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806Y1 -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 Google Patents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806Y1
KR200202806Y1 KR2020000014508U KR20000014508U KR200202806Y1 KR 200202806 Y1 KR200202806 Y1 KR 200202806Y1 KR 2020000014508 U KR2020000014508 U KR 2020000014508U KR 20000014508 U KR20000014508 U KR 20000014508U KR 200202806 Y1 KR200202806 Y1 KR 200202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vacuum
container
exhaus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경문
Original Assignee
류경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경문 filed Critical 류경문
Priority to KR2020000014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2Vacuum-jacket vessels, e.g. vacuum bottles
    • A47J41/02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lements forming vacuum sp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5Portable or compact beverage making apparatus, e.g. for travelling,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측면에 외형으로 노출되지 않는 배기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외형이 심플하면서 내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 본체가 내벽과 외벽의 이중 벽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로 진공 밀폐되는 배큠공간을 갖는 진공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용기는 상기 외벽의 측면에 상기 배큠공간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형성된 배기구와, 배큠공간에 진공을 조성한 상태로 상기 배기구를 진공 봉착하는 봉착수단과, 상기 외벽의 측면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의 내부로 상기 봉착수단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은폐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의 외벽에는 일측면에 상기 봉착수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ㄴ'형의 브라켓이 부착되고, 상기 손잡이의 장착부에는 상기 나사체결공에 끼워지는 나사가 장입되는 나사관통공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된다.

Description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A vacuum receptacle with side ventilation construction}
본 고안은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진공 용기 내부 공간에 진공을 조성하기 위한 배기구를 용기 외벽의 측면에 형성하여 용기 하부 구조를 종래보다 단순화함으로써 내용량 증대 및 제조공정의 간소화를 도모한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 용기는 보온 및 보냉 효과를 장시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진공보온병, 진공보온 도시락, 진공보온 머그컵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머그컵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으로 형성된 스틸제 용기본체(20)의 내부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되어 안쪽으로 내용물을 넣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22a)가 형성된 내벽 성형체(22)가 끼워 결합되고, 하부로 베이스캡(24)이 끼워지고, 상부로 뚜껑(26)을 덮을 수 있는 구조로 된다.
이러한 머그컵은 외벽으로서의 용기본체(20)와 내벽으로서의 내벽 성형체(22) 사이에 공간을 띄워 열전달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대기 열전달에 의해 장시간의 보온, 보냉을 유지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장시간동안 보온,보냉을 유지할 수 있는 진공보온 머그컵에 대하여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국내 실용신안 출원 2000-10116호의 명세서 상에 서술된 바 있다.
도 2a 는 종래의 진공보온 머그컵의 사시도이고, 도 2b 는 종래의 진공보온 머그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로서, 구체적으로 진공보온 머그컵은, 상부 개구된 용기본체(30)가 내벽(32)과 외벽(34)으로 된 이중 벽체 구조로서 벽간 내부공간(36)에 진공이 조성되고, 내벽(32)의 안쪽으로는 내용물을 넣을 수 있도록 수용공간부(32a)가 형성되고, 용기본체(30)의 상부 개구로 측면 패킹(39)을 갖는 뚜껑(38)을 끼워 닫을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이러한 진공용기는 벽(32,35) 간 사이의 배큠공간(36)에 진공을 조성할 수 있도록 외벽(34)의 하부 중앙에 배기구(42)를 형성하고, 이 배기구(42)는 봉착수단으로서 동파이프(43) 또는 동캡을 사용하여 진공 봉착한 후 그 위로 베이스 캡(44)을 외벽(34)의 하단부에 끼워 부착하여 상기 봉착수단(43)을 은폐하여 마감 처리하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용기는 용기 본체(30)의 하부로 배기구(42)를 진공배기 상태로 봉착하기 위한 봉착수단(43) 및 베이스 캡(44)을 끼워 부착하는 구조가 포함되기 때문에, 외형에 비해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32a)이 낭비되어 내용량이 적으며, 또한 용기본체를 형성하는데 용기본체의 상부 및 하부를 용접하기 때문에 용접부위가 많아서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고 원자재가 낭비되며 공정이 복잡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용기 하부 구조를 종래보다 단순화하면서 내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벽과 외벽의 이중 벽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로 진공 밀폐되는 배큠공간을 갖는 진공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측면에 상기 배큠공간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형성된 배기구와, 배큠공간에 진공을 조성한 상태로 상기 배기구를 진공 봉착하는 봉착수단과, 상기 외벽의 측면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이 장착부의 내부로 상기 봉착수단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은폐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를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벽에는 일측면에 상기 동파이프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ㄴ'형의 브라켓이 부착되고, 상기 손잡이의 장착부에는 상기 나사체결공에 끼워지는 나사가 장입되는 나사관통공이 형성된다.
