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810A - 골프채 세트 및 골프채 샤프트 세트 - Google Patents

골프채 세트 및 골프채 샤프트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810A
KR20020084810A KR1020020023908A KR20020023908A KR20020084810A KR 20020084810 A KR20020084810 A KR 20020084810A KR 1020020023908 A KR1020020023908 A KR 1020020023908A KR 20020023908 A KR20020023908 A KR 20020023908A KR 20020084810 A KR20020084810 A KR 20020084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lub
frequency
club shaft
golf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5035B1 (ko
Inventor
시라이시다카유키
고가와마사요시
니시자와요
아키에마사키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4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5Club s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 A63B53/022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 A63B53/023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 A63B53/026Joint structures between the head and the shaft allowing adjustable positioning of the head with respect to the shaft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loft angle only, i.e. relative angular adjustment between the shaft and the club head about a horizontal axis perpendicular to the intended line of play when the club is in its normal address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08Heads characterised by specific dimensions, e.g.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7Heads iron-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02Resonance frequency related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골프채의 특성을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킨 골프채 세트이다. 상기 골프채 세트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비율 또는 합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한 것이다.

Description

골프채 세트 및 골프채 샤프트 세트{Golf club set and golf club shaft set}
본 발명은 로프트(loft) 각도를 여러가지 다르게 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포함하는 골프채 세트(golf club set) 및 그와 같은 골프채 세트에 사용하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golf club shaft set)에 관한 것이다.
아이언 골프채 세트는 롱 아이언으로부터 쇼트 아이언까지의 10개 정도의 골프채를 구비하고, 각 번수(番手)로 다른 비거리를 얻을 수 있도록 채(club) 길이나로프트 각도를 여러가지 다르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는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평가하는 지표로서, 일반적으로는 킥 포인트 등이 있다. 그러나, 킥 포인트는 단지 골프채 샤프트의 휨의 정점 위치를 가리킬 뿐이므로, 이 지표로서는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곤란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의 지표에 근거하여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번수 사이에서 조화되도록 골프채 세트를 설계하여도, 실제로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는 번수 사이에서 조화되지 않는 것이 현상황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는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평가하는 지표로서, 일반적으로는 진동수(cpm)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지표에 근거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평가한 경우, 그 수치가 큰 경우일지라도 반드시 사람이 실제로 단단하게 느낀다고 말할 수는 없었다. 즉, 킥 포인트의 차이에 따라서 상기 지표에 의한 결과가 다르기도 하여, 예를 들어, 킥 포인트가 서로 다른 2개의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한쪽의 골프채 샤프트 쪽이 다른 쪽의 골프채 샤프트보다도 진동수의 수치가 높게 되지만, 다른 쪽의 골프채 샤프트의 쪽이 한쪽의 골프채 샤프트보다도 단단하게 느끼게 되는 역전 현상도 생기고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지표에 근거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키도록 골프채 세트를 설계하여도,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은 번수 사이에서 조화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킨 골프채 세트 및 골프채 샤프트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킨 골프채 세트 및 골프채 샤프트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채 세트는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로 관련지어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때에,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는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를 로프트 각도가 최소의 번수로부터 순서대로 1부터 시작되는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한다.
이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와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30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골프채 세트는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수 비율의 크기를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때에,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는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를 θ(도)로 하고, 또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한다.
이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30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비율을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의 지표로 사용한다. 상기 진동수의 비율은 골프채 샤프트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진동 특성과 골프채 샤프트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진동 특성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골프채 샤프트의 휨 특성을 양호하게 나타내고,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진동수의 비율이 번수의 순서 또는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대하여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면,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특정한 골프채만 로프트 각도대로의 탄도를 얻을 수 없게 되는 위화감을 피할 수 있다.
진동수의 측정은 골프채 샤프트 단일체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채 샤프트 단일체로 진동수를 측정하여, 조정하고, 그 밖의 부재를 적절히 조정하여 골프채로서 조립함으로써, 골프채 전체적으로 보다 정밀도를 높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된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번수란, 주로 로프트 각도가 다른 골프채를 로프트 각도의 순서로 나열할 수 있도록, 각 골프채에 부여한 숫자, 문자, 기호 등에 의해서 표기된 로프트 각도의 순번에 관한 식별 정보의 내용이고, 각 번수의 로프트 각도는 일정한 또는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당업자에 의해서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또한, 번수가 크다는 것은 로프트 각도가 큰 번수를 가리킨다.
본 발명은 골프채 세트로서 조립되기 전의 골프채 샤프트 세트도 포함하는 것이다. 골프채 샤프트 세트란, 일반적으로 복수개 길이의 다른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고, 길이가 긴 골프채 샤프트로부터 순번대로 로프트 각도가 작은 골프채 헤드에 장착되어 골프채가 된다. 당업자는 골프채를 조립할 때에, 골프채 샤프트 세트의 각 골프채 샤프트를, 그대로의 길이로 사용하거나, 적절히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채 샤프트 세트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대로 관련지어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때에,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골프채 샤프트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샤프트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은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가 최장의 번수로부터 순번대로 1부터 시작되는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한다.
이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30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골프채 샤프트 세트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골프채 샤프트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때에,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은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그룹의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를 L(mm)로 하고, 또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한다. 이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30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진동수의 비율이 번수의 순서 또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대하여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면,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였을 때에,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특정한 골프채만 로프트 각도대로의 탄도를 얻을 수 없게 되는 위화감을 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채 세트는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때에,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때에,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는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를 로프트 각도가 최소의 번수로부터 순서대로 1부터 시작되는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한다.
이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상기 자연수 X에 대하여 하기의 수학식 1에서 정해지는 범위로 설정한다.
aX+b≤Y≤aX+b+12
단, 계수 a, b는 임의의 정수이다.
또는,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골프채 세트는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때에,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는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그룹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를 θ(도)로 하며, 또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의 합을 Y(cpm)로 한다.
이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하여 하기의 수학식 2에서 정해지는 범위에 설정하는 것이다.
cθ+ d ≤Y ≤cθ+ d + 12
단, 계수 c, d는 임의의 정수이다.
또는,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관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을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의 지표로 사용한다. 상기 진동수의 합은 골프채 샤프트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진동 특성과 골프채 샤프트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얻어지는 진동 특성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킥 포인트의 위치에 관계없이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보다 정확하게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다. 그로 인해, 진동수의 합이 번수의 순서 또는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대하여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면,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특정한 골프채만이 단단하게 느껴지게 되는 위화감을 회피할 수 있다.
