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679B1 - 조립식 블록 완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679B1
KR101447679B1 KR1020110112364A KR20110112364A KR101447679B1 KR 101447679 B1 KR101447679 B1 KR 101447679B1 KR 1020110112364 A KR1020110112364 A KR 1020110112364A KR 20110112364 A KR20110112364 A KR 20110112364A KR 101447679 B1 KR101447679 B1 KR 101447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in
unit block
connecting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377A (ko
Inventor
최길용
Original Assignee
최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길용 filed Critical 최길용
Priority to KR1020110112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67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7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using screws, bolts, nails, rivets,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1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2Perforated strips or the like assembled by rods, bolt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록 완구는 곡면 또는 평면으로 구성된 다수의 외벽으로 둘러싸여 입체도형의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개구홀이 형성된 단위블록;과, 판면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개구홀이 형성된 외벽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의 개구홀에 배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축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관통홀의 내주면과 삽입축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고정핀과 핀홈이 각각 형성되고, 핀홈의 말단부 일측에는 고정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위블록과 연결부재는, 연결부재의 삽입축이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와 단위블록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고정핀이 안착홈에 안착되어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블록 완구{Assembling block toy}
본 발명은 조립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단위블록이 연결부재에 의해 조립되는 과정에서 간편한 착탈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아 또는 어린이의 지능발달을 위한 장난감으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블럭을 조립하여 임의의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조립식 블럭완구 세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블럭 완구 세트는 어린이의 상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조형물을 조립할 수 있고, 조립한 조형물을 다시 분해한 뒤 다른 조형물을 만들 수 있는 등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어린이의 창작성과 상상력을 자극하여 두뇌활동과 지능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커다란 장점이 있다.
또한, 제작자의 설계능력과 상상력에 따라 얼마든지 난이도가 높은 조형물의 제작이 가능하여 유아기와 미취학 아동뿐만 아니라 초등학생 및 중학생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연결부재를 통해 블록간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조립식 블록 완구가 미국 특허 제5,645,464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조립식 블록 완구는 중공형이고, 원형 개구가 있는 벽과, 상기 개구에 리세스되어 있는 플랜지와, 중앙 구멍 및 상기 구멍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멍과 협동하는 두 개 이상의 홀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두 개 이상의 홀 각각은, 2개의 완구 블록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2개의 반원형 노브를 지지하는, 반원통형 탄성 서포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미국 특허 제5,645,464호는 상기 유지 노브 수단을 사용하여 완구 블록들을 체결하여 서로 연결하는 스위치 록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스위치 록은 강직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대향측에 부착되어 있는 2개의 샤프트를 포함한다. 각 샤프트는 상기 구멍과, 상기 노브에 의해 유지되는 상기 완구 블록벽 내의 상기 개구의 상기 홀에 조립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 유지 수단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록의 헤드부는 연결된 블록들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블록 완구는 블록간의 연결상태가 탄성력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므로 길이가 긴 형상의 구조물을 조립하는 경우, 자체 하중에 의해 블록간의 결합이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5,645,464호 (1997.06.08)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부재에 의해 조립되는 한 쌍의 단위블럭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단위블록간의 조립시, 단위블럭의 상호 대향하는 면이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상태에서 임의로 결합해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단위블록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체결부가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입체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블록의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체결부가 수용홈 내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고정핀이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결합위치가 안내되는 것과 동시에 딸깍거리는 소리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딸깍거리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가 결합완료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결합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핀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걸림턱과 고정핀 사이에 체결부가 탄력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고정상태에서 연결부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체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안착홈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추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삽입축이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곡면 또는 평면으로 구성된 다수의 외벽으로 둘러싸여 입체도형의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개구홀이 형성된 단위블록;과, 판면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개구홀이 형성된 외벽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의 개구홀에 배치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축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관통홀의 내주면과 삽입축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고정핀과 핀홈이 각각 형성되고, 핀홈의 말단부 일측에는 고정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위블록과 