또,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봉착수단은, 고온가열된 상태로 배기구로 삽입되어 용착되는 삽입부를 갖춘 동캡과, 일측이 상기 배기구의 외주측 외벽면에 용착되고 타측이 고온가열된 상태로 절단 접합되는 동파이프 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는 보온병, 보온머그컵 및 보온도시락 중의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머그컵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a 는 종래의 진공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진공보온 머그컵의 사시도,
도 2b 는 종래의 진공보온 머그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진공용기의 실시예로 보인 진공보온 머그컵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진공용기의 실시예로 보인 진공보온 머그컵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진공용기의 실시예로 보인 진공보온 머그컵의 측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진공용기의 실시예로 보인 진공보온 머그컵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진공용기로서 적용된 진공보온 머그컵의 용기본체(100)는 내벽(112)과 외벽(114)의 이중 벽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112)과 외벽(114) 사이로 진공 밀폐되는 배큠공간(122)을 갖는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외벽(114)의 측면에 상기 배큠공간(122)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형성된 배기구(124)와, 배큠공간(122)에 진공을 조성한 상태로 상기 배기구(124)를 진공 봉착하는 봉착수단과, 상기 외벽(114)의 측면에 장착되는 장착부(130a)가 형성되고 이 장착부(130a)의 내부로 상기 봉착수단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은폐하는 수용공간(132)이 형성된 손잡이(130)를 구비하는 부분에 두고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0)와 뚜껑(200)의 대면부에 각각 나선홈(102) 및 나선돌기(202)를 형성하여 뚜껑(200)을 회전시켜 나사체결식으로 용기 본체(100)에 긴밀히 결합되게 함으로써 열누출에 의한 보온,보냉 효과의 감소를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봉착수단은 일측이 상기 배기구(124)의 주연부에 용착되고 타측이 고온가열된 상태로 절단 접합되는 동파이프(142)가 사용된다.
도 5 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봉착수단으로서 상술한 동파이프(142) 대신에 고온가열된 상태로 배기구(124)로 삽입되어 용착되는 삽입부를 갖춘 동캡(144)을 사용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동캡(144)은 고온 가열된 상태이므로 삽입부가 배기구(124)에 삽입되어 배기구(124)의 외주면에 용착됨으로써 용기 내부의 배큠공간(122)과 외부 대기 간의 긴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130)는 장착부(130a)가 도 4 의 도시와 같이 용기 외벽(114)의 상부로 위치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도 6a 의 도시와 같이 용기 외벽(114)의 하부에 배기구(124)를 천공하여 손잡이(130)의 장착부(130a)를 용기 외벽(114)의 하부에 위치되게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도 6b 의 도시와 같이 손잡이(30)의 장착부(130a)가 상하로 위치되는 형상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130)가 플라스틱 성형된 것일 경우, 도 3 내지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00)의 외벽(114)에는 일측면에 상기 동파이프(142) 또는 동캡(144)이 관통되는 관통공(152)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나사체결공(154)이 형성된 'ㄴ'형의 브라켓(150)이 부착되고, 상기 손잡이(130)의 장착부(130a)에는 상기 나사체결공에 끼워지는 나사(136)가 장입되는 나사관통공(134)이 형성되게 하여, 손잡이(130)를 용기본체(100)의 외벽(114)에 장착한다.
