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223A -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 Google Patents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223A
KR20040016223A KR1020020048491A KR20020048491A KR20040016223A KR 20040016223 A KR20040016223 A KR 20040016223A KR 1020020048491 A KR1020020048491 A KR 1020020048491A KR 20020048491 A KR20020048491 A KR 20020048491A KR 20040016223 A KR20040016223 A KR 2004001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od
cheering
screw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한기
임덕원
Original Assignee
배한기
임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한기, 임덕원 filed Critical 배한기
Priority to KR102002004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6223A/ko
Publication of KR2004001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22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유입시 손잡이를 쥐고 펴는 동작으로 공기가 유입되게하고, 공기 배출시에는 간단히 공기배출봉을 눌러 공기가 배출할수 있는 공기 유출입기구와, 상기와 같은 공기 유출입기구를 사용하여 공기를 집어넣는 경우 응원용 막대봉이 되고, 공기를 빼면 휴대하기 용이한 응원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공기 유출입기구는, 튜브가 연결되고, 공기통로 및 저지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 나사를 형성한 상부 체결구와, 공기 유출입용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부 외부로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체결구와 나사를 통하여 억지맞춤 되는 손잡이와, 상기 상부체결구와 손잡이내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체결구의 공기통로내에 위치하도록 공기배출봉을 구성시킨 것이 특징이며, 상기한 공기 유출입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은, 상기한 공기 유출입기구를 그대로 사용하고, 그 공기 유출입기구를 구성하는 상부체결구에 융착 고정되고, 상부에 형상제한부재를 통하여 형성되는 깃봉을 갖춘 봉과, 상기 봉에 연이어 하나의 비닐지로 접어 형성되는 보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AIR COUNTROL APPARATUS AND PLAYING BAR FOR SUPPORTER THEREOF}
본 발명은 공기 유입출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튜브제품과 같은 기구에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한 기구를 제공하고, 이 공기 유출기구를 몸체의 일부분에 적용되어 여러 가지 스포츠 경기에서 사용되는 응원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응원봉의 경우에는 공기 유입시 응원용 봉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공기의 배출시 간편하게 주머니속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응원봉에 관한 것이다.
물놀이 기구 기타 공기가 유입되는 제품의 경우에는 공기의 유입, 공기의 정체, 공기의 배출이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공기의 유입의 경우에는 공기를 주입하기 위하여 입으로 불거나 기타 주입기구 등이 사용되고, 공기의 정체의 경우에는 튜브내에 유입된 공기가 역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위하여 자체 공기압에 의하여 배출을 차단하는 구조(대개 역류판이나 저지판의 구성)를 채택하고 있으며, 공기의 배출의 경우는 놀이기구로 사용하지 아니하는 보관상태시 손쉽게 공기가 배출될 필요가 있다.
특히 응원기구에 상기와 같은 공기 유입출기구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대개 입으로 불어 사용되고, 배출시에는 공기유입구를 손으로 비틀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소형 물놀이기구의 튜브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을 채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공기 유입출기구의 경우는 입으로 불어 사용되므로 공기 유입시 많은 노고가 들뿐 만 아니라 비위생적이며, 공기 배출시에도 많은 노고가 드는 것이었다.
