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866A - 음극선관, 주사 제어 장치, 및 주사 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 주사 제어 장치, 및 주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866A
KR20020090866A KR1020020027471A KR20020027471A KR20020090866A KR 20020090866 A KR20020090866 A KR 20020090866A KR 1020020027471 A KR1020020027471 A KR 1020020027471A KR 20020027471 A KR20020027471 A KR 20020027471A KR 20020090866 A KR20020090866 A KR 20020090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anning
image
video signal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토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0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8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3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otherwise than with constant velocity or otherwise than in pattern formed by unidirectional, straight, substantially horizontal or vertical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2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 H01J31/201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using a colour-selection electrode
    • H01J31/203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for displaying images or patterns in two or more colours using a colour-selection electrode with more than one electron bea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multi-beam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1Beam current contro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02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04N5/68Circuit details for cathode-ray display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복(複)전자총 방식의 음극선관에 배치된 프레임 싱크로나이저에 의해, 각 분할 화면용 영상 신호의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지연시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단위 시간당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總和)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飽和)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각 분할 화면을 주사하는 각 전자빔의 주사 시각에 상대적인 차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필드(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을 좌우의 분할 화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실행하도록 한 주사 방식에 있어서, 형광체의 휘도 포화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휘도 하락의 문제가 해결되어, 양호한 화상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 주사 제어 장치, 및 주사 방법 {CATHODE RAY TUBE, SCANNING CONTROL DEVICE, AND SCANNING METHOD}
본 발명은 복수의 전자총을 구비하고, 복수의 분할 화면을 연결하여 맞춤으로써 단일 화면을 형성하여 화상 표시를 실행하도록 한 음극선관 및 그 주사 제어 장치, 및 그 주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텔레비전 수상기나 각종 모니터 장치 등에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음극선관은 컬러 표시용의 것이면, 적(R; Red), 녹(G; Green) 및 청(B; Blue)색의 각색에 대응한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을 가지고 있다. 컬러 표시용 음극선관에서는, 각각 R, G, B의 각색에 대응한 전자빔이 패널부에 형성되어 있는 각색의 형광체 부분에 조사되고, 그 결과, 각각의 색이 발광된다. 이 때, 각색용의 전자빔은 각각 편향계에 의해 편향 조사되고, 이에 따라, 음극선관에서는 관면(管面)에 전자빔의 주사에 따른 주사 화면이 형성된다.
그런데, 음극선관은 단일 전자총을 구비한 구성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복수의 전자총을 구비한 구성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 즉, 컬러 표시용 음극선관이면, R, G, B 3개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을 복수(예를 들면, 2개) 구비한 것이 개발되어 있다. 음극선관에서 복수의 전자총을 사용하는 방식은 "복(複)전자총 방식" 등으로 불려지고 있다. 이 복전자총 방식의 음극선관에 관련되는 기술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소 39(1964)-25641호 공보, 특공소 42(1967)-4928호 및 특개소 50(1975)-17167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 복전자총 방식의 음극선관에 의하면, 단일 전자총을 사용한 음극선관보다 깊이의 단축화를 도모하면서 대화면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단일 전자총만을 사용한 음극선관과 비교하여, 고휘도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복전자총 방식의 음극선관에서는, 화면 영역을 복수로 분할하는 동시에, 그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이하, "분할 화면"이라고도 함)을 서로 연결하여 맞춤으로써, 전체로서 하나의 화면을 형성한다. 전자총은 화면의 분할수에 대응한 수만큼 설치된다. 각 분할 화면은 각각 대응하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에 의해 주사된다. 복전자총 방식의 음극선관에서의 화면 구성으로서는, 단지 각 분할 화면의 단부(端部)를 선형으로 연결하여 맞춤으로써 하나의 화면을 얻도록 한 것과, 인접하는 분할 화면끼리 부분적으로 중복(오버랩)시켜 하나의 화면을 얻도록 한 것이 있다.
여기에서, 도 1 (A)∼(D)를 참조하여, 복전자총 방식의 음극선관에서의 화면 주사 방식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간단한 예로서, 좌우에 설치된 2개의 전자총으로부터의 좌우 2개의 전자빔에 의해, 도시한 것과 같이, 좌우 2개의 화면 영역(101L, 101R)을 주사하는 경우에 대하여 고려한다. 화면의 중앙 부분은 좌우의 분할 화면(101L, 101R)이 오버랩되는 영역(102)으로 된다. 오버랩 영역(102)은 좌우로부터의 2개의 전자빔에 의해 중복 주사된다. 오버랩 영역(102) 이외의 부분은 어느 한 쪽의 전자빔에 의해 주사된다.
도 1 (A)∼(D)에 나타낸 주사 방식은 모두 이른바 라인 주사[주(主)주사]를 상하 방향(세로 방향)으로 실행하고, 이른바 필드(또는 프레임) 주사를 수평 방향(가로 방향)으로 실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 중, 도 1 (A), (B)에 나타낸 주사 방식은 필드 주사의 방향을 좌우의 분할 화면(101L, 101R)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실행하도록 한 예이다. 한편, 도 1 (C), (D)에 나타낸 주사 방식은 필드 주사의 방향을 좌우의 분할 화면(101L, 101R)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실행하도록 한 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A)에 나타낸 주사예에서는, 라인 주사를 도면의 상으로부터 하(도면의 Y 방향)로 향해 실행하고 있다. 한편, 필드 주사는 좌측의 분할 화면(101L)에 대해서는,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좌로부터 우(X 방향)로 향해 실행하고, 우측의 분할 화면(101R)에 대해서는, 반대로,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우로부터 좌(-X 방향)로 향해 실행하고 있다. 따라서, 도 1(A)의 주사예에서는, 필드 주사가 전체로서 수평 방향으로 화면 외측으로부터 내측(화면 중앙부)으로 향해 실행되게 된다.
한편, 도 1 (B)에 나타낸 주사예는 좌우의 분할 화면(101L, 101R)에 대하여, 필드 주사의 방향을 도 1 (A)의 예와는 역방향으로 한 것이다. 즉, 좌측의 분할 화면(101L)에 대해서는, 필드 주사를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우로부터 좌(-X 방향)로 향해 실행하고, 우측의 분할 화면(101R)에 대해서는, 반대로,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좌로부터 우(X 방향)로 향해 실행하고 있다. 따라서, 도 1 (B)의 주사예에서는, 필드 주사가 전체로서 수평 방향으로 화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해 실행되게 된다.
또, 도 1 (C)에 나타낸 주사예는 필드 주사를 좌우의 분할 화면(101L, 101R)에 대하여, 쌍방 모두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좌로부터 우(X 방향)로 향해 실행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도 1 (D)에 나타낸 주사예는 좌우의 분할 화면(101L, 101R)에 대하여, 쌍방 모두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우로부터 좌(-X 방향)로 필드 주사를 실행하는 것이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복전자총 방식의 음극선관에서는 여러 가지의 주사 방식이 고려되지만, 그 주사 방식의 차이에 의해, 이하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먼저, 도 1 (A), (B)의 주사 방식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문제점을 설명하기 전에, 도 2 (A), (B)를 참조하여, 도 1 (A), (B)의 화면 구성으로 한 경우에서의 그 화면 위치와 휘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화면 전체를 동일한 백(白) 레벨의 밝기로 하는 경우에 대하여 고려한다. 음극선관에서의 형광면(화면)의 휘도는 주로 형광체에 입사되는 전자빔의 빔 전류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도 1 (A), (B)의 화면 구성에서, 오버랩 영역(102)에서의 휘도는 좌우 2개의 전자빔 각각에 의해 발생하는 휘도(111L, 111R)[도 2 (A)]를 더해 합한 것이 된다. 이 때, 각각의 휘도(111L, 111R)의 특성에, 예를 들면, 정현파(正弦波)형의 휘도 구배(句配)를 갖게 함으로써, 그 휘도의 합(112)을 이론적으로는 오버랩 영역(102) 이외의 화면 영역에서의 휘도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정현파형의 휘도 구배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도 2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우 2개의 전자빔 전류(113L, 113R)를 오버랩 영역(102)에서 그 휘도 구배에 따라 곡선형으로 하면 된다.
