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714Y1 - 식품 보관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보관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714Y1
KR200277714Y1 KR2020020007644U KR20020007644U KR200277714Y1 KR 200277714 Y1 KR200277714 Y1 KR 200277714Y1 KR 2020020007644 U KR2020020007644 U KR 2020020007644U KR 20020007644 U KR20020007644 U KR 20020007644U KR 200277714 Y1 KR200277714 Y1 KR 200277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filling
food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동
Priority to KR2020020007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7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714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제의 내,외측 용기를 이중 형태로 결합하고 내측에 보온발포재를 충전시켜 보온, 보냉성이 우수하도록 이루어지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금속제 용기는 단일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고 있어 내부에 식품을 넣어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외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고 보온이나 보냉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저장시간이 단축되고 쉽게 변질되므로 냉장고에 넣고 보관하거나 아니면 별도로 외부에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금속제 용기를 이중 형태로 형성하고 내측 공간엔 보온발포재를 충전시켜 보관중인 식품이 외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아니하여 보다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쉽게 변질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사용상 큰 이점을 갖게 되며, 필요시 뚜껑도 역시 이중형태로서 내측에 보온발포재를 충전시켜 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고 식품을 넣어 보관하는 용기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식품 보관 용기{Foodstuffs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제의 내,외측 용기를 이중 형태로 결합하고 내측에 보온발포재를 충전시켜 보온, 보냉성이 우수하도록 이루어지는 식품 보관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금속제 용기는 단일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고 있어 내부에 식품을 넣어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 외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게 된다.
따라서, 내부에 보관중인 식품이나 기타 내용물은 보온이나 보냉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쉽게 변질이 되어 저장시간이 단축되므로, 이들 내용물을 신선한 상태에서 저장시간을 연장하기 위하여는 보관용기 자체를 냉장고에 넣고 보관하여야만 하므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냉장고 내부에서 보관이 가능한 환경에서는 관계가 없으나 냉장고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 환경이나 아니면 일일히 냉장고 내부에 넣고 보관하기가 번거로운 환경에서는 어쩔수 없이 종래의 용기가 가지고 있는 단점을 감수하고서도 다른 대체할 수 있는 용기가 없으므로 그대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금속제 용기본체를 이중 형태로 형성하고 내측 공간엔 보온발포재를 충전시켜 보온, 보냉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관중인 식품이 외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아니하여 보다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쉽게 변질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사용상 큰 이점을 갖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본체와 함께 필요시 뚜껑도 역시 이중형태로서 내측에 보온발포재를 충전시켜 구성하여 보온, 보냉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고 식품을 넣어 보관하는 용기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제의 식품보관용기를 제조함에 있어 그 구조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용기본체의 경우 뒤짚어 놓은 상태에서 내부에 발포충전재를 투입하고 내부에서 하부로부터 골고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충전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3은 도2의 요부 확대도,
도4는 도1 및 도2에 있어서 용기본체를 중심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로서 발포재를 충전하는 위치인 뒤집어 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인 용기의 제조 과정중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공정도,
도6은 본 고안인 용기의 제조 과정중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본체, 2: 내측용기, 3:외측용기, 4: 본체공간부, 5: 발포재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기본체의 상부에 용기뚜껑을 덮어놓고 사용하고, 금속제 용기본체의 내부엔 식품이나 기타 내용물을 넣고 보관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용기본체를 내,외측 용기를 구분하여 외주연부를 상호간 결합하되 내측엔 본체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공간부 내측엔 충전구를 통하여 발포재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의 경우에도 내,외측 용기뚜껑으로 구분하여 외주연부 상호간 결합하되 내측엔 뚜껑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뚜껑공간부의 내측엔 충전구를 통하여 발포재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식품 보관 용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실시예별로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인 식품 보관 용기의 경우,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통적으로 용기본체의 상부에 용기뚜껑을 덮어놓고 사용하고, 금속제 용기본체의 내부엔 식품이나 기타 내용물을 넣고 보관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식품 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용기본체(1)를 내,외측 용기(2,3)를 구분하여 외주연부(20,30)를 상호간 결합하되 내측엔 본체공간부(4)가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공간부(4) 내측엔 충전구(32)를 통하여 발포재(5)를 충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용기뚜껑(6)의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의 단일부재를 이용하여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이외에도 도2 및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내,외측 용기뚜껑(7,8)으로 구분하여 외주연부(70,80) 상호간 결합하되 내측엔 뚜껑공간부(9)가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뚜껑공간부(9)의 내측엔 충전구(82)를 통하여 발포재(10)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내측 용기뚜껑(7)의 하향돌출부(72)엔 용기본체(1)와의 결합시에 상호간 기밀유지를 보다 완벽하게 하고자 가요성 내향돌기(14)를 마련한 패킹(12)을 끼워 결합 설치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일례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도2 내지 도5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 용기본체(1)는 내,외측 용기(2,3)를 각각 프레스 성형하고 서로 외주연부를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호간 용접 고정하며, 뒤집어 놓은 상태로 거치 고정하고 외측용기(3)에 형성한 충전구(32)를 통하여 발포재(5)를 충전한 다음 마감처리하여 완성하게 된다.
