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110A -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 Google Patents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110A
KR20020097110A KR1020020072122A KR20020072122A KR20020097110A KR 20020097110 A KR20020097110 A KR 20020097110A KR 1020020072122 A KR1020020072122 A KR 1020020072122A KR 20020072122 A KR20020072122 A KR 20020072122A KR 20020097110 A KR20020097110 A KR 20020097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pouch
spout
supporting
suppor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020072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7110A/ko
Publication of KR2002009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11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2)발명의 목적
일반적인 파우치의 경우,그 파우치에 내용물이 담겨져 있을 경우는 문제가 없지만,내용물이 반 정도 남아 있을 경우는 파우치의 상단부가 일측으로 숙여져 미관상 보기 싫을 뿐 만 아니라,파우치의 전후면에 표기된 광고 문구등이 가려져 상품 제작자에게는 이를 극복할 대안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이상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이를 극복하고자 한다.
(3)발명의 구성
스파우트의 하방으로는 내용물을 담는 봉투본체가 일측으로 기울어 지지 않도록 일정 길이로 확장된 자립수단을 강구한 것과,상기한 자립수단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데,그 자립수단의 면이 봉투의 내면부에 접착되는 것이다.
(4)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립수단이 강구된 바,봉투에 표기된 광고문안을 소비자에게 지속적으로 각인 시키는 잇점과,그리고 내용물 배출시 봉투의 상방 내벽부에 있던 잔유물이 하방으로 전량 흘러내려지는 바,지속적으로 사용시 내용물 잔량없이 말끔이 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omitted}
본 발명은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에 관한 것이며,종래의 기술로서는 본 발명인의 것으로서,파우치의 외단부에 공기를 주입한 것과,파우치의 스파우트부에 보강된 자립수단을 강구한 것이 있었다.
일반적인 파우치의 경우,그 파우치에 내용물이 담겨져 있을 경우는 문제가없지만,내용물이 반 정도 남아 있을 경우는 파우치의 상단부가 일측으로 숙여져 미관상 보기 싫을 뿐 만 아니라,파우치의 전후면에 표기된 광고 문구등이 가려져 상품 제작자에게는 이를 극복할 대안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이상에 근거하여 본 발명은,저렴한 제작비용으로 이를 극복하고자 한다.
도 1은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를 보인 것이고,
도 2,도 3은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우치 100 : 봉투본체
200 : 스파우트 201 : 접착면
202 : 구부 203 : 유출공
210 : 자립수단 211 : 자립수단접착면
212 : 연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본 발명에서는 스파우트의 접착부 하방에 일정 두께로 연장된 자립수단을 구비하였다.
상기한 자립수단은 파우치의 전후면 내면부에 위치되어 일부위가 파우치의 면과 일체되도록 열접착 등 시킨 것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상기한 자립수단은 별도 제작된 후 스파우트의 상부나 저부에서 조립시키는 방법을 병행할 수 있다.
또는 자립수단이 스파우트부에 근접되게 하여 파우치의 내외면부에 부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파우치(1)는 적어도 1겹 이상으로 된 필름구조의 봉투본체(100) 모서리부에 내용물을 흡배출하는 수단의 스파우트(200)를 부착하고,상기한 스파우트(200)를 기준으로 하여는 상기한 봉투본체(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일정 길이로 확장된 자립수단(210)을 강구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스파우트(200)는 봉투본체(100)에 부착되는 접착면(201)을 기준으로 하여 상방으로는 유출공(203)이 있는 구부(202)가 형성되고,하방으로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자립수단(210)을 강구하되,상기한 자립수단(210)은 봉투본체(100)의 길이에 비례하여 그 길이를 연장하며,상기한 자립수단(210)의 폭과 두께는 봉투본체(100)에 내입되는 내용물의 체적(봉투의 크기) 등을 참고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기한 자립수단(210)은 봉투본체(100)의 면과 일체로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경우에 따라서는 임의 일부위가 열접착 등의 방법으로 일체화 되는 것이다.
이상 도 1과 같은 자립수단(210)에 의해 봉투본체(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자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그리고 봉투본체(100) 내부에 액체가 일부만 담겨져 있을지라도 상기한 봉투본체(100)는 자립수단(210)에 의해 일측으로 숙여지지 않고 자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자립수단(210)이 탄력적일 경우 봉투본체(100)는 지속적으로 벌어져 있게 되는 바,미적 외관이 유지되는 장점도 있으나,상기한 자립수단(210)은 그 연결부의 정도를 조절하여 그 폭의 유지 정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자립수단(210)은 봉투본체(100)의 양면이 벌어지도록 일정 탄력을 갖고 있는 자립수단(210)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그 형태가 하부로 약간 휘어진 형상이 좋고,또한 자립수단(210)을 강구하는 스틱부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것이 바람직 하다.
다른 실시예로서,도 1은 자립수단(210)이 포개진 형상인 반면,도 2에서 보인 것은, 자립수단(210)을 어긋나게 하여 이를 각각 봉투본체(100)의 면에 부착할 수있는데,일예로 자립수단접착면(211)을 두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며,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자립수단(210)이 잘 벌어질 수 있도록 힌지 형의 연결부(212)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사상을 갖고 있는 자립수단(210)은 별도 제작된 후 스파우트(200)에 조립되는 것 도 무방하다.
또는 자립수단(210)이 별도 제작된후 봉투 본체 의 외면에 부착하는 것도 있을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스파우트(200)는 봉투본체(100)의 사이드부에 부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스파우트(200)의 외부에 하방으로 일정 연장된 자립수단(210)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보인 것이다.
또는 봉투본체(100)의 각 사이에 자립수단(210)이 위치게 하여 스파우트(200)부를 중심으로 하여 자립수단(210)을 강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스파우트(200)는 봉투본체(100)의 사이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립수단이 강구된 바,봉투에 표기된 광고문안을 소비자에게 지속적으로 각인 시키는 잇점과,그리고 내용물 배출시 봉투의 상방 내벽부에 있던 잔유물이 하방으로 전량 흘러내려지는 바,지속적으로 사용시 내용물 잔량없이 말끔이 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9)