그런데, 도 1 (A), (B)의 주사 방식에서는, 오버랩 영역(102)에서 좌우 2개의 전자빔에 의해 동시각(同時刻)에 주사되는 형광체 부분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좌우의 분할 화면(101L, 101R)에 대하여, 동일한 타이밍으로 주사를 개시한 경우에는, 화면의 중심 부분(103)[오버랩 영역(102)의 중심]이 동시각에 주사되게 된다. 한편, 형광체에는 전자빔 전류가 커지면 그것에 비례하여 휘도가 상승하지만, 전자빔 전류를 너무 크게 하면 휘도의 포화를 일으켜 버린다고 하는 특성이 있다.
도 1 (A), (B)의 주사 방식에서, 좌우 2개의 전자빔 전류(113L, 113R)의 각각에 대해서는, 도 2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형광체가 휘도 포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그 전류값이 휘도 포화의 한계값(Ib1)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도 2 (B)의 예에서는, 좌우 2개의 전자빔에 의한 합계 전류(114)가 휘도 포화의 한계값(Ib1)을 초과하는 영역(115)이 존재하지만, 이 영역(115)의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가 좌우 2개의 전자빔에 의해 동시각에 주사되지 않으면, 단위 시간당 주어지는 전자빔 전류는 한계값(Ib1) 이하이기 때문에, 휘도 포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이 영역(115)에서, 좌우 2개의 전자 빔에 의해 동시각에 주사되는 형광체 부분이 존재하면, 그 부분에는 좌우 2개의 전자빔에 의한 합계 전류(114)가 한번에 주어지게 되어, 단위 시간당 주어지는 전자빔 전류가 휘도 포화의 한계값(Ib1)을 초과해 버린다. 이와 같이, 휘도 포화를 일으키는 형광체 부분이 존재하면, 결과로서, 그 부분에서는, 본래 필요하게 되는 휘도가 얻어지지 않게 되어, 이른바 휘도 하락이 발생하여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 화면의 표시 상태로서는, 휘도 하락한 부분(112A)[도 2 (A)]이 암선(暗線)으로서 관찰되어 버려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에, 도 3, 도 4를 참조하여, 도 1 (C), (D)의 주사 방식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C), (D)의 주사 방식에서는, 좌우의 분할 화면(101L, 101R)에서, 오버랩 영역(102)을 주사하는 시각에 큰 차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도 1 (C)의 주사예에서는, 오버랩 영역(102)에 착안하면, 필드 기간의 시작에 우측의 전자빔에 의한 주사가 실행된 후, 필드 기간의 끝에 좌측의 전자빔에 의한 주사가 실행된다.
이 주사 시각의 차에 대하여 도 4 (A)∼(C)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A)∼(C)에서는, 각각, 필드 주사에 대한 동기 신호(V Sync.), 우측의 분할 화면(101R)용 영상 신호 및 좌측의 분할 화면(101L)용 영상 신호의 파형을 간략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4 (A)∼(C)에서는, 영상을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방식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화면 전체의 좌우단으로부터 화면 중심(103)까지의 라인 주사선의 수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1 필드에 대하여, 각각 485.5H인 것으로 한다. 또, 오버랩 영역(102)의 좌우단으로부터 화면 중심(103)까지는 각각 32H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H는 라인 주사의 주사선을 나타낸다.
도 1 (C)의 주사 방식의 경우, 도 4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측의 분할 화면(101R)에 대해서는, 홀수 필드(ODD)의 주사 기간의 시작으로부터 32H분(예를 들면, 0.95ms) 지난 시각(PR1)에 화면 중심(103), 즉, 오버랩 영역(102) 중심의 주사가 실행된다. 한편, 좌측의 분할 화면(101L)에 대해서는, 시각(PR1)으로부터 다시 453.5H분(예를 들면, 13,4ms) 지난 시각(PL1)에 화면 중심(103)의 주사가 실행된다. 그 후, 시각(PL1)으로부터 다시 154H분(예를 들면, 4.6ms) 지난 시각(PR2)에, 우측의 분할 화면(101R)에 대하여, 다음의 필드(EVEN)에서의 화면 중심(103)의 주사가 실행된다.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오버랩 영역(102)의 동일 화소 위치에 대하여, 좌측의 전자빔에 의해 주사되는 시각(PL1)이 동일 필드(프레임) 내에서의 우측의 전자빔에 의한 주사 시각(PR1)보다 1 필드(프레임) 지연된 시각(PR2) 쪽이 가까운 것으로 된다. 도 1 (D)의 주사 방식의 경우에 대해서도, 좌우의 주사 시각의 시간적 관계가 반대로 될 뿐이며 동일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 (C), (D)의 주사 방식에서는, 오버랩 영역(102)에서의 동일 화소 위치를 주사하는 시각에 좌우의 분할 화면(101L, 101R)에서 큰 차가 있으므로, 전술한 도 1 (A), (B)의 주사 방식에 의한 휘도 포화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캐릭터나 그림 등의 영상이 신축(伸縮)되어 관찰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에서는, 도 3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사 방식이 도 1 (C)의 경우에 대하여 고려한다. 먼저, 도 3 (B)∼(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직사각형상의 영상(131)을 화면 상, 좌로부터 우로(즉, 필드 주사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켜[팬(pan)시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영상 표시를 실행한 경우, 본래 폭 X1인 영상(131)이 오버랩 영역(102)을 걸칠 때[도 3 (C)]에, 폭 X2 (> X1)로 신장된 상태로 관찰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은 오버랩 영역(102)에서는, 좌측보다 우측의 주사가 1 필드분 빠르게 실행되어, 우측의 화면에, 좌측과 비교하여 시간적으로 먼저의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이다. 또, 이와는 반대로, 도 3 (E)∼(G)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직사각형의 영상(132)을 화면 상, 우로부터 좌로(즉, 필드 주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표시한 경우에는, 오버랩 영역(102)을 걸칠 때[도 3 (F)]에, 영상이 폭 X3 (< X1)로 줄어된 상태로 관찰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복전자총 방식의 음극선관에서는, 그 주사 방식에 특유의 문제가 발생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복전자총 방식의 음극선관에서, 그 주사 방식에 특유의 문제를 해결하여, 양호한 화상 표시를 실행할 수 있는 음극선관 및 그 주사 제어 장치, 및 그 주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A) 내지 (D)는 복(複)전자총 방식의 음극선관에서의 전자빔의 주사 방식 및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화면 위치와 휘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며, (A)는 화면 위치와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B)는 화면 위치와 전자빔 전류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A) 내지 (G)는 도 1 (C)에 나타낸 주사 방식에 의해 발생하는 영상이 신축(伸縮)되는 현상에 대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 (A) 내지 (C)는 도 1 (C)에 나타낸 주사 방식에서의 좌우 주사 시각의 차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5는 도 1 (C)에 나타낸 주사 방식의 화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음극선관의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A)는 (B)에서의 IA-IA선 단면도이다.
