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603Y1 - 다용도 책상 - Google Patents

다용도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603Y1
KR200201603Y1 KR2020000016585U KR20000016585U KR200201603Y1 KR 200201603 Y1 KR200201603 Y1 KR 200201603Y1 KR 2020000016585 U KR2020000016585 U KR 2020000016585U KR 20000016585 U KR20000016585 U KR 20000016585U KR 200201603 Y1 KR200201603 Y1 KR 200201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lift
main body
monitor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복
Original Assignee
이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2969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108785A/ko
Application filed by 이규복 filed Critical 이규복
Priority to KR2020000016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47B21/007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liftable above the desk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6Computer ho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38Office equipment platform moving on rollers on desk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67Enclosure type with compu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73Desk with integrated compu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 본체가 안치되도록 본체수납부가 형성되고, 상판에 모니터가 상하로 관통 가능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 하부에 키보드를 올려놓기 위한 키보드트레이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책상(100)과; 상기 책상의 후방 하부에 리프트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장치되고, 상기 키보드트레이의 인출과 수납에 의해 상기 리프트의 상승과 하강이 전기적으로 제어되도록 되는 승강장치(200)와; 상기 승강장치의 리프트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책상 상판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부로 인출되거나 하부로 수납되도록 되며 모니터가 안치되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모니터하우징(300)으로 구성되어, 키보드트레이(150)를 인출하면 구동모터(230)에 정방향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2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키보드(150)를 수납시키면 구동모터(230)에 역방향 구동 전원을 인가시켜 구동모터(2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구동모터(230)의 회전방향에 따라 리프트(22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리프트(220)에 의해 모니터(2)가 안치되는 모니터하우징(300)이 상판(110)의 상부로 인출되거나 수납되도록 하는 다용도 책상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책상{multipurpose desk}
본 고안은 책상 내부에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가 장착되고 키보드가 책상 상판 하부에 설치되며 키보드를 인출하거나 수납하면 모니터가 책상 상부로 인출되거나 책상 내부로 수납되도록 되어 책상 상판을 효율적이고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책상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컴퓨터용 책상의 보급도 보편화되고 있는데, 컴퓨터용 책상은 키보드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키보드트레이가 별도로 장치되기 때문에 일반 책상과는 구조가 다르게 별도로 제작되고 있다.
종래 컴퓨터용 다용도 책상은 일측 하부에 서랍들이 인출과 수납 되도록 서랍수납부가 형성되고, 하부 타측에 컴퓨터 본체가 수납될 수 있도록 컴퓨터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양 수납부 상부에 위치되는 상판 저면부에 키보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키보드트레이가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컴퓨터용 다용도 책상은 상판의 상면에 모니터를 설하고 컴퓨터수납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구멍읕 통해 컴퓨터 본체에 모니터의 연결케이블이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하였다.
통상 이러한 종래 컴퓨터용 다용도 책상은 모니터 및 주변 기기들이 상판 상면에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작업 이외의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 공간이 협소하여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판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승강장치가 장치되어, 상기 승강장치에 의해 모니터하우징이 상기 상판의 개구부를 통해 상판 상부로 인출되거나 상판 하부로 수납되도록 하며, 모니터하우징의 상면이 상판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다용도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책상을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책상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책상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책상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책상의 후면을 일부 절개한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 승강장치의 리프트와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책상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책상 110 : 상판
