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018A - 화장장 운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장장 운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018A
KR20020088018A KR1020010026627A KR20010026627A KR20020088018A KR 20020088018 A KR20020088018 A KR 20020088018A KR 1020010026627 A KR1020010026627 A KR 1020010026627A KR 20010026627 A KR20010026627 A KR 20010026627A KR 20020088018 A KR20020088018 A KR 20020088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tube
coffin
truck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방주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방주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방주기공
Priority to KR1020010026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8018A/ko
Publication of KR2002008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01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9/00Hoisting or lowering devices for coff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1/00Funeral aspects of hearses or like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장 운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화장장 운구 시스템(1)은, 하부대차(110)와, 관(3)이 적재되고 상기 하부대차(110)에 좌우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올려지는 상부대차(120)를 포함하고, 영구차(2)로부터 관(3)을 인수받아 운반하는 운반대차(100); 상기 운반대차(100)로부터 관(3)이 적재된 상태의 상기 상부대차(120)를 수용하는 대차수용부(210)와, 상기 상부대차(120)로부터 관(3)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리프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대차(100)로부터 관(3)이 적재된 상태의 상기 상부대차(120)를 인수받아 운반하는 중개대차(200); 및 상기 중개대차(200)의 상기 대차수용부(21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관(3)이 적재되고, 관(3)이 적재된 상태로 상기 화장로의 노(7) 안에 투입되어 관(3)이 연소되도록 하는 로내대차(300); 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내대차(300)를 상기 화장로의 노(7) 안으로 투입하는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이 더 포함되며, 상기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은, 화장로의 전실(5)에 걸쳐 설치된 프레임(410), 상기 프레임(410)의 좌우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플레이트(420), 상기 작동플레이트(420)에 형성되어 상기 로내대차(300)와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구(430), 상기 작동플레이트(420)의 좌우신축을 조절하는 동력기구(440)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장 운구 시스템{System for Carrying Coffin in Crematory}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화장장 운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장에 도착한 영구차로부터 장례식장 또는 고별실을 경유하여 화장로로 관을 운반하여 화장하고 유골을 수습하기까지의 일련의 운구 과정에 사용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최근 장례 문화가 매장에서 화장으로 전환됨에 따라 화장장의 화장건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장묘사업소인 벽제화장장의 경우 1일 화장건수가 70-90건 정도로서 거의 포화상태에서 화장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적인 화장장의 운구 과정은, 관습과 화장장의 구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영구차에서 관을 내려 장례식장 또는 고별실을 경유한 후에 화장로로옮기는 일련의 과정이 수반된다. 즉, 70-90킬로그램에 이르는 무거운 관을 상당한 거리 이동하여야 하는 작업인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장에서의 운구는 4인 정도의 작업자가 관을 직접 들어서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음으로, 화장장의 작업자 8명이 2교대로 작업한다고 하더라도 하루에 40번 이상 관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힘든 작업을 하지 않을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허리통증과 같은 직업병으로 고통받아 왔고 장묘사업소는 많은 인건비와 산업재해의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차로부터 장례식장 또는 고별실을 경유하여 화장로까지 관을 운반하여 화장함에 있어서,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안전하며 편리하게 관을 운반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장장 운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차로부터 장례식장 또는 고별실을 경유하여 화장로까지 관을 운반하여 화장함에 있어서, 1인의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모든 운구 작업을 행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자의 입장에서는 허리통증과 같은 직업병의 염려가 없고 장묘사업소는 인건비와 산업재해의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2는 운반대차의 예시적인 하부대차의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
도3은 운반대차의 예시적인 상부대차의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
도4는 예시적인 중개대차의 평면도(A), 측면도(B), 정면도(C) 및 구조도(D),
도5는 예시적인 로내대차의 개략도,
도6은 예시적인 로내대차운반수단의 평면도(A)와 측면도(B),
도7은 도6의 제1동력기구의 개략도(A)와 제2동력기구의 개략도(B, C),
도8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전체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운구 시스템 2: 영구차 3: 관
4: 유골 5: 전실 6: 앞실
7: 노 100: 운반대차 110: 하부대차
114(114A): 결속구 120: 상부대차 200: 중개대차
210: 대차수용부 214: 측면프레임 220: 리프트
221: 액추에이터 224: 관받침바 230: 결속구
300: 로내대차 330: 결합구 400: 로내대차운반수단
410: 프레임 420: 작동플레이트 421: 베이스플레이트
422: 중간플레이트 423: 탑플레이트 430: 결합구
440: 제1동력기구 441: 모터 442: 제1단 체인
443: 제2단 체인
본 발명에 따라, 운반대차, 중개대차 및 로내대차를 포함하는 화장장 운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운반대차는 영구차로부터 관을 인수받아 운반하는 대차로서 하부대차와 상부대차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대차는 지면을 주행하는 대차이고 상기 상부대차는상기 하부대차에 좌우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올려진 상태에서 관이 적재되는 대차이다.
