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842A - 냉장고의 인출용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인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7842A
KR20020087842A KR1020020020585A KR20020020585A KR20020087842A KR 20020087842 A KR20020087842 A KR 20020087842A KR 1020020020585 A KR1020020020585 A KR 1020020020585A KR 20020020585 A KR20020020585 A KR 20020020585A KR 20020087842 A KR20020087842 A KR 20020087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ll
bottom wall
partition wall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5126B1 (ko
Inventor
오카모토다케히사
사에키도모야스
이시카와요시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87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7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3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화된 사용자 요구에 대응하도록 복잡한 구조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식품의 종류나 사용 편리성에 따라 간단하게 용적이나 배열을 바꿀 수 있고,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냉장고의 인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문의 개폐에 수반하여 인출수납되는 하단용기(22)와 이 하단용기 상에 유지된 상단용기(25)로 이루어지고, 상단용기는 바닥벽(28)과 후면벽(32)과 외측면벽(27)과 용기내부를 폭방향으로 구분하는 중간칸막이벽(31)으로 형성된 후면부 용기(26)와 후면부 용기의 전방에 결합되고 바닥벽과 전면벽과 외측면벽과 상기 중간칸막이벽에 결합되는 측면벽으로 이루어진 폭방향의 한쪽에 배치한 전면부 용기(33, 34)에 의해, 하단용기 상에서 전후로 분할되어 있는 동시에 전면부 용기의 바닥벽(35)이 후면부 용기의 바닥벽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인출용기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인출용기{DRAWING CONTAINER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인출용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출용기를 상하 이단 구성으로 하고 상단용기를 좌우로 구분하여 용적을 가변시킬 수 있는 인출용기 구성에 관한 것이다.
근래, 냉장고는 생활의 다양화와 함께 수납량의 대형화 경향에 있고, 그 형태로는 상부에 저장물 수납용적이 가장 큰 냉장실을 설치하고 그 하부에 냉동실 또는 야채실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냉장실은 그 전면개구부에 한쪽을 피봇(pivoting)한 문에 의해 개구를 개폐 자유롭게 폐쇄하고 있고, 냉동실과 야채실은 수납물의 출입 조작의 편리성에서 문의 저장실쪽에 용기를 부착하고 인출식으로 하는 것이 많아졌다.
그리고, 상기 인출용기는 수납용량의 증대와 사용 편리성면의 요구에서 이단용기식으로 이행하는 중인데, 냉장고의 외형사이즈는 국내의 부엌사정 등 설치조건과의 관계에 따라 폭, 안길이, 높이칫수 등이 모두 한계에 가까워졌고, 이것에 의해 저장공간의 확대도 한정된다는 점에서 사용 편리성의 향상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인출용기 구조에서 한정된 수납공간을 상하로 칸막이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하단용기에 배추나 수박 등을 수납하려고 할 때에 상부 용기와 간섭되어 문을 닫을 수 없게 되는 등, 용적이 큰 것이나 키가 큰 저장품은 수납할 수 없고, 또 저장품이 한정되는 것에 의해 수납에 활용할 수 없는 공간, 즉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양화하는 사용자 요구에 대응하도록, 복잡한 구조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식품의 종류나 사용 편리성에 따라 간단하게 용적이나 배열을 바꿀 수 있도록 하여 저장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할 수 있는 냉장고의 인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인출용기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출용기의 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인출용기에서 상단용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단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상단용기에서 전후용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주요부 단면도,
도 8의 (a)와 (b)는 도 7의 결합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의 (a)와 (b)는 본 발명의 상단용기에서 전후용기의 다른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및 주요부 단면도,
도 10의 (a)와 (b)는 도 7과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주요부 단면도,
도 11의 (a)와 (b)는 도 10의 결합 해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주요부 단면도,
도 12의 (a), (b) 및 (c)는 도 7과 다른 실시형태 및 그 해제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주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상단용기에서 전후용기의 결합 상태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상단용기의 조립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상태에서 인출용기 전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서 전면부 용기를 최후단부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상태에서 인출용기 전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도 14에서 전면부 용기를 중앙부의 결합 오목부까지 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19는 전면부 용기를 최후면부까지 이동시킨 때의 식품수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야채실 문 21: 레일
22, 72: 하단용기 25, 75: 상단용기
26, 76: 후면부 용기 27, 77: 측면벽
