06-27 |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5017Y1 true KR200205017Y1 (ko) | 2000-12-01 |
Family
ID=2663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8366U KR200205017Y1 (ko) | 2000-06-27 | 2000-06-28 |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501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0553B1 (ko) | 2016-10-04 | 2017-11-24 | 엘케이솔루션(주) |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전동의자 |
-
2000
- 2000-06-28 KR KR2020000018366U patent/KR20020501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0553B1 (ko) | 2016-10-04 | 2017-11-24 | 엘케이솔루션(주) | 노약자 및 장애인 전용 전동의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83653A (en) | Wheelchairs | |
US6443252B1 (en) | Passenger standing platform on a powered wheelchair | |
US8419124B2 (en) | Chair with movable arms and tables sections | |
CN202161502U (zh) | 能够在床与椅之间自动完成状态变换的轮椅 | |
KR101437374B1 (ko) | 가변형 휠체어 | |
AU2011257929A1 (en) | Mobility device | |
JP2748227B2 (ja) | 電動式車椅子 | |
GB2069969A (en) | Wheelchairs | |
KR102423485B1 (ko) | 승강과 이동이 가능한 하지마비 환자용 자동 승강-이동 체어 장치 | |
US4542917A (en) | Wheelchairs | |
KR101545158B1 (ko) | 접이식 전동 휠체어 | |
JP2007090020A (ja) | 自力乗り移り車椅子 | |
JP2004321630A (ja) | 電動車椅子 | |
JP7511929B2 (ja) | リフティング機能付き車いす | |
JP2009082568A (ja) | 障害者用車両の補助椅子 | |
KR200205017Y1 (ko) |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
KR20020001293A (ko) | 구조변경이 가능한 휠체어 | |
JP2003334216A (ja) | 車椅子 | |
JPH05220196A (ja) | 車椅子 | |
JP4199233B2 (ja) | 車椅子 | |
JPS6159734B2 (ko) | ||
JP2002186648A (ja) | 車椅子 | |
US20210330524A1 (en) | Transport Apparatus for a Weak Person | |
JP3613795B2 (ja) | 車椅子 | |
JPH1176323A (ja) | 介護用昇降座椅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90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