111 : 관통구멍 112 : 전면커버
113 : 후면커버 120 : 서랍수납부
130 : 본체수납부 140 : 보조트레이
150 : 키보드트레이 151 : 가이드레일
200 : 승강장치 211 : 하부프레임
214 : 상부프레임 215 : 고정프레임
216 : 제2도르래 217 : 리미트스위치
218 : 구동스위치 220 : 리프트
221 : 롤러 222 : 상부링크
223 : 하부링크 224 : 연결축
225 : 가이드축 226 : 제1도르래
227 : 스위치조작롤러 228 : 인장스프링
229 : 힌지축 230 : 구동모터
231 : 구동롤러 232 : 플렉시블와이어
233 : 감속기 300 : 모니터하우징
350 : 안전판
본 고안은 양 측부를 이루는 측판 안쪽에 컴퓨터 본체가 안치되도록 되는 본체수납부와 서랍들이 수납되도록 되는 서랍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 측판 상단부에 저면이 지지되는 상판의 중심부에 모니터가 상하로 관통 가능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판 하부에 키보드를 올려놓기 위한 키보드트레이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책상과; 상기 책상의 양측 수납부 사이의 후부 쪽에 안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며 상기 키보드트레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전원이 제어되도록 되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키보드트레이를 인출하면 책상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부로 인출되고 키보드트레이를 수납시키면 상기 관통구멍 하부로 이동되어 상면이 책상의 상면과 동일평면이 되게 되며 모니터가 안치되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모니터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책상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랍(121)들이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도록 되는 서랍수납부(120)와 컴퓨터 본체(1)가 안치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수납부(130)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서랍수납부(120)와 본체수납부(130)의 상부에 책상(100) 상판(110)의 양 측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판(110)의 중심부에 모니터(2)가 안치되는 모니터하우징(300)이 관통 가능하도록 일정 폭의 사각 관통구멍(111)이 형성된다. 또한, 서랍수납부(120)와 본체수납부(130)의 측면 상단부에 가이드레일(151)이 취부되어 양쪽 가이드레일(151)에 키보드(3)가 올려지는 키보드트레이(150)의 양 측면이 슬라이더(15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서랍수납부(120)와 본체수납부(130) 사이에 전면커버(112)와 후면커버(113)가 소정 간격을 두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커버(112)와 후면커버(113) 사이의 하부에 바닥판(114)이 결합되어, 바닥판(114)에 승강장치(200)가 설치된다.
승강장치(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판(114)에 하부프레임(211)이 방진고무(도시생략)를 사이에 두고 고정볼트(213)들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프레임(211)의 일단부에 서랍수납부(120)의 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프레임(215)의 하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교차되는 링크들이 전후에서 한 쌍의 지그재그형태로 연결되어 절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리프트(220)의 일측 하단부가 하부프레임(211)의 상면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리프트(220)의 타측 하단에 롤러(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프레임(211)의 상면에서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며, 리프트(220)의 상단부에 하단부와 대칭 되게 형성되는 힌지와 롤러(221)에 의해 상부프레임(214)이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부프레임(214)과 하부프레임(211)은 대칭 되게 형성되고, 각기 롤러(221)가 구름 접촉되도록 소정 폭의 평면부가 형성되며, 평면부 외곽이 절곡되어 롤러(221)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되고, 상부프레임(214)의 상면에 모니터(2)가 안치되는 모니터하우징(300)의 저면이 지지되게 된다. 또한, 고정프레임(215)은 서랍수납부(120)에 밀착되는 상태로 하단부가 하부프레임(211)의 일측에서 결합되고, 상단부 중간에 제2도르래(21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면 상단부와 하단부에 리프트(220)의 상.하행정을 제한하는 리미트스위치(217)가 취부된다.
