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995A -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995A
KR20020096995A KR1020020034249A KR20020034249A KR20020096995A KR 20020096995 A KR20020096995 A KR 20020096995A KR 1020020034249 A KR1020020034249 A KR 1020020034249A KR 20020034249 A KR20020034249 A KR 20020034249A KR 20020096995 A KR20020096995 A KR 20020096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frame
image signal
signa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0095B1 (ko
Inventor
가와노히데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9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0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4Flat panel display in which a field is applied parallel to the display plan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2개의 프레임기간에 하나의 표시 패턴을 표시하는 화상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화상신호의 전압을 올려 휘도를 변화시킬 때는 제 1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階調) 전압값보다 높게 하고, 제 2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 전압으로 되돌리고, 이 화상신호의 전압을 낮춰 휘도를 변화시킬 때는 제 1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대향기판의 대향전압(Vcom)값에 대략 같게 하고, 제 2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휘도에 대응한 계조 전압으로 하여 액정의 탄성 토크를 저하시키지 않고, IPS모드나 그외의 모드에 있어서도 액정표시장치의 응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CONTROLL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IPS 모드등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액정표시장치는 기판의 사이즈가 대형화되고, 또 고정세(高精細)의 것이 보급되기 시작하고, 또 이와 함께 시야각이 큰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 시야각이 큰 액정표시장치로는 한쪽의 기판에 설치된 액정 구동용 전극대로부터의 횡전계에 의해 액정을 구동시켜 표시를 실시하는 방식인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의 액정을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IPS 모드의 액정표시장치는 시야각이 넓은 반면, 응답속도, 즉 액정층의 인가전압의 변화에 호응한 액정 분자 변위의 완화 시간이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면의 리프레시 속도(refresh rate)가 60Hz인 경우에는 1프레임 기간의 16.7m초에 대해 응답속도는 그 2배이상 긴 30m초 이상이다.
이 때문에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 방법은 액정의 점도를 작게 하여 전계로부터 받는 토크에 대해 액정 분자가 변위되기 쉽게 하는 방법이다.
즉, IPS모드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액정 분자가 받는 토크는 전계 토크와 액정의 탄성 토크이며, 점도의 저하는 탄성 토크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 결과, 전계 토크가 일정한 경우에는 탄성 토크가 저하하는 것에 의해 액정분자가 받는 각(角)가속도가 증대된다.
그러나, 액정분자의 변위각이 작아지는 경우에는 탄성 토크가 저하하기 때문에 완화시간이 길어진다.
그리고, 응답속도는 그 양쪽을 서로 충족시킨 것이므로 액정의 점도를 저하시키는 방법만으로는 응답속도를 충분히 빠르게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액정의 탄성 토크를 저하시키지 않고, IPS모드나 그외의 모드에 있어서도 액정표시장치의 응답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액정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온 응답속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오프 응답속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및
도 4는 화상신호(Vsig)와 대향전압(Vcom)의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표시장치 12 : 액정 패널
14 : 어레이기판 16 : 신호선
18 : 주사선 20 : TFT
22 : 화소전극 24 : 소스 드라이버
28 : 게이트 드라이버 30 : 액정 컨트롤러
50 : 변환회로 52 : 판별회로
54 : 보정 회로 Vg : 게이트신호
Vs : 화소신호 DATA : 화소 데이터 신호
XCLK : 수평 클럭 신호 STH : 수평 스타트 신호
POL : 극성 반전신호 YCLK : 수직 클럭 신호
STV : 수직 스타트 신호 OE : 출력 금지 신호
Lo : 기준 휘도 Vcom : 대향전압
Vsig : 화상신호
ΔV1 : Vsig와 Vcom의 전압차(흑색)
ΔV2 : Vsig와 Vcom의 전압차(중간조)
ΔV3 : Vsig와 Vcom의 전압차(백색)
청구항 1의 발명은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신호선 및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과 주사선의 교점 근방에 스위치소자를 통해 배치되는 화소전극을 구비한 어레이기판과, 상기 어레이기판에 대해 액정층을 끼워 배치되는 대향기판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회로와, 상기 주사선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소자를 ON상태로 하여 상기 화상신호를 상기 화소전극에 기록하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회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2개의 프레임 기간에 하나의 표시 패턴을 표시하는 화상신호를 공급하고, 또 이 화상신호의 전압을 올려 휘도를 변화시킬 때는 제 1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 전압값보다 높게 하고, 제 2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 전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신호선 및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과 주사선의 교점 근방에 스위치소자를 통해 배치되는 화소전극을 구비한 어레이기판과, 상기 어레이기판에 대해 액정층을 끼워 배치되는 대향기판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회로와, 상기 주사선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소자를 ON상태로 하여 상기 화상신호를 상기 화소전극에 기록하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회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2개의 프레임 기간에 하나의 표시 패턴을 표시하는 화상신호를 공급하고, 또 이 화상신호의 전압을 낮춰 휘도를 변화시킬 때는 제 1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대향기판의 대향전압의 전압값에 대략 같게 하고, 제 2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階調) 전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액정층이 IPS 모드의 액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액정층이 TN모드(Twisted Nematic mode)의 액정에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액정층이 STN모드(Super Twisted Nematic mode)의 액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액정층이 VA(Vertical alignment)모드의 액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에 기재된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이다.