진동수의 측정은 골프채 샤프트 단일체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채 샤프트 단일체로 진동수를 측정하여, 조정하고, 그 밖의 부재를 적절히 조정하여 골프채로서 조립함으로써, 골프채 전체적으로 보다 정밀도를 높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번수란, 주로 로프트 각도가 다른 골프채를 로프트 각도의 번수대로 나열할 수 있도록, 각 골프채에 부여한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나타낸 로프트 각도의 순번에 관한 식별 정보의 내용이고, 각 번수의 로프트 각도는 일정한 또는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당업자에 의해서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또한, 번수가 크다는 것은 로프트 각도가 큰 번수를 가리킨다.
본 발명은 골프채 세트로서 조립되기 전의 골프채 샤프트 세트도 포함하는 것이다. 골프채 샤프트 세트란,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길이의 다른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고, 길이가 긴 골프채 샤프트로부터 순번대로 로프트 각도가 작은 골프채 헤드에 장착되어 골프채가 된다. 당업자는 골프채를 조립할 때에, 골프채 샤프트 세트의 각 골프채 샤프트를, 그대로의 길이로 사용하거나, 적절히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채 샤프트 세트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대로 관련지어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때에,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은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가 최장의 번수로부터 순번대로 1부터 시작되는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의 합을 Y(cpm)로 한다.
이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골프채 샤프트 세트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하고, 바람직하게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킬 때에,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은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룹의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를 L(mm)로 하며, 또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한다.
이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진동수의 합이 번수의 순서 또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대하여 상관성을 가지고 있으면,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였을 때에,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특정한 골프채만이 단단하게 느껴지게 되는 위화감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아이언 골프채를 각각 일부 생략하고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로프트 각도 θ를 설명하기 위한 골프채 헤드의 측면도.
도 3은 골프채 헤드의 중심 측정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골프채 헤드의 중심 측정 방법을 도시하고, 중심 측정기에 골프채 헤드를 적재한 상태의 측면도.
도 5a, 도 5b는 골프채 헤드의 중심 측정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골프채 헤드를 중심 측정기에 대하여 평형이 되는 위치에 적재한 상태의 측면도.
도 5b는 골프채 헤드를 중심 측정기에 대하여 평형이 되지 않은 위치에 적재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중심 측정기의 지지부의 수평도를 확인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수준기를 중심 측정기에 적재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골프채 샤프트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진동수를 측정하는 방법을설명하기 위한 진동수 측정기의 측면도.
도 8은 골프채 샤프트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진동수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진동수 측정기의 측면도.
도 9는 표선(標線)을 부여한 골프채 샤프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진동수 측정기에 도 9의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진동수 측정기에 도 9의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진동수 측정기에 도 9의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3은 진동수 측정기에 도 9의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4는 도 9의 골프채 샤프트를 사용한 골프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5는 진동수 측정기에서의 샤프트 진동 방향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6은 골프채의 스윙 중의 샤프트가 주로 휘어지는 방향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17은 표선 및 로고 마크를 같은 축상에 부여한 골프채 샤프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골프채 샤프트를 사용한 골프채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9는 도 20의 골프채 샤프트를 사용한 골프채를 도시하는 토우(toe) 측에서 본 측면도.
도 20은 표선 및 로고 마크를 주변 방향의 다른 위치에 부여한 골프채 샤프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도 9의 골프채 샤프트를 사용한 다른 골프채를 도시하는 토우측에서 본 측면도.
도 22는 종래의 골프채의 평가 방법에서 진동수 측정기에 골프채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있어서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에 그립을 장착한 골프채를 예시하는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있어서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후단부보다 굵게 한 골프채를 예시하는 정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있어서 골프채 샤프트의 일부가 그립부를 구성하는 골프채를 예시하는 정면도.
도 26a, 도 26b는 진동수 측정기에 대한 골프채 샤프트의 고정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중량체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 28a, 도 28b는 도 27의 중량체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8a는 그 중량체의 전개도.
도 28b는 그 중량체의 평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연수 X와 진동수의 비율 Z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0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로프트 각도 θ와 진동수의 비율 Z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과 진동수의 비율 Z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자연수 X와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로프트 각도 θ와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과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5 내지 도 54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55 내지 도 74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75 내지 도 94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95 내지 도 114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세트에 관해서, 자연수 X와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15 내지 도 134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와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5 내지 도 154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55 내지 도 174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75 내지 도 194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을 도시하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세트를 예시하는 것이고, 골프채 A3 내지 A9(3번 내지 9번 아이언)와, 골프채 PW(피칭 웨지)와, 골프채 SW(샌드웨지)의 9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골프채는 골프채 샤프트(1)의 후단부에 그립(2)이 장착되고,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3)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골프채 A3 내지 A9, PW, SW는 번수가 커질수록 샤프트축에 대한 페이스면(4)의 로프트 각도 θ(도)가 커짐과 동시에 채 길이가 짧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골프채 A3 내지 A9, PW, SW는 번수가 커질수록 타구 비거리가 짧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골프채 A3 내지 A9, PW, SW의 로프트 각도 θ는 20도, 24도, 28도, 32도, 36도, 40도, 44도, 48도, 58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골프채 세트는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를 3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특히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조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이들의 범위 내의 골프채에는 번수에 따라서 비거리를 맞추어 치도록 조화된 성능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미만의 골프채는 주로 티 업(tee-up)하여 타구하는 조건에 사용되는 골프채이고, 말하자면 다른 골프채에서의 스윙 패턴과는 관계없이 비거리를 추구하는 골프채이기 때문에, 골프채 세트 내에서 반드시 조화시킬 필요는 없다. 한편, 로프트 각도 θ가 41도를 넘는 골프채는 스윙력을 가감하는 콘트롤 쇼트(control shot) 또는 어프로치 쇼트(approach shot)에 사용되는 것이 많고, 말하자면 다른 골프채에서의 스윙 패턴과는 관계없이 콘트롤성을 중시하는 골프채이기 때문에, 골프채 세트내에서 반드시 조화시킬 필요는 없다.