28, 78: 후면부 용기의 바닥벽 31, 81: 중간칸막이벽
31c: 걸기구멍 33, 34, 84: 전면부 용기
35, 85: 전면부 용기의 바닥벽 37: 보강 리브
41, 91: 걸기부 41a: 손잡이부
41c: 돌기부 44: 볼록부
45: 오목홈 51: 돌출받이부
52: 스토퍼용 볼록부 53: 스토퍼
56: 봉형상 가드 81: 볼록부 리브
89: 결합 오목부 91: 전면부 용기의 측면벽
92: 전면벽 95: 걸기부
97: 외측면벽 98: PET병
99: 맥주병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한 냉장고의 인출용기의 발명은 냉장고 본체의 전면개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폐쇄하는 인출식 문과, 이 문에 고정된 프레임체에 재치되고 문의 개폐에 수반하여 인출수납되는 하단용기와, 이 하단용기상에 유지된 상단용기로 이루어지고, 이 상단용기는 바닥벽과 후면벽과 외측면벽과 용기 내를 폭방향으로 구분하는 중간칸막이벽으로 형성된 후면부 용기와, 후면부 용기의 전방에서 결합되고 바닥벽과 전면벽과 외측면벽과 상기 중간칸막이벽에 결합되는 측면벽으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폭방향의 한쪽에 배치한 전면부 용기에 의해 하단용기 상에서 전후로 분할되어 있는 동시에, 전면부 용기의 바닥벽은 상기 후면부 용기의 바닥벽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인출용기 내부를 상하이단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단용기는 그 폭방향에서 적어도 일부의 안길이칫수를 복수로 변화할 수 있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장실내 공간을 안길이, 폭, 높이 방향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 상단용기는 바닥벽과 후면벽과 외측면벽과 중간칸막이벽으로 형성된 후면부 용기와, 바닥벽과 전면벽과 외측면벽과 상기 중간칸막이벽에 결합되는 하나의 측면벽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폭방향으로 구분배치한 전면부 용기에 의해 하단용기 상에서 전후로 분할되어 있는 동시에, 각 전면부 용기의 바닥벽은 상기 후면부 용기의 바닥벽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상단용기는 전폭에 걸쳐 각 구분마다 안길이칫수를 복수로 바꾸고, 용도에 따라 각 수납 공간을 기능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또 복수의 전면부 용기를 충분한 지지강도로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한 상단용기는 중간칸막이벽에 의해 한쪽에 용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쪽에는 바닥벽과 후면벽과 외측면벽과 중간칸막이벽으로 이루어지는 후면부 용기를 형성하고, 이 후면부 용기의 전방에 결합되는 바닥벽과 전면벽과 외측면벽과 상기 중간칸막이벽에 결합되는 측면벽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용기에 의해 하단용기 상에서 전후로 분할되어 있는 동시에, 전면부 용기의 바닥벽은 상기 후면부 용기의 바닥벽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후면부 용기와 전면부 한쪽의 용기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단용기의 구조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고, 인접하는 한쪽 용기의 측면벽을 중간칸막이부의 결합벽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면부 슬라이딩 용기를 유지고정하면서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후면부 용기의 외측면벽 및 중간칸막이벽의 상부에 전단에서 후면부를 향해 복수의 결합부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전면부 용기의 외측면벽 및 중간칸막이벽쪽의 측면벽상부에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걸기부를 형성하고, 후면부 용기에 대한 전면부 용기의 전후위치를 단계적으로 걸어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용기로서 강도를 크게 할 수 있으며 용기 결합위치의 가변구성을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후면부 용기의 측면벽을 바닥벽에서 전방 하단용기의 전단근방까지 연장하고, 하단용기의 플랜지(flange) 상에 그 상단테두리를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측면벽 하부테두리에는 전면부 용기의 바닥면을 받는 칼라테두리를 전후방향에 걸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인출용기 내부를 상하이단으로 구분하고, 상단용기를 복수용기의 결합 관계로 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성을 가진 슬라이딩 가능한 용기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중간칸막이벽의 상부후단을 후면부 용기의 후면벽상단 테두리부에 연장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중간칸막이벽과 용기 주위테두리와의 접합에 의해 선반면적이 큰 용기형상이어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전면부 용기의 전면벽 높이를 외측면벽보다 낮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용기를 인출한 경우의 전면부 용기 전단과 상부실 문과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레이프 프룻 등 대지름 식품의 상단용기로의 수납이나 취출을 지장없이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서, 전면부·후면부 용기의 좌우양측면벽간의 중간칸막이벽의 전단 상부에 돌기부를 가진 걸기부를 설치하고, 이 걸기부의 회동에 의한 상기 돌기부와 상기 용기에 설치한 복수의 걸기구멍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전면부 용기와 후면부 용기를 소정의 서로 겹치는 위치관계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간단한 구성과 조작에 의해 전면부 용기의 고정 및 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은 상단용기의 좌우 깊이칫수를 달리 하는 것이고, 보다 사용 편리성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문을 일부 개방 또는 전방으로 인출한 냉장고(1)의 사시도이고, 외부 케이스(2)의 안쪽에 도시하지 않은 단열재를 사이에 두고 내부 케이스(3)에 의해 형성한 저장공간을 단열 칸막이벽에 의해 복수의 저장실(5, 6, 7)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5'는 본체의 상부에 배치한 냉장실이고, 힌지장치(10)에 의해 본체 한측면에서 회동 자유롭게 냉장실 문(15)을 피봇하고, 이 문(15)에 의해 그 전면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다.