또한, 고정프레임(215)의 상단부에 후단에 구동롤러(23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스위치(218)에 의해 정. 역으로 회전되는 구동모터(230)가 구동롤러(231)에 회전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고정프레임(215) 일측 상단부에 고정되는 플렉시블와이어(232)가 리프트(220)에 결합되는 제1도르래(226)와 제2도르래(216)의 외주면을 거쳐 구동롤러(231)의 외주면에 권취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도 6의 미설명부호 233은 감속기로서, 구동모터(230)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며, 구동모터(230)의 회전속도는 감속시키고 구동력은 증대되도록 하여 구동롤러(231)에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키보드트레이(15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단부 상면에 키보드(3)가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153)들이 돌출 되게 결합되고, 양 측면에 슬라이더(152)가 결합되어 서랍수납부(120) 및 본체수납부(130)의 측판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51)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서랍장수납부(120) 측판의 가이드레일(151) 후단부 쪽에 구동모터(230)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동스위치(218)가 슬라이더(152)의 후단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취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키보드트레이(150)를 상판(110) 하부에서 인출하면 슬라이더(152) 후단부가 푸쉬스위치로 된 구동스위치(218)에서 분리되어 구동스위치(218)가 구동모터(230)에 정방향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모터(23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키보드(150)를 상판(110) 하부로 수납시키면 구동스위치(218)가 구동모터(230)에 역방향 구동 전원을 인가시켜 구동모터(23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구동모터(230)의 회전방향에 따라 구동롤러(231)의 회전방향도 정. 역으로 바뀌게 되어 구동롤러(231)의 외주면에 플렉시블와이어(232)가 감기거나 감겨진 플렉시블와이어(232)가 풀리게 된다. 플렉시블와이어(232)가 구동롤러(231)의 외주면에 감기면 리프트(220)가 상부로 들려지게 되고, 플렉시블와이어(232)가 구동롤러(231)의 외주면에서 풀리면 모니터(2)와 모니터하우징(300)의 하중에 의해 리프트(220)가 하강하여 절첩 되게 된다. 이때, 플렉시블와이어(232)가 제1도르래(226)와 제2도르래(216)를 통해 리프트(220)를 승강시키기 때문에 구동모터(230)의 필요 구동력이 저감되도록 하며, 리프트(220)의 상단이 일정 높이 상승하면 상부 리미트스위치(217)에 접촉되어 구동모터(230)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므로 이동이 정지되게 되고, 리프트(220)의 상단이 일정 높이 하강하면 하부 리미트스위치(217)에 접촉되어 하강운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방향스위치로 형성되는 별도의 구동스위치(218)를 서랍수납부(120)나 본체수납부(130) 측부에 취부하거나 상판(110)의 저면 등에 취부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 키보드트레이(150)의 조작과 별도로 승강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수납부(130)는 도 2와 도 3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책상(100)의 우측 후부 쪽에 위치되고 그 전면부가 하향 후방으로 만곡되게 절개 형성되어 책상 전방에 앉게 되는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방향을 돌리면 의자를 뒤쪽으로 물리지 않고도 무릎이 걸리지 않고 쉽게 일어설 수 있도록 되고, 후부 개구부에 도어(13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수납부(130)의 상부쪽 전방에는 마우스(도시생략)와 각종 외장형 부가장치들을 안치하기 위한 복수개의 보조트레이(140)들이 가이드레일에 의해 전후로 인출과 수납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본체수납부(130)의 일측에 인출구멍이 형성되어 본체수납부(130) 내부에 안치되는 컴퓨터 본체(1)에 모니터(2) 및 키보드(3)가 상기 인출구멍을 관통하는 케이블들에 의해 연결된다.
리프트(220)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후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기 두개의 상부링크(222) 중간이 서로 교차되게 위치되어 전후의 각 교차점이 힌지축(229)의 양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링크(222)의 하단부에 대칭 되게 형성되는 하부링크(223)의 상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부링크(222)와 하부링크(223)의 전후 연결부에 연결축(224)이 결합된다. 또한, 일측 연결축(224) 중간에 슬라이드구멍이 형성되고, 타측 연결축(224)에 가이드축(225)의 일단부가 관통되게 결합되어 가이드축(225)의 타단부가 일측 연결축(224)의 슬라이드구멍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고, 가이드축(225)의 선단에 제1도르래(22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일측 연결축(224)과 타측 연결축(224)에 인장스프링(228)의 양단이 탄지 되고, 상부링크(222)와 하부링크(223)의 일측 후면이 연결되는 부위에 스위치조작롤러(227)가 결합된다.
이러한 리프트(220)는 하부링크(223)들의 하단이 하부프레임(211)에 힌지와 롤러(221)에 의해 회동과 구름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 부의 제1도르래(226)의 외주면 일부에 플렉시블와이어(232)가 걸려져, 플렉시블와이어(232)를 상부로 올리면 제1도르래(226)가 회전되면서 가이드축(225)과 함께 리프트(220)의 중간 부에 상향으로 힘이 작용되게 되며, 이로 인해 하부링크(223)들의 상단에 상부로 당기는 힘이 작용되어 힌지축(229)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펼쳐지게 되고, 상부링크(222)들의 하단에 상부로 미는 힘이 작용되어 하여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부로 펼쳐지게 된다. 또한, 플렉시블와이어(232)를 놓으면 리프트(220)를 지지하는 힘이 제거되므로 상부프레임(214) 및 상부프레임(214) 상부에 올려지는 모니터하우징(300)의 하중이 리프트(220)의 상단부에 작용되어 힌지축(229)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며 하부로 접혀지게 된다. 