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2109A - 응원용 깃대 - Google Patents

응원용 깃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2109A
KR20020092109A KR1020010031007A KR20010031007A KR20020092109A KR 20020092109 A KR20020092109 A KR 20020092109A KR 1020010031007 A KR1020010031007 A KR 1020010031007A KR 20010031007 A KR20010031007 A KR 20010031007A KR 20020092109 A KR20020092109 A KR 20020092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pole
air
handle
ferrule
ch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한기
Original Assignee
배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한기 filed Critical 배한기
Priority to KR1020010031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2109A/ko
Publication of KR2002009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1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66Stands for fla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의 유입시 깃발을 걸수 있는 깃대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공기의 배출시 간편하게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응원용 깃대에 관한 것으로 , 한쪽면에 떨림판이 고정되고, 상부에 공기주입부와 일체로 접착된 손잡이와, 상기 공기주입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깃대와, 상기 깃대에 연이어 형성되고 뒤집어서 상기 공기주입부와 일체로 접착시킨 보관부와, 깃봉과 상기 깃대를 연결 접착시키는 깃봉 고정부과, 상기 깃봉고정구와 깃대사이에 결합되어 깃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 ·하부 고정링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응원용 깃대{FLAG FOR SUPPORTER}
본 발명은 응원용 깃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의 유입시 깃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공기의 배출시 간편하게 주머니속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응원용 깃대에 관한 것이다.
프로 야구, 프로 농구 및 프로 축구 등이 활성화되면서 운동경기장에서의 응원방법도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응원기를 흔들거나 무용을 하는 시각적인 응원방법과, 나팔을 부는 등 청각적인 응원방법이 주로 주목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응원시 응원기나 나팔을 별도로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 사용하는 경우에는 양손에 2종류 이상의 것을 파지하기 때문에 손놀림이 자유롭지 못하여 그 만큼 응원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도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응원기 깃대에 나팔용 떨림판을 삽입 고정하여 깃대로서의 사용과 나팔로서의 사용을 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취급 및 보관이 불편할 뿐 아니라 여러 가지의 안정상의 고려가 없는 것이었다.
즉, 응원용 소품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분해조립이 간단하고 취급상의 사용이 간단하여야 한다.
(2) 응원시 흥분하기 쉬우므로 몸에 상해를 줄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하여야
한다.
(3) 다기능을 가지고 있어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 모두 만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
즉, 상기 (1)과 같이 분해 조립이 간단하여야 만 보관이 용이하고, 운반이 용이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주머니에 휴대할 수 있는 것이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2)와 같은 경우에는 그 구조들을 라운드 형상으로 하여 날카로운 부분이 몸에 직접 닿지 않게 하거나, 공기를 사용하여 쿠션을 줄수 있는 형태의 경우에는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3)의 경우에는 하나의 응원기구에 여러 가지 다 기능을 부여하도록 하여 다수개의 응원소품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본 발명의 경우에는 깃발을 걸 수 있는 깃대소품와, 나팔소리를 낼 수 있는 나팔소품과, 일자 형상으로 길게 된 공기 막대기소품들의 응원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응원용 소품들이 가지는 특징들을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를 집어넣어 깃대가 형성되고, 공기를 빼면, 휴대하기 용이한 응원용 깃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응원용 깃대와 나팔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 응원할 수 있는 응원용 깃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공기를 집어넣어 사용하기 때문에 과격한 응원시에도 별도의 안전장치가 필요 없는 응원용 깃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한쪽면에 떨림판이 고정되고, 상부에 공기주입부와 일체로 접착된 손잡이와, 상기 공기주입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깃대와, 상기 깃대에 연이어 형성되고 뒤집어서 상기 공기주입부와 일체로 접착시킨 보관부와, 깃봉과 상기 깃대를 연결 접착시키는 깃봉 고정구과, 상기 깃봉고정구와 깃대사이에 결합되어 깃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 ·하부 고정링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깃봉은 2개의 상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과 깃대고정구의 상부 접착부를 고정부착시키고, 상기 상 ·하판의 양족 접착면이 고정부착되게 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깃봉 고정구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이 걸림턱에 상기 상부 고정링이 걸리도록 구성하고, 상기 보관부의 상부에 고정끈을 고정시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응원용 깃대에서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의 평면도를 나타
내는 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응원용 깃대를 각각의 주요부 별로 분해시킨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공기가 주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응원용 깃대의 공기주입부 부근을 확대시킨 부분 단면도,
도 5a에서 도 5d는 본 발명에 있어서 깃봉 부위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공정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응원용 깃대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응원용 깃대에 공기가 빠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응원용 깃대의 다른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응원용 깃대의 운반 및 보관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둔부2 : 마개
3 : 공기통로4 : 저지판
5 : 공기 주입부10 : 손잡이
11 ; 떨림판20 : 보관부
30 : 깃대40 : 깃봉
41 : 상부 접착부43,43': 접착면
45 :깃봉 고정구46 : 걸림홈
51. 52: 고정링54, 55 : 고정고리
56 : 고정끈60 : 깃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발명 응원용 깃대의 제 1실시예로서,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에는 손잡이 (10)와, 그 손잡이 (10)위에 형성된 보관부 (20)와, 상기 손잡이 (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깃대 (30)와, 상기 깃대 (30)위에 형성되는 깃봉 (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51은 상부 고정링이고, 52는 하부고정링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깃발이 고정되는 부위가 된다.
