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674Y1 - 편향코일 권선기 - Google Patents

편향코일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674Y1
KR200202674Y1 KR2019980015291U KR19980015291U KR200202674Y1 KR 200202674 Y1 KR200202674 Y1 KR 200202674Y1 KR 2019980015291 U KR2019980015291 U KR 2019980015291U KR 19980015291 U KR19980015291 U KR 19980015291U KR 200202674 Y1 KR200202674 Y1 KR 200202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addle
deflection coil
coil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736U (ko
Inventor
우덕기
Original Assignee
권호택
대우전자부품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호택, 대우전자부품 (주) filed Critical 권호택
Priority to KR2019980015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67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7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7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 H01J2209/2363Coils
    • H01J2209/2366Machines therefor, e.g. winding, forming, welding,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70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 H01J2229/703Electron beam control outside the vessel by magnetic fields
    • H01J2229/7032Conductor design and distribution
    • H01J2229/7033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향코일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지지박스의 지지체에 내장되어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인출하여 대략 안장형상의 편향코일로 권회 성형시키는 숫 원판부재 및 숫권형 안장으로 구성된 숫권형과, 상기 숫권형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지지박스의 지지체에 내장되는 암 원판부재 및 암권형 안장으로 구성된 암권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코일 권선기에 있어서, 상기 숫 원판부재 및 암권형 안장에 뚫려진 다수 개의 냉각구멍과, 상기 냉각구멍에 연통되어 저온의 냉각풍을 공급하는 냉풍 공급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에서 연성을 갖는 코일을 숫권형 및 암권형의 구동을 통하여 대략 안장형상으로 권회시킨 후 다수 개의 냉각구멍을 통하여 편향코일에 직접 저온의 냉각풍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코일 상호간의 접착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고 권형작업을 신속히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향코일 권선기
본 고안은 편향코일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에서 연성을 갖는 코일을 숫권형 및 암권형의 구동을 통하여 대략 안장형상으로 권회시킨 후 다수 개의 냉각구멍을 통하여 편향코일에 직접 저온의 냉각풍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된 편향코일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향코일(deflection coil)은 수평 편향코일(10) 및 수직 편향코일로 나뉘어지며, 텔레비전 수상관에서 전자빔의 진행방향을 바꾸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수평 편향코일(10)은 도 1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나팔형상으로 형성된 세퍼레이터(20)의 내주면에 안착되는 형상으로 장착되고, 세퍼레이터(20)의 외주면에는 미도시된 수직 편향코일이 안착되는 형상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수상관에서 전자빔의 진행방향을 수평 편향 및 수직 편향시키는 편향코일은, 상기 세퍼레이터(2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대략 안장형상으로 권선기에 의하여 다수 회 권회되어 구성되는 데, 이 편향코일의 표면에는 에나멜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피복이 입혀져 있다. 이러한 절연피복은 소정의 온도 대략 (38℃±1)에서 접착력이 발생되는 데, 이 접착력을 이용하여 안장형상의 편향코일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장형상의 편향코일을 형성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인출하여 대략 안장형상의 편향코일로 권회 성형시키는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과, 상기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을 지지하는 지지박스(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박스(130)는 상기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을 내장하여 보호하는 대략 직사각통 형상의 지지체(131)와, 상기 지지체(131)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체(1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숫권형(110)은 상기 지지체(131)의 내부에 내장되어 회전되는 숫 원판부재(111)와, 상기 숫 원판부재(111)에 조립되는 숫권형 안장(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암권형(120)은 외부의 동력원에 의하여 회전되는 암 원판부재(121)와, 상기 암 원판부재(121)에 조립되는 암권형 안장(1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은 외부의 동력원에 의하여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코일보빈을 통하여 공급된 코일을 대략 안장형으로 권선시켜 소망하는 편향코일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편향코일의 주변온도는 대략 38±1℃의 온도를 유지하여야만 정상적인 컨버전스 특성을 갖는 코일의 권형작업을 이룰 수가 있는 데, 만약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의 가동중 컨버전스 특성이 저조할 경우에는 상기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은 멈추게 되고, 이때의 정지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권형의 온도가 냉각되어 컨버전스 특성이 XH 언더(under)로 되어 권형을 원래의 정상온도로 유지시키는 데 40분∼60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불량율이 많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편향코일의 권회시 그 주변온도를 통상 38±1℃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의 상부에 위치된 덮개체(132)에는 코일의 권선동작 중 함께 구동되어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40)가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는, 코일의 권회시 그 주변 온도를 38±1℃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히터를 설치하므로써 안장형상의 편향코일의 권형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는 있지만, 코일 표면의 외주면에 입혀진 에나멜 등과 같은 절연피복이 상호 응고 접착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갖출 수 있도록 다시 저온의 온도를 유지하여야만 하는 데, 종래에는 상온(常溫)의 상태에서 상호 응고되기만을 기다리므로 인하여 그 권형작업의 소요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고, 상호 접착력이 떨어져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에서 연성을 갖는 코일을 숫권형 및 암권형의 구동을 통하여 대략 안장형상으로 권회시킨 후 곧바로 냉각풍을 가하여 줄 수 있도록 냉각구멍 및 냉풍 공급원을 설치하여 코일 상호간의 접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편향코일 권선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평 편향코일을 구비한 세퍼레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평 편향코일 20 : 세퍼레이터
100 : 편향코일 권선기 110 : 숫권형
111 : 숫 원판부재 112 : 숫권형 안장
120 : 암권형 121 : 암 원판부재
122 : 암권형 안장 130 : 지지박스
131 : 지지체 132 : 덮개체
140 : 히터 150 : 냉풍 공급원
160 : 냉각구멍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지박스의 지지체에 내장되어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인출하여 대략 안장형상의 편향코일로 권회 성형시키는 숫 원판부재 및 숫권형 안장으로 구성된 숫권형과, 상기 숫권형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지지박스의 지지체에 내장되는 암 원판부재 및 암권형 안장으로 구성된 암권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코일 권선기에 있어서, 상기 숫 원판부재 및 암권형 안장에 뚫려진 다수 개의 냉각구멍과, 상기 냉각구멍에 연통되어 저온의 냉각풍을 공급하는 냉풍 공급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종래 구성과 동일 작용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병기 사용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인출하여 대략 안장형상의 편향코일로 권회 성형시키는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과, 상기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을 지지하는 지지박스(1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박스(130)는 상기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을 내장하여 보호하는 대략 직사각통 형상의 지지체(131)와, 상기 지지체(131)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체(13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편향코일의 주변온도를 대략 38±1℃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덮개체(132)에는 코일의 권선동작 중 함께 구동되어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숫 원판부재(111) 및 암권형 안장(122)에는 다수 개의 냉각구멍(160)이 관통 성형되고, 상기 냉각구멍(160)에는 저온의 냉각풍을 공급하는 냉풍 공급원(150)이 연통되어 설치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10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면, 히터(140)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에서 연성(軟性)을 갖는 코일을 숫권형(110) 및 암권형(120)의 구동을 통하여 대략 안장형상으로 권회시킨 후, 상기 안장형상을 이루는 편향코일에 냉각풍을 가하여 상호 응고 접착되도록 하므로써 편향코일의 권형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저온의 냉각풍을 가해주는 상기 냉풍 공급원(150)은 상기 히터(140)의 구동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구동되어 상기 숫 원판부재(111) 및 암권형 안장(121)에 관통 성형된 다수 개의 냉각구멍(160)을 통하여 편향코일에 직접 저온의 냉각풍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편향코일의 상호 접착력을 더욱 높여줌과 동시에 그 권형동작을 신속히 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편향코일 권선기에 의하면,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상태에서 연성을 갖는 코일을 숫권형 및 암권형의 구동을 통하여 대략 안장형상으로 권회시킨 후 다수 개의 냉각구멍을 통하여 편향코일에 직접 저온의 냉각풍이 가해질 수 있도록 하므로써, 코일 상호간의 접착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고 권형작업을 신속히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지박스의 지지체에 내장되어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인출하여 대략 안장형상의 편향코일로 권회 성형시키는 숫 원판부재 및 숫권형 안장으로 구성된 숫권형과, 상기 숫권형에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지지박스의 지지체에 내장되는 암 원판부재 및 암권형 안장으로 구성된 암권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편향코일 권선기에 있어서,
    상기 숫 원판부재 및 암권형 안장에 뚫려진 다수 개의 냉각구멍과,
    상기 냉각구멍에 연통되어 저온의 냉각풍을 공급하는 냉풍 공급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코일 권선기.
KR2019980015291U 1998-08-14 1998-08-14 편향코일 권선기 KR200202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291U KR200202674Y1 (ko) 1998-08-14 1998-08-14 편향코일 권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291U KR200202674Y1 (ko) 1998-08-14 1998-08-14 편향코일 권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736U KR20000004736U (ko) 2000-03-15
KR200202674Y1 true KR200202674Y1 (ko) 2000-11-15