냉장실(5)의 하부에는 칸막이판(11)을 사이에 두고 야채 등을 수납하는 야채실(6)을 형성하고 있다. 이 야채실(6)은 기본적으로 냉장실(5)과 거의 동등한 온도대이기 때문에, 상기 칸막이판(11)은 단열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단순한 칸막이 작용을 실행하는 투명판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야채실(6)의 아래쪽에는 단열칸막이벽(12)을 사이에 두고 비교적 소용적의 제빙저빙실(8)과 온도전환실(9)을 좌우에 구분배치하고, 그 하부에는 냉동식품을 수납하는 냉동실(7)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야채실(6)은 도 2 및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면개구부를 야채실 문(16)으로 폐쇄하는 동시에, 문(16) 안쪽 저장실 내부 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체(21)를 부착하고, 이 프레임체(21) 상면에 거는 플랜지부(22a)를 주위에 설치한 야채용기(22)를 상기 플랜지부(22a)에 의해 프레임체(21) 상에 재치(載置)하고, 상기 프레임체(21)의 후단에 부착한 도시하지 않은 롤러와 냉장고 내부 측면벽에 설치한 레일부재(23) 및 상기 프레임체(21)와 상기 레일부재(23)의 전방에 설치한 롤러(24)와의 결합에 의한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프레임체(21)와 함께 야채용기(22)를 전후방향으로 인출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인출식의 하단 야채용기(22)의 상기 플랜지부(22a) 상에는 상단용기(25)를 재치하고 있고, 하단용기(22)와 함께 인출 및 야채실(6)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36'은 야채용기의 상면개구를 폐쇄하는 덮개체이고, 야채실(6) 내의 밀폐도를 높게 하여 고습을 유지하고, 야채류의 장기보존을 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상단용기(25)는 도 4,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용기(22)의 안길이의 삼분의 일에서 반분 정도의 안길이칫수를 갖는 바닥벽(28)과, 이 바닥벽(28)에서 전방으로 하단용기(22)의 전단근방까지 연장하고 하단용기(22)의 좌우 플랜지(22a) 상에 그 상단 테두리(29)를 결합하는 동시에, 하부테두리에는 후술하는 좌우의 전면부 용기(33, 34)의 바닥면을 받는 칼라테두리(30)를 전후방향에 걸쳐 형성한 양측면벽(27)과, 이 양측면벽(27)간의 거의 중앙부에 세워 설치한 중간칸막이벽(31)과, 후면벽(32)에서 후면부 용기(26)를 형성하고, 이 후면부 용기(26)와 결합되어서 그 전방에 상기 중간칸막이벽(31)을 경계로 하여 좌우로 구분하여 배치되고, 뒷벽을 제외한 바닥벽과 전면벽과 양측면벽으로 형성된 전면부 용기(33, 3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상단용기(25)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단용기(22) 상부에서 후면부 용기(26)와 전면부 용기(33, 34)로 전후로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좌우의 전면부 용기(33, 34)의 바닥벽(35)은 상기 후면부 용기(26)의 바닥벽(28) 상에 적어도 그 일부가 서로 겹쳐지고, 후면부 용기의 측면벽(27)과 측면벽 하부테두리의 칼라테두리(30) 및 중간칸막이벽(31)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후면부 용기(26)는 전면벽을 가지지 않는 구조이고, 그 바닥벽(28)의 전면부에 좌우의 전면부 용기(33, 34)를 위로 서로 겹치게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용기의 강도를 유지할 필요에서 그 바닥벽(28)의 전단하면에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폭에 걸쳐 보강 리브(37)을 형성하고 있다.