상기 중개대차는, 상기 운반대차로부터 관이 적재된 상태의 상기 상부대차를 인수받아 운반하는 대차이고, 상기 운반대차로부터 관이 적재된 상태의 상기 상부대차를 수용하는 대차수용부와 상기 상부대차로부터 관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리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로내대차는, 화장로의 노에 관과 함께 투입되어 관이 연소되도록 하는 대차로서, 상기 중개대차의 상기 대차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관을 인수받아 관이 적재된 상태로 노에 투입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로내대차의 화장로의 투입에는 자동화된 로내대차운반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프트는, 상기 대차수용부의 양쪽 측면프레임에 각각 설치된 상하 작동의 액추에이터,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회동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어 관 밑으로 돌려 넣고 뺄 수 있는 관받침바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내대차운반수단은, 화장로의 전실에 걸쳐 설치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좌우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플레이트, 상기 작동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로내대차와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구, 상기 작동플레이트의 좌우신축을 조절하는 동력기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플레이트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따라 좌우이동 가능한 중간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플레이트를 따라 좌우이동 가능하며 상기 결합구가 형성된 탑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동력기구로 체인을 돌려신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운반대차와 상기 중개대차 및 상기 중개대차와 상기 로내대차운반수단에는 이들 사이를 결속 및 분리시키는 결속구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장 운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장 운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2는 운반대차의 예시적인 하부대차의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 도3은 운반대차의 예시적인 상부대차의 평면도(A), 측면도(B) 및 정면도(C), 도4는 예시적인 중개대차의 평면도(A), 측면도(B), 정면도(C) 및 구조도(D), 도5는 예시적인 로내대차의 개략도, 도6은 예시적인 로내대차운반수단의 평면도(A)와 측면도(B), 도7은 도6의 제1동력기구의 개략도(A)와 제2동력기구의 개략도(B, C), 도8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전체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장 운구 시스템(1)은, 운반대차(100), 중개대차(200) 및 로내대차(3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운반대차(100)는 영구차(2)로부터 관(3)을 인수하여 장례식장, 고별실 등을 포함하는 화장장의 곳곳으로 관(3)을 운반하는 대차이다. 장례식이나 고별식 등 화장장에서 행하여지는 각종 의식은 운반대차(100)에 관(3)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운반대차(100)는 화장장의 엄숙한 분위기와 정서에 맞는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개대차(200)는 운반대차(100)로부터 관은 인수받아 바로 로내대차(300)로 넘겨주는 대차로서, 통상적으로 화장로의 전실(5) 앞의 앞실(6)에 대기 상태에 있다가 최종 고별의식을 마치고 화장을 위해 화장로에 이른 운반대차(100)로부터 관(3)을 인수받는다.
로내대차(300)는 중개대차(200)로부터 관(3)을 인수하여 관(3)과 함께 노(7) 안에 투입되는 대차이며, 바람직하게 로내대차(300)의 화장로 투입은 자동화된 로내대차운반수단(4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운반대차(10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대차(110)와 상부대차(120)로 구성된다. 상부대차(120)는 하부대차(110) 위에 올려지며 하부대차(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고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대차(110)는, 프레임(111), 지면 위를 주행할 수 있도록 프레임(111)의 저면에 장착된 휠(112), 상부대차(120)를 수평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프레임(111)의 상면에 길이(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113), 하부대차(110)와 중개대차(200)를 서로 결속시킴으로써 운반대차(100)로부터 중개대차(200)로 관(3)을 옮길 때 두 대차(100, 200)를 서로 고정시켜 주는 결속구(114)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결속구(114)로서는 운반대차(100)를 중개대차(2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기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식 결속구(114A)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운반대차(100)와 중개대차(200)의 결속위치로 가지 않고서도 운반대차(100)의 전방에서 결속구(114)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대차(120)는, 관(3)이 올려지는 프레임(121), 프레임(121)의 저면에 장착되어 하부대차(110)의 레일(113)을 따라 주행하는 휠(122), 관(3)을 프레임(121)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받쳐주는 관받침대(123), 및 작업자가 운반대차(100)를 이송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124), 및 하부대차(110)에 상부대차(120)를 고정하는 고정구(125)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125)로서는 하부대차(110)에 상부대차(12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기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125A)을 사용할 수 있다.
