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5138A -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5138A
KR20020085138A KR1020010024439A KR20010024439A KR20020085138A KR 20020085138 A KR20020085138 A KR 20020085138A KR 1020010024439 A KR1020010024439 A KR 1020010024439A KR 20010024439 A KR20010024439 A KR 20010024439A KR 20020085138 A KR20020085138 A KR 20020085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ilver
acid
silver colloida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5983B1 (ko
Inventor
송동혁
홍종언
서경희
김수진
김중수
장이섭
강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1-002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5983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5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59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보존시에도 응집, 산화 및 변색으로부터 안정도가 우수하고 항균력이 뛰어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은 콜로이드 용액을 질소함유 고분자와 금속 킬레이트제를 복합처리하여 안정화시키는 방법, 상기의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들로부터 화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파라벤, 이미다졸리닐 우레아, 페녹시에탄올 등의 화학방부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방부제들은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한층 안전성이 높은 방부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고조되어 천연으로부터 유래한 안정한 항균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은 통상적인 은 콜로이드의 변색 및 침전형성이 발현되지 않는 우수한 안정도를 보였으므로 항균력이 뛰어난 방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화장료에 배합하면, 인체에 독성이 있고 피부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화학방부제 없이도 화장료의 장기 보관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The stabilized silver colloid composition, the preparing method of the stabilized silver colloid composition, and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aforementioned composition}
본 발명은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장기간 보존시에도 응집, 산화 및 변색으로부터 안정도가 우수하고 항균력이 뛰어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은 콜로이드 용액을 질소함유 고분자와 금속 킬레이트제를 복합처리하여 안정화시키는 방법, 상기의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수분, 오일이나 왁스로 대표되는 탄화수소, 계면활성제, 보습성분, 고분자, 색소 및 안료로 구성된다. 이러한 화장품 원료들은 박테리아, 곰팡이 등 미생물의 영양소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미생물 오염의 원인이 된다. 이에 박테리아나 곰팡이들로부터 화장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파라벤, 이미다졸리닐 우레아, 페녹시에탄올 등의 화학방부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방부제들은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한층 안전성이 높은 방부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고조되어 천연으로부터 유래한 안정한 항균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수은, 은, 구리, 카드뮴, 크롬, 니켈, 납, 코발트, 아연 등의 금속원소들이 잘게 분쇄된 미립자들의 항균특성은 고대로부터 잘 알려져 왔으며 1894년에는 나젤리(Nageli)와 크리스티안(Christian)의 문헌 'Denkschr. Schweiz. Naturforsch Ges.'에 의해 그 특성이 증명되었다. 그러나 금속분말의 효용에 대한 오래된 역사에도 불구하고 은을 제외한 대다수의 금속들은 중금속이기 때문에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화장품에는 적용할 수 없었다. 은의 경우, 인체에 무해하고 미립자로 만들 경우 항균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은의 항균력을 화장품의 장기 보존에 응용하기 위한 많은 노력들이 있어 왔다.
은의 항균력 정도는 은의 표면적에 의존한다. 이에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은을 미립자로 잘게 부순 형태를 선호해 왔다. 은을 미립자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이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한 가지 방법은, 은을 용액 중에서 전기적으로 분해하거나 은의 일가 이온을 용액 중에 녹인 후 화학적으로 환원하여 입자 크기가 지극히 작은 은 콜로이드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다른 방법은, 은을 비 표면적이 넓은 실리카나 제올라이트에 흡착, 고정화시키는 방법이다.
상기에 언급된 분해 또는 환원에 의하여 미립자 은을 제조하는 방법의 대표적인 사례는 미국특허 제5,932,251호에 나타난 항균 화장료의 제조방법이다. 동 특허는 은을 전기 분해하여 은 콜로이드를 제조하고 이것을 화장료에 포함시키면 우수한 항균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적용한 은 콜로이드는 장시간 보존시 미립자들이 자체적으로 응집하거나 용기의 표면에 흡착하게 되어 변색이 일어나고 항균력이 떨어지게 되어 바람직한 항균효과를 얻을 수 없다.