좀 더 상세히 공정별로 살펴보면, 내,외측 용기(2,3)를 각각 프레스 성형하는 과정은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에 의한 성형 방식으로 이루어지되, 이때 유의할 사항은 내,외측 용기(2,3) 사이에 발포재(5)를 충전하기 위한 본체공간부(4)를 갖도록 미리 감안하여 각각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가장자리에는 각각 만곡형태의 외주연부(20,30) 형태로 서로 겹쳐질 수 있는 상태를 갖도록 성형하게 된다.
다음, 외측용기(3)의 내측에 내측용기(2)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외주연부(20,30)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들 외주연부(20,30) 상호간 용접하여 접합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이들 내,외측 용기(2,3)는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이 내,외측 용기(2,3)가 서로 접합 고정된 상태에서 뒤집어 놓은 상태로 별도로 마련된 고정 거치기구에 의하여 내,외측용기(2,3)를 고정 거치한 다음,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충전구(32)를 통하여 발포재(5)를 내부의 본체 공간부(4)에 넣고 발포과정이 이루어지면서 내부의 본체 공간부(4)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 까지 골고루 발포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구(32)의 경우 용기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위치시켜 활용할 수 있고 그 수효는 필요에 따라 가감하여 사용을 하게 되며, 전술한 프레스 성형과정이 나 별도의 과정을 통하여 펀칭의 방식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충전이 완료되면 본체 공간부(4)의 내부에서 충전이 이루어진 이후에 남아서 충전구(3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충전재는 절단하여 마무리 처리를 행하고 필요시 충전구(32)를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폐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마무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 용기본체(1)가 완성되게 된다.
또한, 도2, 도3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시 금속제 용기뚜껑(6)은 내,외측 뚜껑(7,8)을 각각 프레스 성형하고 서로 만곡형태의 외주연부(70,80)를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호간 용접 고정하며, 정상 상태로 거치 고정하고 외측뚜껑(8)에 형성한 충전구(82)를 통하여 발포재(10)를 충전한 다음 마감처리하여 완성하게 된다.
좀 더 상세히 공정별로 살펴보면, 전술한 용기본체(1)의 제조공정과 대동소이하나 상이한 점은 용기본체(1)는 뒤집어 놓은 상태에서 내부에 발포재(5)를 충전하나 용기뚜껑(6)은 내부에 발포재(10)를 충전시키는 과정이 용기뚜껑(6)을 뒤집어 놓지 아니하고 그대로 정위치시킨 상태에서 충전을 행하는 점이 상이한 정도이다.
즉, 내,외측 뚜껑(7,8)을 각각 프레스 성형하는 과정은 프레스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에 의한 성형 방식으로 이루어지되, 이때 유의할 사항은 내,외측 뚜껑(7,8) 사이에 발포재(10)를 충전하기 위한 뚜껑공간부(9)를 갖도록 미리 감안하여 각각 프레스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가장자리에는 각각 만곡형태의 외주연부(70,80)를 서로 겹쳐질 수 있는 상태를 갖도록 성형하게 된다.
