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252A -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252A
KR20020089252A KR1020020065627A KR20020065627A KR20020089252A KR 20020089252 A KR20020089252 A KR 20020089252A KR 1020020065627 A KR1020020065627 A KR 1020020065627A KR 20020065627 A KR20020065627 A KR 20020065627A KR 20020089252 A KR20020089252 A KR 20020089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repaid
call
call mod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786B1 (ko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주)광희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희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광희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2-006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78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1)는, 컨트롤러(10), 키입력부(20), 모니터(30), 메모리(40), 통신부(50), 오디오부(60) 및 전원부(70)를 포함하는 휴대전화기로서, 상기 키입력부(20)에는 후불식 통화모드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가 포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10)는,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로부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 전환신호가 발생할 때, 통화모드를 후불식 통화모드로부터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는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와 카드고유번호를 포함한 선불전화카드식 통화에 필요한 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고, 이후 자동 다이얼링된 이후의 번호만을 입력하여 통화개시버튼(22)을 누리면, 선불전화카드식 통화에 필요한 번호가 모두 다이얼링되어 선불전화카드식으로 통화가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는, 키입력부(20)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기존버튼들 중의 하나이고,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로 사용되는 기존버튼의 키-입력 지속시간이 정해진 기준시간 이내일 때에는 기존 버튼은 그 고유 기능을 입력하는 버튼으로 작용하고, 키-입력 지속시간이 정해진 기준시간을 초과할 때에는 후불식 통화모드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버튼으로 작용한다.

Description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Mobile Phone Having Contracted Key for Prepayment Phone Card-Type Call-Mode}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의 마련된 키입력부에 기존의 후불식 통화모드와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를 상호 전환할 수 있는 단축키가 포함되어 있고,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 카드고유번호(핀-번호) 및 상대방전화번호 등을 미리 입력해 둠으로써, 최소한의 숫자 입력만으로 선불전화카드식으로 국제통화를 포함한 각종 통화를 할 수 있는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휴대전화기에 적용되는 선불전화카드는 일반 공중전화카드처럼 전화기에 투입하여 사용하는 마그네틱카드가 아니라 부여받은 카드고유번호(PIN-번호)를 입력을 통해 선불로 구입한 금액만큼 국제통화를 포함한 시외전화와 시내전화를 할 수 있는 통화방식이다.
이런 선불전화카드는, 선불전화카드 사업자가 전화회선을 해당 회선보유 사업자(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계약에 의해 일정량을 임차하여 별도의 통신망을 구성하여 국제, 시외, 시내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기존의 기간통신사업자와 동일한 음성망을 통해 통화하는 것이므로 저렴한 가격으로 양호한 음질의 국제전화를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 때문에 특히 국제통화에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결국 선불전화카드란, 미리 일정액의 요금을 선불로 지급하고, 공중전화, 일반전화 및 이동통신전화를 사용하여 (국제)전화통화 서비스를 받는 시스템인 것이다.
휴대전화가(이동통신전화)를 이용하여 선불전화카드로 국제통화를 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선불전화카드사로부터 선불전화카드를 구입하여 원하는 선불금액을 결제하면 사용자에게 해당 카드의 카드고유번호(핀-번호라고 불리는 일종의 비밀번호로서 평균 10자리 정도의 고유번호임)를 부여하여 선불전화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선불전화카드를 구입한 사용자는, 해당 선불전화카드사의 접속번호로 전화를 연결하여 카드고유번호를 누르라는 안내멘트에 따라 카드고유번호를 누르고, 이후 잔액 통보가 나온 뒤 상대방전화번호를 누르라는 안내멘트에 따라 국가번호를 포함한 상대방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를 하게 되며, 통화요금은 선불로 지급한 금액으로부터 점차 감액되고, 충전과정을 통해 그 요금을 보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한 선불전화카드를 사용함에 있어서 가장 불편한 점은, 통화를 하려면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통상 10자리의 숫자), 카드고유번호(10자리의 숫자) 및 상대방전화번호(통상 10자리 이상의 숫자) 등 많은 숫자를 일일이 입력하여야 하고, 따라서 국제전화 통화 접속에 휴대전화기 버튼 조작에 익숙한 사용자도 30-35초 이상의 긴 시간을 소요되고, 번호의 잘못 입력으로 인한 접속 실패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전화기를 사용한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를 함에 있어서, 지나치게 많은 숫자를 입력해야 하는 것에 따른 통화접속에의 과도한 시간 소요와 숫자의 오입에 따른 접속실패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전화기에 기존의 후불식 전화방식과 선불전화카드 통화방식을 상호 전환할 수 있는 단축키를 도입하고, 휴대전화기에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 카드고유번호 및 상대방전화번호 등을 미리 입력해 둠으로써, 최소한의 숫자 입력만으로 선불전화카드 방식으로 국제통화를 포함한 각종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로 후불식 통화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
10: 컨트롤러
20: 키입력부
21: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
22: 통화개시버튼
30: 모니터