후면부 용기(26) 바닥면의 보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 리브(37)를 형성하는 것 이외에, 후면부 용기 바닥면의 전단 테두리에 전폭에 걸쳐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 'コ'자 형상의 보강판(38)을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후면부 용기(26)의 상기 중간칸막이벽(31)의 전단상부에는 도 7의 (a) 및 도 7의 (b)에서 상세하게 도시되는 걸기부(41)를 설치한다. 걸기부(41)는 2개의 부품의 결합체로 이루어지고, 중간칸막이벽(31)의 전단상부의 볼록부(31a)에 설치한 피봇축(31b)에 피봇한 피봇구멍(41b)에 의해 좌우양측의 손잡이부(41a)를 회동 자유롭게 결합하는 동시에, 양측 손잡이부(41a)를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대향시킨 경우는 손잡이부(41a)에서 각각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41c)가 중간칸막이벽(31)면 및 전면부 용기(33, 34)의 중간칸막이 측면에 돌출설치한 투과구멍(33a)을 통해 중간칸막이벽(31)의 걸기구멍(31c)에 끼워맞춰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이 결합에 의해 전면부 용기(33, 34)와 후면부 용기(26)를 서로 겹치는 위치관계로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면부 용기(33) 또는 전면부 용기(34)를 전후로 이동시킬 때에는 걸기부(41)의 결합을 해제시키는데, 이러한 경우는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부(41a)를 윗쪽으로 회동시키면, 돌기부(41c)와 중간칸막이벽(31)의 걸기구멍(31c) 및 투과구멍(33a)과의 결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전면부 용기(33, 34)의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전면부 용기(33, 34)에서 상기 투과구멍(33a)을 중간칸막이벽(31)의 상단 전후에 복수개 설치하면, 예를 들어 3군데 형성해 두면, 상단용기(25)의 안길이 칫수를 3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게 되고, 전면부 용기(33, 34)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안길이 칫수를 가장 길게 한 경우는 하단용기(22)와 상하이단의 용기관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면부 용기(33) 또는 전면부 용기(34)를 안쪽으로 눌러넣어 후면부 용기(26)와 거의 서로 겹치고 최단 안길이 칫수로 한 경우는 상단의 전면부 용기 전면의 공간을 하단용기(22)에 높이공간 칫수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 전면부 용기(33, 34)와 후면부 용기(26)와의 결합은 상기 걸기부(41)에 의한 결합 뿐만아니라, 도 9의 (a) 및 그 주요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부 용기(33, 34)의 바닥면에 설치한 볼록부(33b)와 후면부 용기(26)의 바닥면에 설치한 오목부 또는 투과구멍(26b)과의 결합도 실행되어져 후면부 용기(26)에 대한 전면부 용기(33, 34)의 이동방지 스토퍼 작용과 함께 저장품의 수납취출시의 용기의 안정고정을 꾀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41)를 회동하여 들어올리면, 돌기부(41c)와 걸기구멍(31c) 및 투과구멍(33a)과의 끼워맞춤이 해제되고, 또 상기 전면부 용기(33 또는 34)와 후면부 용기(26)의 바닥면을 구부려서 용기 바닥면간의요철 결합이 풀어져 전후용기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고, 해제시킨 상태에서 전면부 좌우용기(33, 34)의 어느 하나, 또는 쌍방을 전후에 슬라이딩시켜서 새로운 용기 공간 및 배열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또, 걸기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기부(42)의 단면을 거의 'ワ'자 형상으로 하여 양하단 테두리를 걸기부(42c)로 하고, 상면에 손잡이부(42a)를 설치하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부(42a)를 잡아 양하단의 걸기부(42c)를 바깥쪽으로 확대개방시켜, 중간칸막이벽(31)의 걸기구멍(31c)과 전면부 용기(33, 34) 측면벽의 투과구멍(33a)과의 결합이 벗겨지도록 해도 좋다.
