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788Y1 -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788Y1
KR200203788Y1 KR2020000016122U KR20000016122U KR200203788Y1 KR 200203788 Y1 KR200203788 Y1 KR 200203788Y1 KR 2020000016122 U KR2020000016122 U KR 2020000016122U KR 20000016122 U KR20000016122 U KR 20000016122U KR 200203788 Y1 KR200203788 Y1 KR 200203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nagement
input
processing unit
central process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우
Original Assignee
신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우 filed Critical 신동우
Priority to KR2020000016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7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관리에 필요한 사항들을 기록 및 보관 할 수 있는 차량관리 기록장치에 관한 것 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관리에 필요한 사항들을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계적인 입력 수단에 의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저장한 후에, 이를 외부의 출력 요청에 따라 화면상에 문자와 숫자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 및 이를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Electronic Memorandum For a Car}
본 고안은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 하게는 전자식 기록, 보관 및 출력이 가능한 차량관리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관리 기록장치는 종이에 일정한 형식으로 인쇄되어, 그 형식에 따라 사용자가 필기구를 이용하여 기록 하는 것과 전자수첩의 기능 일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의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그런데, 종이 재질과 필기구로 구성된 기록 장치의 경우 기록을 위해 서는 항상 필기구를 휴대 해야 하고, 부피가 크며, 장기간 사용 시 종이 재질의 특성상 빛이 바래거나, 구겨지고 찢겨질 우려가 있고, 이를 위한 고정장치가 없으므로 망실의 위험이 있다. 또한 전자수첩의 기능일부에 포함 되어 있는 기록장치의 경우 차량관리 기록장치 이외의 기능을 포함 하기위해서 생산 단가가 높아지고, 이들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차내에 상시 비치해 둘 수가 없으므로, 손가방이나 기타 다른 장소에 보관할 경우 필요할 때마다 이를 다른 보관장소로부터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식으로 데이터 기록, 보관 및 출력이 가능하여, 별도의 필기구를 준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간편 하고, 콤팩트한 사이즈와 고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차내 보관이 용이하며, 차량관리 기능 이외의 기능을 추가 시키지 않음으로써 코스트를 다운 시킴과 동시에 상시 차내 비치가 가능한 차량관리 기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A)(B)는 종래의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차량관리 기록부 구성도
도 2는 (A)(B)는 종래의 전자 수첩 형태의 구성도 및 동작 순서도
도 3은 (A)(B)는 본 고안의 차량관리 기록장치의 구성도 및 동작 순서도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A)와 고정장치를 차량관리 기록장치에 장착한 예시도(B)
도 5는 차량관리 기록장치를 자동차의 운전석 햇빛 가리개 안쪽의 티켓 홀더에 장착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 전자 수첩 3. 차량관리 기록장치
4. 고정장치 5. 자동차 햇빛 가리개
6. 액정(LCD) 화면 24. 기능키(Function Key)
25. 숫자 입력 키(Key) 26. 문자 입력 키(Key)
36. 입력 키(Key) 37. 몸체
47. 결합부 48. 고정부
55. 티켓 홀더
본 고안에 따르면, 중앙 연산 처리장치와 비 휘발성 전자식 데이터 기억장치를 포함 하는 몸체(3)의 전면 일측에 해당 자료를 입력 시킬 수 있는 키(36)가 구성되며, 그 전면부의 타측에는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시 육안으로 감지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액정화면(6)이 구성되고, 그 후면 일측에는 몸체(3)를 고정 시키기 위한 고정장치(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입력키(36)를 순차적으로 조작하면, 액정화면(6)에 그 내용이 표시되고, 동시에 몸체(37) 내부에 구비된 중앙 연산 처리장치(CPU)에 의하여 그 데이터가 비 휘발성 기억장치에 저장 된다.
기억된 데이터의 출력 과정은, 입력키(36)를 순차적으로 조작하여 데이터 출력 명령을 입력 하면, 중앙 연산 처리장치(CPU)에 의하여 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내어 액정화면(6)에 나타낸다.