상기 로프트 각도 θ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 헤드(3)를 기준면 B 상에 라이 각도(lie angle) 대로 설치하여, 그 샤프트축을 포함하여 기준면 B에 직교하는 평면 P을 상정하고, 상기 평면 P에 대하여 직교하는 목표 방향에 페이스면(4)을 향하였을 때, 평면 P와 페이스면(4)이 이루는 각도이다. 상기 로프트 각도 θ는 페이스면(4)의 스위트 스폿(sweet spot; 유효 타구면)의 위치에서 측정되는 것이다. 스위트 스폿은 골프채 헤드(3)의 중심 G로부터 페이스면(4)에 내린 수직선과 상기 페이스면(4)과의 교점 g 이다. 즉, 페이스면(4)이 평면 및 곡면중 어느 하나일지라도 스위트 스폿의 위치를 접점으로서 로프트 각도 θ가 특정된다.
로프트 각도 θ의 측정은 쇼호키교샤(昇峰企業社) 제조의 골프 구두(球頭) 측정대, 골프 캐리지사 제조의 골프채 각도 측정기, 골프 스미스사 제조의 골프채 게이지 등의 측정기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측정기는 공지의 것이면 되고,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로프트 각도 θ의 측정은 골프채의 상태에서 측정하는 외에, 골프채 헤드단일체에 샤프트 핀을 삽입하여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골프채 헤드 단일체로 측정하여 얻어지는 로프트 각도 θ의 수치는 골프채의 상태에서 측정하여 얻어지는 로프트 각도 θ의 수치와 실질적으로 같다.
상기 스위트 스폿의 위치를 나타내는 페이스면(4)상의 교점 g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중심 측정기(41)에 의해서 구해진다. 중심 측정기(41)는 상부에 중심 측정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부(42)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42)가 측정 대상물을 평형하게 지지하는 측정 대상물의 위치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중심의측정 방법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 헤드(3)를 지지부(42)에 적재하여, 손을 놓아도 떨어지지 않는 평형의 위치를 찾아낸다. 즉,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이스면(4)과 지지부(42)의 접촉부에 점 g를 포함하고 있으면, 골프채 헤드(3)를 지지부(42)에 적재하여 손을 놓아도 떨어지지 않지만,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이스면(4)과 지지부(42)의 접촉부에 점 g를 포함하지 않으면, 골프채 헤드(3)는 지지부(42)에 적재하여 손을 놓으면 떨어진다. 이것을 이용하여 점 g를 구하는 것이다.
지지부(42)는 평면 또는 3점 이상으로 지지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42)의 면적은 15mm2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한은 골프채 헤드(3)가 지지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42)의 면적은 평면이면 평면 부분의 면적, 3점 이상으로 지지하는 형태이면 각 점을 연결한 도형의 면적에 의해서 나타낸다. 지지부(42)의 면적을 상기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점 g를 구할 수 있다.
지지부(42)에 의해서 지지된 평면은 수평 또는 대략 수평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대략 수평이란, 수평면에 대한 기울기가 2도 이내, 바람직하게는 1도 이내의 것이다. 수평 또는 대략 수평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42)에 평면판(51)을 적재하여 지지시키고, 평면판(51) 위에 수준기(52)를 놓고, 확인하여,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점 g를 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라이 각도 대로 설치한다는 것은, 골프채 헤드(3)의 솔(sole)면의라운드(round)와 기준면이 이루는 간극이 솔면의 토우측의 단부와 힐측의 단부에서 대략 같아지는 상태이다. 솔면의 라운드가 불명료한 경우는 스코어 라인과 기준면이 평행인 상태에 의해서 설정된다. 솔면의 라운드가 불명료하고 또한 스코어 라인이 직선형태가 아닌 경우 등, 기준면과의 평행을 판별할 수 없는 경우는 라이 각도(도)=(100-채 길이(inch))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36인치의 채 길이이면, 라이 각도는 100-36= 64도가 된다.
채 길이는 사단 법인 일본 골프 용품 협회가 규정한 기준으로 하는 트래디셔널·스탠다드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다. 즉, 골프채 헤드에 있어서의 솔면과 네크(neck)부의 배후 부분(背部)의 접점으로부터 그립 엔드(캡의 둥그런 모양을 포함하지 않음)까지의 길이이다. 측정기로서는 주식회사 압하정형소(鴨下精衡所) 제조의 클럽·메쥬어(club·measure) II를 들 수 있다.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1)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 f1(cpm)과, 상기 골프채 샤프트(1)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 f2(cpm)와의 비율의 크기는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 또는 로프트 각 θ의 크기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1)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 f1(cpm)과, 상기골프채 샤프트(1)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 f2(cpm)와의 합의 크기는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 또는 로프트 각 θ의 크기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번수 사이에서 조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샤프트 소재의 선단부 및 후단부의 커트 길이에 의한 조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체 길이가 1000mm의 샤프트 소재를 960mm로 컷하여 골프채 샤프트를 형성하고, 그 골프채 샤프트를 사용하여 골프채를 조립하는 경우, 샤프트 소재의 후단부를 40mm 컷한 샤프트와, 샤프트 소재의 선단부를 40mm 컷한 골프채 샤프트에서는 진동수의 비율 및 합이 상이하다. 이것을 이용하여, 진동수의 비율 및 합의 크기를 번수 사이에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골프채 샤프트의 설계 단계에서 굽힘 강성의 설정 등에 의해 진동수의 비율 및 합의 크기를 번수 사이에서 조정하여도 된다.
여기서, 골프채 샤프트의 진동수의 측정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진동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진동수 측정기(10)에 의해 측정된다. 진동수 측정기(10)는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1)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척부(11; chuck)와, 골프채 샤프트(1)의 다른 단부의 진동수를 광학 센서를 사용하여 계측하는 계측부(1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진동수 측정기는 시판되고 있는 공지의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클럽 타이밍 하모나이저(후지고무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 등이 예시된다.
