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549Y1 - 딸랑이 학습완구 - Google Patents

딸랑이 학습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549Y1
KR200207549Y1 KR2020000021442U KR20000021442U KR200207549Y1 KR 200207549 Y1 KR200207549 Y1 KR 200207549Y1 KR 2020000021442 U KR2020000021442 U KR 2020000021442U KR 20000021442 U KR20000021442 U KR 20000021442U KR 200207549 Y1 KR200207549 Y1 KR 200207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oustic generator
adapter
rattle
particles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솔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솔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솔교육
Priority to KR2020000021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Abstract

본 고안은 딸랑이 학습완구에 관한 것으로, 음향발생체와, 상기 음향발생체를 착탈자유롭게 결합고정시키는 어댑터로 구성되되; 상기 음향발생체는 상부 및 하부바울이 끼워져 결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내장된 여러 가지 재질의 입자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는 잡고 흔들 수 있게 손잡이부를 구비하며, 여러 가지 재질(예를 들면, 모래, 쇠, 나무, 플라스틱, 구슬 등)의 입자가 내장된 음향발생체를 손잡이가 구비된 어댑터에 결합하여 유아에게 각 재질의 특정한 소리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므로 유아의 관심을 집중시키면서도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딸랑이 학습완구 {ringing study toy}
본 고안은 딸랑이 학습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가지 재질의 입자가 내장된 음향발생체를 어댑터에 결합하여 유아에게 각 재질의 특정한 소리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딸랑이 학습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이 수유를 하거나 가만히 누운 상태로 분을 바를 때에 울거나 보채게 되면, 단색깔 또는 다색깔의 구슬 등이 내장된 딸랑이를 흔들어 일정한 소리를 내는 청각적 및 시각적 효과를 통해 유아의 관심을 집중시키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딸랑이에서는, 단순히 유아의 관심을 끌기 위한 흥미개념으로만 그쳐 유아용 완구를 통해 학습 효과를 얻고자 하는 엄마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여러 가지 재질(예를 들면, 모래, 쇠, 나무, 플라스틱, 구슬 등)의 입자가 내장된 음향발생체를 손잡이가 구비된 어댑터에 장착하여 유아에게 각 재질의 특정한 소리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므로 유아의 관심을 집중시키면서도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딸랑이 학습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딸랑이 학습완구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음향발생체의 분리상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어댑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어댑터의 상측부재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어댑터의 하측부재 평면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딸랑이 학습완구의 전체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향발생체 12 : 상부바울
14 : 하부바울 20 : 어댑터
30 : 상측부재 32 : 상측플랜지부
34 : 제1수용부 36 : 제1손잡이부
38 : 제1수용플랜지 40 : 탄성걸림부
50 : 하측부재 52 : 하측플랜지부
54 : 제2수용부 56 : 제2손잡이부
58 : 제2수용플랜지 60 : 걸림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딸랑이 학습완구는, 음향발생체와, 상기 음향발생체를 착탈자유롭게 결합고정시키는 어댑터로 구성되되; 상기 음향발생체는 상부 및 하부바울이 끼워져 결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내장된 여러 가지 재질의 입자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는 잡고 흔들 수 있게 손잡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측으로 각각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된 상측 및 하측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및 하측부재에는 상기 음향발생체가 수용되는 제1 및 제2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하측으로 각각 절곡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용부에는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음향발생체를 고정시키는 탄성걸림부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수용부에는 상기 탄성걸림부가 끼워지는 걸림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딸랑이 학습완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딸랑이 학습완구는, 각기 다른 여러 가지 재질(예를 들면, 모래, 쇠, 나무, 플라스틱, 구슬 등)의 입자가 내장된 음향발생체(10)와, 상기 음향발생체(10)가 착탈자유롭게 결합되어 고정되는 어댑터(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음향발생체의 분리상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음향발생체(10)는 상부바울(12) 및 하부바울(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바울(14)내에 여러 가지 재질의 입자를 내장시킨 다음 상부바울(12)의 저면부를 하부바울(14)의 개구부에 끼워 결착시킨다.
한편, 상기 음향발생체(10)는 각기 다른 재질의 입자를 각각 내장하는 여러 가지의 음향발생체(10)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음향발생체(10)에 각기 다른 재질의 입자를 바꿔 넣음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어댑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20)는 상측부재(30) 및 하측부재(5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부재(30)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측플랜지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측부재(50)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하측플랜지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어댑터의 상측부재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부재(30)의 일측에는 상기 음향발생체(10)가 수용되는 원형상의 제1수용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부재(30)의 타측에는 이용자가 잡고 흔들 수 있게 제1손잡이부(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용부(34)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1수용플랜지(3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용부(34)의 테두리에는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음향발생체(10)를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걸림부(40)가 일정간격(약, 90。)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어댑터의 하측부재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측부재(50)의 일측에는 상기 음향발생체(10)가 수용되는 바울형상의 제2수용부(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부재(50)의 타측에는 제2손잡이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수용부(54)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2수용플랜지(5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수용부(54)의 테두리에는 상기 탄성걸림부(40)가 끼워지는 걸림홈(60)이 일정간격(약, 9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수용부(54)의 융출부(62)에는 상기 음향발생체(10)를 어댑터(20)에서 분리시킬 때에 이용자가 상기 음향발생체(10)를 어댑터(20)로부터 밀어내기 용이하도록 분리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딸랑이 학습완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하부바울(14)내에 각기 다른 여러 가지 재질(예를 들면, 모래, 쇠, 나무, 플라스틱, 구슬 등)의 입자를 내장시킨 다음 상부바울(12)의 저면부를 하부바울(14)의 개구부에 결착시킴으로서 음향발생체(1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음향발생체(10)는 각기 다른 재질의 입자가 각각 내장된 다수개의 음향발생체(10)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음향발생체(10)에 각기 다른 재질의 입자를 바꿔 넣음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측 및 하측부재(30)(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있는 상측 및 하측플랜지부(32)(52)를 끼우면서 상기 상측 및 하측부재(30)(5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및 제2수용부(34)(54)의 제1 및 제2수용플랜지(38)(58)를 끼움과 동시에, 상기 제1수용부(34)에 일정간격(약, 90。)으로 돌출형성된 탄성걸림부(40)를 제2수용부(54)에 일정간격(약, 90。)으로 형성된 걸림홈(60)에 끼워 어댑터(2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어댑터(20)의 수용부(34,54)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발생체(10)를 끼우면, 제1수용부(34)의 테두리에 돌출형성된 탄성걸림부(40)에서 탄성력을 가지고 음향발생체(10)를 잡아준다.
상기와 같이, 음향발생체(10)가 끼워진 어댑터(20)의 손잡이부(36,56)를 잡고 흔들면, 음향발생체(10)에 내장된 각기 다른 재질(예를 들면, 모래, 쇠, 나무, 플라스틱, 구슬 등)의 입자에 따라 음향발생체(10)에서 여러 가지의 다른 소리를 내므로, 유아는 동일한 소리를 내는 종래의 딸랑이보다 관심을 더욱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음향발생체(10)에 내장된 여러 가지 재질의 입자가 내는 각각의 특정한 소리를 유아가 구분할 수 있게 되므로, 서로 다른 입자에 대한 유아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어 학습적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음향발생체(10)를 다른 재질이 내장된 음향발생체(10)로로 바꾸고 싶은 경우 어댑터(20)의 제2수용부(54)에 형성된 분리홈(64)에 손가락을 넣어 음향발생체(10)를 밀어 내면, 어댑터(20)로부터 음향발생체(10)가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다른 음향발생체(10)를 간단하게 바꾸어 끼울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각기 다른 재질의 입자가 각각 내장된 다수개의 음향발생체(10)를 어댑터(20)에 바꾸어 끼움으로서 여러 가지의 특정한 소리를 내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음향발생체(10)를 가지고 내장되는 입자를 각기 다른 재질로 바꿔 주어도 본 고안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딸랑이 학습완구에 의하면, 여러 가지 재질(예를 들면, 모래, 쇠, 나무, 플라스틱, 구슬 등)의 입자가 내장된 음향발생체를 손잡이가 구비된 어댑터에 장착하여 유아에게 각 재질의 특정한 소리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므로 유아의 관심을 집중시키면서도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음향발생체와, 상기 음향발생체를 착탈자유롭게 결합고정시키는 어댑터로 구성되되;
    상기 음향발생체는 상부 및 하부바울이 끼워져 결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내장된 여러 가지 재질의 입자로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는 잡고 흔들 수 있게 손잡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랑이 학습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측으로 각각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된 상측 및 하측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및 하측부재에는 상기 음향발생체가 수용되는 제1 및 제2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랑이 학습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수용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하측으로 각각 절곡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용부에는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음향발생체를 고정시키는 탄성걸림부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수용부에는 상기 탄성걸림부가 끼워지는 걸림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랑이 학습완구.
KR2020000021442U 2000-07-27 2000-07-27 딸랑이 학습완구 KR200207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442U KR200207549Y1 (ko) 2000-07-27 2000-07-27 딸랑이 학습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442U KR200207549Y1 (ko) 2000-07-27 2000-07-27 딸랑이 학습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549Y1 true KR200207549Y1 (ko) 2000-12-15