청구항 1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2개의 프레임 기간에 하나의 표시 패턴을 표시하는 화상신호를 공급한다. 이 경우에 이 화상신호의 전압을 올려 휘도를 변화시킬 때는(예를 들면, 노멀리 블랙 모드에 있어서, 흑색에서 백색으로 변화시킬 때), 제 1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 전압값보다 높게 하고, 제 2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 전압값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의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2개의 프레임 기간에 하나의 표시 패턴을 표시하는 화상신호를 공급한다. 이 경우에 이 화상신호의 전압을 낮춰 휘도를 변화시킬 때는(예를 들면 노멀리 블랙 모드에 있어서 백색에서 흑색으로 변화시킬 때), 제 1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대향기판의 대향전압의 전압값에 대략 같게 하고, 제 2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 전압값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액티브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10)에 대해 도 1∼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액정표시장치의 구성)
도 1에 기초하여 액정표시장치(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액정표시장치(10)는 유효 표시영역이, 예를 들면 대각 15인치 사이즈의 UXGA사양의 칼라 표시 화소를 구비한 노멀리 블랙 모드의 액정 패널(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액정패널(12)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600 ×3(R, G, B))개의 신호선(16)과, 상기 신호선(16)과 직교하여 배치되는 1200개의 주사선(18)과, 상기 각 신호선(16) 및 주사선(18)의 교점 근방에 배치되는 TFT(20)를 통해 배치되는 화소전극(22)을 구비한 어레이기판(14)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어레이기판(14)의 대향면 윗쪽에 소정의 틈을 두고 배치되는 칼라필터를 구비한 대향 전극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어레이기판(14)과 대향전극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액정층의 액정은 IPS모드의 액정이다.
주사선(18)의 각각은 TFT(20)의 게이트에, 신호선(16)의 각각은 TFT(20)의 드레인에, 화소전극(22)의 각각은 TFT(20)의 소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주사선(18)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Vg)에 대응하여 신호선(16)으로부터의 화상신호(Vs)가 화소전극(22)에 기록되고, 화소전극(22)과 대향전극의 전위차에 기초하여 표시된다.
신호선(16)은 소스 드라이버(24)에 접속되고, 이 소스 드라이버(24)는 디지털의 화상 데이터 신호(DATA)를 D/A(Digital/Analog)변환하여 아날로그의 화상신호(Vs)를 신호선(16)에 공급한다.
주사선(18)은 게이트 드라이버(28)에 접속되고, 게이트신호(Vg)가 공급된다.
그리고, 소스 드라이버(24)와 게이트 드라이버(28)를 제어하는 액정 컨트롤러(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액정 컨트롤러(30)로부터는 소스 드라이버(24)에 대해 수평 클럭 신호(XCLK), 수평 스타트 신호(STH), 상기한 화상 데이터 신호(DATA), 극성반전신호(POL)가 공급된다. 또, 게이트드라이버(28)에 대해서는 수직 클럭신호(YCLK), 수직 스타트 신호(STV), 출력 금지 신호(OE)가 공급된다.
액정 컨트롤러(30)에는 화상 데이터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회로(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변환회로(50)는 판별회로(52)와 보정회로(5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변환회로(50)는 DVD장치나 디지털 텔레비젼 등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10)에 있어서 응답속도가 빨라지는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액정컨트롤러(30)에 출력한다.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는 이론)
이하, 상기 구성의 액정표시장치(10)에 있어서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기술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IPS모드의 액정분자가 받는 토크는 전계 토크와 액정 탄성 토크이며, 노멀리 블랙 모드에 있어서 휘도가 밝아지는 방향(예를 들면 흑색에서 중간조 또는 백색)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전계를 가할 필요가있고, 반대로 휘도가 어두워지는 방향(예를 들면 백색에서 흑색, 또는 중간조에서 흑색)으로 변화하는 경우는 액정의 탄성 토크에 의해 변화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휘도가 밝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전계 토크를 통상의 전계보다 많이 가해 액정분자에 큰 각 가속도를 부여하여 그 변화를 촉진하고, 반대로 휘도가 어두워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인가전압을 최소로 하여 탄성 토크가 잘 작용하도록 한다.