미립자 은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은을 실리카에 흡착시켜 고정화시키는 방법의 대표적인 사례는 미국특허 제6,030,627호에 의해 공지되었다. 동 특허에 의한 방법으로 은이 실리카에 고정되는 경우, 은 콜로이드 상태보다 표면적이 떨어지게 되어 다량의 은사용이 불가피하게 된다. 그러나 다량의 은을 실리카에 고정시키게 되면 그에 따른 비용증가로 인하여 대량생산 및 사용이 어려워진다. 더욱이, 상기 특허에 의하면 순수한 은이 아닌 은의 산화물이 이용되게 되는데, 은의 산화물은 색상이 검정색을 나타내므로 화장품 제형에 적용시 색상이 칙칙해지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집 및 변색으로부터의 안정도를 개선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및 은 콜로이드를 용액 중에서 안정화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를 화장료에 적정량 배합하여 독성, 피부 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은, 은 금속을 물에 분산시킨 형태의 은 콜로이드 용액이 전체 조성물 중에 0.0001중량% 내지 5중량%,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 성분이 0.01중량% 내지 10중량%, 금속 킬레이트제가 0.001중량% 내지 50중량%, 및 정제수가 나머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은 금속을 물에 분산시킨 형태인 은 콜로이드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a); 상기의 단계(a)에서 준비된 은 콜로이드 용액을 정제수에 적가하며 교반하는 단계(b); 상기의 단계(b)에서 만들어진 용액에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c); 및 상기의 단계(c)에서 만들어진 용액에 금속 킬레이트제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를 화장료 총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 내지 8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금속 킬레이트제를 은 콜로이드를 함유한 용액에 투입할 경우 금속 킬레이트제가 은 콜로이드 표면에 흡착되어 은 콜로이드의 응집을 억제할 수 있다. 금속 킬레이트제와 은 콜로이드 안정화 정도의 관계를 관찰한 결과 킬레이트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은 콜로이드의 안정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금속 킬레이트제는 피부에 과량 도포시 자극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금속 킬레이트제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질소를 함유하는 수용성 고분자를 금속 킬레이트제와 함께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질소를 함유하는 수용성 고분자를 금속 킬레이트제와 혼용한 결과 상승효과가 발현되어 최소량의 금속 킬레이트제를 사용하여 장기보관이 가능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였는데, 이러한 고분자의 상승작용은 은 입자의 핵 형성을 억제하는 고분자 사슬에 의한 입체장애 효과에 기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성분 (가)~(라)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 은 콜로이드 용액0.0001~5중량%
(나) 금속 킬레이트제0.001~50중량%
(다) 질소 함유 수용성 고분자 성분0.01~10중량%
(라) 정제수나머지
본 발명에서 (가)성분인, 은 콜로이드 용액은 평균 입자의 크기가 5nm이하인 은 금속 콜로이드 용액이다. 은 금속 입자의 크기 한정은 은 콜로이드 용액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항균력이 은 입자의 크기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은 금속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항균력이 우수하다. 따라서 은 입자의 크기가 5nm를 초과한 은콜로이드 용액의 항균력은 그다지 우수하지 못하므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또는 방부제의 제조등 그 적용에 있어서 기능을 나타내기 어렵다.
은 콜로이드 용액은 주로 물에 분산된 형태로 존재하며 제조방법으로 전기분해법과 환원법등이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고순도의 은을 전기적으로 분해하는 방법은, 증류수내에 은 봉 두 개를 각각 배치한 뒤, 한쪽 봉에 전류의 양극을 연결하고, 다른 봉에는 음극을 연결하여 전류를 통과하게 하여 5nm이하의 은 입자가 용해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화학적 환원법은, 증류수내에 질산은을 용해시킨 후 히드라진이나 수소화붕소 나트륨염등 환원제를 첨가하여 용액중의 은이온을 환원하여 5nm이하의 은 입자를 얻는 방법이다.