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기부(43)를 진자부로 형성하고, 통상 상태에서는 진자(43a)의 양단 돌기부(43c)로 전면부 좌우용기(33, 34)의 걸기구멍(33a)과 결합시켜서 고정하고, 결합의 해제는 진자(43a)를 어느 한 곳으로 흔들어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전면부 용기의 전후위치 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은 걸기부(41~43)를 사용하지 않아도,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면부 용기(26)의 측면벽에 형성한 상하방향의 복수의 볼록부(44)와, 전면부 용기(33, 34)의 측면벽에 형성한 복수의 오목홈(45)과의 결합 관계에 의해 후면부 용기(26)에 대한 전면부 용기(33, 34)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상단용기(25)에서 중간칸막이벽(31)은 양측면벽(27)간의 거의 중앙부에 세워 설치하고, 전면부 용기(33, 34)는 좌우 모두 같은 폭칫수로 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칸막이벽(31)을 폭칫수의 한쪽으로 편향시켜 전면부 용기(33, 34)의 폭칫수를 좌우에서 다르게 해도 좋다.
또 전면부 용기는 좌우 이분할이 아니라, 중간칸막이벽을 복수 설치하여 삼분할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면부 용기(33, 34)는 후면부 용기(26)에서 측면벽(27) 및 측면벽하단의 칼라테두리(30)와 바닥면(28)의 테두리부와 중간칸막이벽(31) 전단의 걸기부(41)와의 결합에 의해 필요에 따라 좌우 개개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냉장고 인출용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고, 하단용기(22)는 그 상면개구부 주위테두리의 양쪽에 설치한 플랜지부(22a)에 의해 문의 프레임체(21) 상에 재치되는 동시에, 프레임체(21)와 냉장고내 측면벽의 레일부재(23)와 이러한 각각에 설치한 롤러(24)에 의해 전후인출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 하단용기(22)의 상기 플랜지 상에 상단용기(25)에 후면부 용기(26)의 주위 테두리 플랜지(29)를 재치하여 유지하고 있다.
후면부 용기(26)의 전방에서는 후면부 용기의 바닥벽(28) 전면부와 좌우 연장된 양측면벽(27)의 상부 및 하부 칼라테두리(30)와 중간칸막이벽(31)에 설치한 걸기부(41)에 의해, 좌우 전면부 용기(33, 34)의 후면부 바닥벽(35) 및 하나의 측면벽의 바닥면, 또 전면상부의 한쪽과 다른쪽의 후면상부를 각각에 결합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단용기(25)는 하단용기(22)와는 별개로 안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고, 하단용기(22)의 후단에서 후면부에까지 눌러넣은 경우는 상단용기(25)의 후면부 용기(26)의 측면후면부에 설치한 돌출받이부(51)가 저장실측면벽의 레일부(23)에 결합되어 상단용기(25)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단용기(25)가 소정량 이상 안방향으로 눌러넣어진 경우는 상단의 후면부 용기(26)의 측면 플랜지부에 형성한 스토퍼용 돌기부(52)가 하단용기(22)의 후면부 윗쪽에 설치한 스토퍼(53)에 고정하여 그 이상의 상단용기(25)의 안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 상단의 전면부 용기(33 또는 34)를 최대길이까지 전방으로 인출하여 고정한 경우는 하단용기(22)의 전면부의 PET병 등의 수납 공간을 없애 상하 이단용기 구성이 되고, 전면부 용기(33, 34)를 가장 안쪽까지 압입한 경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용기(22)의 전방상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키가 큰 PET병 등을 다수 재치할 수 있다.
또, 좌우로 전면부 용기(33, 34)의 전면부 위치를 바꾸면, 또 다른 식품의 수납에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리성 효율이 현격하게 향상된다.