또한 응원봉의 경우에는 프로 야구, 프로 농구 및 프로 축구등이 활성화되면서 운동경기장에서의 응원방법도 다양화됨에 따라 응원용 봉을 쳐들거나 두드리는 등의 응원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응원봉의 경우에는 공기를 넣은 기다란 막대모양의 봉이 사용하여 박수를 치거나 응원봉 끼리 두드리는 응원으로서 공기를 넣고, 빼기 위하여는 상기와 같은 공기 유출입기구가 응원봉의 하나의 구성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유입시 손잡이를 쥐고 펴는 동작으로 공기가 유입되게하고, 공기 배출시에는 간단히 공기배출봉을 눌러 공기가 배출할 수 있는 공기 유출입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공기유출입기구를 사용하여 공기를 집어넣는 경우 응원용 막대봉이 되고, 공기를 빼면 휴대하기 용이한 응원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응원시 여러 가지 깃발 등의 보조기구를 달수 있는 구조의 응원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공기를 집어넣어 사용하기 때문에 과격한 응원시에도 별도의 안전장치가 필요 없는 응원용 깃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 유출입기구의 특징은, 튜브가 연결되고, 공기통로 및 저지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 나사를 형성한 상부 체결구와, 공기 유출입용 공기구멍이 형성되고, 상부 외부로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체결구와 나사를 통하여 억지맞춤 되는 손잡이와, 상기 상부체결구와 손잡이내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체결구의 공기통로내에 위치하도록 공기배출봉을 구성시킨 것에 있으며, 상기한 공기 유출입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은, 상기한 공기 유출입기구를 그대로 사용하고, 그 공기 유출입기구를 구성하는 상부체결구에 융착 고정되고, 상부에 형상제한부재를 통하여 형성되는 깃봉을 갖춘 봉과, 상기 봉에 연이어 하나의 비닐지로 접어 형성되는 보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응원봉을 깃대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봉의 상부에 형성된 형상제한부재 의 일측에 뚫어 설치된 끈 고정구멍과, 상기 상부체결구의 일측에 뚫어 설치된 끈 고정구멍을 구성시켜 깃발과 연결되게 하고 있다.
또한 야간에 사용되는 응원봉을 위하여, 상기 봉과 보관부 사이에는 2중의 비닐지내에 야광층을 도포한 야광지가 삽입 고정구성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응원봉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공기 유출입기구를 사용한 응원봉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응원봉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응원봉의 일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응원봉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고인 응원봉이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야광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구멍3 : 공기통로
4 : 저지판5 : 하부체결구
6 : 상부체결구8 : 나사결합부
10 : 손잡이20 : 보관부
33 : 형상제한부재30 : 봉
40 : 깃발11 : 추
12 : 공기배출봉16, 31 : 끈고정 구멍
25 : 끈조절구26 : 끈
32 : 접합부50 : 깃봉
51 : 야광지52 : 야광층
53 : 비닐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응원봉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사시도로서 응원봉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보관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에는 공기구멍(1)이 뚫어 설치되어 있는 공기 주입용 손잡이(1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손잡이(10) 위에는 억지맞춤으로 결합된 봉(30)이 그 봉(30)과 일체로 형성된 보관부(20)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미설명 부호 26는 끈이며, 25는 끈조절구이다.
도 2는 본 발명 응원봉의 하부 결합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로서 C-C'선을 기준으로 분리 결합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하부 손잡이(10)는 공기구멍(1)을 뚫어 설치하고, 단턱이 형성된 상부에 나사를 형성한 하부체결구(5)가 일체로 형성되게한 플라스틱 사출물이다.
상기 손잡이(10)에 체결되는 봉(30) 및 보관부(20)는 상부 체결구(6)와 일체를 이루도록 접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관부(20) 및 봉(30)은 일체로 형성된 비닐지의 필름으로서 길게 이어진 봉 (30)을 접어 보관부(20)을 형성한후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체결부(6)와 접합시켜 하나의 몸체가 이루어 지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봉(30)이 깃대와 같은 느낌을 부여하기 위하여 봉의 상부에 깃봉을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봉(30)의 상부에는 "工"자형 형상제한부재(33)가 삽입된채 봉(30)과 일체로 접합시켜 상부에 깃봉(50)이 형성되게 한 것이다.
상기한 "工"자형 형상제한부재(33)는 상기 봉(30)보다 두꺼운 비닐지로 형성되어 있어 공기가 봉(30)내에 유입시 형상을 제한하여 상부에 깃봉(50)이 형성하게 된다.