상기 진동수 측정기(10)를 사용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1)의 후단부를 척부(11)에 고정함과 동시에, 골프채 샤프트(1)의 선단부에 중량체(13)를 장착하고, 이 상태에서부터 골프채 샤프트(1)의 선단부를 연직 방향으로 진동시켜 1분당의 골프채 샤프트(1)의 진동수 f1(cpm)를 측정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1)의 선단부를 척부(11)에 고정함과 동시에, 골프채 샤프트(1)의 후단부에 중량체(13)를 장착하여, 이 상태에서부터 골프채 샤프트(1)의 후단부를 연직방향으로 진동시켜 1분당의 골프채 샤프트(1)의 진동수 f2(cpm)를 측정한다. 그리고, 양자의 진동수의 비율(f1/f2)을 구한다. 이러한 진동수의 비율(f1/f2)을 구함으로써,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나타내는 골프채 샤프트의 휨 특성이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양자의 진동수의 합(f1+f2)을 구한다. 이러한 진동수의 합(f1+f2)을 구함으로써, 골프채 샤프트(1)에서의 강성 분포에 기인하는 진동수의 수치의 변화를 상쇄하여, 유효한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이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진동수 측정에 있어서, 진동수 측정기에 고정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주변 방향의 위치는 후단부를 고정하는 경우와 선단부를 고정하는 경우에 서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1)에 선(31)을 설치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후단부(101)를 고정한 경우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선단부(102)를 고정한 경우에 있어서, 선(31)이 진동수 측정기(10)에 대하여 동일방향 또는 대략 같은 방향을 나타내도록 하면 알기 쉽다. 상기 대략 일정하다는 것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선(31)이 바로 위를 향한 상태에 대하여, 주변 방향의 어긋남이 20도 이내, 바람직하게는 10도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5도 이내이다. 골프채 샤프트는 제품 자체의 불균일함으로 인하여 주변 방향에 따라 진동수의 수치에 약간의 편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일정 또는 대략 일정한 주변 방향에 의해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 자체의 주변 방향에서의 진동수의 수치에 편차가 약간 생길 가능성이 있음으로 인해, 같은 골프채 샤프트를,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정한 경우와,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0, 도 11에 대하여 골프채 샤프트를 각각 주변 방향에서 90도 회전시켜 고정하여 측정한 경우에서는 진동수의 합 및 비율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골프채로서 조립할 때에, 골프채 샤프트의 고정 위치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하게는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고정방법으로 측정된 도 9에 도시하는 골프채 샤프트를,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21)에 있어서, 골프채 헤드(3)의 페이스부(103)을 정면으로 하여, 수평면(111)에 라이 각도대로 놓아 둔 정면도에 있어서, 선(31)이 정면을 향하게 되는 위치 또는 대략 정면을 향하게 되는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골프채 샤프트의 측정치를 골프채에 반영시키기 위해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진동수 측정기(10)로 측정되는 골프채 샤프트(1)의 진동하는 방향과, 도 16에 도시하는 골프채(21)가 실제의 스윙 중에 주로 휘어지는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는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고정방법으로 측정된 골프채 샤프트(1)를, 도 14에 도시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골프채(21)로서 구성하면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대략 정면을 향하는 위치란, 도14에 도시하는 선(31)이 바로 정면을 향하는 위치에 대하여, 주변 방향의 어긋남이 15도이내, 바람직하게는 10도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5도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3도 이내의 어긋남이다.
또한, 골프채 샤프트 단일체에 있어서도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31)과 동축상에 로고 마크(32)를 인쇄 등의 수단에 의해서 골프채 샤프트(1)에 설치하고,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21)의 페이스부(103)를 정면으로 하고, 수평면(111)에 라이 각도대로 배치한 정면도에 있어서, 선(31) 및 로고 마크(32)가 정면을 향하게 되는 위치 또는 대략 정면을 향하게 되는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고 마크(32)를 골프채(21)를 토우측에서 본 방향에 대하여 정면에 설치하고 싶은 경우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의 단계에서, 선(31)과 로고 마크(32)가 주변 방향에 대하여 90도 어긋난 위치 관계가 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도 15에 있어서의 진동수 측정에 있어서 골프채 샤프트의 진동하는 방향과, 도 16에 있어서의 골프채가 실제의 스윙 중에 주로 휘어지는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도 10, 도 11에 도시하는 고정 방법으로 측정된 도 9에 도시하는 골프채 샤프트를,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로서 조립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즉, 골프채 샤프트의 진동하는 방향과, 골프채가 실제의 스윙 중에 주로 휘어지는 방향이 90도 어긋나 있다는 것이다. 정확하게 골프채 샤프트의 진동하는 방향과, 골프채가 실제의 스윙 중에 주로 휘어지는 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골프채 샤프트의 진동하는 방향과, 골프채가 실제의 스윙 중에 주로 휘어지는 방향에 어떤 일정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 일정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설정하지 않는 것보다도 바람직한 것이다. 실제로 종래의 진동수 측정에 있어서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21)의 토우부(104)를 하측으로 하여 고정하여 측정하는 경우가 많고, 그러한 의미로 말하면, 골프채 샤프트의 진동하는 방향과, 골프채가 실제의 스윙 중에 주로 휘어지는 방향이 90도 어긋나 있는 예이다.
이상으로 예시한 진동수 측정 방향의 설정에서 사용된 선(31)은 완성 상태인 골프채에 있어서, 그립(grip)에 가리워져도 무방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선(31)은 진동수 측정에서 표시가 되면 되고, 골프채의 상태에 있어서는 디자인상의 형편에 따라, 보이게 하거나 가려지거나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란 골프채 헤드를 장착하는 단부이고, 후단부란 그립 또는 그립부를 설치하는 단부이다. 도 23에 도시하는 골프채에 있어서는 그립(2)을 장착하는 단부를 후단부(101)로 하고, 골프채 헤드(3)를 장착하는 단부를 선단부(102)로 하고 있다. 일반의 골프채 샤프트(1)에 있어서는 그립(2)을 장착하는 후단부(101) 쪽이 골프채 헤드(3)를 장착하는 선단부(102)보다도 직경이 크지만, 도 24에 도시하는 골프채와 같이, 골프채 헤드(3)를 장착하는 선단부(102)쪽이 그립(2)을 장착하는 후단부(101)보다도 직경이 큰 골프채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골프채에 따라서는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1)의 일부가 그립부(105)로 되어 있는 골프채가 존재한다. 이 경우는 그립부(105)가 되는 단부를 후단부(101), 골프채 헤드(3)를 장착하는 단부를 선단부(102)로 한다.
상기 진동수의 측정에 있어서, 골프채 샤프트(1)의 구속 길이는 178mm로 하지만, 177.5mm 내지 178.5mm이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진동수의 수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중량체(13)의 질량은 200g으로 하지만, 199.5g 내지 200.5g이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진동수의 수치가 얻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포함된다. 더욱이, 중량체(13)의 장착 길이는 30mm로 하지만, 29.5mm 내지 30.5mm이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진동수의 수치가 얻어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의 구속 길이란, 도 2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1)의 단면(121)이 골프채 샤프트축(122)에 대하여 수직이면, 단면(121)으로부터 척부(11)의 척(11a)까지의 거리(Da)가 된다. 또한, 도 2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121)이 골프채 샤프트축(122)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경우는 단면(121)의 가장 바깥쪽으로 나온 위치로부터 척부(11)의 척(11a)까지의 거리(Db)가 된다. 또한, 고정 수단은 상하로부터 끼움에 의한 고정, 드릴 척에 의한 고정 등, 골프채 샤프트를 단단하게 고정하는 것을 가능한 한 특별하게 한정하지는 않는다.
