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306A -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306A
KR20020093306A KR1020010032006A KR20010032006A KR20020093306A KR 20020093306 A KR20020093306 A KR 20020093306A KR 1020010032006 A KR1020010032006 A KR 1020010032006A KR 20010032006 A KR20010032006 A KR 20010032006A KR 20020093306 A KR20020093306 A KR 20020093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tate
hdlc
rts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10032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3306A/ko
Publication of KR20020093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30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 G06F13/362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with centralised access control
    • G06F13/36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with centralised access control using independent requests or grants, e.g. using separated request and grant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터 블록(100)이 다수 개의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 상태를 순환하면서 체크하는 제 1 단계(S1); 상기 제 1 단계(S1)에서 RTS 상태가 액티브(Low) 상태인 슬레이브 블록이 존재하면(YES), 마스터 블록(100)이 그 해당 슬레이브 블록(200)의 CTS 클럭을 액티브(Low)로 유지시킴과 동시에 HDLC 플래그를 "1"로 셋팅하는 제 2 단계(S2); 마스터 블록(100)이 해당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 상태가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 및 제 3 단계(S3)에서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면(NO) 다시 제 2 단계(S2)로 진행하는 한편,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면(YES), 마스터 블록(100)이 설정 시간 동안 동작을 잠시 정지하였다가 HDLC 플래그를 "0"으로 재셋팅함과 동시에 리턴하는 제 4 단계(S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멀티-드롭 방식의 HDLC 통신시 마스터에서 슬래이브에 대한 HDLC 버스의 제어권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HDLC의 클럭 속도를 높여줌으로써 미스 프레임(Miss Frame)의 발생율을 줄여주고, 이로 인해 HDLC 성능을 향상시켜 준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HDLC BUS CONTROL AUTHORITY MANAGEMENT METHOD OF MULTI-DROP}
본 발명은 멀티-드롭(Multi-Drop) 방식의 HDLC(High-Level Data Link Cotrol; 이하 "HDLC"라 칭함.) 버스(Bus) 제어권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드롭 방식의 HDLC 통신시 마스터(Master)에서 슬래이브(Slabe)에 대한 HDLC 버스의 제어권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HDLC의 클럭(Clock) 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함에 있어 미스 프레임(Miss Frame)의 발생율을 줄여주고, 이로 인해 HDLC 성능을 향상시켜 주는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마스터 블록(100), 및 상기 마스터 블록(100)과 HDLC 버스로 접속된 다수(N)개의 슬레이브 블록(200)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때, 상기 마스터 블록(100)내에는 상기 다수(N)개의 슬레이브 블록(200)으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다수개의 수신 버퍼(Buffer)가 구비되어 있었으며, 상기 다수개의 수신 버퍼는 데이터가 저장되면 코어(Core)로 인터럽트(Interrupt)를 발생시켜 상기 코어로 하여금 자신의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Read)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다수(N)개의 슬레이브 블록(200)은 상기 마스터 블록(100)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하면 RTS(Ready To Send; 이하 "RTS"라 칭함.) 클럭을 액티브(Low) 상태로 각각 천이시키고,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RTS 클럭이 액티브(Low) 상태인 해당 슬레이브 블록(200)의CTS(Clear To Send; 이하 "CTS"라 칭함.) 클럭을 액티브(Low) 상태로 유지시킴으로 상기 해당 슬레이브 블록(200)에게 HDLC 버스 제어권을 부여하며, 해당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 클럭이 하이(High)로 천이되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해당 슬레이브 블록(200)의 CTS 클럭을 하이(High)로 천이시켰다.
이하, 상술한 종래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일 예로 1개의 마스터 블록(100)과 여섯개의 슬레이브 블록(200)간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상태 0는 시작점을 의미하며, 상태 1에서 상태 6까지는 1∼6까지의 슬레이브 블록(200)의 상태를 의미한다.
먼저,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첫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1 클럭이 액티브(Low) 상태인지 아니면 하이(High)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첫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1 클럭이 액티브(Low) 상태이면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첫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CTS1 클럭을 액티브(Low)로 천이시켜 상기 첫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으로 HDLC 버스 제어권을 부여한다. 그러면, 상기 첫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은 HDLC 버스를 통해 상기 마스터 블록(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상기 첫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자신의 해당 수신 버퍼에 저장한다.