(나)성분으로서는, 화장품 및 식품에서 범용으로 사용되는 금속 킬레이트제가 해당된다. 금속에 대한 친화도가 높아 금속표면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하고 인체에 독성이 없는 친수성분자로, 대표적으로 이디티에이(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시트릭산(citric acid), 베타-알라닌디아세틱산(beta-alanine diacetic acid),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디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disodium pyrophosphate), 에티드로닉산(etidronic acid), 갈락타릭산(galactaric acid), 펜타소디움펜테이트(pentasodium pentate), 글루코닉산(gluconic acid)등이 있다.
(다)성분인,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키틴, 키토산 등의 글루코스아민 유도체, 젤라틴, 콜라겐 등의 단백질 성분,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아크릴계의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라)성분으로 정제수를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은 은 콜로이드 용액이 전체 조성물 중에 0.0001중량% 내지 5중량%,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 성분이 0.01중량% 내지 10중량%, 금속 킬레이트제가 0.001중량% 내지 50중량%, 및 정제수가 나머지로 그 함량이 명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함량 한정은 은 콜로이드 용액의 안정도가 농도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같은 입자 크기라고 하더라도 농도가 높으면 쉽게 변색, 침전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명시한 농도를 초과하면 금속 킬레이트제나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의 필요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금속 킬레이트제나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의 가능한 배합량은 한정이 되어있다. 금속 킬레이트는 주어진 농도를 초과할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하여 화장품에 적용하기에 적당하지 않으며,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는 명시된 함량이상으로 물에 용해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각 성분의 양이 지정된 함량에 미달될 경우에는 충분한 항균력이 발현되기 어려워 본 발명의 주 목적중 하나인 기존의 화학방부제를 사용치 않는 무방부 화장료 조성물 제형을 이룰 수 없다.
상기의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를 화장품에 적용할 경우 여타 화학보존제 없이도, 미생물에 의한 오염이 억제되어,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의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함유하는데 그 사용량은 화장료의 제형에 따라 적당량으로 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80중량%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유액, 크림, 구강제품, 클렌징 화장료 등과 같은 제형에 전부 응용될 수 있다. 한편 각 제형의 화장료에 있어서, 상기의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임의로 산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제조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발명효과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와 제조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모든 양은 중량부로 나타낸다.
<실시예 1: 은 콜로이드의 안정화>
[제조공정]: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1kg제조 공정
(1) 질산은 9.04g을 이온수 1kg에 용해한 후 교반하면서 NaBHO350g을 투입하여 1시간 동안 질산은을 환원한다. 이 용액을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켜 붕소 및 나트륨이온을 제거하여 하기 성분 1에 해당하는 평균입경이 3nm인 은 콜로이드 5중량% 용액을 제조한다.
(2) 이온수에 성분 1을 교반하며 적가한다.
(3) 성분 3을 상기 공정(2)에 가하고 고속혼합기에서 1시간동안 완전히 용해시킨다.
(4) 상기 공정(3)에 성분 2를 가하고 5분간 용해시킨다.
[시험 1: 안정도 시험]
실시예 1에 대하여 변색 및 침전물 형성에 대한 안정도 평가는 각 시료를 50g 씩 취하여 45℃로 고정된 항온조 속에 보관하여 외관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다. 안정도는 외관상의 변화가 나타나는 데 소요되는 기간으로 산출하였다.
<비교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였으나, 조성물 중에 금속 킬레이트제 및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로서의 젤라틴을 넣지 않거나(비교예 1),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로서의 젤라틴만을 넣거나(비교예 2), 금속 킬레이트제만을 넣어(비교예 3) 시료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3의 전체 조성물 배합비율은 하기의 표 1에 나타냈다.