중량체는 골프채 샤프트에 단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것으로, 형상으로서는 주로 원통형, 직방체(直方體), 다각형 기둥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납 테이프와 같은 어느 정도 질량이 있는 점착체를 골프채 샤프트에 감아붙여도 된다. 중량체의 중심 위치는 골프채 샤프트 축 근방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치적으로는 중심 위치가 골프채 샤프트 고정 상태에 있어서, 골프채 샤프트 축으로부터 5mm 이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체의 구조는 직경이 다른 골프채 샤프트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드릴 척 등의 구조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중량체의 예로서,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납 등으로 이루어지는 중량체 테이프(61)를 골프채 샤프트(1)의 바깥둘레에 권취하여 고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중량체 테이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골프채 샤프트에 단단하게 권취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중량체 테이프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중량체층과 양면 테이프 등의 점착층의 적층 구조이고, 형상은 일반적인 테이프와 마찬가지로 폭의 변화가 적은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방향에 걸친 폭의 변화는 1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량체 테이프(61)의 길이 방향에 걸치는 최대폭을 Dx로 하면, 도 2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121)으로부터 폭 Dy의 범위내(Dy≥Dx)에서, Dy ≤Dx + 5mm, 바람직하게는 Dy ≤Dx + 3mm가 되도록 모든 납 테이프가 권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를 로프트 각도가 최소의 번수로부터 순서대로 1부터 시작되는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고, 또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X-Z 좌표상에 각 골프채의 자연수 X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비율 Z를 플롯(plot; 作圖)하면,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골프채에 관한 플롯이 직선 또는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다.
도 29는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는 자연수 X와 진동수의 비율 Z와의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A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B는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는 번수와 진동수의 비율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지 않은 관계에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는 번수와 진동수의 비율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된 타구의 탄도의 높이가 얻어지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추정 오차가 0.05 이하란, 골프채의 번수에 따라서 정해지는 자연수 X와 진동수의 비율 Z를 회귀 직선의 함수에 입력하여 계산되는 추정치와, 진동수의 비율 Z와의 오차가 절대치로 0.05 이하, 즉, -0.05 내지 +0.05인 것을 가리킨다. 이 경우, 추정 오차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수치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골퍼의 기호에 맞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를 -0.01 이하,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01,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02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가 높게 되는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를 높게 하여충분한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골퍼 타입에 적합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를 -0.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2,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15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가 낮게 되는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를 낮게 하여 확실한 방향성을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의 효과는 어디까지나도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골퍼는 자기의 기술 레벨, 좋아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휨, 필링, 좋아하는 전략, 좋아하는 타구감 등을 감안하여,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로서 소정의 값을 갖는 골프채 세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연수 X에 대하여 진동수의 비율 Z를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1과,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2와의 합(f1+f2)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자연수 X에 대하여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30cp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c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cpm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면 된다. 상기 관계로 설정함으로써,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된 타구의 탄도의 높이가 보다 정확하게 얻어진다.
또한,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자연수 X 대신에 로프트 각도 θ를 이용하여, θ-Z 좌표상에 각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 θ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비율 Z를 플롯하면,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의 플롯이 직선 또는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다.
도 30은 로프트 각도 θ와 진동수의 비율 Z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A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B는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는 로프트 각도와 진동수의 비율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지 않은 관계에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는 로프트 각도와 진동수의 비율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된 타구의 탄도의 높이가 얻어지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추정 오차가 0.05 이하란,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 θ와 진동수의 비율 Z를 회귀 직선의 함수에 입력하여 계산되는 추정치와, 진동수의 비율 Z와의 오차가 절대치로 0.05 이하, 즉, -0.05 내지 +0.05인 것을 가리킨다. 이 경우, 추정 오차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수치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골퍼의 기호에 맞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를 -0.0025 이하, 바람직하게는 -0.075 내지 +0.002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25 내지 -0.005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가 높게 되는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를 높게 하여 충분한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를 -0.0025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25 내지 0.05,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0.0375 이하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가 낮게 되는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를 낮게 하여 확실한 방향성을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의 효과는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골퍼는 자기의 기술 레벨, 좋아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휨, 필링, 좋아하는 전략, 좋아하는 타구감 등을 감안하여,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로서 소정의 값을 갖는 골프채 세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프트 각도 θ에 대하여 진동수의 비율 Z를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1과,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2와의 합(f1+ f2)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로프트 각도 θ에 대하여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30cp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c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cpm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면 된다. 상기 관계로 설정함으로써,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한 타구의 탄도의 높이가 보다 정확하게 얻어진다.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가 최장의 번수로부터 순번대로 1부터 시작되는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X-Z 좌표상에 각 골프채 샤프트의 자연수 X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비율 Z를 플롯하면,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의 플롯이 직선 또는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다.
골프채 세트에서는 일반적으로 골프채의 번수가 커질수록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가 짧게 된다. 그로 인해,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서의 자연수 X와 진동수의 비율 Z와의 관계는 상술한 골프채 세트의 경우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자연수 X 대신에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을 이용하여, L-Z 좌표 상에 각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비율 Z를 플롯하면,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의 플롯이 직선 또는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다.