Family

ID=19536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291U KR200202674Y1 (ko) 1998-08-14 1998-08-14 편향코일 권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6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736U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2674Y1 (ko) 편향코일 권선기
KR100279277B1 (ko) 편향코일 권선기
KR20000004733U (ko) 편향코일 권선기
JPS59153444A (ja) サドル形コイルの製作方法
KR19990030202U (ko) 편향코일 권선기
KR100732293B1 (ko) 편향코일 권선기
US4494097A (en) Electromagnetic deflection unit
JPH11355995A (ja) コイルボビン
JPS5994323A (ja) 電磁継電器
KR19990018856U (ko) 편향코일 권선기
KR200176212Y1 (ko) 편향코일 권선기
KR200487558Y1 (ko) 개폐기용 부싱 클램프
KR200176213Y1 (ko) 편향코일 권선기
KR100354925B1 (ko) 칼라브라운관의씨피엠유동방지장치
KR200241258Y1 (ko) 우레탄 셀프본딩 동선을 적용한 편향요크의 로테이션 코일
JPH0750218A (ja) コイルの製造方法
JPH0870546A (ja) 突極形回転電機の界磁コイル押え器
JPS6091846A (ja) 回転機の界磁巻線とその製造方法
KR200186996Y1 (ko) 편향코일 권선기
KR200191962Y1 (ko) 음극선관 정집속 장치의 실드코아 부착구조
CN205706692U (zh) 一种磁轨制动器线圈及磁轨制动器
JPS5938029Y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KR19990030201U (ko) 편향코일 권선기
JPS6322657Y2 (ko)
JPS608411Y2 (ja) フライバツクトラン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