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3497Y1 -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축물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3497Y1
KR200203497Y1 KR2020000005803U KR20000005803U KR200203497Y1 KR 200203497 Y1 KR200203497 Y1 KR 200203497Y1 KR 2020000005803 U KR2020000005803 U KR 2020000005803U KR 20000005803 U KR20000005803 U KR 20000005803U KR 200203497 Y1 KR200203497 Y1 KR 200203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indicator
house
buil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한
Original Assignee
최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한 filed Critical 최준한
Priority to KR2020000005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3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3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34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7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현 위치와 승강상태를 나타내고 엘레베이터의 승강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승강표시기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외측벽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현관문으로 구획되는 각 세대의 집안 내 벽체에 설치하고, 상기 승강표시기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집안에서도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한 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축물{building established apparatus for indicating ascent and descent of elevator in inner par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아파트 등의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의 현 위치 및 승강상태 등을 보여주고 엘레베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승강표시기를 현관문으로 구획되는 세대의 내부 벽체에 설치한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층 이상의 고층건물에는 사람이나 화물을 오르내리기 위한 엘리베이터(elevator)가 설치되어 있는데, 통상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의 내부를 이루는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와, 각각의 층마다 엘리베이터 카가 이동되는 통로의 외측으로 엘리베이터 외측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도 카도어가 설치되어 엘리베이터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다가 특정층에 멈추게 되면 상기 카도어와 엘리베이터의 외측도어가 서로 맞물려 동시에 열리도록 되어 있는바, 통상의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에는 현재 엘리베이터가 위치하고 있는 층 및 승강상태를 알려줌과 동시에 탑승자가 가고자하는 층으로 엘리베이터를 운전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설치된 승강표시기가 내부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승강표시기는 엘리베이터의 외측도어가 설치되는 각층의 벽면에도 설치되어 있는데, 보통 상기 승강표시기에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을 조절하도록 하는 상승버튼 및 하강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엘리베이터의 현 위치 및 이동방향을 화살표 등으로 나타내는 액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승강표시기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사용상태를 통상의 아파트를 일예로 들어 설명하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통로의 양측으로 두세대가 서로 마주보게 구성된 구조의 아파트에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서는 일단 집에서 나온 후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에 설치된 상승버튼 혹은 하강버튼을 누르고 엘리베이터가 이 조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사용자가 있는 층에 멈추기를 기다린 후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리면 엘리베이터를 타는 것이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집 밖으로 나온 후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조작버튼을 누르고 엘리베이터가 이동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어가 열리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므로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통로에서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사용자가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집밖으로 나왔을 때 엘리베이터가 사용자의 층에 멈추어 서있거나 사용자의 층으로 오고있는 경우라면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다행이지만, 사용자가 나오는 시간에 맞춰 엘리베이터가 사용자의 층을 지나가게 되면 사용자는 엘리베이터가 다시 올 때까지 상당한 시간을 기다려야 할 뿐 아니라 이와 같은 경우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가 이중으로 들게 되므로 전기료의 낭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기 위한 전기료의 낭비는 아파트가 점점 고층화되어 지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상당히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방향을 표시하고 버튼을 조작하기 위한 승강표시기를 현관문으로 구획되는 세대의 집안 내 벽체에 설치함으로써, 집밖으로 나가지 않더라도 집안에서 엘리베이터의 현 위치와 이동방향을 알 수 있고 엘리베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건축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엘리베이터와, 이 엘리베이터의 승강을 조작하고 이를 표시하기 위한 승강표시기가 구비되는 건축물에 있어서, 현관문으로 구획되는 각각의 세대 내부의 벽체에 상기 승강표시기와 동일한 신호를 주고받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승강표시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이 제공된다.
도1은 통상적인 엘리베이터와 승강표시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승강표시기가 집안 내 벽체에 설치되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승강표시기가 설치된 벽체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 2 : 승강표시기
3 : 현관문 10 : 벽체
20 : 승강표시기
이하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축물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1은 엘리베이터가 통로에 설치되고 그 양측으로 2세대가 놓이는 구조의 아파트에서의 통상적인 엘리베이터와 승강표시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승강표시기가 집안 내 벽체에 설치되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1)의 외측도어가 설치되는 각층의 벽면에 설치된 통상적인 승강표시기(2)와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 승강표시기(20)가 현관문(3)으로 구획되는 각 세대의 내부 벽체(10)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각 세대의 내부 즉, 일예로 든 아파트의 경우 집안 내부의 벽체(10)에 설치되는 승강표시기(20)는 엘리베이터(1)의 외측도어가 설치되는 벽면에 설치된 통상적인 승강표시기(2)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도면에서는 이 연결구조는 생략하였다.