도 7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전자빔의 주사 방식 및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에서의 신호 처리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 (A) 내지 (E)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에서의 각종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10은 화면 위치와 휘도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며, (A)는 화면 위치와 휘도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B)는 화면 위치와 전자빔 전류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A) 및 (B)는 영상 신호에 대하여 지연을 실시하여 각 분할 화면의 주사를 실행한 경우에서의, 그 주사 시각과 빔전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도 12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전자빔의 주사 방식 및 화면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에서의 신호 처리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 (A) 및 (B)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영상 보간부(補間部)의 프레임 메모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 (A) 내지 (K)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신호 처리 회로에서의 영상 보간부에 의해 생성되는 보간 화상 및 보간 화상을 이용한 합성 화상의 개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한 음극선관은 복수의 화면 영역 각각을 주사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빔을 형광면으로 향해 방출하는 복수의 전자총과, 복수의 화면 영역이 중복되는 영역에서, 단위 시간당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總和)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飽和)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복수의 화면 영역을 주사하는 각 전자빔의 주사 시각에 상대적인 차를 발생시키는 주사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한 음극선관의 주사 방법은 복수의 화면 영역이 중복되는 영역에서, 단위 시간당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화면 주사를 실행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의한 음극선관 및 그 주사 제어 장치, 및 그 주사 방법에서는, 복수의 화면 영역을 주사하는 각 전자빔의 주사 시각에 상대적인 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단위 시간당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화면 주사가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한 음극선관은 주어진 복수의 영상 신호에 따라, 복수의 화면 영역 각각을 주사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복수의 전자총과, 인접하는 2개 화면 영역 한 쪽의 화면용 화상 데이터를 복수 프레임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전자총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 화면 영역 사이에서 영상의 내용이 일시적으로 어긋난 상태의 영상 신호가 주어지도록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 보간(補間)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다른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영상 신호를 새로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영상 신호를 한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한 음극선관의 주사 제어 장치는 인접하는 2개의 화면 영역 한 쪽의 화면용 화상 데이터를 복수 프레임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전자총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화면 영역 사이에서 영상의 내용이 일시적으로 어긋난 상태의 영상 신호가 주어지도록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 보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다른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영상 신호를 새로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영상 신호를 한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생성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한 음극선관의 주사 방법은 인접하는 2개 화면 영역 한 쪽의 화면용 화상 데이터를 복수 프레임분 기억하고, 이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 보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다른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영상 신호를 새로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영상 신호를 한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고, 전자총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화면 영역 사이에서 영상의 내용이 일시적으로 어긋난 상태의 영상 신호를 부여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의한 음극선관 및 그 주사 제어 장치, 및 그 주사 방법에서는, 화상 보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다른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영상 신호가 새로 생성되고, 그 생성된 영상 신호가 한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전자총에는, 인접하는 2개의 화면 영역 사이에서 영상의 내용이 일시적으로 어긋난 상태의 영상 신호가 주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6 (A),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음극선관(1)은 내측에 형광면(11A)이 형성된 패널부(10)와, 이 패널부(10)에 일체화된 깔때기부(20)를 구비하고 있다. 깔때기부(20)의 후단부 좌우에는 각각 전자총(31L, 31R)을 내장한 가늘고 긴 형상의 2개의 네크부(30L, 30R)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음극선관(1)은 패널부(10), 깔때기부(20) 및 네크부(30L, 30R)에 의해 전체적으로 2개의 깔때기 형상의 외관이 형성된다. 이 음극선관(1)을 형성하는 전체적인 형상 부분은 "엔벨로프(envelope)"라고도 불린다. 패널부(10) 및 깔때기부(20)는 각각의 개구부끼리 서로 융착(融着)되어 있고, 내부는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형광면(11A)에는, 전자빔(5L, 5R)의 입사에 따라 발광하는 형광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부(10)의 표면은 형광면(11A)의 발광에 의해 화상이 표시되는 화상 표시면[관면(管面)](11B)으로 되어 있다.
본 음극선관(1)의 내부에는, 형광면(11A)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금속제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색선별 기구(color selection mechanism)(12)가 배치되어 있다. 색선별 기구(12)는 그 외주가 프레임(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프레임(13)에 설치된 지지 스프링(14)을 통해 패널부(10)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다.
패널부(20)에는, 애노드 전압(HV)을 인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애노드 단자(애노드 버튼)가 형성되어 있다. 깔때기부(20)로부터 각 네크부(30L, 30R)에 걸친 외주 부분에는 편향 요크(21L, 21R)와, 컨버전스 요크(32L, 32R)가 장착되어 있다. 편향 요크(21L, 21R)는 전자총(31L, 31R)으로부터 방출된 각 전자빔(5L, 5R)을 편향시키기 위한 것이다. 컨버전스 요크(32L, 32R)는 각 전자총(31L, 31R)으로부터 방출된 각색용 전자빔의 컨버전스(집중)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네크부(30)로부터 패널부(10)의 형광면(11A)에 이르는 내주면은 도전성의 내부 도전막(22)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내부 도전막(22)은 애노드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애노드 단자를 통해 애노드 전압(고전압)(HV)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 깔때기부(20)의 외주면은 도전성의 외부 도전막(23)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전자총(31L, 31R)은 도시하지 않지만, 각각 R, G, B의 각색에 대응한 3개의 캐소드(열음극)와, 각 캐소드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와, 캐소드의 전부(前部)에 배치된 복수의 그리드 전극을 가지고 있다. 전자총(31L, 31R)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5L, 5R)은 각각 색선별 기구(12) 등을 통과하여 형광면(11A)에 대응하는 색의 형광체에 조사된다.
여기에서, 도 6 (B)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음극선관(1)의 화면 구성 및 전자빔 주사 방식의 개략을 설명한다. 본 음극선관(1)은 좌측에 배치된 전자총(31L)으로부터의 전자빔(5L)에 의해, 화면의 약 좌(左) 절반을 묘화(描畵)하는 동시에, 우측에 배치된 전자총(31R)으로부터의 전자빔(5R)에 의해, 화면의 약 우(右) 절반을 묘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전자빔(5L, 5R)에 의해 형성된 각 분할 화면(6L, 6R)의 단부를 부분적으로 겹쳐 연결하여 맞춤으로써, 전체로서 단일 화면(SA)을 형성하여 화상 표시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 형성된 화면(SA)의 중앙 부분이, 좌우의 분할 화면(6L, 6R)이 오버랩되는(중복되는) 영역(OL)으로 된다. 오버랩 영역(OL)에서의 형광면(11A)은 각 전자빔(5L, 5R)에 공유되는(공통으로 주사되는) 것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 (A), (B)에 나타낸 주사 방식이 적용된다. 도 7 (A)의 주사 방식은 도 1 (A)에 나타낸 주사예와 마찬가지로, 각 전자빔(5L, 5R)에 의한 라인 주사를 화면의 상으로부터 하(도면의 Y 방향)로 향해 실행되어 있다. 한편, 필드(또는 프레임) 주사는 좌측의 분할 화면(6L)에 대해서는,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좌로부터 우(X 방향)로 향해 실행되고, 우측의 분할 화면(6R)에 대해서는, 반대로,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우로부터 좌(-X 방향)로 향해 실행되어 있다.