하부대차(110)와 상부대차(120)는 각각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부대차(110)에 상부대차(120)가 올려진 상태에서 운반대차(100)도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하부대차(110)와 상부대차(120)의 구성에 따라, 상부대차(120)는 하부대차(110) 위에 올려진 상태에서 레일(113)과 휠(122)의 작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한편 필요에 따라 고정구(125)로 고정시켜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중개대차(2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수용부(210)와 리프트(2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대차수용부(210)는 전술한 상부대차(120)와 후술하는 로내대차(300)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저면의 휠(212)과 상면의 레일(213)을 구비한 바닥프레임(211)과, 바닥프레임(211)의 양측에 상부대차(120)와 로내대차(300)가 수용될 수 있을 간격으로 세로로 형성된 2개의 측면프레임(214)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닥프레임(211)의 상면 높이와 레일(213)의 높이 및 폭은 상기 하부대차(110)의 상면 높이와 레일(113)의 높이 및 폭에 대응함으로, 운반대차(100)와 중개대차(200)를 일직선으로 결속시킨 상태에서 상부대차(120)를 밀면 그대로 중개대차(200)의 대차수용부(210) 안으로 상부대차(120)가 주행하여 들어가게 된다.
리프트(220)는 관(3)을 상부대차(120)로부터 들어 올리고 내리는 작용을 한다. 사용 가능한 리프트(220)로서는 관(3)을 조심스럽게 상부대차(120)로부터 들어 올리고 내릴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리프트(220)는, 도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대차수용부(210)의 양쪽 측면프레임(214) 내에 각각 설치된 상하 작동하는 에어 또는 유압 등의 액추에이터(221), 상기 액추에이터(221)에 장착되어 대차수용부(210)의 길이를 따라 양쪽으로 길게 신장된 가로바(222), 상기 가로바(22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세로바(223), 및 상기 세로바(223)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어 관(3) 밑으로 돌려 넣고 뺄 수 있는 관받침바(224)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면부호 225는 가로바(222)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가이드축을 나타낸다. 즉, 예시된 구체예의 리프트(220)는 총 4개의 회동식 관받침바(224)를 상하 이동 및 회동시킴으로써 관(3)을 상부대차(120)로부터 들어 올리고 내리는 것이다.
중개대차(200)의 대차수용부(210)에는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손잡이(215)를장착할 수 있고, 본 손잡이(215)가 운반대차(100)와 중개대차(200)의 결속에 방해가 되는 경우 탈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개대차(200)에는 이를 로내대차운반수단(4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속구(230)를 장착할 수 있다. 본 결속구(230)로서는 중개대차(200)를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의 중개대차결속부위에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속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231)를 구비하는 자동식 결속구(230)가 바람직하다. 도4에서 도면부호 240은 리프트(220)의 액추에이터(221)와 결속구(230)의 액추에이터(231)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을 나타낸다.
로내대차(300)는 그 위에 관(3)을 적재한 상태에서 노(7) 안으로 관(3)과 함께 투입되어 관(3)이 화장되도록 하는 대차이다. 로내대차(300)는 노(7)의 고온 환경에서도 파손되지 않는 내화성 재질로 제작되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평평한 프레임(310)과 프레임(310)의 저면에 장착된 휠(320)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로내대차(300)의 프레임(310) 저면에는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의 결합구(430: 예,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구(330: 예, 결합구멍)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로내대차(300)의 높이는 중개대차(200)의 대차수용부(21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대략 중개대차(200)의 측면프레임(214)의 대응하게 되는 정도이다.