이 때, 도 2 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용기(22)의 전면부 코너부에 다른 부재의 작은 용기(55)나 봉형상의 가드부재(56) 등을 설치해 두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부 용기(33, 34)를 가장 안쪽까지 압입한 경우에 작은 용기의 후면부에 PET병 등 키가 큰 저장품을 재치해도, 작은 용기(55)와 전면부 용기의 전단이 가드가 되어 인출문(16)의 개폐에 의한 진동으로 저장품의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면부 용기(33, 34)는 좌우용기 모두 전후 슬라이딩이 가능한 구성으로 했지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용기(75)를 중간칸막이벽(81)에 의해 좌우로 구분하고, 한쪽에는 통상의 고정용기부(83)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쪽에는 바닥벽(78)과 후면벽(82)과 외측면벽(77)과 중간칸막이벽(81)으로 이루어지는 후면부 용기(76)를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이 후면부 용기(76)의 전방위치에는 바닥벽(85)과 전면벽(92)과 외측면벽(97)과 상기 중간칸막이벽(81)에 결합되는 측면벽(91)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용기(84)를 결합하고, 하단용기(72) 상에서 전후로 분할하는 동시에 전면부 용기(84)의 바닥벽(85)을 상기 후면부 용기(76)의 바닥벽(78) 상에 설치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중간칸막이벽(81)의 상부 후단에서는 후면부 용기(84)의 후면벽 상단 테두리부에까지 연속하는 볼록 리브(88)가 연장되어 있고, 이 볼록 리브(88)에 의해 단차를 가진 중간칸막이벽(81)과 용기(84) 주위 테두리와의 접합에 의해 선반면적이 큰 용기형상이어도 비틀림이나 구부러짐 등의 응력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얻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후면부 용기(76)의 중간칸막이벽(81) 및 외측면벽(77)의 상부에는 전단부터 후방을 향해 3부분의 결합 오목부(89)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전면부 용기(84)의 외측면벽(97) 및 중간칸막이벽쪽의 측면벽(91) 상부에는 상기 결합 오목부(89)에 결합하는 걸기부(95)를 형성하여 후면부 용기(76)에 대한 전면부용기(84)의 전후 고정위치를 단계적으로 걸도록 하고 있다.
도 14는 후면부 용기(76)의 최전단의 결합 오목부(89)에 전면부 용기(84)의 걸기부(95)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전면부 용기의 위치는 최전단이 되어 상단용기로서의 수납용적은 최대가 된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상태에서 인출용기 전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상단용기(75)에서 전면부 용기(84)의 전단과 하단용기(72)의 전면벽과의 간격에 2L의 PET병(98)이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 도 16은 후면부 용기(76)의 최후단의 결합 오목부(89)에 전면부 용기(84)의 걸기부(95)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전면부 용기(84)의 위치는 최후단이 되어 상단용기(75)로서의 수납용적은 최소가 된다.
이 때, 인출용기 전체는 도 17에 나타낸 상태가 되어 상단용기(75)에서 전면부 용기(84)의 전단과 하단용기(72)의 전면벽과의 간격에는 2L의 PET병(98)이 전후로 2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 오목부(89)는 후면부 용기(76)의 중간칸막이벽(81) 및 외측면벽(77)의 상부에 형성한 것이고, 용기(76)와 일체 성형으로 설치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한 동시에, 결합부(89)가 요철 형상이기 때문에 용기로서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결합 오목부(89)의 전후 피치는 120㎜로 한 것인데, 중앙부에 형성한 결합 오목부(89)까지의 전면부에서의 피치를 70㎜로 하여 이것에 걸기부(95)를 결합하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용기(75)의 수납용적은 그 만큼확대하여 하단용기(72)와의 전면부 공간에는 대지름의 PET병 2개는 수납할 수 없지만, 맥주병(99) 등, 보다 소지름의 병종류의 설치장소로서 유효하다.