한편, 첫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1 클럭이 액티브(Low)에서 하이(High)로 천이되면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두 번재 슬레이브 블록(200)의RTS2 클럭의 상태를 체크한다. 이 때, 만약 두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2 클럭의 상태가 하이(High) 상태이면 전송할 데이터가 없는 것임으로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세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2 클럭의 상태를 체크한다. 그러나, 두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2 클럭의 상태가 액티브(Low) 상태이면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두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CTS2 클럭을 액티브(Low)로 천이시켜 상기 두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으로 HDLC 버스 제어권을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두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으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다음 번째 수신 버퍼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그 다음의 슬레이브 블록(200)의 HDLC 버스 제어권을 순환하면서 부여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장치는, 예를 들어 슬레이브 블록 1, 2의 RTS가 모두 액티브 상태라면 상태도의 진행에 의해 상태 1에서 RTS1이 하이가 될 때까지 버스 제어권을 슬레이브 1에게 주게되며, RTS1이 하이가 된 후 바로 상태 2에서 RTS2가 액티브 상태인 슬레이브 2에게 버스 제어권을 주게 된다. 이 경우 상태 1과 상태 2 사이의 시간 간격은 HDLC 클럭의 1 클럭이 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클럭 속도를 높였을 경우 소프트웨어적으로 리시브한 프레임을 처리하는데 있어 미스 프레임 처리가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받은 시점에 비해 상당히 늦게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왜냐하면, 마스터 블록내 수신 버퍼 두 군데에 실제 데이터가 들어왔는데, 그 수신 인터럽트가 한 번 밖에 발생이 안되어 두 번째 수신 버퍼에 존재하는 데이터는 다음 수신 데이터가 들어와서 인터럽트가 발생할 때까지 처리가 지연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마스터 블록내 수신 버퍼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의 발생 시간이 수신 버퍼로 입력되는 데이터 저장 시간보다 느리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데이터 처리가 늦어져 시스템 전체적인 성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데이터 유실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HDLC의 클럭 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함에 있어 미스 프레임(Miss Frame)의 발생율을 줄여주고, 이로 인해 HDLC 성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한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은, 상기 마스터 블록이 다수 개의 슬레이브 블록의 RTS 상태를 순환하면서 체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RTS 상태가 액티브(Low) 상태인 슬레이브 블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상기 제 1 단계에서 RTS 상태가 액티브(Low) 상태인 슬레이브 블록이 존재하면, 상기 마스터 블록이 그 해당 슬레이브 블록의 CTS 클럭을 액티브(Low)로 유지시켜 HDLC 버스 점유권을 부여함과 동시에 HDLC 플래그를 "1"로 셋팅하는 제 2 단계;
상기 마스터 블록이 해당 번째 슬레이브 블록의 RTS 상태가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해당 번째 슬레이브 블록의 RTS 상태가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해당 번째 슬레이브 블록의 RTS 상태가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마스터 블록이 설정 시간 동안 동작을 잠시 정지하였다가 HDLC 플래그를 "0"로 재셋팅함과 동시에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리턴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2는 종래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을 나타낸 상태 천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4는 도 3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마스터 블록 200 : 슬레이브 블록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상태 천이도이다.
먼저,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다수 개의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 상태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하면서 체크한다(S1). 여기서, 도 4는 마스터블록(100) 한 개와 슬레이브 블록(200) 여섯 개 간의 통신에 대해 예를 든 것이며, 상태 0는 시작점을 의미하고 상태 1에서 상태 6까지는 1∼6까지의 슬레이브 블록(200)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슬레이브 블록(200) 1∼6까지의 RTS는 RTS1∼RTS6으로 각각 할당되며, CTS 역시 CTS1∼CTS6으로 각각 할당된다.