도 31은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과 진동수의 비율 Z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A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B는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와 진동수의 비율이 일정한 상관성을 갖지 않는 관계에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와 진동수의 비율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된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했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추정 오차가 0.05 이하란,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과 진동수의 비율 Z를 회귀 직선의 함수에 입력하여 계산되는 추정치와, 진동수의 비율 Z와의 오차가 절대치로 0.05 이하, 즉 -0.05 내지 +0.05 이하인 것을 가리킨다. 이 경우, 추정 오차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 범위 밖에 걸쳐 상기 관계가 유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골프채 샤프트 전제에 걸쳐 상기 관계가 유지되어도 된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수치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골퍼의 기호에 맞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를 0.00077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77 내지0.023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54 내지 0.01925 이하로 한 경우,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이 상대적으로 큰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가 높게 되는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이 큰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를 높게 하여 충분한 비거리를 얻으려고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를 0.00077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54 내지 0.00077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55 내지 0으로 한 경우,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이 상대적으로 큰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가 낮게 되는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이 큰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를 낮게 하여 확실한 방향성을 얻으려고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의 효과는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골퍼는 자신의 기술 레벨, 좋아하는 골프 샤프트의 휨, 필링, 좋아하는 전략, 좋아하는 타구감 등을 감안하여, 상기 회귀 직선의 기울기로서 소정의 값을 갖는 골프채 세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하여 진동수의 비율 Z를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1과,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2와의 합(f1+f2)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하여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샤프트에 관해서,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30cp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c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cpm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면 된다. 상기 관계로 설정함으로써,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되어 타구의 탄도의 높이가 보다 정확하게 얻어진다.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를 로프트 각도가 최소의 번수로부터 순번대로 1부터 시작되는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상기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X-Y 좌표 상에 각 골프채의 자연수 X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합 Y를 플롯하면,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의 플롯이 직선 또는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다.
도 32는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의 대응하는 자연수 X와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A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B는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는 번수와 진동수의 합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지 않은 관계에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는 번수와 진동수의 합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되어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진동수의 합 Y를 자연수 X에 대하여 수학식 1에서 정해지는 범위로설정하는 것이다.
aX+b≤Y≤aX+b+12
단, 계수 a, b는 임의의 정수이다.
즉, 진동수의 합 Y의 값은 평행인 2직선인 Y=aX+b와 Y=aX+b+12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Y=aX+b와 Y=aX+b+9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Y=aX+b와 Y=aX+b+6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16≤θ≤41을 만족하는 골프채에 관해서, 자연수 X에 대하여 진동수의 합 Y를 플롯한 모든 점이 상기 2 직선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어지게 되는 계수 a, b의 조합이 적어도 1가지 존재하면 된다.
상기 계수 a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수치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골퍼의 기호에 맞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수 a를 24 이하,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으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가 단단한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번수일수록, 힘을 넣어 스윙하여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계수 a를 24 이상,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48,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4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가 유연한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번수일수록, 채 길이를 이용하여 천천히 스윙하는 감각으로 확실하게 번수에 상응하는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계수 a의 효과는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골퍼는 자기의 기술 레벨, 좋아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휨, 필링, 좋아하는 전략, 좋아하는 타구감 등을 감안하여, 소정의 계수 a를 갖는 골프채 세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자연수 X를 변수로 하는 2직선을 사용하여 진동수의 합 Y의 선형적인 변화를 특정하는 이외에, 자연수 X에 대하여 진동수의 합 Y를 플롯한 모든 점의 회귀 직선을 사용하여 진동수의 합 Y의 선형적인 변화를 특정하여도 된다.
즉,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대해서,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추정 오차가 8(cpm) 이하란, 골프채의 번수에 따라서 정해지는 자연수 X와 진동수의 합 Y를 회귀 직선의 함수에 입력하여 계산되는 추정치와, 진동수의 합 Y와의 오차가 절대치로 8(cpm)이하, 즉, -8(cpm) 내지 +8(cpm)인 것을 가리킨다. 이 경우, 추정 오차는 바람직하게는 6(c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c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수치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골퍼의 기호에 맞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울기를 24 이하,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4,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으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가 단단한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번수일수록, 힘을 넣어 스윙하여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기울기를 24이상, 바람직하게는 24 내지 48,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4이하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가 유연한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번수일수록, 채 길이를 이용하여 천천히 스윙하는 감각으로 확실하게 번수에 상응하는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기울기의 효과는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골퍼는 자기의 기술 레벨, 좋아하는 골프채 샤프트 휨, 필링, 좋아하는 전략, 좋아하는 타구감 등을 감안하여, 상기 회귀 직선에 관해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골프채 세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연수 X 에 대하여 진동수의 합 Y를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1과,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2와의 비율(f1/f2)를 Z로 하였을 때,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자연수 X에 대하여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이하, 바람직하게는 0.1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면 된다. 상기 관계로 설정함으로써,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된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이 보다 정확하게 얻어진다.
또한,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자연수 X 대신에 로프트 각도 θ를 이용하여, θ-Y 좌표상에 각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 θ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합 Y를 플롯하면,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의 플롯이 직선 또는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다.
도 33은 로프트 각도 θ와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A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B는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는 로프트 각도와 진동수의 합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지 않은 관계에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는 로프트 각도와 진동수의 합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된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이 얻어지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진동수의 합 Y를 로프트 각도 θ에 대하여 수학식 2에서 정해지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다.
cθ+ d ≤Y ≤cθ+ d + 12
단, 계수 c, d는 임의의 정수이다.
즉, 진동수의 합 Y의 값은 평행인 2직선인 Y=cθ+d와 Y=cθ+d+12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Y=cθ+d와 Y=cθ+d+9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Y=cθ+d와 Y=cθ+d+6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16≤θ≤41을 만족하는 골프채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에 대하여 진동수의 합 Y를 플롯한 모든 점이 상기 2 직선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어지는 계수 c, d의 조합이 적어도 1가지 존재하면 된다.
상기 계수 c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수치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골퍼의 기호에 맞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수 c를 6이하,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가 단단한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번수일수록, 힘을 넣어 스윙하여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계수 c를 6이상,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가 유연한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번수일수록, 채 길이를 이용하여 천천히 스윙하는 감각으로 확실하게 번수에 상응하는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계수 c의 효과는 어디까지나도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 러므로, 골퍼는 자기의 기술 레벨, 좋아하는 골프채 샤프트 휨, 필링, 좋아하는 전략, 좋아하는 타구감 등을 감안하여, 소정의 계수 c를 갖는 골프채 세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프트 각도 θ를 변수로 하는 2직선을 사용하여 진동수의 합 Y의 선형적인 변화를 특정하는 이외에, 로프트 각도 θ에 대하여 진동수의 합 Y를 플롯한 모든 점의 회귀 직선을 사용하여 진동수의 합 Y의 선형적인 변화를 특정하여도 된다.