또, 전면부 용기(84)에서 전면벽(92)의 높이칫수는 전면부 용기(76) 등의 주위 벽에 비교하여 수10㎜정도 낮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부 용기(84)를 최후면부의 결합오목부(89)까지 압입하여 설치한 경우를 고려한 것이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벽에 가까운 높이라면, 인출용기 전체를 최대길이 인출한 경우에도 그 상부실 문(15)과의 간격(A)이 작기 때문에, 그레이프 프룻 등 대지름 식품의 상단용기(75)로의 수납이 곤란했지만, 전면벽 높이를 낮게 하면 상부 문(15)과의 간격은 B칫수가 되어 수납식품의 재치에는 특별히 지장이 없는 동시에, 대지름 식품의 수납이나 취출도 지장없이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용기의 용적가변 정도나 배열 변경의 범위는 감소하지만, 후면부 용기(76)와 전면부 한쪽의 용기(83)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단용기(75)의 구조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고, 인접하는 한쪽 용기(83)의 측면벽을 중간칸막이부의 결합벽(81)으로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한 전면부 용기(75)를 유지고정하면서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면부 및 후면부 용기의 깊이칫수에 대해서도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용기 깊이를 달리 하여 용량가변의 허용정도를 크게 하도록 했는데,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동일 깊이라도 좋고, 이러한 상하단 용기의 사용부분에 대해서도 실시형태와 같이 야채실에 한정하지 않고, 하부 냉동실 등의 인출식 용기구성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인출용기 내부를 상하이단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단용기는 그 폭방향에서 적어도 일부의 안길이 칫수를 복수로 변화할 수 있는 점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장실 내부 공간을 안길이, 폭, 높이 방향에 걸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단용기는 전체폭에 걸쳐 각 구분마다 안길이 칫수를 복수로 바꾸고, 용도에 따라 각 수납공간을 기능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고, 복수의 전면부 용기를 충분한 지지강도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후면부 용기와 전면부 한쪽의 용기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상단용기의 구조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고, 인접하는 한쪽 용기의 측면벽을 중간칸막이부의 결합벽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전면부 슬라이딩 용기를 유지고정하면서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 강도를 크게 할 수 있고 용기 결합 위치의 가변구성을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인출용기 내부를 상하이단으로 구분하고, 상단용기를 3개의 용기 이상의 결합 관계로 함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성을 가진 슬라이딩 가능한 용기구조로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중간칸막이벽과 용기 주위테두리와의 리브접합에 의해 선반면적이 큰 용기 형상이어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를 인출한 경우의 전면부 용기 전단과 상부실 문과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레이프 프룻 등 대지름 식품의 상단용기로의 수납이나 취출을 지장없이 실행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과 조작에 의해 전면부 용기의 고정 및 해제를 실행할 수 있고,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보다 사용 편리성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9)

  1. 냉장고 본체의 전면개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폐쇄하는 인출식 문과, 상기 문에 고정된 프레임체에 재치되고 문의 개폐에 수반하여 인출수납되는 하단용기와, 상기 하단용기 상에 유지된 상단용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용기는 바닥벽과 후면벽과 외측면벽과 용기 내부를 폭방향으로 구분하는 중간칸막이벽으로 형성된 후면부 용기와, 후면부 용기의 전방에 결합되는 바닥벽과 전면벽과 외측면벽과 상기 중간칸막이벽에 결합되는 측면벽으로 이루어지고 폭방향의 한쪽에서 배치되는 전면부 용기에 의해 하단용기 상에서 전후로 분할되어 있는 동시에, 전면부 용기의 바닥벽은 상기 후면부 용기의 바닥벽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인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용기는 바닥벽과 후면벽과 외측면벽과 중간칸막이벽으로 형성된 후면부 용기와, 바닥벽과 전면벽과 외측면벽과 상기 중간칸막이벽에 결합되는 하나의 측면벽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폭방향으로 구분배치한 전면부 용기에 의해, 하단용기 상에서 전후로 분할되어 있는 동시에 각 전면부 용기의 바닥벽은 상기 후면부 용기의 바닥벽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인출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용기는 중간칸막이벽에 의해 한쪽에 용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른쪽에는 바닥벽과 후면벽과 외측면벽과 중간칸막이벽으로 이루어지는 후면부 용기를 형성하고, 상기 후면부 용기의 전방에 결합되고 바닥벽과 전면벽과 외측면벽과 상기 중간칸막이벽에 결합되는 측면벽으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용기에 의해 하단용기 상에서 전후로 분할되어 있는 동시에 전면부 용기의 바닥벽은 상기 후면부 용기의 바닥벽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인출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후면부 용기의 외측면벽 및 중간칸막이벽의 상부에 전단에서 후면부를 향해 복수의 결합부를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전면부 용기의 외측면벽 및 중간칸막이벽쪽의 측면벽상부에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걸기부를 형성하여 후면부 용기에 대한 전면부 용기의 전후위치를 단계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인출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면부 용기의 측면벽을 바닥벽에서 전방의 하단용기의 전단근방까지 연장하고, 하단용기의 플랜지 상에 그 상단테두리를 결합하는 동시에, 상기 측면벽 하부테두리에는 전면부 용기의 바닥면을 받는 칼라테두리를 전후방향에 걸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인출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칸막이벽의 상부후단을 후면부 용기의 후면벽 상단 테두리부에 연장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인출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면부 용기의 전면벽 높이를 외측면벽보다 낮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인출용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전면부·후면부 용기의 좌우양측면벽간의 중간칸막이벽의 전단 상부에 돌기부를 가진 걸기부를 설치하고, 상기 걸기부의 회동에 의한 상기 돌기부와 전면부 용기에 설치한 복수의 걸기구멍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전면부 용기와 후면부 용기를 서로 겹치는 위치관계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인출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단용기의 좌우 깊이칫수를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인출용기.