상기 손잡이(130)가 스틸제로 형성된 것일 경우에는 외벽(114)과의 직접 용접에 의해 손잡이(130)를 장착하면 된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는 보온머그컵 뿐 아니라 보온병이나 보온도시락으로 적용 가능하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손잡이(130)의 장착부(130a)에 배기구 봉착수단을 수용하는 공간(132)을 마련하여 용기 본체(100) 중의 유휴공간을 배제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내용량을 늘일 수 있도록 하는 부분에 있는 바, 보온병이나 보온도시락 등의 적용 대상에 따라 변동되는 것이 아니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적용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의 내부 공간에 진공을 조성하기 위한 배기구를 용기 외벽의 측면에 형성하고 배기구를 진공 봉착한 부분이 외형적으로 은폐되게 함으로써 종래에 배기구의 진공봉착 부분을 은폐하기 위해 용기 하부에 덧대던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게 되므로, 동일 용기 외형 대비 베이스플레이트가 차지하던 공간만큼 내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용기 하부에 용접부위가 없어 외관이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의 성형 및 부착 등에 소요되는 작업 공수를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공정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용기 본체가 내벽과 외벽의 이중 벽체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로 진공 밀폐되는 배큠공간을 갖는 진공 용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용기는 상기 외벽의 측면에 상기 배큠공간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해 형성된 배기구와, 배큠공간에 진공을 조성한 상태로 상기 배기구를 진공 봉착하는 봉착수단과, 상기 외벽의 측면에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이 장착부의 내부로 상기 봉착수단을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은폐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벽에는 일측면에 상기 봉착수단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면에 나사체결공이 형성된 'ㄴ'형의 브라켓이 부착되고, 상기 손잡이의 장착부에는 상기 나사체결공에 끼워지는 나사가 장입되는 나사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착수단은, 고온가열된 상태로 배기구로 삽입되어 용착되는 삽입부를 갖춘 동캡과, 일측이 상기 배기구의 주연부에 용착되고 타측이 고온가열된 상태로 절단 접합되는 동파이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용기는 보온병, 보온머그컵 및 보온도시락 중의 하나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용기는 용기뚜껑과 착탈되도록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뚜껑 하측면에 형성된 나선돌기와 계합되는 나선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배기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KR2020000014508U 2000-05-23 2000-05-23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KR200202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508U KR200202806Y1 (ko) 2000-05-23 2000-05-23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508U KR200202806Y1 (ko) 2000-05-23 2000-05-23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806Y1 true KR200202806Y1 (ko) 2000-11-15

Family

ID=1965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508U KR200202806Y1 (ko) 2000-05-23 2000-05-23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8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070A (ko) * 2002-01-29 2003-08-06 문기원 내통과 외통이 이격된 상태에서 조립되어지는 간이컵
KR100844017B1 (ko) * 2002-01-29 2008-07-04 문기원 내통과 외통이 이격된 상태에서 조립되어지는 간이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070A (ko) * 2002-01-29 2003-08-06 문기원 내통과 외통이 이격된 상태에서 조립되어지는 간이컵
KR100844017B1 (ko) * 2002-01-29 2008-07-04 문기원 내통과 외통이 이격된 상태에서 조립되어지는 간이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3620C (en) Drinking receptacle
CN203143325U (zh) 多功能保温盒
KR19990077569A (ko) 합성수지제단열용기,단열뚜껑및이들의제조방법
KR200202806Y1 (ko)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JPH0194279U (ko)
JPS607822A (ja) 両口真空二重断熱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H0451743Y2 (ko)
JP2004217275A (ja) 飲料容器収納用断熱容器
JPH0965981A (ja) 保温容器
JPS6245609Y2 (ko)
KR840001474Y1 (ko) 보온 도시락
JPH09215515A (ja) 携帯用ランチジャー
KR970006025Y1 (ko) 진공 보온병의 겉뚜껑
JP3050770U (ja) 保冷用飲料容器
JPS583548Y2 (ja) 携帯用弁当箱
CN210364903U (zh) 一种带有氧气泵的保温箱
KR200260738Y1 (ko) 2중구조간이컵
JPH0468989U (ko)
KR200197682Y1 (ko) 진공용기의 뚜껑
JPS5810508Y2 (ja) 保温容器
JPH0233727Y2 (ko)
KR200277714Y1 (ko) 식품 보관 용기
JPH09164083A (ja) 調理用断熱容器
JPH08266398A (ja) 断熱調理鍋
KR200175261Y1 (ko) 음식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