이때 상부링크(222)들과 하부링크(223)들의 일단부가 상부프레임(214) 또는 하부프레임(211)에 힌지로 지지되므로 각기 타단부가 롤러(221)들에 의해 프레임의 평면부를 구름 이동하게 되며, 상부링크(222)와 하부링크(223)가 연결되는 연결축(224)은 가이드축(225)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일정한 행정 내에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고, 인장스프링(228)은 절첩된 링크들이 상부로 펼쳐질 때 양쪽의 연결축(224)에 인장력을 작용시켜 상부로 구동모터(230)의 필요 구동력이 저감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링크(222)가 상하로 이동될 때 후방 일측에 돌출된 스위치조작롤러(227)가 상부 리미트스위치(217) 또는 하부 리미트스위치(217)를 조작하여 구동모터의 전원을 개폐하므로 리프트(22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모니터하우징(300)은 도 2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책상(100) 상판(110)의 관통구멍(111)의 내면에 기밀 하게 관통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케이블 인출구멍이 형성되는 바닥판(310)과 관통구멍(111)의 앞쪽 내면과 소정 간극을 유지하도록 세로 폭이 작게 형성되는 상판(320)이 바닥판(310) 양측에 위치되는 양 측판(330)과 바닥판(310)의 후단부에 위치되고 환기구멍들이 형성되는 후면판(340)에 의해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바닥판(310)이 높이조절나사(도시생략)들에 의해 상부프레임(214)의 상면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판(320)의 후단에 상기 바닥판(310)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안전판(350)이 경첩에 의해 후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모니터하우징(300)은 키보드트레이(150)를 인출하면 승강장치(200)에 의해 리프트(220)가 상승되어 책상(100) 상판(110)의 관통구멍(111)을 통해 책상 상판(110)의 상부로 인출되고, 이때 바닥판(310)이 책상 상판(110)의 상면과 동일평면 위치가 되며, 키보드트레이(150)를 수납시키면 리프트(220)가 하강되어 책상 상판(110)의 하부로 수납되게 되고, 이때 안전판(350)의 상면이 책상(110)의 상면과 동일평면이 되게 된다. 한편, 안전판(350)이나 바닥판(310)이 책상 상판(110)과 수평이 되지 않은 경우, 높이조절나사(도시생략)들을 회전시켜 바닥판(310)이 상부프레임(214)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태를 조절하므로 평형을 이루도록 하며, 모니터(2)의 수납을 위해 하강할 때 부주의로 상판(110)의 관통구멍(111)에 손가락이나 연필 등이 끼이는 경우 안전판(350)이 후단의 경첩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닫히지 않도록 하므로 부상을 입거나 모니터하우징(300) 또는 기타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하우징(300)은 바닥판(310)의 인출구멍을 통해 모니터(2)에 연결되는 케이블들이 컴퓨터의 본체(1) 및 전원에 연결되게 되며, 사용 중에 모니터(2)에서 발생되는 열은 후면판(340)의 환기구멍을 통해 환기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서, 승강장치의 리프트가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에 공회전되는 나사축을 구비하고 리프트를 지지하는 가이드축이 상기 나사축의 나선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조트레이(140)에 구멍(141)을 뚫어 케이블이 상기 구멍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므로 트레이 상부에 놓이는 보조장치나 주변기기가 트레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책상은 분해된 상태로 제조 및 운반되고 설치장소에서 조립되도록 되어 운반과 설치가 용이하게 되고, 컴퓨터 본체가 책상의 후부 쪽에 안치되고 본체수납부의 전면이 후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회전의자의 경우 앉아 있는 상태에서 방향만 돌리면 사용자의 다리부가 책상 하부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그냥 일어설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의자에 의한 방바닥의 파손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 본체가 수납되는 본체수납부의 상부에 복수개의 보조트레이들이 가이드레일에 의해 인출과 수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케이블에 의해 본체에 연결되는 마우스와 외장형 모뎀 등을 안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책상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9)

  1. 컴퓨터 본체가 안치되도록 본체수납부가 형성되고, 상판에 모니터가 상하로 관통 가능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 하부에 키보드를 올려놓기 위한 키보드트레이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책상(100)과;
    상기 책상의 하부에 리프트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장치되고, 상기 리프트가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되는 승강장치(200)와;
    상기 승강장치의 리프트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책상 상판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부로 인출되거나 하부로 수납되도록 되며 모니터가 안치되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모니터하우징(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책상은 본체수납부(130)가 후부 쪽에 위치되고 전면부가 하향 후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방향전환할 때 사용자의 무릎이 걸리지 않고 일어설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책상은 본체수납부(130)의 상부쪽 전방에 외장형 주변기기들을 안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보조트레이(140)들이 인출과 수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4. 제 1항에 있어서,