40: 메모리
50: 통신부
60: 오디오부
70: 전원부
본 발명에 따라, 컨트롤러, 키입력부, 모니터, 메모리, 통신부, 오디오부, 및 전원부를 포함하는 휴대전화기로서, 상기 키입력부에 후불식 통화모드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가 포함된,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가 제공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로부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 전환신호가 발생할 때, 통화모드를 상기 후불식 통화모드로부터 상기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와 카드고유번호를 포함한 선불전화카드식 통화에 필요한 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링하고, 이후 상기 자동 다이얼링된 이후의 번호만을 입력하여 통화개시버튼을 누리면, 상기 선불전화카드식 통화에 필요한 번호가 모두 다이얼링되어 상기 선불전화카드식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로는, 휴대전화기에 별도의 전용버튼으로 구비하는 것도 배제되지는 않지만, 상기 키입력부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기존버튼들 중의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로 사용되는 상기 기존버튼은 그 키-입력 지속시간이 정해진 기준시간 이내일 때에는 그 고유 기능을 입력하는 버튼으로 작용하고, 상기 키-입력 지속시간이 정해진 기준시간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후불식 통화모드와 상기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버튼으로 작용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로 후불식 통화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1)는, 통상적인 휴대전화기와 마찬가지로, 휴대전화기(1)의 이동통신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10), 각종 데이터와 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20), 휴대전화기의 사용에 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30, 예 LCD), 휴대전화기의 전반적인 작동에 관한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40), 안테나를 통해기지국과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와 듀플렉서 등을 구비한 통신부(50), 통화를 위한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하는 오디오부(60),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다수의 숫자버튼과 각종 기능버튼 등을 포함하는 상기 키입력부(20)에는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가 구비되어 있다.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는 휴대전화기(1)의 통신모드를 후불식 통화모드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로 상호 전환하는 키(버튼)로서, 별도의 전용버튼으로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기존의 키입력부(20)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버튼들 중에 특정의 버튼(21: 예를 들어, 숫자 "0" 버튼)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버튼을 겸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를, 평상시와 같이 그 키-입력 지속시간(누르고 있는 시간)을 정해진 기준시간 이내로 짧게 누를 때(입력할 때)에는 통상의 숫자 "0"을 입력하는 버튼이 되고, 그 키-입력 지속시간을 정해진 기준시간을 초과하여 길게 누를 때(입력할 때)에는 후불식 통화모드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를 상호 교대로 전환하는 버튼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 숫자 "0" 버튼)를 길게 한번 누르면, 휴대전화기(1)가 일반적인 기존의 후불식 통화모드 상태로부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 상태로 전환되고, 다시 한번 길게 누르면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 상태로부터 후불식 통화모드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이와 같은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의 모드전환은, 휴대전화기(1)에 적용된 상기 컨트롤러(10)와 그에 부수된 시간을 계수하는 통상의 클럭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컨트롤러(10)는, 상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의 입력상태를 판단하여 그 모드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이면, 사용자가 키입력부(20)를 이용하여 미리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던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예, 080-000-0000)와 카드고유번호(예, 1234567890)를 포함한 선불전화카드식 통화에 필요한 번호들을 독출하여 자동으로 다이얼링하게 하고, 이후 사용자가 자동으로 다이얼링된 번호 이후의 번호만(예, 00-00-000-0000)을 입력하여 통화개시버튼(22)을 누르면(입력하면), 결국 번호 전체가 다이얼링되어 선불전화카드식 통화가 실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선불전화카드식으로 전화를 하는 경우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를 누른 후에 '카드고유번호를 눌러라'는 안내멘트가 나오고, 카드고유번호를 송출한 후에는 잔액통보가 나온 뒤에 '상대방전화번호를 눌러라'는 안내멘트가 가오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에 대응하여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와 카드고유번호의 다이얼링 사이와 카드고유번호와 그 이후의 번호(상대방전화번호) 사이에는, 해당 멘트 등이 나오는 시간에 대응하는 길이만큼의 자동대기시간(예, 0.2초 단위)도 함께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4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40)에 미리 저장시키는 번호는,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와 카드고유번호를 저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전화통화 사용특성에 따라, 국제통화시의 국가번호까지, 또는 지역번호를 포함한 상대방전화번호전체까지도 저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휴대전화기(1)를 사용하여 선불전화카드식 국제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를 길게 눌러서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를 선택한 다음, 저장되어 있던 번호 이후의 번호만을 눌러서 통화개시버튼(22)을 누르면 바로 선불전화카드식 (국제)통화를 할 수 있다.