연결부재는, 연결부재의 삽입축이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와 단위블록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고정핀이 안착홈에 안착되어 연결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블록은 적어도 두 개의 몸체로 분리되어 상호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단위블록의 외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의 개구홀 내측면에는 체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외벽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탄성편이 돌출 형성되어, 체결부를 외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체결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후단부에는 단위블록의 내측으로부터 체결부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위블록은 상호 대향하는 두 면에 체결부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두 면에 배치되는 체결부는 후단부의 지지핀의 단부가 서로 맞닿아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과 핀홈의 사이에는 경사면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홈의 타측에는 안착홈에 안착된 고정핀이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의 핀홈과 안착홈의 사이각은 45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삽입축의 후단부에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축과 고정핀은 양단부에 형성되고, 양단부의 고정핀 사이의 간격은 연결부재의 양측에 조립되는 체결부의 안착홈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어 체결부의 탄성편이 양측 단위블록의 수용홈 내에서 각각 탄성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부재에 의해 조립되는 한 쌍의 단위블럭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또한, 단위블록간의 조립시, 단위블럭의 상호 대향하는 면이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상태에서 임의로 결합해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또한, 단위블록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홈에 체결부가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입체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블록의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체결부가 수용홈 내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또한, 고정핀이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결합위치가 안내되는 것과 동시에 딸깍거리는 소리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딸깍거리는 소리를 통해 사용자가 결합완료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결합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또한, 핀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안착홈으로 안착되면서 걸림턱과 고정핀 사이에 체결부가 탄력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고정상태에서 연결부재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체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또한, 안착홈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되어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추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삽입축이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블록 완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에 따른 제1체결부의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에 따른 제2체결부의 발췌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작용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록 완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에 따른 제1체결부(120a)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에 따른 제2체결부(120b)의 발췌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는 입체도형의 형태를 갖는 단위블록(110)과, 상기 단위블록(110)의 외벽(111)에 형성되는 체결부(120), 상기 체결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위블록(110)은 여섯 개의 외벽(111)으로 둘러싸여 정육면체의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측면을 구성하는 네 개의 외벽(111)의 중앙이 절개되어 상,하로 구분되는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로 이루어지며, 각 외벽(111)의 대략 중앙에 원형의 개구홀(112)이 각각 형성되고, 개구홀(112)의 내측면에는 체결부(120)의 측면을 감싸는 수용홈(1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섯 개의 외벽(111) 중 상면과 하면을 구성하는 외벽(111)에 배치되어 개구부가 그대로 개방된 수용홈(113)은 제2수용홈(113b), 측면을 구성하는 외벽(111)에 배치되어 수용홈(113)의 개구부 양측에 체결부(12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고정돌기(114)가 돌출형성된 수용홈(113)은 제1수용홈(113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결합면에는 상호 조립되는 결합보스와 결합홈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블록(110)이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여섯 개의 외벽(111)을 갖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원뿔, 원기둥, 다각 기둥, 다면체 등 입체모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다수의 외벽(111) 중 일부 외벽(111)에 개구홀(112) 및 수용홈(113)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120)는 단위블록(110)의 측면을 구성하는 외벽(111)의 제1수용홈(113a)에 삽입되는 제1체결부(120a)와 상면과 하면을 구성하는 외벽(111)의 제2수용홈(113b)에 삽입되는 제2체결부(120b)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120a)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위블록(110)의 수용홈(113)에 안착되는 플레이트(121)와, 상기 플레이트(121)의 판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22)과, 관통홀(122)의 내주면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네 개의 핀홈(123)과, 관통홀(122)의 내측면에서 핀홈(123)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는 안착홈(124)과, 상기 안착홈(124)과 핀홈(123)의 사이에 배치되어 낮은 부분은 핀홈(123)에 연결되고, 높은 부분은 안착홈(124)에 연결되는 경사면(125)과, 상기 안착홈(124)의 타측에서 안착홈(124)에 안착된 고정핀(132)이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되는 스토퍼(126)와, 상기 플레이트(121)의 판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외벽(111)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체결부(120)를 외벽(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편(127)을 포함하며, 상기 핀홈(123)과 안착홈(124)의 사이각은 45도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21)의 두께는 수용홈(113)의 깊이보다 얇게 형성되며, 플레이트(121)가 수용홈(113)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편(127)이 외벽(111)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플레이트(121)의 내측면을 고정돌기(114)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체결부(120b)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레이트(121)의 