상부 체결구(6) 역시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하부 체결구(5)와 결합될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공기주입구를 형성할수 있도록 공기통로(3)를 형성하고 한쪽을 절결하여 저지판(4)이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공기주입구 자체는 일반적인 물놀이 기구의 공기주입구와 유사한 구조이다.
봉(30) 및 보관부(20)에 일체로 접합된 상부 체결구(6)와, 손잡이(10)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체결구(5)는 각각 분리된채 생산되어 나사결합부(8)에 의하여 억지맞춤하여 응원봉을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 손잡이(10) 내에는 하부에 추(11)을 형성된 공기배출봉(12)이 삽입되게 하여 상기 상부 체결부(6)의 공기통로(3) 사이에 상기 공기배출봉(12)이 위치하도록 구성한것이다.
상기한 구성은 주로 응원봉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그 응원봉에 사용되는 공기 유출입기구의 경우에는 상부체결구(6) 및 하부 체결구(5)의 나사식결합에 의한 억지맞춤에 의하여 완성된다. 이때 양자는 모두 플라스틱재 사출물이므로 나사결합에 의한 억지 맞춤이 용이하다.
즉, 내부에 나사를 형성한 상부체결구(6)는 상단에 여러 가지 튜브등의 놀이기구가 일체로 접합되어 부착될수 있으나, 여기서는 편의상 응원용 봉이 부착되어있다.
하부체결구(5)의 경우에는 손잡이(10)와 일체로 사출되고, 체결구의 상부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체결구(6)에 형성된 공기통로(3)와 저지판(4)으로 공기의 유입 및 공기가 저류될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이는 기히 알려져 있는 여러 가지 공기 주입구로 대체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0)내에는 공기배출봉(12)이 삽입되어 상기 상부 체결구 (6)의 공기통로(3)내 삽입되게 구성시키고 상기 공기배출봉(12)의 하부에는 추 (11)을 결합시켜 공기 유출입기구를 완성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 응원봉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응원봉은 크게 3부분으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상부의 몸체를 이루는 봉(30)과 하부의 손잡이(10)와 상기 봉(30)과 손잡이(10)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6)로 구성된다.
상부의 봉(30) 및 상부 체결구(6)는 고정접합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하게 되고, 손잡이(10)와는 나사결합부(8)에 의하여 억지맞춤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같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부의 봉(30)은 "工"자형 형상제한부재(33)에 의하여 상부에 깃봉(50)을 형성시키고 있으며, 상기한 "工"자형 형상제한부재(33)의 일측에 뚫어 설치된 끈 고정구멍(31)가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체결구(6)도 플라스틱 사출시 일측에 끈고정구멍(16)이 형성되게 하여 깃발 고정시 상기 끈고정구멍(16),(31)을 통하여 깃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미사용시에는 도 1과 같이 봉(30)은 보관부 (20)내에 삽입되고, 끈조절구(25)로 끈(26)을 당겨 보관하는 것으로 봉(30)내에 공기가 빠진상태에서는 봉(30)이 적게 수축되므로 적은 부피로 보관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보관상태에서 응원 도구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끈조절구(25)을 조절하여 봉(30)이 외부로 나오게 한후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손잡이(10)을 쥐고, 펴는 동작을 반복하여 봉(30)내에 공기가 주입되게 한다.
즉, 손잡이를 쥐는 동작시에는 공기구멍(10)이 막히게 하여 쥐면, 손잡이 내에 있던 공기는 공기통로(3)를 통하여 봉(30)내로 주입하게 되고, 주입된 공기는 공기 압력에 의하여 저지판(4)을 누르므로 저지판(4)에 의하여 주입된 공기는 역으로 나올 수가 없게 된다.
