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676Y1 - 샌드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샌드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676Y1
KR200201676Y1 KR2020000015756U KR20000015756U KR200201676Y1 KR 200201676 Y1 KR200201676 Y1 KR 200201676Y1 KR 2020000015756 U KR2020000015756 U KR 2020000015756U KR 20000015756 U KR20000015756 U KR 20000015756U KR 200201676 Y1 KR200201676 Y1 KR 200201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eal
rails
piston rods
rods
cylin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언식
박순복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5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6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21D9/565Sea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73Seals
    • F27D99/0076Furnace car seals, i.e. seals used in continuous furnaces or kilns for preventing gas or heat exchange between heating chamber and the area comprising driving means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 바프 설비의 입구측에 위치한 샌드씰 상부에 형성된 레일 틈새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한 샌드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샌드실 개폐장치의 일실시예는,
샌드씰(4) 전면부에 위치하고 외측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한조의 연결레일(5,5a)부는 회전축(9,9a)을 축으로 하여 90°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45°의 경사면을 가지게 되며, 상기 연결레일(5,5a)부와 회전축(9,9a)은 직각형태의 연결대(13,13a)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13,13a) 내측에는 피스톤 로드부(8,8a)와 각각 축설되어 유동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8,8a)는 좌,우측 팽창 실린더(7)내 삽착 위치한 팽창 스프링(12,12a)에 의해 팽창되려는 힘을 가지고, 상기 좌,우측 팽창 실린더(7)는 전,후 왕복 실린더(10)와 직각되게 고정 용접되며, 실린더(3)는 레일(11,11a)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샌드씰 개폐장치{send seal open/close apparatus}
본 고안은 터널식 바프 설비에 있어서의 도어측 샌드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 바프 설비의 입구측에 위치한 샌드씰 상부에 형성된 레일 틈새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한 샌드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성 전기강판중 고급재는 바프(Batch Anealing Furnace) 설비내 장입시켜 고온 소둔하게 되고, 코일을 수평으로 거치시켜 고온(1200℃) 소둔하는 수평식 바프 설비의 입구측에는 도어(2)가 설치되며, 상기 도어(2)측 하단에는 샌드씰(4)이 위치하고 있어 장입실 내부 분위기 가스의 리크 예방 및 외부 공기의 칩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샌드씰(send seal)(4)은 레일(11,11a)을 절개시킨 후 그 공간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는 가는 모래가 충만되고, 도어측 밀폐시 레일로 인한 틈새를 없애주는 작용을 하게되며, 코일 장입 추출시에는 절개된 공간부에 절개된 간격만큼의 레일을 볼팅 체결후 작업하고 작업후 다시 철거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작업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우며 준비시간 과다 레일 틈새 발생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도어 개방후 대차를 이용한 코일 장입 추출시에는 레일간 틈새를 연결하고 장입 추출후 신속히 연결된 레일부를 제거후 틈새부를 통한 도어측 씰링 효과를 부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도어측 샌드씰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샌드씰부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 도어측 샌드씰 개폐장치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터널식 바프 설비 2 : 도어
3,18 : 실린더 4 : 샌드씰
5,5a : 연결레일 6 : 씰로프
7 : 좌,우측 팽창 실린더 8,8a : 피스톤 로드 체결부
9,9a : 회전축 10 : 전,후 왕복 실린더
11,11a : 레일 12,12a : 팽창 스프링
13,13a : 연결대 14 : 코일
15 : 대차 16 : 열차단용 대차
17 : 로터리 실린더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샌드실 개폐장치의 일실시예는,
샌드씰(4) 전면부에 위치하고 외측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한조의 연결레일(5,5a)부는 회전축(9,9a)을 축으로 하여 90°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45°의 경사면을 가지게 되며, 상기 연결레일(5,5a)부와 회전축(9,9a)은 직각형태의 연결대(13,13a)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13,13a) 내측에는 피스톤 로드부(8,8a)와 각각 축설되어 유동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8,8a)는 좌,우측 팽창 실린더(7)내 삽착 위치한 팽창 스프링(12,12a)에 의해 팽창되려는 힘을 가지고, 상기 좌,우측 팽창 실린더(7)는 전,후 왕복 실린더(10)와 직각되게 고정 용접되며, 실린더(3)는 레일(11,11a)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 도어측 샌드씰 개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샌드씰부 연결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도어측 샌드씰 개폐장치의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샌드씰(4) 전면부에 위치하며 외측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한조의 연결레일(5,5a)부는 회전축(9,9a)을 축으로 하여 90°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45°의 경사면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연결레일(5,5a)부와 회전축(9,9a)은 직각형태의 연결대(13,13a)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13,13a) 내측에는 피스톤 로드부(8,8a)와 각각 축설되어 유동된다.
상기 피스톤 로드부(8,8a)는 좌,우측 팽창 실린더(7)내 삽착 위치한 팽창 스프링(12,12a)에 의해 항시 팽창되려는 힘을 가지게 되고, 상기 좌,우측 팽창실린더(7)는 전,후 왕복 실린더(10)와 직각되게 고정 용접되며, 상기 실린더(3)는 레일(11,11a)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바프 설비(1)내 코일(14)을 장입, 추출하기 위해서는 레일(11,11a)간 틈새(씰링부)를 연결레일(5,5a)로 연결시켜 코일(14)이 수평으로 거치시킨 대차(15) 이동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후 왕복 실린더(10)를 아웃(out)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레일(5,5a)부는 회전축(9,9a)을 축으로 하여 90°회전하여 레일(11,11a)부 틈새내로 미끄러져 연결되고 계속해서 팽창 스프링(12,12a)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레일(5,5a)부는 더욱더 기밀하게 틈새부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레일(11,11a)부와 회전축(9,9a)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어 대차(15)측 차륜 이동시 장애됨이 없이 원활한 장입,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장입, 추출후 레일(11,11a)간 연결레일(5,5a)부를 해체시키기 위해서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를 당기게 되면 연결레일(5,5a)부는 회전축(9,9a)을 축으로 하여 레일(11,11a) 틈새로부터 이탈되고 동시에 팽창되어 있던 팽창 스프링(12,12a)이 좌,우측 팽창 실린더(7)내 압축되면서 펼쳐져 있던 연결레일(5,5a)이 접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일(11,11a)간 틈새가 개방되면 로터리 실린더(17)와 실린더(18)를 작동시켜 도어(2)를 클로즈(close)시키게 되면 상기 도어(2)의 저부는 샌드씰(4)내 압하 하면서 씰링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평 바프 설비의 입구측에 위치한 샌드씰 상부에 형성된 레일 틈새를 자동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코일 장입,추출이 용이하게 되며, 도어측 하단부의 씰링 효과를 확보하게 된다.