즉,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추정 오차가 8(cpm) 이하란,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 θ와 진동수의 합 Y를 회귀 직선의 함수에 입력하여 계산되는 추정치와, 진동수의 합 Y와의 오차가 절대치로 8(cpm)이하, 즉, -8(cpm) 내지 +8(cpm)인 것을 가리킨다. 이 경우, 추정 오차는 바람직하게는 6(cpm)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c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수치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골퍼의 기호에 맞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울기를 6이하, 바람직하게는 0 내지 6,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가 단단한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번수일수록, 힘을 넣어 스윙하여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기울기를 6이상,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1로 한 경우, 로프트 각도 θ가 상대적으로 작은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가 유연한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로프트 각도 θ가 작은 번수일수록, 채 길이를 이용하여 천천히 스윙하는 감각으로 확실하게 번수에 상응하는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기울기의 효과는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골퍼는 자기의 기술 레벨, 좋아하는 골프채 샤프트 휨, 필링, 좋아하는 전략, 좋아하는 타구감 등을 감안하여, 상기 회귀 직선에 관해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골프채 세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과 같이 로프트 각도 θ에 대하여 진동수의 합 Y를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1과,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2와의 비율(f1/f2)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로프트 각도 θ에 대하여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포함되는 골프채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면 된다. 상기 관계로 설정함으로써,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된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이 보다 정확하게 얻어진다.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가 가장 긴 번수로부터 번수대로 1부터 시작되는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상기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X-Y 좌표상에 각 골프채의 자연수 X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합 Y를 플롯하면,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의 플롯이 직선 또는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다.
골프채 세트에서는 일반적으로 골프채의 번수가 커질수록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가 짧게 된다. 그러므로,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의 자연수 X와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는 상술한 골프채 세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또한, 상기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자연수 X 대신에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을 이용하여, L-Y 좌표상에 각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합 Y를 플롯하면,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의 플롯이 직선 또는 대략 직선으로 된다.
도 34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과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고, A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B는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의 골프채 세트에서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와 진동수의 합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지 않은 관계에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이상적인 골프채 세트에서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와 진동수의 합이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된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이 얻어지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추정 오차가 8(cpm) 이하란,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과 진동수의 합 Y를 회귀 직선의 함수에 입력하여 계산되는 추정치와, 진동수의 합 Y의 오차가 절대치로 8(cpm) 이하, 즉, -8(cpm) 내지 +8(cpm)인 것을 가리킨다. 이 경우, 추정 오차는 바람직하게는 6(c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c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 외에 걸쳐 상기 관계가 유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골프채 샤프트 세트 전체에 걸쳐 상기 관계가 유지되어도 된다.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수치의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골퍼의 기호에 맞는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울기를 -1.85 이상, 바람직하게는 -1.85 내지 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내지 -0.3으로 한 경우,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이 상대적으로 큰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가 단단한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이 큰 번수일수록, 힘을 넣어 스윙하여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기울기를 -1.85 이하, 바람직하게는 -3.7 내지 -1.85, 보다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2.15로 한 경우,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이 상대적으로 큰 골프채의 골프채 샤프트가 유연한 골프채 세트가 된다. 이러한 골프채 세트는 주로, 골프채샤프트의 길이 L이 큰 번수일수록, 채길이를 이용하여 천천히 스윙하는 감각으로 확실하게 번수에 상응하는 비거리를 얻고자 하는 타입의 골퍼에 적합하다.
상기 기울기의 효과는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골퍼는 자기의 기술 레벨, 좋아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휨, 필링, 좋아하는 전략, 좋아하는 타구감 등을 감안하여, 상기 회귀 직선에 관해서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골프채 세트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하여 진동수의 합 Y를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1과,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 f2와의 비율(f1/f2)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하여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로프트 각도 θ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이하, 바람직하게는 0.1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가 되도록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하면 된다. 상기 관계로 설정함으로써,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조화된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이 보다 정확하게 얻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특히 섬유 강화 수지제의 골프채 샤프트를 사용한 골프채 세트에 적용한 경우에 현저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섬유 강화 수지제의 골프채 샤프트는 강화 섬유의 종류, 배향 방향의 선택이자유롭고, 골프채 샤프트의 강성 분포를 길이 방향에 걸쳐 변화시키는 등 설계의 자유도가 금속제 골프채 샤프트보다도 크다. 특히 최근에는 골프채의 길이가 길게 되며, 그에 동반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강성 분포의 변화가 보다 커지고 있다. 그 러므로, 골프채 샤프트가 섬유 강화 수지제인 경우, 종래의 지표에 근거하여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키도록 골프채 세트를 설계하여도, 실제로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키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골프채 샤프트가 섬유 강화 수지제인 경우이더라도, 실제로 골프채가 나타내는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킨 골프채 세트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골프채 샤프트가 섬유 강화 수지제인 경우, 종래의 지표에 근거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키도록 골프채 세트를 설계하여도,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키는 것은 상당히 곤란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골프채 샤프트가 섬유 강화 수지제인 경우일지라도,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번수 사이에서 조화시킨 골프채 세트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골프채 세트란, 아이언 골프채 세트, 우드 골프채 세트, 우드 골프채와 아이언 골프채를 포함하는 골프채 세트, 롱 아이언에 상당하는 것만을 포함하는 골프채 세트, 우드 골프채와 아이언 골프채와의 중간적 성능을 구비하는 유틸리티 채(utility club)를 포함하는 골프채 세트, 우드 골프채나 아이언 골프채로 분류할 수 없는 골프채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세트 등과 같이 로프트 각도가 여러가지 다른 복수개의 골프채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다.
실시예
로프트 각도를 여러가지 다르게 하던 복수개의 골프채를 포함하는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골프채 샤프트의 진동 특성만을 여러가지 다르게 한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를 각각 제작하였다. 이들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동일한 로프트 각도를 갖는 골프채에는 동일한 골프채 헤드 및 그립을 장착하였다. 채 길이는 가장 긴 골프채(#3)를 39.0 인치(99.06cm)로 하고, 번수마다 0.5인치(1.27cm)씩 짧게 하고, 가장 짧은 골프채(#8)를 36.5인치(92.71cm)로 하였다. 골프채 샤프트는 섬유 강화 수지제 골프채 샤프트를 사용하였다.
표 1 내지 20에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번수, 자연수 X, 로프트 각도 θ(도),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mm), 진동수 f1(cpm), 진동수 f2(cpm), 진동수의 비율 Z를 나타내었다. 단, 진동수 f1은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이다. 진동수 f2는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이다. 진동수의 비율 Z는 진동수 f1과 진동수 f2와의 비율(fl/f2)이다.