다시 손잡이를 펴는 동작시에는 공기 구멍(1)으로 공기가 주입되어 손잡이 (10)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반복 동작에 의하여 봉(30)내에는 공기가 주입되어 탄탄하게 부풀은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봉(30)내에 공기가 유입시 "工"자형 형상제한부재(33)는 봉(30)이 부푸는 것을 제한하게 되므로 상부로 유입된 공기는 깃봉(50)형상을 유지하게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응원봉은 응원도구로서 잡고 흔들거나, 손바닥에 치면서 응원을 할 수가 있으며, 양손에 동일한 응원봉을 쥐고 있는 경우에는 응원봉 끼리 쳐서 응원하는 박수 동작을 연출할 수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응원봉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깃발을 고정하는 깃대로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응원봉의 봉(3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끈 고정구멍(31)과 체결구의 일측에 형성된 끈 고정구멍(16)을 통하여 깃발에 끈과 매듭지어 연결할 수가 있어 이때에는 응원봉이 깃발로 사용되어 보다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다.
특히 "工"자형 형상제한부재(33)에 의하여 상부에 깃봉(50)을 형성할 수 있어 응원용 깃발이나 국기 등을 달수 있는 일반적인 깃발과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끈 고정구멍 (16),(31)을 통하여 봉(30)과 깃발(40)을 연결시 본 발명은 끈을 매듭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고리나 기타의 연결수단을 통하여도 깃발을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응원봉 및 깃봉으로 사용하다가 보관시에는 봉에 주입된 공기를 빼내 도 1과 같은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이때에는 도 2와 같이 손잡이(10)내의 추(11)를 위로 밀어 올리면 배출봉(12)이 공기통로(3)를 지나 저지판 (4)을 위로 밀게 되므로 봉(30)내부의 공기는 공기통로(3)를 통하여 손잡이(10)내 공기구멍(1)로 배출되어 봉이 수축하게 되고 상술한 바와같이 도 1의 상태로 보관된다. 여기서 추(11)는 평상시 공기배출봉(12)이 저지판(4)을 누르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시킨 것이다.
이와같이 공기의 주입 및 배출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주입시에는 응원용 봉의 기능과 깃발을 걸 수 있는 깃대로 사용할 수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공기를 빼는 경우에는 간단히 일체로 형성된 보관부 속에 모든 부품을 집어넣을 수가 있어 주머니에 넣어 휴대할 수가 있는 것으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야간에 야광 응원봉의 역할을 수행할수 있도록 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응원봉(30)의 외부에 삽입되는 야광지(51)는 그 단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비닐지(53)에 야광층(52)을 도포시킨후 그 비닐지(51)을 접어 접힌부분의 접합부(54)을 용착접합시키어 2중의 층에 야광층(52)이 삽입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는 야광층(5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 흠이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봉(30)자체에 야광페인트를 도포할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비용이 증가되고, 주간에 사용시 불필요한 점으로 대두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주간에는 보관부(20)내에 수납되고, 야간에만 노출시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으로 상술한 야광지(51)을 봉(30)의 위로부터 삽입시키어 평상시 보관부(20)내에 수납된다.
이때에는 봉내에 공기가 유입되지 아니한 상태이므로 손쉽게 봉(30)내에 삽입할 수가 있으며, 야간 경기에 사용시에는 보관부(20)내에 수납된 야광지(51)를 접선과 같이 밀어 올려 사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공기 유출입 기구의 경우에는 손으로 공기를 주입할수 있으며, 유출시에도 공기배출봉 밑에 추를 누르는 단순한 동작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입으로 불어 주입시키고 비틀어 주입된 공기를 빼는 튜브형 놀이기구에 적용시 보다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공기 유출입기구에 하나의 구성일부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응원기구의 경우에는 응원용 소기구가 가져야 하는 특징들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수가 있다.