안정도 시험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3의 결과는 하기의 표 2에 나타냈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비교예 1~3의 안정도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 은 콜로이드를 안정화한 경우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변색 및 침전형성이 발현되지 않아 월등히 우수한 안정도를 보였다.
<제조예 1~3, 비교제조예 1~2: 유연화장수(스킨로션류)>
유연화장수(스킨로션류) 제조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3.0중량부(제조예 1), 6.0중량부(제조예 2), 9.0중량부(제조예 3)를 넣어서 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고,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넣지 않거나(비교제조예 1),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대신에 통상의 화학방부제인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넣어(비교제조예 2) 비교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유연화장수 전체 조성물의 배합비율은 하기의 표 3에 나타냈다.
[시험 2: 방부력 시험]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2의 화장료20~30g에 에스체리치아 콜리(Escherichia coli ; ATCC 8739),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lyococcus aureus ; ATCC 6538), 세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 ATCC 99027)등의 혼합균액을 시료당 초기농도 106cfu(집락형성단위, colony forming unit)/g 되도록 첨가 혼합하였다. 이들을 30~32℃ 항온조에서 4주간 배양하면서 1, 7, 14, 21, 28일의 간격으로 각 화장료를 1g씩 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냈다.
곰팡이의 경우에는 페니실리움 씨트리눔(Penicillium citrinum ; ATCC 9849),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 ATCC 16404)의 혼합균액을 시료당 초기농도 106cfu/g 되도록 첨가 혼합한 후 25℃ 항온조에서 배양하면서 7일 간격으로 변취유무와 시료표면의 균사 및 포자발생 유무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제조예 4~6, 비교제조예 3~4: 영양화장수(로션류)>
영양화장수(로션류) 제조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3.0중량부(제조예 4), 6.0중량부(제조예 5), 9.0중량부(제조예 6)를 넣어서 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고,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넣지 않거나(비교제조예 3),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대신에 통상의 화학방부제인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넣어(비교제조예 4) 비교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영양화장수 전체 조성물의 배합비율은 하기의 표 5에 나타냈다.
[시험 3: 방부력 시험]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 2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6에 나타냈다.
*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제조예 7~9, 비교제조예 5~6: 크림류>
크림류 제조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4.0중량부(제조예 7), 9.0중량부(제조예 8), 12.0중량부(제조예 9)를 넣어서 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고,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넣지 않거나(비교제조예 5),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대신에 통상의 화학방부제인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넣어(비교제조예 6) 비교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크림류 전체 조성물의 배합비율은 하기의 표 7에 나타냈다.
[시험 4: 방부력 시험]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 2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8에 나타냈다.
*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제조예 10~12, 비교제조예 7~8: 팩류>
팩류 제조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3.0중량부(제조예 10), 6.0중량부(제조예 11), 9.0중량부(제조예 12)를 넣어서 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고,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넣지 않거나(비교제조예 7),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대신에 통상의 화학방부제인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넣어(비교제조예 8) 비교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팩류 전체 조성물의 배합비율은 하기의 표 9에 나타냈다.
[시험 5: 방부력 시험]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 2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0에 나타냈다.
*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제조예 13~15, 비교제조예 9~10 : 선스크림류>
선스크림류 제조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3.0중량부(제조예 13), 6.0중량부(제조예 14), 9.0중량부(제조예 15)를 넣어서 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고,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넣지 않거나(비교제조예 9),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대신에 통상의 화학방부제인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넣어(비교제조예 10) 비교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선스크림류 전체 조성물의 배합비율은 하기의 표 11에 나타냈다.
[시험 6 : 방부력 시험]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 2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2에 나타냈다.
*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제조예 16~18, 비교제조예 11~12 : 화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류>
화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류 제조시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3.0중량부(제조예 16), 6.0중량부(제조예 17), 9.0중량부(제조예 18)를 넣어서 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고,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넣지 않거나(비교제조예 11),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대신에 통상의 화학방부제인 파라벤,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를 넣어(비교제조예 12) 비교제조예의 시료를 준비하였다. 화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류 전체 조성물의 배합비율은 하기의 표 13에 나타냈다.