  1. 파우치는 적어도 1겹 이상으로 된 필름구조의 봉투본체 상단 모서리부에 내용물을 흡배출하는 수단의 스파우트를 부착하며,
    상기한 스파우트의 하방으로는 내용물을 담는 봉투가 일측으로 기울어 지지 않도록 일정 길이로 확장되고,또한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틱부로된 자립수단을 강구한 것을 특징으로한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2. 파우치는 적어도 1겹 이상으로 된 필름구조의 봉투본체 상단 모서리부에 내용물을 흡배출하는 수단의 스파우트를 부착하며,
    상기한 스파우트의 하방으로는 내용물을 담는 봉투가 일측으로 기울어 지지 않도록 일정 길이로 확장된 자립수단을 강구한 것과,
    상기한 자립수단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구성되데,그 자립수단의 면이 봉투의 내면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상기한 자립수단은 별도 제작된 후 스파우트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4.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상기한 자립수단은 별도 제작된 후 스파우트부를 기준으로 하여 봉투본체의 외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자립성이 보강된파우 치.
  5.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상기한 자립수단은 별도 제작된 후 스파우트부를 기준으로 하여,근접되게 봉투본체의 내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6.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상기한 자립수단의 스틱부는 하방으로 휘어진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한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7.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상기한 스파우트는 봉투본체의 사이드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한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8. 파우치는 적어도 1겹 이상으로 된 필름구조의 봉투본체 상단 모서리부에 내용물을 흡배출하는 수단의 스파우트가 형성되고,
    상기한 스파우트와 근접된 시일부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자립수단이 강구된 것을 특징으로한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9. 파우치는 적어도 1겹 이상으로 된 필름구조의 봉투본체 사이드부에 내용물을 흡배출하는 수단의 스파우트가 형성되고,
    상기한 스파우트와 근접된 시일부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길이로 연장된 형태로 자립수단이 강구된 것을 특징으로한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KR1020020072122A 2002-11-15 2002-11-15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KR200200971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122A KR20020097110A (ko) 2002-11-15 2002-11-15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122A KR20020097110A (ko) 2002-11-15 2002-11-15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110A true KR20020097110A (ko) 2002-12-31

Family

ID=2772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122A KR20020097110A (ko) 2002-11-15 2002-11-15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71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94853S1 (en) Gift bag with water container
JP2005500950A (ja) パウチ用スパウトアセンブリ
AU1142201A (en) Butt- ended bag with a buckle-over closing element
DK1597167T3 (da) Beholder
USD543117S1 (en) Dispenser bag
JP2015536779A (ja) 可撓性パウチ及び周辺フレームにより構成される噴霧可能な化粧用液体のための容器
USD550567S1 (en) Tube
JP4588468B2 (ja) 外容器と内容器とからなる内容物吐出容器
USD550100S1 (en) Tube
USD498137S1 (en) Side gusseted flexible beverage container with high rise fitment
KR20020097110A (ko)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KR20020097111A (ko)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KR20020097124A (ko) 공간 형성용 자립수단이 보강된 파우치
KR20020097092A (ko) 자립성이 보강된 파우치
JP3077751B2 (ja) 詰め替え袋
US20130129262A1 (en) Flexible vase
USD542646S1 (en) Side gusseted flexible beverage container
KR200317397Y1 (ko) 음료용 비닐 팩
JPS6040439Y2 (ja) 携帯用パツク調味液
CN207566131U (zh) 一种膏方包装
KR200448153Y1 (ko) 일회용 포장 종이컵
KR20020028979A (ko) 액체배출용 디스펜서
KR910006848Y1 (ko) 비닐백
JP2004182341A (ja) ボトル類用販促品の収納具
KR20020086839A (ko) 박막 음료 용기용 배출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