(1)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보관시 용이한 특징
(2) 응원시 흥분하기 쉬우므로 몸에 상처를 줄 수 있는 요인을 제거한 안정성
(3) 응원봉 및 깃대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다기능의 특징
(4) 봉내부의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한 특징
(5) 야간에 사용에도 시각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특징

Claims (4)

  1. 튜브가 연결되고, 공기통로(3) 및 저지판(4)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 나사를 형성한 상부 체결구(6)와,
    공기 유출입용 공기구멍(1)이 형성되고, 상부 외부로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체결구(6)와 나사를 통하여 억지맞춤 되는 손잡이(10)와,
    상기 상부체결구(6)와 손잡이(10)내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체결구(6)의 공기통로(3)내에 위치하도록 공기배출봉(12)을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출입기구
  2. 튜브가 연결되고, 공기통로(3) 및 저지판(4)을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에 나사를 형성한 상부 체결구(6)와, 공기 유출입용 공기구멍(1)이 형성되고, 상부 외부로 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체결구(6)와 나사를 통하여 억지맞춤 되는 손잡이 (10)와, 상기 상부체결구(6)와 손잡이(10)내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체결구(6)의 공기통로(3)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공기배출봉(12)과,
    상기 상부체결구(6)에 융착 고정되고, 상부에 형상제한부재(33)을 통하여 형성되는 깃봉(50)을 갖춘 봉(30)과,
    상기 봉(30)에 연이어 하나의 비닐지로 접어 형성되는 보관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공기 유출입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30)의 상부에 형성된 형상제한부재(33)의 일측에 뚫어 설치된 끈 고정구멍(31)과, 상기 상부체결구(6)의 일측에 뚫어 설치된 끈 고정구멍(16)을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출입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30)과 보관부(20)사이에는 2중의 비닐지내에 야광층(52)을 도포한 야광지(51)가 삽입 고정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유출입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KR1020020048491A 2002-08-16 2002-08-16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KR20040016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91A KR20040016223A (ko) 2002-08-16 2002-08-16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491A KR20040016223A (ko) 2002-08-16 2002-08-16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464U Division KR200299485Y1 (ko) 2002-08-16 2002-08-16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223A true KR20040016223A (ko) 2004-02-21

Family

ID=3732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491A KR20040016223A (ko) 2002-08-16 2002-08-16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62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7100A (zh) * 2012-07-23 2014-01-29 业立全五金制品(深圳)有限公司 一种自发电充气棒
KR101994391B1 (ko) 2018-12-05 2019-06-28 양진호 조명을 구비한 음료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37100A (zh) * 2012-07-23 2014-01-29 业立全五金制品(深圳)有限公司 一种自发电充气棒
KR101994391B1 (ko) 2018-12-05 2019-06-28 양진호 조명을 구비한 음료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73604S1 (en) Golf club head
DK162088D0 (da) Anlaeg og indretning til afgivelse af plastposer
KR20040016223A (ko)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KR200299485Y1 (ko) 공기 유출입기구 및 그 기구를 사용하는 응원봉
USD474818S1 (en) Pulling exerciser
WO2004037663A3 (en) Bag with handle
KR200296209Y1 (ko) 응원봉
USD530762S1 (en) Two-tone golf club grip
USD483827S1 (en) Batting swing trainer
GB0326386D0 (en) Newhair:The wig with a parting at the front
FR2871114B1 (fr) Dispositif a pedale avec restitution d'effort
KR101854039B1 (ko) 공기 주입 및 배출이 용이한 막대풍선
CN207023500U9 (zh) 一种拉开式雨伞
USD450770S1 (en) Knot tying training device
US20050082719A1 (en) Integral formation of water conduit connector for sports water bag
KR200194481Y1 (ko) 풍선
US20020009947A1 (en) Squeezing deformable toy structure
CN211742624U (zh) 一种可打开葫芦音室方便清洁的葫芦丝
CN2547632Y (zh) 腰带式全自动救生圈
KR200357614Y1 (ko) 표찰케이스용 목걸이부재
WO2005120981A3 (en) Pouring bag
KR200246111Y1 (ko) 이탈 방지 리듬스틱
CN2888950Y (zh) 多功能手杖
US20090100582A1 (en) Blockage clearing device and method
JP3158967U (ja) メガホン用紐取り付け具およびメガホ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