미설명 부호 45는 깃봉 고정구 (45)로서 깃봉 (40)에 공기를 주입하는 통로의 역할과 깃봉 (40)의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 응원용 깃대를 각각의 주요부 별로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하부의 손잡이 (10)는 PVC재를 사용하여 용기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몸통에는 공기의 출입에 따라 나팔소리를 내는 떨림판 (11)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손잡이 (10)의 상부에는 공기주입부 (5)가 접착되어 손잡이 (10)와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공기주입부 (5)의 원주면과 접착되어 형성되는 보관부 (20)는 깃대 (30)와 일체로 형성한 후 뒤집어 주머니 형상이 되게 한 후 상기 손잡이 (10)와 접착시켜 이루어진다.
깃대 (30)는 원통형상을 이루는 비닐로 되어 있고, 하부고정링 (52)이 삽입된 채 손잡이 (10)와 접착된다.
다음에 상부 고정링 (51)을 통하여 깃봉 (40)과 깃대 (30)가 서로 접착되게 하여 응원용 깃대를 완성하는 것으로 접착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는 도 3과 같다.
여기서 접착은 전기 용융 접착이나 고주파를 이용한 접착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3에는 각각의 상부 및 하부 고정링 (51),(52)는 깃발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고리 (54),(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면도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주입부 (5)를 통하여 손잡이 (10)와 깃대 (30)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깃대 (30)는 깃봉 (40)과 하나의 공기주머니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공기주입부 (5)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도 4와 같다. 도 4는 손잡이 (10)와 접착된 공기주입부 (5) 부근을 확대시킨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의하여 알 수 있듯이 용기형상의 손잡이 (10)의 윗면과 공기주입부 (5)가 서로 접착되어 일체를 이루고, 이 공기주입구 (5)의 원주면에는 깃대 (30)를 뒤접은 보관부 (20)가 서로 접착되어 있다. 이 공기주입구 (5)의 중앙에는 공기통로 (3)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통로 (3)의 상부에는 일방향 공기 유입을 위한 저지판 (4)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둔부 (1)를 형성한 후 이 둔부와 일체로 뻗어 나온 마개 (2)가 상기 통로 (3)와 일체로 형성되게 한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는 일반적인 공기 튜브의 구조에서도 살펴볼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깃봉 (40)부위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특히 깃봉 및 깃봉 고정구 (45)의 형성 과정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동일 부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치고 있다.
즉, 상부 도면과 같이, 중앙에 걸림턱 (46)을 형성시킨 깃봉 고정구 (45)의 상부접착면 (43)와 공모양으로 비닐 상하판을 재단하여 비닐하판 (42)을 펼친 후,비닐하판 (42)과 상기 상부 접착면이 서로 접착으로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상 ·하부판은 양쪽의 접착면 (43),(43')을 접착시켜 일체가 되게 한 것으로 도 5a는 깃봉고정구 (45)의 상부 접착면과 하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도는 깃봉을 구성하는 상 ·하판이 2겹으로 접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c는 상기와 같이 깃봉 (40)을 구성하는 상 ·하판이 형성된 깃봉고정구 (45)가 깃대 (30)의 내측과 접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 접착 방식은 전기 열처리 융착방식을 채택한다.