내측면에 체결부(120)가 설치되는 외벽(111)의 대향측으로부터 체결부(12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핀(128)이 추가로 돌출 형성되는 점에서 제1체결부(120a)와 차이를 가지며, 도 2와 같이 단위블록(110)의 상면과 하면을 구성하는 외벽(111)에 각각 제2체결부(120b)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핀(128)의 단부가 서로 맞닿아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30)는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체결부(120)의 관통홀(122)에 삽입되는 삽입축(131)과, 상기 체결부(120)의 핀홈(123)으로 삽입되도록 삽입축(131)의 선단부 측면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네 개의 고정핀(132)과, 상기 양단의 삽입축(131)의 사이에서 돌출 형성되어 플레이트(121)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걸림턱(1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33)과 고정핀(132) 사이의 간격은 플레이트(121)의 외측면과 안착홈(124)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3)의 두께는 단위블록(110)의 개구홀(112)의 깊이의 2배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30)가 한 쌍의 단위블럭을 밀착상태로 연결하기 위해 양단부에 고정핀(132)이 각각 형성되고, 짧은 길이를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연결부재(130)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다수의 단위블록(110)들을 관통한 상태에서 말단부가 다른 단위블록(110)의 체결부(12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수용홈(113)과, 체결부(120)는 제1수용홈(113a)에 수용되는 제1체결부(120a)와 제2수용홈(113b)에 수용되는 제2체결부(120b)로 구분되나, 상기와 같은 제1체결부(120a)와 제2체결부(120b)는 후단부가 고정돌기(114)와 지지핀(128)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연결부재(130)와의 결합/분리작용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수용홈(113)과 체결부(120)로 통합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120)의 관통홀(122)의 내주면에 핀홈(123)이 형성되고, 연결부재(130)의 삽입축(131)에 고정핀(132)이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관통홀(122)의 내주면에 고정핀(132)이 형성되고, 삽입축(131)의 외주면에 핀홈(123)이 형성되고, 핀홈(123)의 말단부 일측에 경사면(125), 안착홈(124), 스토퍼(126)가 순서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조립식 블록 완구의 제1실시예의 결합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5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 조립식 블록 완구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작용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단위블록(110)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단위블록(110)을 구성하는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개구부가 대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제1몸체(110a) 또는 제2몸체(110b)의 측벽을 구성하는 외벽(111)의 개구홀(112) 내측에 형성된 제1수용홈(113a)에 제1체결부(120a)를 각각 삽입하고,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상면과 하면을 구성하는 외벽(111)에 각각 형성된 제2수용홈(113b)에는 제2체결부(120b)를 각각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120a)와 제2체결부(120b)는 플레이트(121)의 판면으로부터 탄성편(127)이 돌출 형성된 측의 면이 외벽(111)의 내측면을 향하도록 배치하는데, 제1수용홈(113a)에 삽입되는 제1체결부(120a)는 제1수용홈(113a)의 후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14)에 의해 제1수용홈(113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고, 제2수용홈(113b)에 삽입되는 제2체결부(120b)는 제1몸체(110a)의 하면을 구성하는 외벽(111)에 배치된 제2체결부(120b)와 제2몸체(110b)의 상면을 구성하는 외벽(111)에 배치된 제2체결부(120b)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지지핀(128)의 단부가 서로 맞닿으면서 지지되어 제2수용홈(113b)으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탄성편(127)이 외벽(111)의 내측면에 각각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제1체결부(120a)와 제2체결부(120b)는 내측면이 고정돌기(114) 또는 지지핀(128)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2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탄성편(127)이 외벽(111)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외벽(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며, 이격된 간격 내에서 탄력적으로 위치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제1수용홈(113a)과 제2수용홈(113b)에 제1체결부(120a)와 제2체결부(120b)를 각각 결합한 다음, 제1몸체(110a)와 제2몸체(110b)의 개구측이 서로 밀착되도록 결합하면 단위블록(1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한 쌍의 단위블록(110)이 연결부재(130)를 통해 조립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7, 도 10, 도 13은 일측 단위블록의 수용홈에 결합된 체결부의 내측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 도 11, 도 14는 각각 도 7, 도 10, 도 13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9, 도 12, 도 15는 각각 도 7, 도 10, 도 13의 D-D선 단면도이다.
먼저, 도 7과 같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체결부(120)의 핀홈(123)에 일치되도록 한 다음, 도 8과 같이 연결부재(130)의 양단부에 형성된 삽입축(131)이 양측 단위블록(110)의 외벽(111)에 형성된 체결부(120)의 관통홀(122)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의 단위블록(110)의 외벽(111)을 밀착시키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은 체결부(120)의 핀홈(123)을 관통하여 플레이트(12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9와 같이 핀홈(123)의 일측에는 각각 경사면(125)과 안착홈(124)과 스토퍼(126)가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으며, 스토퍼(126)는 인접 핀홈(123)의 타측까지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측 단위블록(110)의 체결부(120)에 연결부재(13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양측 단위블록(110)은 경사면(125)이 형성된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20)의 플레이트(12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홈(113)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플레이트(121)의 탄성편(127)이 외벽(111)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플레이트(121)가 외벽(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어서, 도 10과 같이 단위블록(110)의 수용홈(113) 내에 결합된 체결부(120)의 관통홀(122)에 연결부재(130)의 삽입축(131)이 삽입된 상태에서, 단위블록(110)을 결합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체결부(120)의 핀홈(123)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12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130)와 체결부(120)의 상대적인 작용을 살펴보면, 도 11과 같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체결부(120)의 경사면(125)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체결부(120)의 플레이트(121)가 수용홈(113) 내에서 외벽(111)의 내측면을 향해 위치 이동한다.