다음, 외측뚜껑(8)의 내측에 내측뚜껑(7)을 끼워 결합하고 상기 외주연부(70,80)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들 외주연부(70,80) 상호간 용접하여 접합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 이들 내,외측 뚜껑(7,8)은 서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이 내,외측 뚜껑(7,8)이 서로 접합 고정된 상태에서 바로 세워 놓고 별도로 마련된 고정 거치기구에 의하여 내,외측뚜껑(7,8)을 고정거치한 다음, 외측 뚜껑(8)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충전구(82)를 통하여 발포재(10)를 내부의 뚜껑공간부(9)에 넣고 발포과정이 이루어지면서 내부의 뚜껑 공간부(9)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 까지 골고루 발포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이 완료되면 뚜껑 공간부(9)의 내부에서 충전이 이루어진 이후에 남아서 충전구(8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충전재는 절단하여 마무리 처리를 행하고 필요시 충전구(82)를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폐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마무리 과정을 거치게 되면 용기뚜껑(6)이 완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용기의 경우 사용시엔 용기본체(1)의 내측엔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이나 기타 내용물을 넣고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재로 형성한 뚜껑(6)을 용기본체(1)의 상부에 덮어 놓고 내부를 밀폐상태로 하여 사용하거나,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에 발포재(10)를 충전한 형태의 용기뚜껑(6)을 용기본체(1)에 덮어 씌워 놓고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뚜껑(6)에 있어서 하향돌출부(72)에 끼워 설치한 패킹(12)은 내향돌부(14)에 의하여 용기본체(1)의 내측용기(2)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보다 완벽한 기밀유지를 이루게 되고, 이들 용기본체(1)와 뚜껑(6)의 내부에 충전된 발포재(5,10)에 의하여 보온, 보냉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금속제 용기본체(1)를 이중 형태로 형성하고 내측 공간엔 보온발포재(5)를 충전시켜 보온, 보냉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관중인 식품이 외기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아니하여 보다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쉽게 변질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사용상 큰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용기본체(1)와 함께 필요시 뚜껑(6)도 역시 이중형태로서 내측에 보온발포재(10)를 충전시켜 구성하여 보온, 보냉 효과를 더욱 증대시키고 식품을 넣어 보관하는 용기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본 고안에 의하면 금속제의 식품보관용기를 제조함에 있어 그 구조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용기본체(1)의 경우 뒤짚어 놓은 상태에서, 그리고 용기뚜껑(6)의 경우 정상 상태에서 각각 내부에 발포재(5,10)를 투입하고 내부에서 하부로부터 골고루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충전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용기본체의 상부에 용기뚜껑을 덮어놓고 사용하고, 금속제 용기본체의 내부엔 식품이나 기타 내용물을 넣고 보관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통상의 식품 보관 용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용기본체(1)를 내,외측 용기(2,3)를 구분하여 외주연부(20,30)를 상호간 결합하되 내측엔 본체공간부(4)가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본체공간부(4) 내측엔 충전구(32)를 통하여 발포재(5)를 충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6)이 내,외측 용기뚜껑(7,8)으로 구분하여 외주연부(70,80) 상호간 결합하되 내측엔 뚜껑공간부(9)가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뚜껑공간부(9)의 내측엔 충전구(82)를 통하여 발포재(10)를 충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용기뚜껑(7)의 하향돌출부(72)엔 가요성 내향돌기(14)를 마련한 패킹(12)을 끼워 결합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보관 용기.
KR2020020007644U 2002-03-15 2002-03-15 식품 보관 용기 KR200277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644U KR200277714Y1 (ko) 2002-03-15 2002-03-15 식품 보관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644U KR200277714Y1 (ko) 2002-03-15 2002-03-15 식품 보관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714Y1 true KR200277714Y1 (ko) 2002-06-07

Family

ID=7307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644U KR200277714Y1 (ko) 2002-03-15 2002-03-15 식품 보관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7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0917B (zh) 用于家用制冷器具的具有用于隔热体的一体式承载框架的壁以及家用制冷器具
US4287943A (en) Heat insulating box
US20070144205A1 (en) Cooling container assembly
WO2005016784A3 (en) Thermally insulating containers
US20080006629A1 (en) Thermal Energy Storage System
KR100288006B1 (ko) 합성수지제 단열용기, 단열뚜껑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277714Y1 (ko) 식품 보관 용기
KR100485963B1 (ko) 식품 보관 용기의 제조 방법
KR100567310B1 (ko) 냉장팩
JPH11290220A (ja) 合成樹脂製断熱器物とその製造方法
CN206552559U (zh) 储存容器
KR200354798Y1 (ko) 냉장팩
JP5071892B2 (ja) 断熱食品容器
JPH09215515A (ja) 携帯用ランチジャー
KR100664279B1 (ko) 냉장고 캐비넷용 진공 단열재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적용한 냉장고 캐비넷의 단열 구조
KR200480741Y1 (ko) 발효식품용 누름 캡
JPH0853166A (ja) 断熱容器
KR200259194Y1 (ko) 냉매기구를 갖춘 음료저장용기
JP3231031U (ja) 食品容器
KR102143547B1 (ko)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식품용기
CN219454428U (zh) 储能保温结构及保温器具
KR200202806Y1 (ko) 측면 배기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JP2001278364A (ja) 保冷箱
JP3016930U (ja) 保冷容器
WO2017173002A1 (en) Hot or cold storage container for perish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