화장로는 고온환경임으로 노(7)가 가열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작업자의 접근이 어렵다. 따라서 화장로에서의 로내대차(300)의 이동은 로내대차운반수단(400)에 의해 이루어진다.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은 로내대차(300)를 화장로의 안과 밖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은,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로의 전실(5)에 걸쳐 설치된 프레임(410), 프레임(410)의 좌우로 신축 및 전후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플레이트(420), 상기 작동플레이트(420)에 돌출 형성되어 로내대차(300)의 결합구(330)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결합구(430), 상기 작동플레이트(420)의 좌우신축을 조절하는 제1동력기구(440), 상기 작동플레이트(420)의 전후이동을 조절하는 제2동력기구(450), 및 상기 로내대차(300)의 휠(320)이 올려지도록 상기 프레임(410) 상에 설치된 레일(460)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작동플레이트(420)는, 프레임(410)에 고정 장착된 베이스플레이트(42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1)를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한 중간플레이트(422) 및 상기 중간플레이트(422)를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한 탑플레이트(423)의 3개의 플레이트를 베이스플레이트(421)에 중간플레이트(422)와 탑플레이트(423)를 차례로 안테나처럼 삽입시키는 접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작동플레이트(420)의 접고 펼치는 작동은, 베이스플레이트(421)와 중간플레이트(422) 사이에 제1단 체인(442)을 장착하고 중간플레이트(422)와 탑플레이트(423) 사이에 제2단 체인(443)을 장착하여 이들 체인을 제1동력기구(440)의 모터(441)로 돌리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플레이트(420)의 좌우신축에 따라, 상기 탑플레이트(423)에 돌출 형성된 결합구(430)가 프레임(410)의 좌우방향, 즉 화장로의 전실(5)을 중심으로 앞실(6)과 노(7) 사이를 이동하게 되며, 결국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의 결합구(430)와 결합구(330)가 결합된 로내대차(300)를 전실(5)을 중심으로 앞실(6)과 노(7)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424는 작동플레이트(420)의 좌우신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롤러들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444는 모터(441)의 동력을 작동플레이트(420)로 전달하는 체인축이다.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의 결합구(430)와 로내대차(300)의 결합구(330)를 결합 및 분리시키는 구조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로내대차(300)의 결합구(330)는 일측면(중개대차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쪽의 일측면)에 입구가 형성된 결합구멍(330)으로 형성하고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의 결합구(430)는 결합구멍(330)에 끼워지는 결합돌기(430)로 형성하여, 상기 결합구멍(결합구: 330)의 입구로 결합돌기(430: 결합구)를 수평이동 시켜서 결합시키고 분리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430), 즉 작동플레이트(420)를 프레임(4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작동플레이트(420)의 전후이동에 제2동력기구(450)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작동플레이트(420)는 프레임(410)에 전후로 연결된 총 3개의 구동축과 가이드축(451A, 451B)에 전후(도7C의 화살표 방향)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모터(452)에 의해 구동축 및 가이드축(451)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며, 따라서 작동플레이트(420)를 적절히 좌우로 신축시키고 전후로 이동시킴에 따라 결합돌기(430)를 결합구멍(33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이하, 도8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화장장 운구 시스템(1)에 의해 관(3)을 운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단계는 영구차(2)로부터 운반대차(100)로 관(3)을 싣는 과정이다(도8 참조). 이를 위해 하부대차(110)의 레일(113) 위에 상부대차(120)의 휠(122)을 올려 전체의 운반대차(10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125)로 상하의 대차(110, 1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운반대차(100)를 영구차(2)에 접근시키고, 영구차(2)로부터 관(3)을 당겨 끌어서 상부대차(120)의 관받침대(123) 위에 관(3)을 적재한다.
영구차(2)로부터 운반대차(100)로 관을 옮겨 싣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운반대차(100)의 상면, 즉, 상부대차(120)의 관받침대(123)의 높이는 영구차(2)의 관투입구(2A)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례식이나 고별식 등 화장장에서 행하여지는 각종 의식은 운반대차(100)에 관(3)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행되고, 모든 의식이 종료되어 화장을 할 시간이 되면 운반대차(100)는 통상 화장로의 전실(5) 앞의 앞실(6)에 대기하고 있는 중개대차(200)의 위치로 이동된다.
제2단계는 관(3)이 적재된 상부대차(120)를 운반대차(100)로부터 중개대차(200)로 옮겨 싣는 과정이다(도9 참조). 이를 위하여 먼저 운반대차(100)를 중개대차(200)에 일직선상으로 접속시키고, 중개대차(200)에서 손잡이(215)를 분리하고(손잡이가 작업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형성한 경우 분리할 필요 없음), 결속구(114)를 작동하여 운반대차(100)를 중개대차(200)에 고정시킨다(도9A). 다음에 고정구(125)를 풀어 상부대차(120)가 하부대차(110)로부터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대차(120)를 밀어서 중개대차(200)의 대차수용부(210) 안으로 상부대차(120)를 옮긴다(도9B).