우선, 휘도가 밝아지는 방향에 대한 응답속도(이하, “온 응답속도”라고 함)에 대해 도 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세로축에 휘도, 가로축에 응답속도로 하고, 화면의 리프레시 속도가 60Hz의 경우의 종래예와 본 실시예의 흑색에서 백색으로 변화하는 경우의 온 응답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리프레시 속도가 60Hz인 경우에는 제 1 프레임기간이 16.7m초이고, 제 2 프레임기간(33.4m초)에서 하나의 표시패턴을 표시하는 것이다.
종래예에서는 액정에 대해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을, 같은 백색의 계조 전압값으로 곱한 경우이고, 백색의 기준 휘도(L0)에 도달하는 온 응답속도는 약 33m초 걸리고, 2 프레임 기간 전부를 소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을 백색의 계조 전압보다도 약간 높은 전압을 곱하고, 액정분자에 대해 통상의 전계 토크 보다도 큰 전계 토크를 곱해 변화시킨 것이며, 백색의 기준 휘도(L0)에 대해 온 응답속도는 약 20m초이다.
즉, 종래예의 온 응답속도가 약 33m초인 것에 대해, 본 실시예에서는 약 20m초까지 빨라지고 있다.
계속해서, 휘도가 어두워지는 방향에 대한 응답속도(이하, “오프 응답속도”라고 함)에 대해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세로축에 휘도, 가로축에 응답속도로 하고, 화면의 리프레시 속도가 60Hz인 경우에 있어서, 백색에서 흑색으로 변화시킨 경우의 종래예와 본 실시예의 오프 응답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종래예에서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 있어서, 화상 신호의 전압을 흑색의 계조 전압값을 곱한 경우이며, 그 오프 응답속도는 약 30m초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프레임에 있어서는 화상신호의 전압을, 대향 전극 기판의 대향전압(Vcom)과 같은 전압값을 곱하고, 제 2 프레임에 있어서 흑색의 계조 전압과 같은 전압값을 곱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제 1 프레임에 있어서는 인가전압이 대략 0이기 때문에 탄성 토크만에 의해 액정분자가 변위하고, 그 변위 속도가 빨라져 오프 응답속도는 약 20m초로 되어 있다.
따라서, 휘도를 낮추는 경우에 있어서도 오프 응답속도가 30m초에서 약 20m초로 빨라지고 있다.
(액정표시장치(10)의 동작의 내용)
상기 이론을 실현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 변환회로(50)이다.
이 변환회로(50)의 판별회로(52)에서는 DVD장치나 디지털 텔레비젼 등으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휘도가 밝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화상 신호인지,또는 휘도가 어두워지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신호인지, 휘도가 변화하지 않는 신호인지를 각 화소마다 판별하여 3종류로 판별된 신호를 보정회로(54)에 출력한다.
보정회로(54)에서는 휘도가 밝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한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는 제 1 프레임 계조 전압이 통상의 계조 전압보다도 높아지도록 추가하여 보정한다. 반대로, 휘도가 어두워지는 방향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제 1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의 계조 전압을 대향 전극 기판의 대향전압(Vcom)과 같아지도록 보정한다. 또, 휘도의 변화가 없는 신호에 대해서는 보정을 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3종류로 나눠 각각 보정 또는 그대로 출력된 화상 데이터가 액정 컨트롤러(30)에 출력된다.
액정 컨트롤러(30)에 있어서는 통상의 화상 데이터의 신호 처리와 동일한 신호처리를 실시하여 소스 드라이버(24)에 그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화상 신호(Vsig)의 설명)
계속해서, 소스 드라이버(24)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Vsig)에 대해 종래예와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도 4의 (a)는 종래예의 화상신호(Vsig) 및 대향전압(Vcom)의 파형이며, 도 4의 (b)는 본 실시예의 화상신호(Vsig) 및 대향전압(Vcom)의 파형이다.