[시험 7 : 방부력 시험]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 2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14에 나타냈다.
*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별도의 방부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제조예 1, 3, 5, 7, 9, 11의 방부력은 불량한 반면,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함유한 제조예들의 방부력은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제조예의 경우 파라벤과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와 같은 화학 방부제를 함유한 비교제조예 2, 4, 6, 8, 10, 12와 비교하여 유사하거나 더 우수한 방부 효과를 보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은 통상적인 은 콜로이드의 변색 및 침전형성이 발현되지 않는 우수한 안정도를 보였으므로 항균력이 뛰어난 방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화장료에 배합하면, 인체에 독성이 있고 피부자극, 알러지 등을 유발하는 화학방부제 없이도 화장료의 장기 보관이 가능해 진다.

Claims (10)

  1. 은 금속을 물에 분산시킨 형태의 은 콜로이드 용액 0.0001중량% 내지 5중량%;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 0.01중량% 내지 10중량%;
    금속 킬레이트제 0.001중량% 내지 50중량%; 및
    조성물의 나머지 함량의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은 입자는 평균 입자 크기가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는, 키틴, 키토산, 젤라틴, 콜라겐, 케라틴, 세레신,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킬레이트제는, 이디티에이(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EDTA), 시트릭산(citric acid), 베타-알라닌디아세틱산(beta-alanine diacetic acid),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디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disodium pyrophosphate), 에티드로닉산(etidronic acid), 갈락타릭산(galactaric acid), 펜타소디움펜테이트(pentasodium pentate), 글루코닉산(glucon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 조성물.
  5. 은 금속을 물에 분산시킨 형태인 은 콜로이드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a);
    상기의 단계(a)에서 준비된 은 콜로이드 용액을 정제수에 적가하여 교반하는 단계(b);
    상기의 단계(b)에서 만들어진 용액에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c); 및
    상기의 단계(c)에서 만들어진 용액에 금속 킬레이트제를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은 콜로이드 용액에서, 은 입자는 평균 입자 크기가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질소함유 수용성 고분자는 키틴, 키토산, 젤라틴, 콜라겐, 케라틴, 세레신,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금속 킬레이트제는 이디티에이(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 시트릭산(citric acid), 베타-알라닌디아세틱산(beta-alanine diacetic acid), 시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디소디움피로포스페이트(disodium pyrophosphate), 에티드로닉산(etidronic acid), 갈락타릭산(galactaric acid), 펜타소디움펜테이트(pentasodium pentate), 글루코닉산(gluconic acid)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콜로이드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은 콜로이드 조성물을 화장료 총중량에 대하여 0.005중량% 내지는 8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팩, 클렌징 폼, 투명 젤 제품, 화운데이션,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헤어크림, 헤어스타일링 젤, 샴푸, 린스, 보디클렌져, 치약, 마우스워시로 제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24439A 2001-05-04 2001-05-04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25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439A KR100425983B1 (ko) 2001-05-04 2001-05-04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439A KR100425983B1 (ko) 2001-05-04 2001-05-04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138A true KR20020085138A (ko) 2002-11-16
KR100425983B1 KR100425983B1 (ko) 2004-04-06

Family

ID=2770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439A KR100425983B1 (ko) 2001-05-04 2001-05-04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598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553A (ko) * 2001-08-16 2003-02-25 강남석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73777B1 (ko) * 2001-12-13 2005-03-08 주식회사 트리코유니온 나노 크기의 은 입자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494287B1 (ko) * 2002-12-10 2005-06-13 김기영 은입자가 함유된 건강치약의 제조방법