또, 도 7 (B)의 주사 방식은 도 1 (B)에 나타낸 주사예와 동일하며, 필드 주사의 방향을 도 7 (A)의 예와는 역방향으로 한 것이다. 즉, 좌측의 전자빔(5L)에 대해서는, 필드 주사를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우로부터 좌(-X 방향)로 향해 실행되고, 우측의 전자빔(5R)에 대해서는, 반대로,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좌로부터 우(X 방향)으로 향해 실행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드 주사의 방향을 좌우의 분할 화면(6L, 6R)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실행하도록 한 경우에 적용된다. 그리고, 도 7 (A), (B)에 나타낸 주사 방식에서, 라인 주사를 화면의 하로부터 상(-Y 방향)으로 향해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 과(過)주사 영역의 조정은 편향 요크(21L, 21R)에 의해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과주사 영역이란, 전자빔(5L, 5R) 각각의 주사 영역에서 유효 화면을 형성하는 전자빔(5L, 5R) 각각의 주사 영역의 외측 영역의 것을 말한다. 그리고, 도 6에서는, 영역(SW1)이 전자빔(5R)에 대한 수평 방향의 유효 화면 영역이며, 영역(SW2)이 전자빔(5L)에 대한 수평 방향의 유효 화면 영역이다.
도 8은 본 음극선관(1)에서, 입력 신호(영상 신호)(DIN)로서, 예를 들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 또는 HDTV 방식의 아날로그 콤퍼짓 신호를 1차원적으로 입력하고, 이 신호에 따른 동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회로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음극선관(1)은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콤퍼짓/RGB 변환기(51)와 아날로그/디지털 신호(이하, "A/D"라고 함) 변환기[52(52r, 52g, 52b)]와, 프레임 메모리[53(53r, 53g, 53b)]와, 메모리 컨트롤러(54)를 구비하고 있다.
콤퍼짓/RGB 변환기(51)는 입력 신호인 아날로그 콤퍼짓 신호를 R, G, B 각색용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A/D 변환기(52r, 52g, 52b)는 각각 콤퍼짓/RGB 변환기(51)로부터 출력된 R, G, B의 아날로그 각색용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프레임 메모리(53r, 53g, 53b)는 각각 A/D 변환기(5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의 영상 신호를 R, G, B의 각색마다 2차원적으로 프레임 단위로 격납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프레임 메모리(53)는, 예를 들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사용된다. 메모리 컨트롤러(54)는 프레임 메모리(54)에 대한 영상 신호의 기록 어드레스 및 판독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프레임 메모리(53)에 대한 영상 신호의 기록 동작 및 판독 동작의 제어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54)는 프레임 메모리(53)로부터 좌측의 전자빔(5L)이 그리는 화상용[좌측의 분할 화면(6L)용]의 영상 신호와, 우측의 전자빔(5R)이 그리는 화상용[우측의 분할 화면(6R)]의 영상 신호를 각색마다 판독하여 분할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음극선관(1)은 또 프레임 메모리(53)로부터 분할 출력된 각 분할 화면(6L, 6R)용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각종의 화상 처리 및 신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화상 조정 회로[55L(55Lr, 55Lg, 55Lb), 55R(55Rr, 55Rg, 55Rb)]와, 이들 화상 조정 회로(55L, 55R)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6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 조정 회로(55L, 55R)는, 예를 들면,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회로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부(62)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들 회로는 래스터 일그러짐(raster distortion)의 보정 및 오버랩 영역(OL)에서의 휘도의 보정, 및 도 7 (A), (B)의 각 주사 방식에 따른 화상 처리 등을 실행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회로의 상세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에 의한 일본국 특허 제3057230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다. 화상 조정 회로(55L, 55R)에서의 처리에 의해 화면의 주사 방향이 결정된다.
본 음극선관(1)은 또한 각 분할 화면(6L, 6R) 사이의 동기를 취하기 위해 프레임 싱크로나이저(70)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 싱크로나이저(70)는 프레임 메모리[56L(56Lr, 56Lg, 56Lb), 56R(56Rr, 56Rg, 56Rb)]와 메모리 컨트롤러(63)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 메모리(56Lr, 56Lg, 56Lb)는 각각 화상 조정 회로(55L)로부터 출력된 좌측의 분할 화면(6L)용 영상 신호를 R, G, B 각색마다 프레임 단위로 격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 메모리(56Rr, 56Rg, 56Rb)도 마찬가지로 각각 화상 조정 회로(55R)로부터 출력된 우측의 분할 화면(6R)용의 영상 신호를 R, G, B의 각색마다 프레임 단위로 격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63)는 프레임 메모리(56L, 56R)에 대한 영상 신호의 기록 동작 및 판독 동작의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63)는 좌우의 전자빔(5L, 5R)이 오버랩 영역(OL) 내의 소정 영역을 동시에 주사하지 않도록(형광체가 휘도 포화를 일으키지않도록) 각 분할 화면(6L, 6R)용의 영상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56L, 56R)로부터 상대적으로 시간차를 발생하게 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음극선관(1)은 또 디지털/아날로그 신호(이하, "D/A"라고 함) 변환기[57L(57Lr, 57Lg, 57Lb), 57R(57Rr, 57Rg, 57Rb)]와 비디오 앰프 회로[58L(58Lr, 58Lg, 58Lb), 58R(58Rr, 58Rg, 58Rb)]를 구비하고 있다.
D/A 변환기(57Lr, 57Lg, 57Lb)는 각각 프레임 메모리(56L)로부터 출력된(판독된) 각색용의 영상 신호를 각색마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비디오 앰프 회로(58Lr, 58Lg, 58Lb)는 각각 D/A 변환기(57L)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를 각색마다 증폭하여 전자총(31L)이 대응하는 캐소드에 인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D/A 변환기(57R) 및 비디오 앰프 회로(58R)는 우측의 분할 화면(6R)용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D/A 변환기(57L) 및 비디오 앰프 회로(58L)와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 프레임 싱크로나이저(70)가 본 발명에서의 "주사 제어 수단"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또, 프레임 메모리(56L, 56R)가 각각 본 발명에서의 "제1 기억 수단" 및 "제2 기억 수단"의 한 구체예에 대응하고, 메모리 컨트롤러(63)가 본 발명에서의 "기억 제어 수단"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또, 도 3에 나타낸 회로에서, 적어도 프레임 싱크로나이저(70)를 포함하는 회로 부분이 본 발명의 "주사 제어 장치"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음극선관(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음극선관(1)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입력 신호[영상신호(DIN)]로서 1차원적으로 입력된 아날로그 콤퍼짓 신호는 콤퍼짓/RGB 변환기(51)(도 8)에 의해, R, G, B 각색마다의 신호로 변환되는 동시에, A/D 변환기(52)에 의해, 각색마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때, IP(Interlace to Progressive) 변환을 실행하면, 후처리가 용이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A/D 변환기(52)로부터 출력된 디지털의 화상 신호는 메모리 컨트롤러(54)에서 생성된 기록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Sa1)에 따라, 각색마다 프레임 단위로 프레임 메모리(53)에 격납된다.
프레임 메모리(53)에 격납된 프레임 단위의 영상 신호는 메모리 컨트롤러(54)에서 생성된 판독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제어 신호(Sa2)에 따라 판독되고, 좌측의 분할 화면(6L)용 영상 신호와 우측의 분할 화면(6R)용 영상 신호로 분할 출력된다.