제3단계는 중개대차(200)에서 관(3)을 남기고 상부대차(120)를 제거하는 과정이다(도10 참조). 이를 위해 리프트(220)의 관받침바(224)를 회동시켜 상부대차(120)와 관(3) 사이를 가로지르게 밀어 넣음으로써 4개의 관받침바(224)가 관(3)을 균형 있게 받치도록 한다(도10A). 다음에 액추에이터(221)를 작동하여 관(3)을 상부대차(120)로부터 들어 올린다(도10B). 마지막으로 상부대차(120)를 중개대차(200)로부터 당겨서 하부대차(110)로 옮기고 고정구(125)로 고정시켜 둔다(도10C).
제4단계는 중개대차(200)의 관(3)을 로내대차(300)로 옮기는 과정이다(도11 참조). 이를 위해 분리했던 중개대차(200)에 손잡이(215)를 결합하고 전실(5)의 문(5A)까지 이동시킨다(도11A). 다음에 전실문(5A)을 개방하고 결속구(230)를 작동하여 중개대차(200)를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의 프레임(410)에 고정시킨다(도11B). 다음에 제1동력기구(440)와 제2동력기구(450)를 작동하여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의 결합구(430)가 로내대차(300)의 결합구(330)에 걸리도록 한 후에 제1동력기구(440)를 작동시켜 작동플레이트(420)를 중개대차(200) 쪽으로 길게 신장시킴으로써 로내대차(300)를 중개대차(200)의 대차수용부(210) 안으로 밀어 넣는다(도11C). 마지막으로 로내대차(300)의 프레임(310)에 내화벽돌과 같은 다수의 받침대(340)를 받친 후에 리프트(220)를 작동시켜 관(3)을 로내대차(300)의 프레임(310)에 올려놓고 회동식 관받침바(224)를 돌려 관(3)의 아래로부터 빼낸다(도11D).
제5단계는 관(3)이 적재된 로내대차(300)를 노(7) 안으로 이송시키는 과정이다(도12 참조). 제4단계가 종료된 후에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의 제1동력기구(440)를 작동시켜 작동플레이트(420)를 수축시킴으로써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의 프레임(410) 위에 로내대차(300)가 위치되도록 한다(도12A). 다음에 노(7)의 문(7A)을 개방한 후에 다시 작동플레이트(420)를 노(7) 쪽으로 길게 신장시켜 로내대차(300)를 노(7) 안으로 밀어 넣는다(도12B). 다음에 제2동력기구(450)를 작동시켜 작동플레이트(420)를 좌우 이동시킴으로써 결합구(430)를 결합구(330)로부터 이탈시키고 다시 제1동력기구(440)를 작동시켜 작동플레이트(420)를 수축시켜 노(7)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고, 전실문(5A)과 노문(7A)을 닫는다(도12C).
제6단계는 화장 및 유골(4)을 회수하는 과정이다(도13 참조). 제5단계가 종료되면 노(7)를 작동시켜 관(3)을 화장시키고 관(3)과 시신의 연소가 완료되면 노문(7A)을 개방한 다음에 제1동력기구(440)와 제2동력기구(450)를 작동시켜 결합구(430)를 결합구(330)에 결합시킨다(도13A). 이어서 로내대차(300)를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의 프레임(410) 위로 옮긴다(도13B). 마지막으로 유골(4)을 수골실로 보내거나 로내대차(300)를 전실(5)의 앞으로 빼내어 앞실(6)에서 유골(4)을 수습한다(도13C).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장 운구 시스템(1)은, 하부대차(110)와 상부대차(120)를 구비한 운반대차(100), 대차수용부(210)와 리프트(220)를 구비한 중개대차(200), 로내대차(300), 및 선택적인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을 이용함으로써, 영구차(2)로부터 관을 받아 장례식장 또는 고별실을 경유하여 화장로의 노(7)에서 화장하고 유골을 수습하는 일련의 화장장 운구 과정을 매우 효율적으로 실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장 운구 시스템(1)에 의하면, 영구차(2)로부터 관을 받아 화장로의 노(7)에서 화장을 하고 유골을 수습하는 전체의 운구 과정에서 작업자는 무거운 관(3)을 들어 올리거나 옮기는 작업을 거의 행하지 않음으로 매우 쾌적한 환경에서 안전하며 편리하게 운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1인의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화장장에서의 모든 운구 작업을 행할 수 있음으로 허리통증과 같은 직업병과 산업재해를 방지할 수 있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5)

  1. 하부대차(110)와, 관(3)이 적재되고 상기 하부대차(110)에 좌우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올려지는 상부대차(120)를 포함하고, 영구차(2)로부터 관(3)을 인수받아 운반하는 운반대차(100); 상기 운반대차(100)로부터 관(3)이 적재된 상태의 상기 상부대차(120)를 수용하는 대차수용부(210)와, 상기 상부대차(120)로부터 관(3)을 들어 올리고 내리는 리프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운반대차(100)로부터 관(3)이 적재된 상태의 상기 상부대차(120)를 인수받아 운반하는 중개대차(200); 및 상기 중개대차(200)의 상기 대차수용부(21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관(3)이 적재되고, 관(3)이 적재된 상태로 상기 화장로의 노(7) 안에 투입되어 관(3)이 연소되도록 하는 로내대차(3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장 운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220)는, 상기 대차수용부(210)의 양쪽 측면프레임(214)에 각각 설치된 상하 작동의 액추에이터(221), 및 