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380A -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380A
KR20020090380A KR1020010028508A KR20010028508A KR20020090380A KR 20020090380 A KR20020090380 A KR 20020090380A KR 1020010028508 A KR1020010028508 A KR 1020010028508A KR 20010028508 A KR20010028508 A KR 20010028508A KR 20020090380 A KR20020090380 A KR 20020090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waist
guide plate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0734B1 (ko
Inventor
정대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7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착석시에 불편함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시트백의 하단과 허리뒤쪽 간에 생기는 틈새 때문이며, 운전중 허리뒤쪽이 계속 떠있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을 하면 허리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시트쿠션의 하단에 구동수단에 의해 조작되는 쿠션 지지수단을 내장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리부분이 시트쿠션의 뒤쪽과 시트백에 밀착되도록 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허리를 지속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함으로써, 장시간 운전중에 따른 허리통증 등의 불편한 점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Lumbar support device of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착석시에 불편함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시트백의 하단과 허리뒤쪽 간에 생기는 틈새 때문이며, 운전중 허리뒤쪽이 계속 떠있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을 하면 허리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시트쿠션의 하단에 구동수단에 의해 조작되는 쿠션 지지수단을 내장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리부분이 시트쿠션의 뒤쪽과 시트백에 밀착되도록 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허리를 지속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함으로써, 장시간 운전중에 따른 허리통증 등의 불편한 점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착석시에 엉덩이와 허리를 받쳐주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시트백과 시트쿠션은 중앙이 오목하게 되어 있어 착석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의 경우 시트백 위에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그리고, 통상 공간이 한정된 차량에 설치되는 세퍼레이트 시트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트의 위치를 전후로 조정할 수 있는 장치가 시트쿠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시트백을 앞뒤로 젖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차량의 운전석용 시트는 운전자의 체형에 맞게 전후 뿐만 아니라 상하로 조절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쿠션과 시트백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시트는 통상 평균체형을 가진 사람을 기준으로 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체형이 평균보다 작거나 큰 사람의 경우는 시트의 허리를 받쳐주는 부위와 실제 착석자의 허리부위가 서로 맞지 않아 이러한 시트에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에는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평균체형을 기준으로 하여 제작한 시트의 시트백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허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인데, 그 형상이 일반기준을 적용하여 대충 형성되어 있어서 대체적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상이한 허리를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장거리를 주행하는 자동차의 시트에 장시간 앉아 있을 경우 허리에 통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시트백에 허리지지 장치를 내장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는 구동수단에 의해 시트백을 전후로 이동하여 지지하므로 그 이동량이 적어 운전자의 허리를 보호할 정도의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쿠션의 하단에 구동수단에 의해 조작되는 쿠션 지지수단을 내장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리부분이 시트쿠션의 뒤쪽과 시트백에 밀착되도록 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허리를 지속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함으로써, 장시간 운전중에 따른 허리통증 등의 불편한 점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의 가이드 판과 레일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쿠션지지 수단10a : 레일
11a, 11b : 판체12 :가이드 판
12a : 랙기어13 : 모터
13a : 피니언 기어20 : 시트쿠션
30 : 시트백40 : 시트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트쿠션(20)과 시트백(30)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트(40)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20)에 내장된 쿠션지지 수단(10)은 그 선부에는 직사각형의 판체(11a)로 이루어지고, 후부에는 다수개의 직사각형 판체(11b)가 핀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상자형태로써, 이 쿠션지지 수단(10) 내의 양측에 랙기어(12a)가 중앙부위에 형성된 가이드 판(12)과, 그 가이드판(12)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구동수단인 모터(13)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판(12)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쿠션지지 수단(10)의 후부에 형성된 판체(11b)가 운전자의 몸무게로 인해 하방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시트쿠션(20)의 후부와 시트백(30)에 운전자의 엉덩이와 허리부분이 밀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쿠션지지 수단(10) 후부의 판체(11b)를 조합한 폭은 선부의 판체(11a)의 폭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판(12)은 전후로 길게 형성된 판부재로 그 후단은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도록 후부로 갈수록 좁혀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작동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의 가이드 판과 레일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쿠션 지지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쿠션 지지수단(10)은 시트쿠션(20)에 내장되어 있으며, 그 선부는 직사각형의 판체(11a)가 구비되어 있고, 