이 때, 상기 제 1 단계(S1)에서 RTS 상태가 액티브(Low) 상태인 슬레이브 블록(200)이 존재하지 않으면(NO)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다시 상기 제 1 단계(S1)로 진행하는 한편, RTS 상태가 액티브(Low) 상태인 슬레이브 블록(200)이 존재하면(YES),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그 해당 슬레이브 블록(200)의 CTS 클럭을 액티브(Low)로 유지시켜 HDLC 버스 점유권을 부여함과 동시에 HDLC 플래그를 "1"로 셋팅한다(S2). 여기서, RTS 상태가 액티브(Low) 상태라는 것은 상기 마스터 블록(100)으로 전송할 데이터가 존재한다는 뜻이고, RTS 클럭이 하이(High) 상태라는 것은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런후,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해당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 상태가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
이 때, 상기 제 3 단계(S3)에서 해당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 상태가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면(NO) 상기 마스터 블록(100)은 다시 상기 제 2 단계(S2)로 진행하는 한편, 해당 번째 슬레이브 블록(200)의 RTS 상태가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면(YES), 도 4의 상태 7로 진행하여 설정 시간(10초) 동안 동작을 잠시 정지하였다가 HDLC 플래그를 "0"로 재셋팅함과 동시에 다시 상기 제 1 단계(S1)로 리턴하여 다른 슬레이브 블록(200)들의 RTS 상태를 체크한다(S4).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에 의하면, 멀티-드롭 방식의 HDLC 통신시 마스터에서 슬래이브에 대한 HDLC 버스의 제어권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HDLC의 클럭 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함에 있어 미스 프레임(Miss Frame)의 발생율을 줄여주고, 이로 인해 HDLC 성능을 향상시켜 준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한 개의 마스터 블록이 HDLC 버스를 통해 멀티-드롭 방식으로 접속된 다수개의 슬레이브 블록의 HDLC 버스 제어권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블록이 다수 개의 슬레이브 블록의 RTS 상태를 순환하면서 체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RTS 상태가 액티브(Low) 상태인 슬레이브 블록이 존재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RTS 상태가 액티브(Low) 상태인 슬레이브 블록이 존재하면, 상기 마스터 블록이 그 해당 슬레이브 블록의 CTS 클럭을 액티브(Low)로 유지시켜 HDLC 버스 점유권을 부여함과 동시에 HDLC 플래그를 "1"로 셋팅하는 제 2 단계;
    상기 마스터 블록이 해당 번째 슬레이브 블록의 RTS 상태가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에서 해당 번째 슬레이브 블록의 RTS 상태가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지 않으면 다시 상기 제 2 단계로 진행하는 한편, 해당 번째 슬레이브 블록의 RTS 상태가 하이(High)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마스터 블록이 설정 시간 동안 동작을 잠시 정지하였다가 HDLC 플래그를 "0"로 재셋팅함과 동시에 다시 상기 제 1 단계로 리턴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
KR1020010032006A 2001-06-08 2001-06-08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 KR20020093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006A KR20020093306A (ko) 2001-06-08 2001-06-08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006A KR20020093306A (ko) 2001-06-08 2001-06-08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306A true KR20020093306A (ko) 2002-12-16

Family

ID=2770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006A KR20020093306A (ko) 2001-06-08 2001-06-08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33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9065B2 (en) 2015-04-20 2018-08-14 Lsis Co., Lt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49065B2 (en) 2015-04-20 2018-08-14 Lsis Co., Lt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7541A (en) Addressing technique for storing and referencing packet data
US5524007A (en) Network interface architecture for a packet switch communication system
KR920017403A (ko) 전송 억세스 승인 및 제어방법과 링버스 통신 시스템
US7428608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20093306A (ko) 멀티-드롭 방식의 hdlc 버스 제어권 관리 방법
JPH09331370A (ja) データ通信装置
US7016333B1 (en) High speed timeslot assignment unit and method for a TDMA communication system
JPH07202919A (ja) ハイブリッド・リングネットワーク
CN100438444C (zh) 实现网络媒体存取控制的方法与相关装置
JPH06274463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3075650B2 (ja) パケット交換機のパケット送信装置
US6681260B1 (en) Data transfer method in function expansion system
US20070076743A1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Realizing Network Medium Access Control
KR100331395B1 (ko) Imt-2000 제어국에서의 분산 전송과 우선 전송이가능한 먹스 및 그 제어방법
KR0157383B1 (ko) 글로벌버스네트워크의인터갭제어방법
JPS6121656A (ja) 通信制御方式
JPH10320345A (ja) バスコントローラ
KR0154485B1 (ko) 다수의 하이레벨 시리얼 통신확장칩을 수용한 보드의 인터럽트 처리방법
KR100365344B1 (ko) 네트워크 억세스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WO2004107188A1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EP1459191B1 (en) Communication bus system
JPH0449734A (ja) 自律分散型制御用データウェイの伝送方法
JPH0417492B2 (ko)
JPS6294042A (ja) 通信制御装置
JPH116597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01

Effective date: 200511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3940;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01

Effective date: 2005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