    책상은 본체수납함(130)의 후면에 도어(131)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5.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장치는 교차되는 링크들이 전후에서 한 쌍의 지그재그형태로 연결되어 절첩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리프트(220)와; 상기 리프트 하단 일측이 힌지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 타측이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하부프레임(211)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단부에 그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부단와 하단부에 상기 리프트의 상. 하 이동을 전기적으로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217)가 취부되는 고정프레임(215)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리프트에 상하 구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연결되고, 구동스위치(218)에 의해 정. 역 회전의 제어가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모터(2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6. 제 1항에 있어서,
    모니터하우징은 책상 상판(110)의 관통구멍(111)으로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안전판(350)이 경첩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전판과 바닥판(310)이 상기 관통구멍 내면에 기밀 하게 관통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7. 제 5항에 있어서,
    리프트(220)는 전후에서 간격을 두고 각기 두개의 상부링크(222) 중간이 서로 교차되게 위치되어 전후의 각 교차점이 힌지축(229)의 양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링크의 하단부에 대칭 되게 형성되는 하부링크(223)의 상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의 전후 연결부에 가이드축(225)이 관통되는 연결축(224)이 결합되고, 후부에 리미트스위치(217)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조작롤러(227)가 돌출 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8. 제 5항에 있어서,
    구동모터(230)는 선단에 구동롤러(232)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리프트(220)의 가이드축(225) 선단에 제1도르래(226)가 구비되고, 고정프레임(215) 상단부에 제2도르래(216)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플렉시블와이어(232)가 상기 제1도르래와 제2도르래를 거쳐 구동롤러 외주면에 권취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9. 제 5항에 있어서,
    구동스위치(218)는 키보드트레이(150)의 가이드레일 후부 쪽에 취부되어 상기 키보드트레이의 슬라이더(152)에 의해 조작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책상.
KR2020000016585U 2000-05-31 2000-06-12 다용도 책상 KR200201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585U KR200201603Y1 (ko) 2000-05-31 2000-06-12 다용도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695A KR20010108785A (ko) 2000-05-31 2000-05-31 다용도 책상
KR2020000016585U KR200201603Y1 (ko) 2000-05-31 2000-06-12 다용도 책상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695A Division KR20010108785A (ko) 2000-05-31 2000-05-31 다용도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603Y1 true KR200201603Y1 (ko) 2000-11-01

Family

ID=2663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585U KR200201603Y1 (ko) 2000-05-31 2000-06-12 다용도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6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395B1 (ko) * 2001-01-30 2003-09-26 손기조 책상의 내외측으로 삽입과 인출이 되는 슬림형 모니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395B1 (ko) * 2001-01-30 2003-09-26 손기조 책상의 내외측으로 삽입과 인출이 되는 슬림형 모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9890B2 (en) Portable computer
CA2726199C (en) Monitor lift mechanism
JPH1075829A (ja) コンピュータモニタ箱の自動昇降装置
KR100603792B1 (ko) 컴퓨터 책상
KR200201603Y1 (ko) 다용도 책상
KR20010108785A (ko) 다용도 책상
KR200373241Y1 (ko) 컴퓨터책상
JP4046418B2 (ja) ディスプレイを内蔵する机
KR200457457Y1 (ko) 보호덮개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엘씨디모니터 수납장치
CN111657688B (zh) 一种升降抽屉
KR200390795Y1 (ko) 컴퓨터 책상
KR100911663B1 (ko) 실험실습기기 및 컴퓨터용 모니터가 자동 승하강되는 다목적 실험대
KR200404252Y1 (ko) 컴퓨터 책상
CN212298293U (zh) 一种显示屏自动伸出与收回装置
KR0122161Y1 (ko) 컴퓨터모니터함의 자동승강장치
JP3089205B2 (ja) Oa機器用机
JP4430147B2 (ja) Oa機器収納型机
KR200418222Y1 (ko) 모니터 승강장치가 구비된 책상
CN220109404U (zh) 一种带有升降桌的柜子
JPH0622486B2 (ja) ディスプレイ内蔵型デスク
KR200221058Y1 (ko) 다용도 책상의 모니터 승강장치
CN218499838U (zh) 一种仰角可调式鱼竿固定装置
JP3541341B2 (ja) 情報処理装置用卓のキーボード収容装置
KR200188410Y1 (ko)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인, 입출 장치
NL2028270B1 (en) A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