상기와 같은 경사면(125)은 낮은 부분이 핀홈(123)의 일측에 연결되고, 높은 부분은 안착홈(12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단위블록(110)이 결합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고정핀(132)이 경사면(125)의 높은 부분으로 위치이동하게 되면서 플레이트(121)가 점진적으로 외벽(111)의 내측면을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도 12와 같이 플레이트(121)의 판면으로부터 외벽(111)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 탄성편(127)은 플레이트(121)와 외벽(111)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탄성압축된다.
상기와 같이 단위블록(110)을 결합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도 13과 같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체결부(120)의 안착홈(124)으로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핀홈(123)과 안착홈(124)의 사이각도는 45도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양측 단위블록(110)을 결합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경사면(125)을 경유하여 안착홈(124)으로 안착되어 연결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양측의 단위블록(1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도 14와 같이 연결부재(130)의 양단부에 형성된 고정핀(132)이 각각 양측 단위블록(110)의 체결부(120)에 형성된 안착홈(124)에 안착되면서 단위블록(110)과 연결부재(130)간의 결합력이 발생되므로 한 쌍의 단위블록(110)의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특히, 조립과정에서 고정핀(132)이 경사면(125)의 높은 부분으로부터 안착홈(124)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압축되어 있던 탄성편(127)이 탄성복원하면서 플레이트(121)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고정핀(132)이 안착홈(124)에 안착되므로 단위블록(110)과 연결부재(130)의 결합위치가 안내되는 것과 동시에 딸깔거리는 소리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딸깔거리는 소리를 통해 조립완료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결합방향으로 무리하게 힘을 가하여 고정핀(13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핀홀을 관통한 고정핀(132)이 경사면(125)을 따라 상승하였다가 안착홈(124)으로 안착된 상태에서는 도 15와 같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체결부(120)의 안착홈(124)에 안착된 상태에서, 안착홈(124)이 탄성편(127)에 의해 고정핀(132)을 삽입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3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 단위블록(110)은 연결부재(130)의 삽입축(131)이 각각 삽입방향으로 탄성지지되므로 단위블록(110)의 외벽(111)의 외측면이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조립상태에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견고한 조립상태가 유지된다.
아울러, 안착홈(124)의 경사면(125)과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스토퍼(126)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결합방향으로 추가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측 단위블록(110)의 체결부(120)와 연결부재(130)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서 단위블록(110)과 연결부재(130)의 결합이 45도의 회전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도면에서와 같이 연결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단위블록(110)을 체결하는 경우 양측의 단위블록(110)이 각각 45도씩 회전하는 것이므로, 전체적으로는 한 쌍의 단위블록(110)을 잡고 결합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다.
아울러, 조립된 상태에서 다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양측의 단위블록(110)을 분해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안착홈(124)으로부터 벗어나 경사면(125)을 경유하여 핀홈(123)에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한 쌍의 단위블록(110)을 분리시키면 연결부재(130)의 고정핀(132)이 핀홈(123)을 통해 체결부(120)로부터 빠져나가면서 분리가 완료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단위블록, 110a:제1몸체, 110b:제2몸체, 111:외벽, 112:개구홀,
113:수용홈, 114:고정돌기, 120:체결부, 121:플레이트, 122:관통홀,
123:핀홈, 124:안착홈, 125:경사면, 126:스토퍼, 127:탄성편, 128:지지핀,
130:연결부재, 131:삽입축, 132:고정핀, 133:걸림턱

Claims (13)

  1. 곡면 또는 평면으로 구성된 다수의 외벽으로 둘러싸여 입체도형의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외벽에 개구홀이 형성된 단위블록;
    판면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개구홀이 형성된 외벽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상기 단위블록의 개구홀에 배치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축이 형성된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관통홀의 내주면과 삽입축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고정핀과 핀홈이 각각 형성되고, 핀홈의 말단부 일측에는 고정핀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위블록과 연결부재는, 연결부재의 삽입축이 체결부의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재와 단위블록간의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고정핀이 안착홈에 안착되어 연결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외벽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탄성편이 돌출 형성되어, 체결부를 외벽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적어도 두 개의 몸체로 분리되어 상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단위블록의 외벽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의 개구홀 내측면에는 체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체결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후단부에는 단위블록의 내측으로부터 체결부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블록은 상호 대향하는 두 면에 체결부가 각각 배치되고, 상기 두 면에 배치되는 체결부는 후단부의 지지핀의 단부가 서로 맞닿아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9. 제 1항 내지 제 4항 또는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과 핀홈의 사이에는 경사면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타측에는 안착홈에 안착된 고정핀이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핀홈과 안착홈의 사이각은 45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삽입축의 후단부에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축과 고정핀은 양단부에 형성되고, 양단부의 고정핀 사이의 간격은 연결부재의 양측에 조립되는 체결부의 안착홈 사이의 간격보다 짧게 형성되어 체결부의 탄성편이 양측 단위블록의 수용홈 내에서 각각 탄성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록 완구.