여기서, 집안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표시기(20)는 도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집안 내의 거실이나 현관문(3) 근처, 예를 들면 초인종이 울리는 위치 등 집안 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위치의 벽체(10)에 설치하는 것이다.
첨부한 도3은 본 고안의 승강표시기가 설치된 벽체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승강표시기(20)는 그 구성요소인 액정화면이나 버튼 등이 벽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이를 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는 엘리베이터(1)를 타기 위해 굳이 집 밖으로 나가지 않더라도 상기 승강표시기(20)를 통해 집 안에서도 엘리베이터(1)의 현 위치와 그 이동방향을 알 수 있게 되며, 집안에서도 상기 승강표시기(20)를 조작함으로써 엘리베이터(1)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일예로 든 승강표시기(20)는 조작버튼과 엘리베이터의 현 위치 및 승강상태를 나타내는 액정화면이 모두 포함된 형태의 것이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조작버튼을 생략한 형태 즉, 엘리베이터의 현 위치 및 이동방향만을 나타내는 형태의 승강표시기를 적용함도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승강표시기(20)는 본 고안에서 일예로 든 아파트 뿐 아니라 엘리베이터(1)가 설치되는 고층의 건물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실시범위는 청구되거나 설명된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집안에서 엘리베이터의 현 위치와 이동방향 등을 알 수 있고, 엘리베이터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집 밖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기 위해 오래 기다리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으며, 이동중인 엘리베이터를 놓치게 되어 다시 엘리베이터를 불러와야 하는 경우를 줄임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승강으로 인해 들어가는 전기의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절전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장점은 아파트 등의 건축물이 고층화 되어지는 근래의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더욱 유용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1)와, 이 엘리베이터(1)의 승강을 조작하고 이를 표시하기 위한 승강표시기(2)가 구비되는 건축물에 있어서, 현관문으로 구획되는 각각의 세대 내부의 벽체(10)에 상기 승강표시기(2)와 동일한 신호를 주고받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승강표시기(2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KR2020000005803U 2000-03-02 2000-03-02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축물 KR200203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803U KR200203497Y1 (ko) 2000-03-02 2000-03-02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803U KR200203497Y1 (ko) 2000-03-02 2000-03-02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3497Y1 true KR200203497Y1 (ko) 2000-11-15

Family

ID=1964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803U KR200203497Y1 (ko) 2000-03-02 2000-03-02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34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3497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실내에 설치된 건축물
KR200190015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표시기가 설치된 도어
CN211004070U (zh) 一种加装电梯入户升降平台
JP201120753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04176573A (zh) 一种无机房电梯的分体控制装置
JP6480645B1 (ja) エレベーター
KR200312470Y1 (ko) 승강기 이용의 개선방안
CN112027834A (zh) 一种可调节电梯用按钮面板
KR200386179Y1 (ko) 승강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절전 운행제어시스템
KR200205081Y1 (ko) 엘리베이터의 위치와 방향표시 및 조작을 원거리에서하는 보조장치
JP7113057B2 (ja) エレベーターおよび給電方法
KR0130367Y1 (ko) 아파트 현관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콜스위치
CN213415913U (zh) 一种电梯控制装置
CN214610945U (zh) 一种薄型电梯操作箱
KR200191881Y1 (ko) 더블박스를 형성한 승강기
KR200243874Y1 (ko) 실내엘리베이터조작기
JP2000318937A (ja) エレベーター用乗場操作盤
KR19990003906U (ko) 건물출입문에 승강기버튼 설치
JPH09315706A (ja) エレベータ呼出装置
CN113734918A (zh) 一种基于踢脚开关的电梯外呼系统
JPH08175767A (ja) ホームエレベーター
JPH0416479A (ja) ホームエレベータ
JPS6054223B2 (ja) エレベ−タの運転装置
JP200721712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010094020A (ko) 엘리베이터의 가정내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