WO2005077329A1 (en) * 2004-02-11 2005-08-25 Amorepacific Corporation Silver/polymer colloidal nanocomposites and a process for preparation of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WO2006109898A1 (en) * 2005-04-09 2006-10-19 Pion-Tech Co., Lt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 nano silver and natural essential oil
KR100847307B1 (ko) * 2006-10-20 2008-07-21 (주) 비앤씨피 백금콜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바디용품조성물
KR100958094B1 (ko) * 2007-09-21 2010-05-14 윤의식 피부 흡수성이 우수한 백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749B1 (ko) * 2022-07-13 2023-03-30 주식회사 에이유랩스 금 입자가 함유된 나이아신아마이드 분말의 콜로이드 용액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984A (ko) * 1994-09-03 1996-04-20 한동근 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8268821A (ja) * 1995-04-03 1996-10-15 Sangi Co Ltd 抗菌剤組成物
KR980007986A (ko) * 1996-07-04 1998-04-30 성재갑 새로운 항균성 실리콘계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6013106A (en) * 1997-01-22 2000-01-11 St. Jude Medical, Inc. Medical article with adhered antimicrobial metal ions and related methods
JP2000247822A (ja) * 1999-02-23 2000-09-12 Toyo Beauty Kk 液状抗菌性組成物
KR100351626B1 (ko) * 1999-12-06 2002-09-11 한국화학연구원 항변색성의 은계 항균성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한 항균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553A (ko) * 2001-08-16 2003-02-25 강남석 미용용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73777B1 (ko) * 2001-12-13 2005-03-08 주식회사 트리코유니온 나노 크기의 은 입자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494287B1 (ko) * 2002-12-10 2005-06-13 김기영 은입자가 함유된 건강치약의 제조방법
WO2005077329A1 (en) * 2004-02-11 2005-08-25 Amorepacific Corporation Silver/polymer colloidal nanocomposites and a process for preparation of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WO2006109898A1 (en) * 2005-04-09 2006-10-19 Pion-Tech Co., Ltd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 nano silver and natural essential oil
KR100847307B1 (ko) * 2006-10-20 2008-07-21 (주) 비앤씨피 백금콜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바디용품조성물
KR100958094B1 (ko) * 2007-09-21 2010-05-14 윤의식 피부 흡수성이 우수한 백금 나노입자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5983B1 (ko) 2004-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249B1 (ko) 금 및/또는 은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용 안료 조성물
KR970000745B1 (ko) 항균성 화장료용 안료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3080231A1 (en) Colloidal nanosilver soluti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9007266A (ja) 化粧料用銀イオン水とそれを用いた低刺激性の化粧料
CN101049279B (zh) 一种纳米银抗菌洗发露及其制备方法
KR100425983B1 (ko)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 조성물, 안정화된 은 콜로이드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172475A (zh) 一种抗菌美白漱口水及其制备方法
KR20060117875A (ko) 항균 세정제 조성물
JP4959010B1 (ja) 皮膚外用剤
JP2003137731A (ja) 抗菌性粉体化粧料及び抗菌性粉体化粧料の製造方法
US20100158841A1 (en) Deodorant compositions
JPH10194929A (ja) 化粧料用抗菌性顔料、前記顔料の製造方法及び前記顔料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JP2000247822A (ja) 液状抗菌性組成物
JP2004231534A (ja) 超微粒子銀コロイドを含有する抗菌性の化粧料
JPH10194953A (ja) 抗菌性化粧料
JP5926979B2 (ja) 銀イオン水を含有する皮膚外用組成物
JP2008013492A (ja) 化粧品用防腐剤、化粧品
KR100563084B1 (ko) 상자성 은 나노입자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EP3975981A1 (en) Skincare formulations with polygonal prismatic platelet uv filters
CN109984947A (zh) 光稳定银基抗微生物络合物的组合物和其制备方法
KR0120566B1 (ko) 항균성 제오라이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874272B2 (ja) 毛髪処理剤
KR100352643B1 (ko) 천연 쑥과 은의 혼합물을 이용한 천연방부제
JP2006169222A (ja) 抗菌性組成物
JPS6351313A (ja) 粉体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