종래예 및 본 실시예 모두 프레임(1), (2)에서는 흑색이 표시되고, 프레임(3), (4)에서는 중간조, 프레임(5), (6)에서는 백색, 프레임(7), (8)에서는 흑색의 표시가 실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대향전압(Vcom)은 1프레임마다 극성 반전이 실시되고 있다. 또, 이 도 4에 있어서는 화상신호(Vsig)의 전압과 대향전압(Vcom)의 차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액정층에 가해지는 전압은 게이트전압(Vg)에 의해 화상신호(Vsig)가 기록된 기록 전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이 화상신호(Vsig)와 대향전압(Vcom)의 전압차가 그대로 가해지지는 않는다.
우선 변형예의 파형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1), (2)에서의 흑색 표시의 경우에는 화상신호(Vsig)와 대향전압(Vcom)의 전압차(ΔV1)는 제 1 프레임(여기서는 프레임(1))과 제 2 프레임(여기서는 프레임(2))모두 같은 전압차가 된다.
프레임(3), (4)에 있어서, 이 흑색 표시에서 중간조로 변화된 경우에는 화상신호(Vsig)와 대향전압(Vcom)의 전압차는 (ΔV2)이 된다. 이에 의해 중간조의 계조 전압이 기록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종래예에서는 백색에서는 백색의 계조 전압이, 흑색에서는 흑색의 계조전압이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에서 각각 같도록 가해지도록 화상 신호의 전압값이 설정되어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파형에 대해 설명한다.
프레임(1), (2)에서의 흑색 표시에 있어서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화상 전압과 대향전압(Vcom)의 전압차(ΔV1)로 되어 있다.
프레임(3), (4)에 있어서, 흑색 표시에서 휘도가 밝아지는 중간조의 색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제 1 프레임(여기서는 프레임(3))에 있어서, 통상의 중간조의 전압차(ΔV2)에 Vα가 부가된 값으로 되어 있다. 이 ΔVα은 상기에서 설명한 보정회로(54)에서 부가된 것이며, 예를 들면 ±7V에서 대향전압(Vcom)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계조간의 전압 이상의 전압(예를 들면, 1∼2V, 바람직하게는 1.5V)을 부가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간조의 제 2 프레임(여기서는 프레임(4))에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전압차(ΔV2)를 곱하고. 이에 의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 응답속도가 종래예보다도 빨라진다.
프레임(5), (6)에 있어서, 이 중간조에서 백색으로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더 휘도가 밝아지기 때문에 제 1 프레임(여기서는 프레임(5))에서는 백색의 전압차의 (ΔV3)에 Vα를 부가한 것을 곱하고, 제 2 프레임(여기서는 프레임(6))에서는 통상의 백색의 전압차(ΔV3)를 곱한다. 이에 의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온 응답속도가 빨라진다.
프레임(7), (8)에 있어서 백색에서 흑색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는 휘도가 어두워지는 방향이므로 제 1 프레임(여기서는 프레임(7))에서는 화상신호의 전압을 대향전압(Vcom)의 전압과 대략 같게 한다. 그리고, 제 2 프레임(여기서는 프레임(8))에 있어서 통상의 흑색의 전압차(ΔV1)를 곱한다. 이에 의해 상기의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프 응답속도가 빨라진다.
이상에 의해 오프 응답속도와, 오프 응답속도의 양쪽 모두 각각 종래예보다도 빨라지고, 액정표시장치(10)의 전체로서의 응답속도를 종래 보다도 빠르게 할 수 있고, DVD장치나 디지털 텔레비젼 등의 동화(動畵)를 포함한 화상 데이터를 액정표시장치(10)에서 표시하는 경우에도 그 표시를 충분히 실시할 수 있다.