분할 출력된 좌우의 영상 신호는 먼저, 화상 조정 회로(55L, 55R)에 입력된다. 화상 조정 회로(55L, 55R)는 각각 좌우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래스터 일그러짐의 보정 및 오버랩 영역(OL)에서의 휘도의 보정, 및 도 7 (A), (B)의 각 주사 방식에 따른 화상 처리 등을 실행한다. 이 때, 화면의 주사 방향이 결정된다.
좌우의 영상 신호는, 다음에, 프레임 싱크로나이저(70)[의 프레임 메모리(56L, 56R)]에 입력된다. 프레임 싱크로나이저(70)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좌우의 영상 신호 중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지연시켜 출력한다. 프레임 싱크로나이저(70)로부터 출력된 좌우의 영상 신호는, 다음에, D/A변환기(57L, 57R)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비디오 앰프 회로(58L, 58R)는 아날로그 변환된 영상 신호를 각색마다 증폭하여 전자총(31L, 31R)이 대응하는 캐소드에 캐소드 구동 전압으로서 인가한다.
각 전자총(31L, 31R)은 영상 신호에 대응하도록 주어진 캐소드 구동 전압에 따라, 각 전자빔(5L, 5R)을 각색에 대하여 방출한다. 전자총(31L)으로부터 방출된 좌측의 전자빔(5L) 및 전자총(31R)으로부터 방출된 우측의 전자빔(5R)은 각각 색선별 기구(12)를 통과하여 형광면(11A)에 조사된다. 이 때, 각 전자총(31L, 31R)의 캐소드에는 각색의 영상 신호에 대응한 빔 전류가 패널부(10)측에 설정되어 있는 고전압측(애노드측)으로부터 흐른다. 또 이 때, 전자빔(5L, 5R)은 각각 컨버전스 요크(32L, 32R)의 전자적(電磁的)인 작용에 의해 컨버전스가 실행되는 동시에, 편향 요크(21L, 21R)의 전자적인 작용에 의해 편향된다. 이에 따라, 전자빔(5L, 5R)에 의해 형광면(11A)의 전면(全面)이 주사되어, 패널부(10)의 관면(11B)에서 화면[SA(도 6)] 내에 원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전자빔(5L)에 의해, 화면의 약 좌절반이 묘화되어, 분할 화면(6L)이 형성되는 동시에, 우측의 전자빔(5R)에 의해, 화면의 약 우절반이 묘화되어 분할 화면(6R)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좌우의 분할 화면(6L, 6R)의 단부가 오버랩 영역(OL)에서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연결되어 맞춰짐으로써, 전체로서 단일 화면(SA)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 4 (A)∼(E)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특징 부분인 프레임 싱크로나이저(70)의 신호 처리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은 본실시 형태에서의 음극선관 주사 방법의 설명을 겸하고 있다.
도 9 (A)∼(E)의 신호 파형은 영상을 HDTV 방식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이 중 도 9 (A), (B)는 필드 주사에 대한 동기 신호(V Sync.)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9 (A)는 좌측의 분할 화면(6L)용 동기 신호를, 도 9 (B)는 우측의 분할 화면(6R)용 동기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C)∼(E)는 영상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A), (B)에서, ODD는 홀수 필드를, EVEN은 짝수 필드를 나타낸다.
프레임 메모리(56L, 56R)에는, 각각, 예를 들면, 도 9 (C), (D)에 나타낸 파형의 영상 신호가 입력된다. 주사 방식이 도 7 (B)에 나타낸 것인 경우, 오버랩 영역(OL)에 상당하는 신호 부분은 도 9 (C), (D)에서 해칭을 실시한 부분이 된다. 메모리 컨트롤러(63)는, 예를 들면, 도 9 (E)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임 메모리(56R)에 입력된 우측의 영상 신호가 프레임 메모리(56L)에 입력된 좌측의 영상 신호에 대하여, 후술하는 지연량(TDelay)만큼 상대적으로 지연하여 출력되도록 프레임 메모리(56L, 56R)의 판독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이것과는 반대로, 우측의 영상 신호를 지연시키도록 해도 된다.
메모리 컨트롤러(63)는, 예를 들면, 도 9 (A),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우의 동기 신호를 지연시키고, 이 지연시킨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프레임 메모리(56L, 56R)로부터 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영상 신호에 지연을 실시한다. 또, 이 지연을 동기 신호에 의하지 않고, 한 쪽의 영상 신호를 기준으로 하고, 다른 쪽의 영상 신호를 소정 기간[지연량(TDelay)] 지연시킴으로써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도 10 (A), (B)를 참조하여, 지연량(TDelay)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버랩 영역(OL)에서의 휘도는 좌우 2개의 전자빔(5L, 5R)의 각각에 의해 발생하는 휘도(71L, 71R)[도 10 (A)]를 더해 합한 것이 된다. 이 때, 각각의 휘도(71L, 71R)의 특성에, 예를 들면, 정형파형의 휘도 구배를 갖게 함으로써, 그 휘도의 합(72)을 이론적으로는 오버랩 영역(OL) 이외의 화면 영역에서의 휘도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정현파형의 휘도 구배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도 10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우 2개의 전자빔 전류(73L, 73R)를 오버랩 영역(OL)에서, 그 휘도 구배에 따라 곡선형으로 하면 된다.
본 음극선관(1)에서, 좌우 2개의 전자빔 전류(73L, 73R) 각각에 대해서는, 도 10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형광체가 휘도 포화를 일으키지 않도록 그 전류값이 휘도 포화의 한계값(Ib1)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도 10 (B)의 예에서는, 좌우 2개의 전자빔(5L, 5R)에 의한 합계 전류(74)가 휘도 포화의 한계값(Ib1)을 초과하는 영역이 존재하지만, 이 영역에서의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가 좌우 2개의 전자빔(5L, 5R)에 의해 동시각에 주사되지 않으면, 단위 시간당 주워지는 전자빔 전류는 한계값(Ib1) 이하이기 때문에, 휘도 포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적어도 이 영역에 대응하는 기간(TMIN)만큼 좌우의 전자빔(5L, 5R)에 의한 오버랩 영역(OL)의 주사 시각에 상대적인 차를 부여해 주면, 휘도 포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즉, 휘도 하락하는 부분(112A)[도 2 (A)]을 발생하게 하지 않고, 도 10 (A)에 나타낸것과 같이, 좌우 2개의 전자빔(5L, 5R)에 의한 휘도의 합(72)을 오버랩 영역(OL) 이외의 화면 영역의 휘도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신호의 지연량(TDelay)으로서는, 최저한, 기간(TMIN)만큼 필요하게 된다. 즉, 오버랩 영역(OL)에서의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의 한계를 초과해 버리는 영역을 주사하는 기간에 대응하는 신호 기간만큼 지연량(TDelay)이 필요하게 된다. 다만, 지연량(TDelay)을 너무 크게 하면, 좌우의 분할 화면 사이에서, 오버랩 영역(OL)을 주사하는 시각에 큰 차가 발생하여, 도 1 (C), (D)의 주사 방식에 의한 문제, 즉, 영상이 신축되어 관찰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지연량(TDelay)은 오버랩 영역(OL)의 주사 기간과 동일한 정도이면 필요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주사선의 수에 대응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면, 주사선이 도 5에 나타낸 것 같은 상태인 경우, 최저한, 적어도 32H에 상당하는 기간만큼 지연이 필요하게 되고, 바람직하게는 64H에 상당하는 기간만큼 지연을 실행하면 된다.