이때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와 고유카드번호만이 저장된 경우에는 국가번호와 상대방전화번호를 차례로 누르면 되고, 국가번호까지가 저장된 경우 상대방전화번호만 누르면 되며,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여 상대방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둔 경우에는 그 저장된 상대방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단축번호(예, 1, 2, 3 등)만 누르면 바로 통화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모니터(30)에는, 현재의 모드가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임을 표시함과 아울러 저장되어 자동으로 다이얼링되는 번호들이 순서대로 표시되고,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들이 연이어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로 후불식 통화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후불식 통화모드로 세팅된 상태에서 휴대전화기(1)를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로 전환하여 선불전화카드에 의한 통화를 하고,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로서 숫자 "0" 버튼이 겸용으로 사용되는 예를 상정한 것이다.
통화대기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가 누려지면(S10), 컨트롤러(10)는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의 키-입력 지속시간이 정해진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길게 눌렀는지)를 판단한다(S20).
판단결과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의 키-입력 지속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였으면(YES, 길게 눌렸으면), 이전의 모드가 후불식 통화모드인지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인지(즉,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로의 전환인지)를 판단한다(S30).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로의 전환이면(YES), 컨트롤러(10)는 휴대전화기(1)의 통화모드를 후불식 통화모드에서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 상태로 전환한다(S40). 이때 물론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에서 후불식 통화모드로의 전환이면(NO), 컨트롤러(10)는 휴대전화기(1)의 통화모드를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에서 후불식 통화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통상의 후불식 통화모드에 의한 통화방식이 진행되도록 한다(S50).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S40),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는 번호(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 자동대기시간, 카드고유번호 및 자동대기시간 등)를 독출하여 순서대로 자동 다이얼링하고(S60), 이때 해당 번호를 모니터(30)에 출력시켜 표시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잔액정보에 관한 안내멘트를 청취한 후(청취하지 않을 수도 있음), 상기 자동 다이얼링된 이후의 번호를 입력시키고(S70), 이후 통화개시버튼(22)을 누르면 선불전화카드식 통화에 필요한 번호 전체가 다이얼링되면서 선불전화카드식으로 통화가 이루어진다(S80).
상기 단계 S20에서의 판단결과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의 키-입력 지속시간이 기준시간 이내이면(NO, 짧게 눌려진 것이면), 휴대전화기(1)는 통화모드의 변화 없이 이전의 통화모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전 모드(본 구체예에 있어서는 후불식 통화모드)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90).