(변경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정층으로서 IPS 모드의 액정을 이용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TN모드, STN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의 액정을 이용해도 그 응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변경예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장치(10)의 내부에 변환회로(50)를 설치하여 DVD장치나 디지털 텔레비젼의 표시를 실시하도록 했지만, 이를 대신하여 종래부터 존재하는 액정 컨트롤러(30)만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와, DVD장치 등의 사이에 별체의 변환회로(50)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종래부터 존재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응답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은 온 응답속도와 오프 응답속도를 각각 빨리 할 수 있기 때문에 동화 등의 표시를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Claims (6)

  1.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신호선 및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과 주사선의 교점 근방에 스위치소자를 통해 배치되는 화소전극을 구비한 어레이기판;
    상기 어레이기판에 대해 액정층을 끼워 배치되는 대향기판;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및
    상기 주사선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소자를 ON상태로 하여 상기 화상신호를 상기 화소전극에 기록하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회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2개의 프레임 기간에 하나의 표시 패턴을 표시하는 화상신호를 공급하고, 또 이 화상신호의 전압을 올려 휘도를 변화시킬 때는, 제 1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 전압값보다 높게 하고, 제 2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 전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2. 서로 직교하여 배치되는 복수개의 신호선 및 주사선과, 상기 신호선과 주사선의 교점 근방에 스위치소자를 통해 배치되는 화소전극을 구비한 어레이기판;
    상기 어레이기판에 대해 액정층을 끼워 배치되는 대향기판;
    상기 신호선에 접속되어 화상신호를 공급하는 신호선 구동회로; 및
    상기 주사선에 접속되어 상기 스위칭소자를 ON상태로 하여 상기 화상신호를상기 화소전극에 기록하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주사선 구동회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2개의 프레임 기간에 하나의 표시 패턴을 표시하는 화상신호를 공급하고, 또 이 화상신호의 전압을 낮춰 휘도를 변화시킬 때는 제 1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대향기판의 대향전압의 전압값에 대략 같게 하고, 제 2 프레임의 화상신호의 전압값을 상기 휘도에 대응한 계조 전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이 IPS 모드의 액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이 TN모드의 액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이 STN모드의 액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이 VA모드의 액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KR10-2002-0034249A 2001-06-20 2002-06-19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KR1005100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87281 2001-06-20
JP2001187281A JP2003005154A (ja) 2001-06-20 2001-06-20 液晶表示装置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995A true KR20020096995A (ko) 2002-12-31
KR100510095B1 KR100510095B1 (ko) 2005-08-23

Family

ID=19026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249A KR100510095B1 (ko) 2001-06-20 2002-06-19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64868B2 (ko)
JP (1) JP2003005154A (ko)
KR (1) KR100510095B1 (ko)
TW (1) TW5941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549B1 (ko) 2003-02-27 2009-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TWI230310B (en) * 2003-12-02 2005-04-01 Vxis Technology Corp A system and a method to reduce flicker on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WO2007026685A1 (ja) * 2005-09-01 2007-03-08 Sharp Kabushiki Kaish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7691101B2 (en) * 2006-01-06 2010-04-06 Arthrocare Corporation Electrosurgical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foot ulcer
JP4367506B2 (ja) * 2007-03-07 2009-11-18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023906B2 (ja) * 2007-09-12 2012-09-1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8425978B2 (en) * 2009-09-21 2013-04-23 Alliance For Sustainable Energy, Llc Fluorine compounds for doping conductive oxide thin films
WO2013011744A1 (ja) * 2011-07-15 2013-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15197476A (ja) * 2014-03-31 2015-11-09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方法、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1687B2 (ja) * 1993-08-10 2002-10-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パネル駆動装置
JP3396929B2 (ja) * 1993-11-02 2003-04-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3457736B2 (ja) * 1994-06-08 2003-10-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6020870A (en) * 1995-12-28 2000-02-01 Advanced Display Inc.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0272723B1 (ko) * 1996-06-06 2000-11-15 니시무로 타이죠 평면표시장치
JP3596716B2 (ja) * 1996-06-07 2004-12-02 株式会社東芝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の調整方法
TW569058B (en) 1998-02-24 2004-01-01 Toshiba Corp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1117074A (ja) * 1999-10-18 2001-04-27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6770334B2 (en) * 2000-03-29 2004-08-03 Fuji Photo Film Co., Ltd. Optically anisotropic sheet comprising aligned discotic liquid crystal molecules
JP3769463B2 (ja) * 2000-07-06 2006-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表示装置を備えた画像再生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783697B1 (ko) * 2000-12-06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동화상 보정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05154A (ja) 2003-01-08
US20030016203A1 (en) 2003-01-23
TW594122B (en) 2004-06-21
KR100510095B1 (ko) 2005-08-23
US6864868B2 (en) 2005-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856B1 (ko) 액정 패널의 구동방법 및 액정표시장치
US860502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066636A1 (en) Electro-op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464898B1 (ko)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0701560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350645B1 (ko) 플리커링을 줄이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510095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어장치
KR101232527B1 (ko) 데이터 변조장치,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US2020020109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4809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7474291B2 (en) Relative brightness adjustment for LCD driver ICs
KR100481217B1 (ko) 액정표시소자의 구동방법 및 장치
JP2002149117A (ja) 液晶表示装置
KR100531478B1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구동방법
JP364377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KR101662839B1 (ko) 액정표시장치
US890214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for driving a pixel with a black state and a white state within one frame perio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electronic unit including the same
WO2011155337A1 (ja) 液晶装置
KR20070121284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53833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36084B1 (ko) 액정표시장치 구동방법
KR20070117360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9696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1589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20020027786A (ko) 에스디알 강유전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