영상 신호에 대하여 이상과 같은 지연을 실시하여 화면 주사를 실행한 경우, 그 주사 시각(t)과 빔 전류와의 관계는, 예를 들면, 도 11 (A),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된다. 도 11 (A), (B)는 각각 도 9 (C), 도 9 (E)에 나타낸 영상 신호에 대응한다. 도 11 (A),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연량(TDelay)을 오버랩 영역(OL)의 주사 기간과 동일한 정도로 한 경우, 오버랩 영역(OL)에서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좌우 2개의 전자빔(5L, 5R)에 의한 전자빔 전류가 동시에 주어지는 일은 없어진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각 분할 화면(6L, 6R)용 영상 신호의 한 쪽을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지연시켜 출력함으로써, 각 분할 화면(6L, 6R)을 주사하는 각 전자빔(5L, 5R)의 주사 시각에 상대적인 차를 발생시켜, 단위 시간당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했으므로, 필드(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을 좌우의 분할 화면(6L, 6R)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실행하도록 한 주사 방식에 있어서, 오버랩 영역(OL)에서의 형광체의 휘도 포화가 방지된다. 이에 따라, 형광체의 휘도 포화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휘도 하락의 문제가 해결되어, 도 7 (A), (B)의 주사 방식에서 양호한 화상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적당히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는 도 12 (A), (B)에 나타낸 주사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 (A)의 주사 방식은 도 1 (C)에 나타낸 주사예와 마찬가지로, 각 전자빔(5L, 5R)에 의한 라인 주사를 화면의 상으로부터 하(도면의 Y 방향)로 향해 실행되어 있다. 한편, 필드(또는 프레임) 주사는 좌우의 분할 화면(6L, 6R)에 대하여, 쌍방 모두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좌로부터 우(X 방향)로 향해 실행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2 (B)의 주사 방식은 도 1 (D)에 나타낸 표시면측에서 보아 우로부터 좌(-X 방향)로 필드 주사를 실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드(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을 좌우의 분할 화면(6L, 6R)에 대하여, 서로 동일 방향으로 실행하도록 한 경우에 적용된다. 그리고, 도 12 (A), (B)에 나타낸 주사 방식에서, 라인 주사를 도면의 하로부터 상(-Y 방향)로 향해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 (A), (B)의 주사 방식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오버랩 영역(OL)을 걸쳐 이동하는 영상 표시를 실행한 경우에, 영상의 신축이 관찰되는 것이다. 이것은 오버랩 영역(OL)에 관해, 좌우의 전자빔에 의한 주사 시각에 큰 시간차가 있는 것에 기인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버랩 영역(OL)에서의 좌우의 주사 타이밍의 시간차에 따라, 좌우 영상의 한 쪽에 대하여, 영상의 내용 자체를 시간축 상에서 어긋나게 해줌으로써, 영상이 신축되어 보여 버리는 현상을 해결한다. 좌우의 주사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지 않고, 영상 내용 자체의 시간축을 어긋나게 하는 것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는 크게 상이하다. 이 때, 영상의 변위량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1 필드(또는 프레임) 기간보다 짧은 시간에 설정된다. 1 필드(또는 프레임) 기간보다 짧은 시간만큼 영상의 시간축을 어긋나게 하기 위해서는, 원래의 영상에는 없는 영상(보간 영상)을 원래의 영상으로부터 화상 보간 처리를 실행하여 새로 생성해 줄 필요가 있다.
이 보간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의 음극선관은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프레임 메모리(53)와 화상 조정 회로(55L, 55R) 사이의 신호 경로 중에 영상 보간 회로(80)를 구비하고 있다. 영상 보간 회로(80)는 각 분할 화면(6L,6R)의 한 쪽 화면에 대하여, 보간 화상을 생성하고, 원래의 화상 데이터와 교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영상 보간 회로(80)는 프레임 메모리[59L(59Lr, 59Lg, 59Lb), 59R(59Rr, 59Rg, 59Rb)]와, 메모리 컨트롤러(64)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 메모리(59L, 59R)는 각각 프레임 메모리(53)로부터 분할 출력된 좌우의 분할 화면(6L, 6R)용 영상 신호(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R, G, B의 각색마다 복수 프레임분 격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64)는 프레임 메모리(59L, 59R)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기록 동작 및 판독 동작의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64)는, 또, 프레임 메모리(59L, 59R)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각 분할 화면(6L, 6R)의 한 쪽 화면에 대한 보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우측의 분할 화면(6R)에 대한 보간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의 프레임 메모리(59L, 59R)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우측의 프레임 메모리(59R)는, 예를 들면, 도 14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3개의 프레임 메모리(81R, 82R, 83R)를 가지고 구성된다. 제1 프레임 메모리(81R)와 제2 프레임 메모리(82R)는 시간적으로 연속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차례로 격납하기 위한 것이다. 제3 프레임 메모리(83R)는 제1 프레임 메모리(81R)와 제2 프레임 메모리(82R)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생성되는 보간 화상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 경우, 좌측의 프레임 메모리(59L)는, 예를 들면, 도 14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직렬적으로 차례로 접속된 3개의 프레임 메모리(81L, 82L, 83L)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들 프레임 메모리(81L, 82L, 83L)는 시간적으로 연속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차례로 격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들 프레임 메모리(81L, 82L, 83L)는 메모리 컨트롤러(64)가 보간 화상을 생성하고 있는 동안, 좌측의 분할 화면(6L)용 화상 데이터를 대기시키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즉, 보간 화상의 생성 시간에 대응하여, 좌측의 분할 화면(6L)용 화상 데이터의 출력을 지연시키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분할 화면(6L)에 대한 보간 화상을 만드는 경우에는, 좌측의 프레임 메모리(59L)를 도 14 (A)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고, 우측의 프레임 메모리(59R)를 도 14 (B)에 나타낸 구성으로 하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 프레임 메모리(59R)(또는 59L)가 본 발명에서의 "기억 수단"의 한 구체예에 대응하고, 메모리 컨트롤러(64)가 본 발명에서의 "생성 수단"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또, 도 13에 나타낸 회로에서, 적어도 영상 보간 회로(80)를 포함하는 회로 부분이 본 발명의 "주사 제어 장치"의 한 구체예에 대응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음극선관의 동작, 특히, 영상 보간 회로(80)의 처리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레임 메모리(53)로부터 분할 출력된 좌우의 분할 화면(6L, 6R)용 화상 데이터는 각각 영상 보간 회로(80)의 프레임 메모리(59L, 59R)에 입력된다. 프레임 메모리(59L, 59R)는 좌우의 화상 데이터를 복수 프레임분 격납한다. 메모리 컨트롤러(64)는 프레임 메모리(59L, 59R)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각 분할화면(6L, 6R)의 한 쪽 화면에 대하여 보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메모리 컨트롤러(64)가 생성되는 보간 화상은 주사 방식에 따라 상이하다. 메모리 컨트롤러(64)는 오버랩 영역(OL)의 주사가 빠르게 실행되는 쪽에 관해 보간 화상을 생성한다. 즉, 도 12 (A)의 주사 방식이면, 우측의 분할 화면(6R)에 대한 보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도 12 (B)의 주사 방식이면, 좌측의 분할 화면(6L)에 대한 보간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우측의 분할 화면(6R)에 대한 보간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컨트롤러(64)는 도 14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측의 프레임 메모리(59R)의 제1 프레임 메모리(81R)와 제2 프레임 메모리(82R)에 격납된 2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에 따라, 시간적으로 인접하는 2 프레임(또는 필드) 사이의 소정 시각에서의 화상 데이터를 제3 프레임 메모리(83R) 상에 보간 화상으로서 생성한다. 이 생성된 보간 화상이 원래의 영상 신호로 바뀌어 출력된다. 한편, 좌측의 프레임 메모리(59L)에서는, 좌측의 분할 화면(6L)용 화상 데이터가, 도 14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측의 프레임 메모리(59R)와 동수 설치된 프레임 메모리(81L, 82L, 83L)에 차례로 입출력되어, 메모리 컨트롤러(64)에 의한 보간 화상의 생성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신호 출력의 기간이 지연된다. 좌측의 분할 화면(6L)에 대한 보간 화상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이상과는 반대의 처리를 실행한다.