즉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키입력부(20)의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의 조작에 따라 후불식 통화모드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를 상호 전환할 수 있고,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로의 통화시 최소한의 숫자 입력만으로 선불전화카드식으로 국제통화를 포함한 각종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휴대전화기를 사용하여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를 함에 있어서, 지나치게 많은 숫자를 입력해야 하는 것에 따른 통화접속에의 과도한 시간 소요와 숫자의 오입에 따른 접속실패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최소한의 숫자 입력만으로 선불전화카드 방식으로 국제통화를 포함한 각종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컨트롤러(10), 키입력부(20), 모니터(30), 메모리(40), 통신부(50), 오디오부(60), 및 전원부(70)를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20)에는 후불식 통화모드와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0)는, 상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로부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 전환신호가 발생할 때, 통화모드를 상기 후불식 통화모드로부터 상기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로 전환함과 아울러, 상기 메모리(40)에 저장되어 있는 선불전화카드사 접속번호와 카드고유번호를 포함한 선불전화카드식 통화에 필요한 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얼하고, 이후 상기 자동 다이얼링된 이후의 번호만을 입력하여 통화개시버튼(22)을 누리면, 상기 선불전화카드식 통화에 필요한 번호가 모두 다이얼링되어 상기 선불전화카드식으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는, 상기 키입력부(20)에 이미 구비되어 있는 기존버튼들 중의 하나이고, 상기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21)로 사용되는 상기 기존버튼의 키-입력 지속시간이 정해진 기준시간 이내일 때에는 상기 기존 버튼은 그 고유 기능을 입력하는 버튼으로 작용하고, 상기 키-입력 지속시간이 정해진 기준시간을 초과할 때에는 상기 후불식 통화모드와 상기 선불전화카드식 통화모드를 상호 전환하는 버튼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2002-0065627A 2002-10-26 2002-10-26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10047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627A KR100470786B1 (ko) 2002-10-26 2002-10-26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627A KR100470786B1 (ko) 2002-10-26 2002-10-26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395U Division KR200303562Y1 (ko) 2002-10-11 2002-10-11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252A true KR20020089252A (ko) 2002-11-29
KR100470786B1 KR100470786B1 (ko) 2005-03-10

Family

ID=2772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627A KR100470786B1 (ko) 2002-10-26 2002-10-26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905A1 (en) * 2006-06-22 2007-12-27 Wooritel Mobile phone with a communication module for autoconnection to pst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703B1 (ko) 2020-11-27 2023-02-07 주식회사 코모스 스티어링 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337U (ko) * 1998-12-12 2000-07-05 권진구 전화기로 제어하는 자동 다이얼기
KR200175277Y1 (ko) * 1999-10-13 2000-03-15 신세계텔레콤주식회사 인공지능 전화단말기
KR200195735Y1 (ko) * 2000-04-03 2000-09-15 최진원 휴대용 회선 자동 선택장치
KR20010067886A (ko) * 2001-04-04 2001-07-13 이동환 후크(hook)상태를 감지하고 선/후불카드의 입력번호를자동 송출하는 ACR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905A1 (en) * 2006-06-22 2007-12-27 Wooritel Mobile phone with a communication module for autoconnection to pst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0786B1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45046A (ja) 携帯電話の複数のsimカードを切り換える方法とその装置
KR100841037B1 (ko) 다중 번호 휴대폰의 멀티유저 인터페이스 지원 방법
RU2434367C2 (ru) Двухрежимный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с двойным резервированием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режима этого терминала
EP1613120B1 (en) Network support for number dialed identification with multi-line mobiles
KR100470786B1 (ko)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200303562Y1 (ko) 선불전화카드 통화모드용 단축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KR2006005668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3361Y1 (ko) 발신자 표시 및 자동 다이얼 기능을 갖는 단말기
JPH08223267A (ja) ダイヤリング装置
KR20010067886A (ko) 후크(hook)상태를 감지하고 선/후불카드의 입력번호를자동 송출하는 ACR 단말기
KR20010084200A (ko)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JP2009218650A (ja) 携帯電話端末
KR100306219B1 (ko) 카드지불방식 다이얼링 방법
KR1005048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내역 관리 방법
KR100428481B1 (ko)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자동 접속 다이얼 전화기의 선로설정 방법
JP3445713B2 (ja) 携帯形電話機
KR100473640B1 (ko) 복수의 카드를 사용하는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1051858A (ja) 使い捨て移動通信端末及びその通信管理方式
JP2001094656A (ja) 通信端末装置
KR100267118B1 (ko) 기지국형무선전화기와가정용이중모드전화기에서모드자동선택방법
KR100790176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모드에 따라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4073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검색 방법
JP2020162068A (ja) コードレス電話機、及び制御方法
JP4192637B2 (ja) 通信端末
KR100238881B1 (ko) 간이교환시스템에서 자동재다이얼 잔여시간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