상기 몸체(37)는 프라스틱 혹은 알루미늄 재질의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재질이 바람직 하며, 그 내부에는 입력키(36)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및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는 중앙처리장치(CPU)와 중앙 처리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기록 및 보관 할 수 있는 비 휘발성 기억 소자를 포함 하며, 상기의 비 휘발성 기억장치는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데이터를 보관 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함이 바람직 하다.
상기 입력키(36)는 다수개의 버튼식 스위치로 구성되어, 압력을 가하면 해당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통전 되므로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 할 수 있어 별도의 필기구가 필요 없이 자료를 기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화면(6)은 입력키(36)로부터 입력된 사항 및 기억 장치로부터 재생된 내용을 중앙 처리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화면상에 나타내므로 쉽고, 빠르게 입.출력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4의 (A)는 고정 장치(4)를 나타낸 것 으로서, T자 형의 전면 좌.우측에는 결합부(47)가 각각 돌출 되어 있으며, 후면으로 고정부(48)가 구성 되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37)의 후면 일측에 고정장치(4)가 결합 되고,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자동차 운전석의 햇빛 가리개(5)의 안쪽에 있는 티켓홀더(55)에 고정장치(4)의 고정부(48)룰 삽입하여 차량관리 기록장치(3)를 고정 시킴으로써, 필요 시에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며, 보관 및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망실의 위험을 제거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자식으로 데이터 기록, 보관 및 출력이 가능하여, 별도의 필기구를 준비 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간편 하고, 콤팩트한 사이즈와 고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차내 보관이 용이하며, 차량관리 기능 이외의 기능을 추가 시키지 않음으로써 코스트를 다운 시킴과 동시에 상시 차내 비치가 가능한 차량관리 기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중앙 연산 처리장치와 비 휘발성 전자식 데이터 기억장치를 포함 하는 몸체(3)의 전면 일측에 해당 자료를 입력 시킬 수 있는 입력키(36)가 구성되며, 그 전면부의 타측에는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 시 육안으로 감지 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액정화면(6)이 구성되고, 그 후면 일측에 몸체(3)를 고정 시키기 위한 고정장치(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관리 기록 장치.
  2. 청구항 1의 이력 키(36)는 다수개의 버튼식 스위치로 구성되어, 압력을 가하면 해당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통전 되므로 중앙 처리 장치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청구항 1의 상기 액정화면(6)은 입력키(36)로부터 입력된 사항 및 기억장치로부터 재생된 내용을 중앙 처리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화면상에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장치.
KR2020000016122U 2000-06-07 2000-06-07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 KR200203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122U KR200203788Y1 (ko) 2000-06-07 2000-06-07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122U KR200203788Y1 (ko) 2000-06-07 2000-06-07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788Y1 true KR200203788Y1 (ko) 2000-11-15

Family

ID=1965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122U KR200203788Y1 (ko) 2000-06-07 2000-06-07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7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8283B1 (en) Book with electronic display
EP0760291A3 (en) Printing apparatus
JPH10165678A (ja) ミシン及びその制御のためのモジュール
US20110267306A1 (en) Electronic reading apparatus and the note recording method thereof
JP3852968B2 (ja) 情報処理装置
KR200203788Y1 (ko) 전자식 차량관리 기록장치
JP4762831B2 (ja) 電子黒板
KR940008544B1 (ko) 정보처리장치
JPH02168794A (ja) 学習リモコン装置
KR200226911Y1 (ko) 차량용 부재중 안내표시판
KR200199124Y1 (ko) 전자식 차량 연락처 표시장치
JP3063722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H03203767A (ja) 電子式学習機
KR20040076454A (ko) 메모리유닛 및 메모리/허브유닛 조립체
KR200195702Y1 (ko) 무선 키보드
KR200190622Y1 (ko) 센서를 이용한 녹음 재생장치
KR20010087863A (ko) 운전자 연락 전화번호 안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93940Y1 (ko) 운전자 연락 전화번호 안내장치
JPH0283574U (ko)
JPH0346180A (ja) 光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4303283A (ja) 外部記憶装置
JPH04168449A (ja) 複写装置
KR970049993A (ko) 전화번호 기억 표시장치
JPS63230398A (ja) Icカード
JPH0447458A (ja) 電子書籍用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