보간 화상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MPEG에서 사용하고 있는 동작 보상의 사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처리를 거쳐 영상 보간 회로(80)로부터 출력된 좌우의 영상 신호는 상대적으로 시간축이 어긋나 있다. 즉, 보간된 영상 쪽이, 다른 영상보다 상대적으로 시간이 지연된 영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로 프레임(필드) 사이의 어느 시각의 보간 화상을 만들면 되는가 하는 문제(좌우 영상의 시간적인 변위량의 문제)는, 신호의 포맷이나 오버랩 영역(OL)의 폭 등의 조건에 의해 상이해 진다. 실험에서는, 도 12 (A)에 나타낸 주사 방식에서, 좌우의 영상에 시간적인 어긋남이 없는 경우와, 좌의 영상에 대하여, 우의 영상을 1 필드분 지연시킨 경우에서는 오버랩 영역(OL)에서 영상을 팬할 때에 일어나는 신축의 관계가 역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때문에, 지연시키지 않은 영상으로부터 1 필드 지연시킨 영상 사이에 위화감이 없는(신축이 눈에 띄지 않는) 영상을 만들 수 있는 포인트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좌우 영상의 시간적인 변위량은 예를 들면, 좌우 화면의 주사 타이밍을 보아, 오버랩 영역(OL)을 주사하는 시간의 차(도 4 참조)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준이 되는 영상(보간하지 않은 쪽의 영상)으로부터의 보간 화상의 시각(변위량) ta는 "0 < ta ≤Tf/2" 정도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Tf는 1 프레임(또는 필드) 기간을 나타낸다.
영상 보간 회로(80)로부터 출력된 좌우의 영상 신호는 화상 조정 회로(55L, 55R)에서, 소정의 신호 처리가 실행된 후, D/A 변환기(57L, 57R)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비디오 앰프 회로(58L, 58R)는 아날로그 변환된 좌우의 영상 신호를 각 색마다 증폭하여 전자총(31L, 31R)이 대응하는 캐소드에 캐소드 구동 전압으로서 인가한다. 각 전자총(31L, 31R)은 각 영상 신호에 대응하도록 주어진 캐소드 구동 전압에 따라 각 전자빔(5L, 5R)을 각색에 대하여 방출한다. 이들 전자빔(5L,5R)에 의해 좌우의 분할 화면(6L, 6R)이 주사됨으로써, 관면(11B)에 원하는 영상이 표시된다.
다음에, 도 15 (A)∼(K)를 참조하여, 영상 보간 회로(80)에 의한 영상 처리를 실행한 경우의 영상 표시 상태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에는, 도 15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필드(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이 화상의 표시면측에서 보아 좌로부터 우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에서는, 폭 X1의 직사각형상의 영상(91)을 화면 상, 우로부터 좌로 이동시켜(팬시켜)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고려한다. 도 15 (B)∼(K)는, 프레임(또는 필드) 단위의 영상을 나타내고 있다. 영상 보간 회로(80)에 의한 영상의 보간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원래의 영상 신호에 따르는 화면 주사를 실행한 경우, 화면 상에서는, 도 15 (B)∼(E)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오버랩 영역(OL)을 걸칠 때[도 15 (D)]에, 영상이 폭 X3(< X1)으로 줄어든 상태로 관찰된다.
한편, 영상 보간 회로(80)에 의한 영상의 보간 처리를 실행한 후의 영상 신호에 따르는 화면 주사를 실행한 경우에는, 도 15 (I)∼(K)에 나타낸 것과 같이, 영상의 수축이 보정된 양호한 화상 표시가 이루어진다. 도 15 (I)∼(K)의 각 합성 화상은 각각 , 좌측에 대해서는, 원래의 영상[도 15 (B)∼(E)], 우측에 대해서는, 도 15 (F)∼(H)에 나타낸 보간 화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5 (F)의 보간 화상은 도 15 (B), (C)에서의 우측의 영상에 따라 생성된 것이다. 도 15 (G)의 보간 화상은 도 15 (C), (D)에서의 우측 영상에 따라 생성된 것이다. 도 15 (H)의 보간 화상은 도 15 (D), (E)에서의 우측 영상에 따라 생성된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상 보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각 분할 화면(6L, 6R)의 한 쪽 영상 신호로서 다른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영상 신호를 새로 생성하여 출력하고, 각 전자총(31L, 31R)에 대하여 각 분할 화면(6L, 6R) 사이에서 영상의 내용이 일시적으로 어긋난 상태의 영상 신호를 부여하도록 했으므로, 필드(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을 좌우의 분할 화면(6L, 6R)에서 서로 동일 방향으로 실행하도록 한 주사 방식에 서, 각 분할 화면(6L, 6R)의 주사 시각의 차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영상의 신축 문제가 해결된다. 이에 따라, 도 12 (A), (B)의 주사 방식에서, 양호한 화상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영상 신호(DIN)로서 아날로그 콤퍼짓 신호를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영상 신호(DIN)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영상 신호(DIN)로서, RGB 아날로그 신호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콤퍼짓/RGB 변환기(51)(도 8, 도 13)를 통하지 않고 RGB 신호가 얻어진다. 또, 영상 신호(DIN)로서, 디지털 텔레비전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A/D 변환기(52)(도 8, 도 13)를 통하지 않고 직접 디지털 신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어느 영상 신호를 사용한 경우에도, 도 8 및 도 13에 나타낸 회로예에서, 프레임 메모리(53) 이후의 회로는 대략 동일한 회로 구성으로 상관없다.