KR1020110112364A 2011-10-31 2011-10-31 조립식 블록 완구 KR101447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364A KR101447679B1 (ko) 2011-10-31 2011-10-31 조립식 블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364A KR101447679B1 (ko) 2011-10-31 2011-10-31 조립식 블록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377A KR20130047377A (ko) 2013-05-08
KR101447679B1 true KR101447679B1 (ko) 2014-10-13

Family

ID=4865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364A KR101447679B1 (ko) 2011-10-31 2011-10-31 조립식 블록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6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60B1 (ko) * 2015-05-19 2016-09-06 오승영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WO2018105922A1 (ko) * 2016-12-05 2018-06-14 김부성 교육용 조립교구
US11302218B2 (en) 2016-12-05 2022-04-12 Bu Sung KIM Construction teaching set for edu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8739B (el) * 2013-07-25 2016-04-11 Γεωργιος Δημητριου Ασημοπουλος Παιχνιδι κατασκευων με επιπεδα κομματια και ξεχωριστους συνδεσμους
WO2015075107A1 (en) * 2013-11-21 2015-05-28 Fonden For Helene Elsass Centeret Interactive and adaptable learning environment
WO2015075106A1 (en) * 2013-11-21 2015-05-28 Fonden For Helene Elsass Centeret Building block and building block system with a connector element
CN105641952B (zh) * 2014-11-13 2017-12-05 智高实业股份有限公司 夹压式卡扣组及其组合
KR101739533B1 (ko) 2015-09-04 2017-05-24 (주)짐월드 장난감 블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464A (en) * 1996-03-22 1997-07-08 Chen; Yen-Shing Sustainable assembly blocks
US20040253901A1 (en) * 2003-05-14 2004-12-16 Joseph Donahue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toy struc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5464A (en) * 1996-03-22 1997-07-08 Chen; Yen-Shing Sustainable assembly blocks
US20040253901A1 (en) * 2003-05-14 2004-12-16 Joseph Donahue Modular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toy structur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560B1 (ko) * 2015-05-19 2016-09-06 오승영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WO2016186339A1 (ko) * 2015-05-19 2016-11-24 오승영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US10272353B2 (en) 2015-05-19 2019-04-30 Seung Young OH Unit block having integrally provided coupling portion and insertion portion and coupling or using method using same
WO2018105922A1 (ko) * 2016-12-05 2018-06-14 김부성 교육용 조립교구
US11302218B2 (en) 2016-12-05 2022-04-12 Bu Sung KIM Construction teaching set for edu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377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67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070076413A (ko) 블록 완구
JP2012228504A (ja) 乳児用のブロック玩具
KR20130034897A (ko) 자석을 이용한 조립식 블럭 완구
US20180250605A1 (en) Assembly toy
KR1013859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101783296B1 (ko) 조립식 완구
KR20170065212A (ko) 탄성벽을 이용한 체결구조를 가지는 디오라마 조립식 블록
KR200263127Y1 (ko) 자석을 이용한 완구조립용 구성부재
KR20040090653A (ko) 조립식 블록 및 조립식 블록완구세트
KR101458692B1 (ko) 자석퍼즐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100995722B1 (ko) 유아용 자석블록
KR101508097B1 (ko) 유희 연결구
JP2007135935A (ja) 分解組み立て式の人形型玩具
KR20160118520A (ko) 자석완구
CN111841028A (zh) 一种组装玩具以及玩具套装
KR101898337B1 (ko) 조립식 블럭
KR20170028770A (ko) 탄성체로 이루어진 체결구를 갖는 조립식 블록
KR100819661B1 (ko) 유아 학습용 자석블록
CN202538360U (zh) 一种插装玩具
KR101389927B1 (ko) 블록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블록 커넥터
KR102198306B1 (ko) 모터가 결합된 조립완구
KR920002887Y1 (ko) 조립블럭완구
KR100740408B1 (ko) 학습용 조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