Family

ID=1966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442U KR200207549Y1 (ko) 2000-07-27 2000-07-27 딸랑이 학습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5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3560B2 (ja) 差込み式接続を有する小型容器
US10596480B1 (en) Building components
US3597875A (en) Toy building set
JP3759956B2 (ja) 積み重ねブロック装置
KR950004911B1 (ko) 모양을 분류하는 교육용 장난감
KR200454067Y1 (ko) 자성 입체 완구 블록 및 그 조립체
WO1997026063A1 (en) Shape sorting bucket for use with construction toy blocks
EP0247515A1 (en) A toy activity centre
US5858262A (en) Mold for forming multi-sided, fully contoured, three-dimensional toy figures
KR10144767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JP2012228504A (ja) 乳児用のブロック玩具
JP2010111494A (ja) 空き容器収納箱
US20060166591A1 (en) Connecting toy
KR200207549Y1 (ko) 딸랑이 학습완구
US20140170632A1 (en) Toilet Training Apparatuses
US3835580A (en) Bottle sand toy
EP1099460A2 (en) A method of assembling a rotatable bayonet joint and such joint
CN115813769A (zh) 玩具和奶嘴结合组件以及在其中使用的奶嘴附接装置
JP2008086430A (ja) 組立式便器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JPH0880242A (ja) 音声発生機能付き食器
US20060199467A1 (en) Entertainment device
KR101028959B1 (ko) 유아용 자석블록
US4731024A (en) Children's amusement center
JP2004354744A (ja) 組立学習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