Claims (1)

  1. 샌드씰(4) 전면부에 위치하고 외측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개된 한조의 연결레일(5,5a)부는 회전축(9,9a)을 축으로 하여 90°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45°의 경사면을 가지게 되며, 상기 연결레일(5,5a)부와 회전축(9,9a)은 직각형태의 연결대(13,13a)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대(13,13a) 내측에는 피스톤 로드부(8,8a)와 각각 축설되어 유동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부(8,8a)는 좌,우측 팽창 실린더(7)내 삽착 위치한 팽창 스프링(12,12a)에 의해 팽창되려는 힘을 가지고, 상기 좌,우측 팽창 실린더(7)는 전,후 왕복 실린더(10)와 직각되게 고정 용접되며, 실린더(3)는 레일(11,11a)과 평행하게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실 개폐장치.
KR2020000015756U 2000-06-02 2000-06-02 샌드씰 개폐장치 KR200201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756U KR200201676Y1 (ko) 2000-06-02 2000-06-02 샌드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756U KR200201676Y1 (ko) 2000-06-02 2000-06-02 샌드씰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676Y1 true KR200201676Y1 (ko) 2000-11-01

Family

ID=1965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756U KR200201676Y1 (ko) 2000-06-02 2000-06-02 샌드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6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263B1 (ko) 2003-09-08 2010-11-10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소둔 설비의 건조로 게이트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3263B1 (ko) 2003-09-08 2010-11-10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소둔 설비의 건조로 게이트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1676Y1 (ko) 샌드씰 개폐장치
CN108528309A (zh) 车载夹持装置
CN107447696A (zh) 一种便于拆卸的汽车停车用道闸
CN104879074B (zh) 一种轨道式铁钻工旋扣钳
CN106908725A (zh) 防爆电机罐机电一体化装置
CN207794980U (zh) 一种钢结构双扇防护密封门
KR101329711B1 (ko) Cdq 집진기 집진후드 장치
CN106593177B (zh) 大型真空容器大门运行机构
CN215672314U (zh) 一种矿用灾区密闭与启封装置
CN109128196A (zh) 一种利用热胀冷缩增压密封的钕铁硼旋转式氢碎炉
CN109129204A (zh) 一种吊钩式抛丸机的顶密封装置
CN210603759U (zh) 一种高压储气井管道口连接处气密性检测装置
CN109373039A (zh) 一种矿山巷道风门泄压阀及其工作方法
CN207414318U (zh) 换热器铸造用旋转式振动除芯机
CN107328325A (zh) 一种快速爆破装置
CN204220626U (zh) 一种带滑盖装置的轧制箱
CN207908110U (zh) 一种防爆电机水压测试设备
CN203585310U (zh) 一种用于递物筒的压力联锁装置
CN108820926B (zh) 用于除尘设备下端的卸灰装置
CN108612204B (zh) 一种充气式防水密封装置
CN207139682U (zh) 一种手动单闸板电缆防喷器拆装工具
CN209339802U (zh) 一种人防门
CN202762694U (zh) 一种旋转式钢管吹吸灰装置
CN104989446A (zh) 地下隧道钻孔爆破粉尘降解系统
CN106285375B (zh) 电磁铁驱动的电磁屏蔽室门刃夹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