그 후부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직사각형 판체(11b)를 일체형으로 조합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판체(11b)를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한 다음, 판체 (11b)간의 연접부위를 핀 등으로 연결하면 각 판체(11b)들은 일체형으로 결합되면서 핀 연결부위를 이용하여 폭방향으로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후부의 판체(11b)를 조합한 폭은 선부의 판체(11a)의 폭과 동일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쿠션지지 수단(10)의 양측은 레일(10a) 형상이 갖추어져 있으며, 그 레일(10a) 위에는 가이드 판(12)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가이드 판(12)은 전후로 길게 형성된 판부재로써, 그 후단은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도록 후부로 갈수록 좁혀지는 형상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 판(12)의 중앙부위에는 랙기어(12a)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랙기어(12a)는 피니언 기어(13a)와 치합되어 상기 가이드 판(12)을 전후로 움직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13a)는 모터(13)의 회전력을 랙기어(12a)에 전달하는 전동수단으로서, 모터(13)의 축에 직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상태는 가이드 판(12)이 시트쿠션(20)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0, 40은 시트백과 이를 포함한 시트를 나타낸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하여, 운전자가 오디어, 에어컨 모드 스위치 등이 장착되어 있는 전면 패시아 패널상의 제어 스위치를 조작하면, 모터(13)가 회전하고, 이때의 회전력이 피니언 기어(13a)를 통해 랙기어(12a)로 전달되므로 가이드 판(12)은 전방으로 레일(10a)을 따라 이동한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 판(12)이 이동함에 따라 쿠션 지지수단(10)의 후부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다수개로 되어 있는 직사각형 판체(11b)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몸무게로 인하여 각 핀 연결부위가 접히게 되므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리부분은 시트(40)의 시트쿠션(20) 후부와 시트백(30)에 미끄러져 밀착하게 되므로 장시간 운전을 해도 허리에 무리가 가지않고 편안한 자세로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는 시트쿠션에 쿠션지지 수단을 내장하고, 그 쿠션지지 수단에 형성된 가이드 판의 전방이동에 따라 상기 시트쿠션의 후부가 움푹들어가게 형성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리가 시트의 시트쿠션 후부와 시트백에 밀착되면서 지속적으로 받쳐줄 수 있게 함으로써, 장시간 운전에 따른 허리통증 등의 피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시트쿠션(20)과 시트백(30)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시트(40)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20)에 내장된 쿠션지지 수단(10)은 그 선부에는 직사각형의 판체(11a)로 이루어지고, 후부에는 다수개의 직사각형 판체(11b)가 핀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상자형태로써, 이 쿠션지지 수단(10) 내의 양측에 랙기어(12a)가 중앙부위에 형성된 가이드 판(12)과, 그 가이드판(12)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구동수단인 모터(13)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판(12)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쿠션지지 수단(10)의 후부에 형성된 판체(11b)가 운전자의 몸무게로 인해 하방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하여 시트쿠션(20)의 후부와 시트백(30)에 운전자의 엉덩이와 허리부분이 밀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판(12)은 전후로 길게 형성된 판부재로 그 후단은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도록 후부로 갈수록 좁혀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판(12)은 전후로 길게 형성된 판부재로 그 후단은 슬라이드 이동이 용이하도록 후부로 갈수록 좁혀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KR10-2001-0028508A 2001-05-23 2001-05-23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KR100410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508A KR100410734B1 (ko) 2001-05-23 2001-05-23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508A KR100410734B1 (ko) 2001-05-23 2001-05-23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380A true KR20020090380A (ko) 2002-12-05
KR100410734B1 KR100410734B1 (ko) 2003-12-12

Family

ID=2770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508A KR100410734B1 (ko) 2001-05-23 2001-05-23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7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0734B1 (ko) 200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6643B2 (ja) コンパクトな座席装置
EP1400394B1 (en) Seat arrangement for vehicle
EP1483134B1 (en) Automotive seat with active back
US7628453B2 (en) Vehicle seat
CN105620313B (zh) 坐垫伸长装置
US20070063562A1 (en) Seat back adjustment mechanism
US20140152041A1 (en) Seating arrangement for a passenger vehicle
EP1003404A1 (en) 30/40/30 split seat with adjustable center portion
JP454419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CN105799564B (zh) 具有减轻颈椎过度屈伸损伤的改进性能的车辆座椅
KR10041073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 장치
JP4830405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3163402A (ja) 車両用後席シート
JPH0632165A (ja) 3人掛けの座席
US9119472B2 (en) Movable seat insert
JP4742739B2 (ja) 車両用シート
JPS63145145A (ja) 自動車のシ−ト装置
KR200238671Y1 (ko) 자동차용 다리 받침대
KR200147457Y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연동장치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KR0140166Y1 (ko) 자동차시트의 요추받침대
JPH05228038A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180110599A (ko) 양발 익스텐션 시트
GB2375707A (en) Seat with squab moveable so that horizontal and vertical distances between squab and backrest can be reduced, in one direction, in a single action
JPH08182575A (ja) 乗り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