또, 본 발명은 3개 이상의 전자총을 구비하고, 하나의 화면을 3개 이상의 주사 화면을 합성하여 형성하도록 한 것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컬러 표시용 음극선관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흑백 사진표시용 음극선관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관점의 음극선관, 주사 제어 장치, 또는 주사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화면 영역을 주사하는 각 전자빔의 주사 시각에 상대적인 차를 발생시킴으로써, 단위 시간당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화면 주사를 실행하도록 했으므로, 인접하는 화면 영역 각각의 필드 주사 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실행하도록 한 주사 방식에서의, 형광체의 휘도 포화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휘도 하락의 문제가 해결된다. 이에 따라, 그 주사 방식에 있어서 양호한 화상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의 음극선관, 주사 제어 장치, 또는 주사 방법에 의하면, 인접하는 2개 화면 영역의 한 쪽 화면용 화상 데이터를 복수 프레임분 기억하고, 이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 보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다른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영상 신호를 새로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영상 신호를 한 쪽 화면용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고, 전자총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화면 영역 사이에서 영상의 내용이 일시적으로 어긋난 상태의 영상 신호를 부여하도록 했으므로, 인접하는 화면 영역 각각의 필드 주사 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을 서로 동일 방향으로 실행하도록 한 주사 방식에서의, 인접하는 화면 영역 사이에서의 주사 시각의 차에 기인하여 발생한는 영상의 신축 문제가 해결된다. 이에 따라, 그 주사 방식에서 양호한 화상 표시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따라,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관점이나 변형예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이하의 클레임의 균등한 범위에서,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서의 관점 이외의 관점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9)

  1. 단일 화면을 복수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그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이 형광면 상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도록 하여 서로 연결하여 맞추고, 또한, 인접하는 화면 영역 각각의 필드 주사 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음극선관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면 영역 각각을 주사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빔을 형광면으로 향해 방출하는 복수의 전자총; 및
    상기 복수의 화면 영역이 중복되는 영역에서, 단위 시간당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總和)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飽和)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화면 영역을 주사하는 복수의 전자빔의 주사 시각에 상대적인 차를 발생시키는 프레임 싱크로나이저(frame synchronizer)
    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싱크로나이저는 상기 복수의 화면 영역 중 제1 화면 영역을 주사하기 위한 제1 영상 신호를 기억하는 제1 기억 수단;
    상기 제1 화면 영역에 인접하는 제2 화면 영역을 주사하기 위한 제2 영상 신호를 기억하는 제2 기억 수단;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상기 제2 영상 신호중 한 쪽이 다른 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지연되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기억 수단을 제어하는 기억 제어 수단을 포함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제어 수단은 적어도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의 한계를 초과해 버리는 영역을 주사하는 기간에 대응하는 신호 기간만큼 상기 영상 신호를 지연시키는 음극선관.
  4. 단일 화면을 복수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그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이 형광면 상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도록 하여 서로 연결하여 맞추고, 또한, 인접하는 화면 영역 각각의 필드 주사 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음극선관으로서,
    주어진 복수의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면 영역 각각을 주사하기 위한 복수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복수의 전자총;
    인접하는 2개 화면 영역 한 쪽의 화면용 화상 데이터를 복수 프레임분 기억하는 기억 수단; 및
    상기 전자총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 화면 영역 사이에서 영상의 내용이 일시적으로 어긋난 상태의 영상 신호가 주어지도록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 보간(補間)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다른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영상 신호를 새로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영상 신호를상기 한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음극선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화상 보간 처리에 의해 일시적으로 인접하는 필드 또는 프레임 사이에서의 소정 시각의 보간 화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극선관.
  6. 복수의 전자빔을 형광면으로 향해 방출하는 복수의 전자총을 구비하고,
    단일 화면을 복수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그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이 형광면 상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도록 하여 서로 연결하여 맞추고, 또한 인접하는 화면 영역 각각의 필드 주사 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음극선관에서의 전자빔의 주사 제어를 실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화면 영역이 서로 중복되는 영역에서, 단위 시간당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화면 영역을 주사하는 복수의 전자빔의 주사 시각에 상대적인 차를 발생시키는 프레임 싱크로나이저
    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서의 주사 제어 장치.
  7. 주어진 복수의 영상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복수의 전자총을 구비하고,
    단일 화면을 복수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그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이 형광면 상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도록 하여 서로 연결하여 맞추고, 또한 인접하는 화면 영역 각각의 필드 주사 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음극선관에서의 영상의 주사 제어를 실행하는 장치로서,
    인접하는 2개 화면 영역 한 쪽의 화면용 화상 데이터를 복수 프레임분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전자총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화면 영역 사이에서 영상의 내용이 일시적으로 어긋난 상태의 영상 신호가 주어지도록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 보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다른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영상 신호를 새로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영상 신호를 상기 한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에서의 주사 제어 장치.
  8. 복수의 전자빔을 형광면으로 향해 방출하는 복수의 전자총을 구비하고,
    단일 화면을 복수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그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이 형광면 상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도록 하여 서로 연결하여 맞추고, 또한 인접하는 화면 영역 각각의 필드 주사 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음극선관에서의 전자빔의 주사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면 영역이 중복되는 영역에서, 단위 시간당 동일 화소 위치의 형광체에 주어지는 빔 전류의 총화가 그 형광체의 휘도 포화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화면 영역을 주사하는 복수의 전자빔의 주사 시각에 상대적인 차를 발생시켜 화면 주사를 실행하는
    음극선관의 주사 방법.
  9. 주어진 복수의 영상 신호에 따라, 복수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복수의 전자총을 구비하고,
    단일 화면을 복수의 화면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시에, 그 분할된 복수의 화면 영역이 형광면 상에서 부분적으로 중복되도록 하여 서로 연결하여 맞추고, 또한 인접하는 화면 영역 각각의 필드 주사 또는 프레임 주사의 방향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음극선관에서의 영상의 주사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인접하는 2개 화면 영역 한 쪽의 화면용 화상 데이터를 복수 프레임분 기억하고;
    이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따라 화상 보간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다른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 시간만큼 지연된 영상 신호를 새로 생성하고, 그 생성된 영상 신호를 상기 한 쪽의 화면용 영상 신호로서 출력하고;
    상기 전자총에 대하여, 인접하는 2개의 화면 영역 사이에서 영상의 내용이일시적으로 어긋난 상태의 영상 신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주사 방법.
KR1020020027471A 2001-05-28 2002-05-17 음극선관, 주사 제어 장치, 및 주사 방법 KR200200908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8403A JP2002351376A (ja) 2001-05-28 2001-05-28 陰極線管およびその走査制御装置、ならびにその走査方法
JPJP-P-2001-00158403 2001-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866A true KR20020090866A (ko) 2002-12-05

Family

ID=1900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471A KR20020090866A (ko) 2001-05-28 2002-05-17 음극선관, 주사 제어 장치, 및 주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175626A1 (ko)
JP (1) JP2002351376A (ko)
KR (1) KR20020090866A (ko)
CN (1) CN13885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40B1 (ko) 2009-02-06 2017-03-1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구동 방법
CN110545411B (zh) * 2018-05-29 2021-06-15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机、投影系统以及其传输延迟的侦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51376A (ja) 2002-12-06
CN1388559A (zh) 2003-01-01
US20020175626A1 (en) 200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2434B1 (ko) 주사방향전환을 사용하는 화상디스플레이장치
EP0138021B1 (en) Multi-beam projector
US4954901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two electron beams simultaneously scanning along respective verticaly spaced apart lines
KR20020090866A (ko) 음극선관, 주사 제어 장치, 및 주사 방법
JPH0512907B2 (ko)
KR20020021066A (ko) 음극선관 및 휘도 제어 방법
US20020024478A1 (en) Cathode ray tube and image control device
JP2542592B2 (ja) カラ−映像管装置
JP2000175210A (ja) 順次走査表示式映像表示装置
KR100283761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의 비월 주사 기반 컨버젼스 보정장치
KR900004306B1 (ko) 새도우 마스크없는 칼라텔레비죤의 영상수신장치
JPH01105684A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装置
JPH0614217A (ja) モアレキャンセル回路
JP2640027B2 (ja) 高品位テレビ受像機
JPH0758970A (ja) カラー受像管装置
JPH08221027A (ja) 表示装置
JPH08221026A (ja) 表示装置
JP200024484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2341816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駆動装置、ならびにその駆動方法
JP2000242206A (ja) 投写型表示装置
JPH0430237B2 (ko)
JPS6130195A (ja) 高解像度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20090121972A1 (en) CRT display having a single plane sheath beam bender and video correction
JP2002320106A (ja) モニタ装置
JPH05300405A (ja) 輝度変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