상기 액추에이터(221)에 회동 가능하게 수평으로 장착되어 관(3) 밑으로 돌려 넣고 뺄 수 있는 관받침바(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장 운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내대차(300)를 상기 화장로의 노(7) 안으로 투입하는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장 운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내대차운반수단(400)은, 화장로의 전실(5)에 걸쳐 설치된 프레임(410), 상기 프레임(410)의 좌우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플레이트(420), 상기 작동플레이트(420)에 형성되어 상기 로내대차(300)와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구(430), 상기 작동플레이트(420)의 좌우신축을 조절하는 동력기구(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장 운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플레이트(420)는, 상기 프레임(410)에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421),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1)를 따라 좌우이동 가능한 중간플레이트(422) 및 상기 중간플레이트(422)를 따라 좌우이동 가능하며 상기 결합구(430)가 형성된 탑플레이트(423)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기구(440)는, 모터(441), 상기 모터(441)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21)와 상기 중간플레이트(422) 사이의 제1단 체인(442), 및 상기 중간플레이트(422)와 상기 탑플레이트(423) 사이의 제2단 체인(4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장 운구 시스템.
KR1020010026627A 2001-05-16 2001-05-16 화장장 운구 시스템 KR20020088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627A KR20020088018A (ko) 2001-05-16 2001-05-16 화장장 운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627A KR20020088018A (ko) 2001-05-16 2001-05-16 화장장 운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288U Division KR200243022Y1 (ko) 2001-05-16 2001-05-16 화장장 운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018A true KR20020088018A (ko) 2002-11-25

Family

ID=2770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627A KR20020088018A (ko) 2001-05-16 2001-05-16 화장장 운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80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48Y1 (ko) * 2008-12-04 2011-01-10 세홍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박스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48Y1 (ko) * 2008-12-04 2011-01-10 세홍산업 주식회사 콘센트 박스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3022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
JP2009517169A (ja) 葬儀車
KR20020088018A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
WO1994003139A1 (en) Burial coffin arrangement
EP2045525B1 (en) Mobile cremation systems
KR200252641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로내관투입장치
KR200252639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
KR200252292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운반대차
KR200252293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중개대차
KR200243034Y1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의 로내대차운반장치
KR20030010001A (ko) 화장장 운구 시스템
US3372819A (en) Vehicle for handling burial objects
CN2310934Y (zh) 火化炉运尸台车提升装置
CN213553389U (zh) 全自动遗体转运作业系统
JPS62261814A (ja) 火葬炉の炉内台車移動装置
KR200195174Y1 (ko) 화장로의 시체관 운반용 전동주행대차
JPH08128610A (ja) 炉内棺載台車用転載装置
JPS6030586Y2 (ja) 台車後出火葬装置
JPH0155361B2 (ko)
JP3084360U (ja) 動物火葬車
JP3628352B2 (ja) 火葬設備における火葬台車移送装置
JPH0262774B2 (ko)
KR200320668Y1 (ko) 비상매연방지 및 유골수거를 용이하게 한 화장로
JPH02133526U (ko)
WO2014132981A1 (ja) 火葬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