KR10-2002-0020585A 2001-05-16 2002-04-16 냉장고의 인출용기 KR100435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47077 2001-05-16
JPJP-P-2001-00147077 2001-05-16
JP2001220726A JP3895136B2 (ja) 2001-05-16 2001-07-19 冷蔵庫の引出し容器
JPJP-P-2001-00220726 2001-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7842A true KR20020087842A (ko) 2002-11-23
KR100435126B1 KR100435126B1 (ko) 2004-06-09

Family

ID=2661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585A KR100435126B1 (ko) 2001-05-16 2002-04-16 냉장고의 인출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95136B2 (ko)
KR (1) KR100435126B1 (ko)
CN (1) CN1184449C (ko)
TW (1) TW55238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7970A1 (en) * 2018-06-22 2020-01-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elev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2558B2 (ja) * 2003-09-10 2009-05-1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975301B (zh) * 2005-11-28 2010-12-29 海尔集团公司 局部具有滑动搁物板的冰箱用搁物架
KR101369424B1 (ko) 2006-10-30 2014-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어셈블리
US8220285B2 (en) * 2006-10-24 2012-07-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2008256349A (ja) * 2007-03-15 200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WO2009101803A1 (ja) * 2008-02-12 2009-08-20 Panasonic Corporation 冷蔵庫
JP5172407B2 (ja) * 2008-03-18 2013-03-2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
JP5089496B2 (ja) * 2008-06-12 2012-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
JP5481311B2 (ja) * 2010-08-06 2014-04-2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2954658B (zh) * 2011-08-27 2016-09-14 博西华家用电器有限公司 冰箱的双层抽屉及其冰箱
CN103673486B (zh) * 2012-08-31 2019-01-18 海尔集团公司 一种多向滑动的冰箱抽屉
JP6072633B2 (ja) * 2013-07-22 2017-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JP6220721B2 (ja) * 2014-04-17 2017-10-25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6165669B2 (ja) * 2014-04-17 2017-07-1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6768971B2 (ja) * 2017-08-30 2020-10-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N112082301B (zh) * 2019-06-12 2023-09-1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以冰箱的储藏容器及冰箱
CN111361485B (zh) * 2020-03-18 2021-03-30 绍兴市侨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车载冰箱
JP2021188791A (ja) * 2020-05-27 2021-12-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用容器および冷蔵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7970A1 (en) * 2018-06-22 2020-01-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elev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US10921052B2 (en) 2018-06-22 2021-02-1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elev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US11287178B2 (en) 2018-06-22 2022-03-2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elev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US11668517B2 (en) 2018-06-22 2023-06-06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elevation device for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85663A (zh) 2002-12-18
TW552388B (en) 2003-09-11
JP3895136B2 (ja) 2007-03-22
JP2003035490A (ja) 2003-02-07
CN1184449C (zh) 2005-01-12
KR100435126B1 (ko) 200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5126B1 (ko) 냉장고의 인출용기
US7766437B2 (en) Refrigerator
US8220285B2 (en) Refrigerator
EP2314965A1 (en) Refrigerator with split type shelves
US6799818B2 (en) Tiltable storage module for refrigerator
EP3152502B1 (en) Refrigerator
EP2369271A2 (en) Insulation front of ice storage compartment
KR20140134865A (ko) 냉장고
US10634420B2 (en) Liner supported shelf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20020012443A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설치구조
KR101342175B1 (ko) 냉장고 선반
JP2005069533A (ja) 冷蔵庫
KR100513681B1 (ko) 냉장고
JP2003279240A (ja) 冷蔵庫
US20090009044A1 (en) Refrigerator
JP2005282897A (ja) 冷蔵庫
EP2588820B1 (en) Refrigerator
KR200180225Y1 (ko) 냉장고용 와인병홀더
US10465972B2 (en) Container and refrigerator
KR0117761Y1 (ko) 냉장고의 도아선반
KR200281032Y1 (ko) 냉장고의도어바스켓가변구조
KR200165779Y1 (ko) 냉장고용 가드의 조립구조
KR100727668B1 (ko) 냉장고용 선반지지대
KR0126126Y1 (ko) 냉장고의 가변선반
KR20140051601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