도 5d는 상기 깃봉 (40)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깃봉 고정구 (45)가 깃대 (30)와 접착된 상태에서 걸림턱 (46)에 상부 고정링 (51)을 삽입시킨 후 공기를 넣으면 접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축구공 형상으로 깃봉 (40)이 완성된다. 즉, 깃대 (30)와 깃봉 고정구 (45)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 ·하판 사이에 들어가게 되고, 2겹의 상 ·하판은 측면이 서로 접착 고정되어 있고, 하판은 상부접착부 (41)이 접착 고정되어 있어 고정된 면을 중심으로 하여 상 ·하판이 공형상으로 부풀어 깃봉을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공기의 유입으로 깃대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4와 같이 공기주입부 (5)의 공기마개 (2)가 개방된 상태에서 손잡이 (10)을 누르는 동작을 반복하여 깃대 (3)내에 공기가 유입되게 한다. 이때 공기주입부 (5)는 밀폐되어 있어, 떨림판 (1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통로 (3)를 거쳐 깃대 (30)로 유입된다. 손잡이 (10)는 쥐었다 놓으면 다시 떨림판으로 공기가유입되면서 원상태로 환원되고, 이와 같은 반복동작에 따라 공기통로 (3)를 통하여 깃대 (30)로 공기가 유입되어 부풀어 들게 된다. 이때 저지판 (4)은 공기가 역류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공기가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떨림판 (11)을 통하여 공기가 손잡이 (10)바깥으로 유출되는 경우 떨림판이 울려 나팔소리와 같은 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깃대 (30)에 공기가 충분히 유입되면, 공기주입부 (5)에 형성된 공기마개 (2)로 통로 (3)을 막아 공기의 유출을 차단하게 되며, 이 작용은 기존의 공기튜브에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시의 동작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공기의 유입 및 인출동작시 손잡이 (10)는 투명체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시각으로 확인하면서 동작할 수가 있으며, 또한 손잡이가 수축성이 양호한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어 쉽게 공기마개 (2)를 끼우거나 빼는 동작으로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깃대 (30)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깃봉 (40)에 유입되어 공형상으로 깃봉이 유지되는 것으로 이 과정은 도 5d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는 깃대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응원을 준비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상하 고정링 (51),(52)의 각각의 고정고리 (52),(54)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깃발 (60)의 원형고리 (61),(62)이 결합되어 고정하게 된다.
깃발 (60)은 국기, 응원기, 월드컵기 등을 사용할 수가 있고, 이 깃발을 깃대 (30)에 체결하기 위하여는 깃발에 고정고리 (63),(64)를 형성하고, 이 고정고리 (63),(64)와 고정고리 (52),(54)사이를 원형고리 (61),(62)로 서로 연결되게 하여 사용한다.
이때 깃대 (30)는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 고정링 (51)은 깃봉고정구 (45)의 걸림턱 (46)에 걸려 있어 상 고정링 (51)은 깃대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하고정링 (52)의 경우에는 깃발이 고정되는 길이의 조정에 의하여 (즉 63,64 사이의 길이) 깃대의 폭보다 하 고정링 (52)의 지름이 더 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 고정링 (51)과 동일하게 깃대 (3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깃대 (30)에 깃발 (60)이 고정되면, 손잡이 (10)를 흔드면서 응원을 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손잡이를 누르면 떨림판 (11)이 울려 나팔소리를 내게 되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응원을 할 수 있다.
또한 깃대를 돌리는 경우에는 깃발이 걸리는 일없이 깃대 (30)에 대하여 상하 고정링 (51),(52)이 회전함으로써 깃발 (60)이 회전되므로 응원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깃봉 (40)은 도면에서는 축구공형상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는 다른 구기종목의 공이나 동물의 형상인 캐릭터 등으로도 충분히 표현할 수가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응원용 깃대 (30)의 중간 해체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운반시나 깃대 돌리는 응원시에 중간과정으로 실행된다.
