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723Y1 - 도어용 피봇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피봇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723Y1
KR200201723Y1 KR2019970025430U KR19970025430U KR200201723Y1 KR 200201723 Y1 KR200201723 Y1 KR 200201723Y1 KR 2019970025430 U KR2019970025430 U KR 2019970025430U KR 19970025430 U KR19970025430 U KR 19970025430U KR 200201723 Y1 KR200201723 Y1 KR 200201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support
door fram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342U (ko
Inventor
박병규
Original Assignee
박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규 filed Critical 박병규
Priority to KR2019970025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723Y1/ko
Publication of KR19990012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7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하여 처짐이 발생되지 않아 문틀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조립이 용이하여 빠른 시간 내에 설치작업을 할 수 있으며 도어의 설치에 별도의 볼트, 피스 등이 필요치 않은 도어용 피봇힌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문틀의 일측 프레임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일측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원형의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체와 도어의 일측변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일측 하면에 돌출부가 삽입되는 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회동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 하중을 상하로 각각 분산함에 따라 도어 처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문틀의 좌우측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조립할 수가 있고 또 부속품의 감소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장치
본 고안은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 크기의 개구를 갖는 문틀과 문틀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어를 구비하는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도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장치는 필요에 따라 도어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튼튼하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강제로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도어장치는 통상 개구를 갖는 격자모양의 문틀과 필요에 따라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어와 도어를 문틀에 회동가능케 지지하여주는 부속품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침부된 도1∼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문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 제1지지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3은 도1 제2지지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이다.
도1에는 문틀(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문틀(10)은 4개의 프레임(12)이 서로 연결되어 격자모양을 하고 있으며, 소정 면적의 개구(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구(14)는 필요시 사람이 출입할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0)의 일측 프래임(12)의 상단에는 제1지지체(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지지체(20)는 도어의 상단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소정 크기의 구멍(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멍(22)에는 도어에 고정되는 힌지 등이 삽입된다. 이러한 제1지지체(20)는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기보다는 주로 도어의 상단이 옆쪽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모습은 도2를 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지지체(20)는 문틀(10)의 상단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일측 프레임(12)에 형성된 제1슬롯(slot,1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부(24)와 제1고정부(24)에서 안쪽으로 꺾여져 대략 수평 하게 배치되며 소정 직경의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 제1수평부(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지지체(20)는 용접으로 문틀(1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틀(10)의 일측 프레임(12) 하단에는 제2지지체(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지지체(30)는 도어의 하단을 지지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도어의 하단이 옆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도어의 하중을 주로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 제2지지체(30)는 제2고정부(32)와 제2고정부(32)에서 안쪽으로 꺾여진 제2수평부(34) 및 제2수평부(34)의 일측 상면에 위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36)로 이루어져 있는 데, 그 모습은 도3을 보면 더 상세히 알 수 있다.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지지체(30)는 문틀(10)의 일측 프레임(12) 하단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프레임(12)에 형성된 제2슬롯(slot,17)에 삽입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제2고정부(32)와 제2고정부(32)에서 안쪽으로 꺾여져 대략수평 하게 배치되며 돌출부(36)가 형성되어 있는 제2수평부(34)를 구비하고 있다.
제2수평부(34) 상에는 위쪽으로 돌출 되게 돌출부(36)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지지체(30) 역시 용접으로 문틀(1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돌출부(36)는 도어에 고정되는 소정의 연결부품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도어를 회동 가능케 지지하여주는 부분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에는 대부분의 도어 하중을 제2지지체(30)에서 지지하므로 쉽게 도어의 처점이 발생된다. 도어의 처짐이 발생되면 도어 상면과 문틀(10) 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며, 도어의 하면은 문틀에 심하게 접촉되게 된다. 처짐 발생시 이의 수정은 매우 어렵다. 뿐만 아니라 도어의 상단을 제1지지체(2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어에 결합되어 있는 볼트 등을 푼 상태에서 제1지지체(20)의 구멍(22)과 제2지지체(30)의 돌출부(36)를 통해 도어를 조립하고, 그 상태에서 다시 구멍(22)에 삽입된 볼트에 너트를 조립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외, 피스, 핀, 베어링, 캡 등 많은 수의 부품이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걱은 도어의 하중을 골고루 분산하여 처짐이 발생되지 않아 문틀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조립이 용이하여 빠른 시간 내에 설치작업을 할 수 있으며 도어의 설치에 별도의 볼트, 피스 등이 필요치 않은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문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 제1지지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3은 도1 제2지지체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장치의 주요 구성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5는 도4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4 회동체의 저면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문틀 112 : 프레임
114 : 개구 120 : 지지체
122 : 수직부 124 : 수평부
126 : 돌출부 130 : 도어
140 : 회동체 142 : 결합부
144 : 홈 146 : 연장부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 크기의 개구를 갖는 문틀과 상기 문틀의 일측변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어를 구비하는 도어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접합되는 수직부와 그 수직부에 수직하게 안쪽으로 꺾여져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형성된 수평부를 구비하여 문틀의 일측 프레임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수평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돌출부는 모두 수평부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 되게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체 및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도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돌출부가 동일방향으로 한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 하면에 동일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홈을 구비하여 소정 각도 수평회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회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고안애 따른 도어 장치의 주요 구성부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5는 도4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도4 회동체의 저면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4에는 문틀(1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문틀(110)은 4개의 프레임(112)이 서로 연결되어 격자모양을 하고 있으며, 소정 면적의 개구(1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개구(114)는 필요시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10)의 일측 프레임(112)의 상단과 하단에는 동일한 형태의 지지체(12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체(120)는 문틀(1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체(120)는 도어(130)를 소정 각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는 부분으로 수직부(122), 수평부(124) 및 돌출부(126)로 이루어져 있는 데, 이는 도5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l20)는 문틀(110)의 일측 프레임(112)에 접합되는 수직부(122)와 수직부(122)에 수직하게 안쪽으로 꺾여져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돌출부(126)가 형성되어 있는 수펑부(124)를 구비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지지체(120)는 도어(130)의 하중을 상, 하로 분산하여 지지하여주므로 각 지지체(120)에 무리가 따르지 않아 도어(130)의 처짐이 방지된다. 여기서 수평부(124)는 도어(13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수평부(124) 상에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126)는 도어(130)가 제자리 회동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지지체(120)는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을 설치하여도 된다.