즉, 도 4에서 공기의 주입시와 반대로 공기를 빼면 깃대 (30)의 공기가 빠지면서 도면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 동작은 기존의 공기 튜브와 동일한 동작이고, 깃대나 깃봉을 누르면서 공기를 빼면 보다 신속히 외부로 공기를 유출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깃봉 (40)은 상부 고정링 (51)을 통과할 수 있어 해체 시킬 수 있으며, 아니면 그 상태대로 보관부 (20)내에 집어넣고, 고정끈 (56)으로 고정시키면 도 8과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손잡이 (10)만 잡고 깃발 (60)을 돌리거나 흔드는 응원을 할 수 있으며, 도 9와 같이 모든 부속기구들을 보관부 (20)내에 집어넣은 상태에서는 주머니에도 들어가므로 손쉽게 운반이 가능하며, 주머니에도 보관할 수 있는 작은 크기가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운반상태에서 부속 부재를 보관부 (20)에서 꺼낸 후 공기를 주입시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응원용 깃대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기의 주입시에는 깃발을 걸 수 있는 깃대로의 사용할 수가 있는 것으로 특히 응원시에 깃대를 흔들거나, 돌리는 경우에도 깃발이 기대에 걸리는 일없이 커다란 반경을 가지고 움직일 수가 있어 깃발 응원시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를 빼는 경우에는 간단히 일체로 형성된 보관부 속에 모든 부품을 집어넣을 수가 있어 주머니에 넣어 휴대할 수가 있는 것으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응원용 깃대의 손잡이에 떨림판이 삽입되게 하여 깃대의 사용과 동시에와 나팔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으로 시각적 및 청각적인 응원을 동시에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깃대에 공기를 집어넣어 사용하기 때문에 과격한 응원시에도 별도의 안전장치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한쪽면에 떨림판이 고정되고, 상부에 공기주입부와 일체로 접착된 손잡이와,
    상기 공기주입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깃대와,
    상기 깃대에 연이어 형성되고 뒤집어서 상기 공기주입부와 일체로 접착시킨
    보관부와,
    깃봉과 상기 깃대를 연결 접착시키는 깃봉 고정구과,
    상기 깃봉고정구와 깃대사이에 결합되어 깃발을 고정시키기 위한 상 ·하부 고정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깃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깃봉은 2개의 상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과 깃대고정구의 상부 접착부를 고정부착시키고, 상기 상 ·하판의 양쪽 접착면이 고정부착되게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깃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깃봉 고정구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이 걸림턱에 상기 상부 고정링이 걸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깃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의 상부에 고정끈을 고정시켜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깃대
KR1020010031007A 2001-06-02 2001-06-02 응원용 깃대 KR20020092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007A KR20020092109A (ko) 2001-06-02 2001-06-02 응원용 깃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007A KR20020092109A (ko) 2001-06-02 2001-06-02 응원용 깃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478U Division KR200244050Y1 (ko) 2001-06-02 2001-06-02 응원용 깃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109A true KR20020092109A (ko) 2002-12-11

Family

ID=27707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007A KR20020092109A (ko) 2001-06-02 2001-06-02 응원용 깃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2109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800U (ko) * 1973-07-06 1975-03-31
JPS5259000U (ko) * 1975-10-25 1977-04-28
JPH0255979U (ko) * 1988-10-19 1990-04-23
KR200185724Y1 (ko) * 1999-10-04 2000-06-15 강상석 풍선막대 깃발
KR200244050Y1 (ko) * 2001-06-02 2001-10-17 배한기 응원용 깃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7800U (ko) * 1973-07-06 1975-03-31
JPS5259000U (ko) * 1975-10-25 1977-04-28
JPH0255979U (ko) * 1988-10-19 1990-04-23
KR200185724Y1 (ko) * 1999-10-04 2000-06-15 강상석 풍선막대 깃발
KR200244050Y1 (ko) * 2001-06-02 2001-10-17 배한기 응원용 깃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6470B1 (en) Maraca with flexible handle
US9986776B2 (en) Fabric flower maker
KR20020092109A (ko) 응원용 깃대
KR200244050Y1 (ko) 응원용 깃대
US20170266575A1 (en) Snowman making apparatus
CN220656367U (zh) 一种指尖陀螺
KR200445055Y1 (ko) 다기능 회전체
KR200273159Y1 (ko) 응원보조기구
CN106029191B (zh) 漂浮玩具
KR20040096087A (ko) 펌핑수단에 의한 전개가 가능한 튜브 우산 및 그 제조방법
JPH037307Y2 (ko)
KR200207549Y1 (ko) 딸랑이 학습완구
CN201308430Y (zh) 音乐婴儿游泳桶
KR200422260Y1 (ko) 깃발을 가지는 접철 피리
KR200299485Y1 (ko)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JP3192522U (ja) 縄跳び収納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縄跳びセット
KR200359863Y1 (ko) 공기 튜브 확성기
KR200259333Y1 (ko) 고정체가 구비된 깔때기
KR20240000869U (ko) 그네용 이불
TWM295479U (en) Assembled stainless steel chopsticks
JPH0119988Y2 (ko)
KR20040016223A (ko)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Urwin et al. Task-based approaches to second language pedagogy and the design of Chinese textbooks at tertiary level
JP2005328938A (ja) 携帯リング傘
JP2004298579A (ja) フェースカバー収納アイマ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