지지체(120) 옆쪽으로 한 쌍의 회동체(140)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회동체(140)는 도어(1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되어 지지체(1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 회동체(140)는 결합부(142)와 홈(144)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146)를 구비하고 있는 데, 그 전체적인 모습은 도6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체(140)는 도어(130)에 결합되는 결합부(142)와 결합부(142)에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연장되고 일측 하면에 돌출부(126)가 삽입되는 홈(144)이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146)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회동체(140)는 지지체(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수평회동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3개 이상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 회동체(140)의 결합부(142)와 연장부(146)에는 도어(1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수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130)의 상단 부근과 하단 부근에 구멍(144)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회동체(140)를 상, 하로 각각 설치하고, 문틀(110) 프레임(112)에는 회동체(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부(126)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상, 하로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130)를 들어 돌출부(126)가 각각 구멍(144)에 삽입되도록 하면 도어(130)의 조립작업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130)는 필요에 따라 개구(114)를 개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장치에서는 상, 하의 두 지지체가 도어의 무게를 각각 분산하여 지지함에 따라 지지체는 상대적으로 적은 하중을 받게되어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의 처짐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문틀을 필요한 위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도어를 소정 높이로 들었다가 놓으면서 홈과 돌출부가 결합되게 하는 것만으로 도어의 조립작업이 끝나므로 도어 조립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어를 문틀에 설치하는 데 볼트나 피스 등 별도의 부품이 필요치 않아 그의 제작애 따른 비용과 조립에 따른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도어장치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도어를 쉽게 문틀에서 분리할 수 있어 수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소정 크기의 개구를 갖는 문틀과 상기 문틀의 일측변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어를 구비하는 도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접합되는 수직부와 그 수직부에 수직하게 안쪽으로 끽어져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형성된 수평부를 구비하여 상기 문틀의 일측 프레임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상기 수평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돌출부는 모두 상기 수평부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 되게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체; 및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도어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가 동일방향으로 한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 하면에 동일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홈을 구비하여 소정 각도 수평회동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회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장치.
KR2019970025430U 1997-09-08 1997-09-08 도어용 피봇 힌지장치 KR200201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430U KR200201723Y1 (ko) 1997-09-08 1997-09-08 도어용 피봇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430U KR200201723Y1 (ko) 1997-09-08 1997-09-08 도어용 피봇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342U KR19990012342U (ko) 1999-04-06
KR200201723Y1 true KR200201723Y1 (ko) 2000-11-01

Family

ID=19510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430U KR200201723Y1 (ko) 1997-09-08 1997-09-08 도어용 피봇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7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637B1 (ko) * 2002-04-10 2006-04-19 강성태 방화문,틀부재용 힌지부재
KR102273019B1 (ko) 2020-12-08 2021-07-02 김형도 방화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342U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76642B1 (en) Sub-panel guide system for electrical enclosures
CN101447652A (zh) 开关柜
KR200201723Y1 (ko) 도어용 피봇 힌지장치
US4967671A (en) Furniture panel and element for attaching inserts thereto
JPS59213204A (ja) 貯蔵テ−ブル
JPH09151658A (ja) 移動間仕切壁のランナ連結装置
KR200275367Y1 (ko) 서버용 케이지 조립체
JP2603268Y2 (ja) 分電盤
JPS6231580Y2 (ko)
CN219353304U (zh) 一种具有翻转盖板的升降桌
JP4132357B2 (ja) 間仕切におけるコーナー棚板取付装置
KR100207284B1 (ko) 가변식 테이블 프레임 연결구
KR200260805Y1 (ko) 파라솔용 스탠드 구조
KR960000769B1 (ko) 조립식 건물부재 및 조립식 건물의 건조방법
JPH0224801Y2 (ko)
JPH0629431Y2 (ja) 下枠のだれ止め金具
JPH088660Y2 (ja) 移動棚装置における支柱取付構造
JP3129984B2 (ja) フェンスにおける胴縁の連結機構
JPH0316507Y2 (ko)
KR200344582Y1 (ko) 파티션 연결장치
KR200173030Y1 (ko) 적재용 파레트 장치
JP2508596Y2 (ja) 分電盤
JPS608765Y2 (ja) 格納ベツド
JPH0246605Y2 (ko)
JP2576129Y2 (ja) パッ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