표 21에는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와 절편(切片; intercept), 그 진동수의 비율 Z와 회귀 직선의 차(minus)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나타냄과 동시에,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와 절편, 그 진동수의 비율 Z와 회귀 직선의 차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도 35 내지 도 54에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55 내지 도 74에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을 나타내었다.
표 22에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와 절편, 그 진동수의 비율 Z와 회귀 직선의 차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도 75 내지 도 94에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을 나타내었다.
도 35 내지 도 94 및 표 21, 2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18의 골프채 세트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각 골프채에 관해서, 스윙로봇에 의한 타구 시험을 행하여, 타구의 쳐내는 각도를 측정하였다. 스윙 로봇은 주식회사 미야마에가 제조한 쇼트 로봇(4), 골프 볼은 요코하마고무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H/S 볼을 사용하여, 헤드 스피드를 번수마다 설정하여 타구하고, 타구 직후의 쳐내는 각도를 측정하여, 10회 타구한 평균치를 구하였다. 스윙 로봇의 헤드 스피드는 #3: 35.0 m/s, #4: 34.5 m/s, #5: 34.0 m/s, #6: 33.5 m/s, #7: 33.0 m/s, #8: 32.5 m/s로 하였다. 상기 쳐내는 각도를 표 1 내지 표 20에 합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자연수 X에 대한 쳐내는 각도의 회귀 직선을 구하고, 그 회귀 직선에 대한 쳐내는 각도의 추정 오차의 폭을 구하여, 그 결과를 표 23에 나타내었다. 추정 오차의 폭이란, 각 예에서의 쳐내는 각도와 회귀 직선의 차의 최대치와, 동일한 것의 차의 최소치의 차이다. 즉, 회귀 직선에 대하여 가장 위로 벗어난 데이터와, 가장 아래로 벗어난 데이터의 폭이다. 상기 추정 오차의 폭이 작을 수록, 번수의 순서(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와 타구의 탄도의 높이 사이에 직선적인 상관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표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의 골프채 세트는 비교예 1의 골프채 세트에 비해 추정 오차의 폭이 작고, 세트 전체에 걸쳐 로프트 각도에 따른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얻게 됨을 알았다. 한편, 실시예 1O 내지 18의 골프채 세트는 비교예 2의 골프채 세트에 비해 추정 오차의 폭이 작고, 세트 전체에 걸쳐 로프트 각도에 따른 타구의 탄도의 높이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표 24 내지 43에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번수, 자연수 X, 로프트 각도 θ(도),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mm),진동수 f1(cpm), 진동수 f2(cpm), 진동수의 합 Y(cpm)을 나타내었다. 단, 진동수 f1은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이다. 진동수 f2는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이다. 진동수의 합 Y는 진동수 f1과 진동수 f2와의 합이다.
도 95 내지 도 114에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자연수 X와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115 내지 도 134에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와 진동수의 합 Y와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들 도 95 내지 도 134에는 플롯한 모든 점을 사이에 두는 평행인 2직선을 병기하였다.
표 44에는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와 절편, 그 진동수의 합 Y와 회귀 직선의 차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나타냄과 동시에,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와 절편, 그 진동수의 합 Y와 회귀 직선과의 차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135 내지 도 154에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자연수 X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을 나타내었다. 또한, 도 155 내지 도 174에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을 나타내었다.
표 45에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와 절편, 그 진동수의 합 Y와 회귀 직선의 차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나타내었다. 더욱이, 도 175 내지 도 194에는 각각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 L에 대한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을 나타내었다.
도 95 내지 도 194 및 표 44, 45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18의 골프채 세트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건을 만족하고,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각 골프채에 관해서, 골퍼에의한 타구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타구 시험에서는 1명의 골퍼가 각 골프채로 5구씩 타구하여,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의 필링을 평가하였다. 평점은 1점: 유연하다, 2점: 약간 유연하다, 3점: 보통, 4점=거의 단단함, 5점: 단단하다고 하는 평점을 하였다. 1명의 골퍼는 1개의 골프채에 관하여 5구씩 타구하지만, 평점은 1회 이다. 즉, 1개의 골프채에 관하여 5구 타구하여 단단함의 필링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상의 평가를 200명의 골퍼에 의해서 행하였다.
상기 평점에 관해서, 각 골프채에 관하여 200명의 평점을 합계하여, 집계 점으로 하였다. 덧붙여서 만점은 5(평점의 최고점)×200(골퍼의 수)=1000점이다. 상기 집계점을 표 24 내지 표 43에 동시에 나타내었다. 상기 집계점의 수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200명의 골퍼로부터 구한 골프채 샤프트 단단함의 평점에 근거하고 있고, 정량적으로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을 나타내고 있는 수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골프채 세트에 관해서, 자연수 X에 대한 집계점의 회귀 직선을 구하여, 그 회귀 직선에 대한 집계점의 추정 오차의 폭을 구하고, 그 결과를 표 46에 나타내었다. 추정 오차의 폭이란, 각 예에서의 집계점과 회귀 직선의 차의 최대치와, 동일한 것의 차의 최소치의 차이다. 즉, 회귀 직선에 대하여 가장 위로 벗어난 데이터와, 가장 아래로 벗어난 데이터와의 폭이다. 상기 추정 오차의 폭이 작을 수록, 번수의 순서(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와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과의 사이에 직선적인 상관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표 4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9의 골프채 세트는 비교예 1의 골프채 세트에 비해 추정 오차의 폭이 작고, 세트 전체에 걸쳐 골프채 샤프트단단함이 관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실시예 10 내지 18의 골프채 세트는 비교예 2의 골프채 세트에 비해 추정 오차의 폭이 작고, 세트 전체에 걸쳐 골프채 샤프트의 단단함이 관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규정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은 한에 있어서, 이에 대하여 여러가지의 변경, 대용 및 치환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골프채 샤프트 세트는 진동수의 합이 번수의 순서 또는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대하여 상관성을 가지고 있어,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였을 때에, 골프채 세트 전체를 통해 특정한 골프채만이 단단하게 느껴지게 되는 위화감을피할 수 있다.

Claims (66)

  1.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한 골프채 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골프채 세트.
  3.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는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를 로프트 각도가 최소의 번수로부터 순번대로 1부터 개시하여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한 골프채 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0.01 이하인 골프채 세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0.01 이상인 골프채 세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30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한 골프채 세트.
  7.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의 비율의 크기를,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한 골프채 세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골프채 세트.
  9.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는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의 그룹을 포함하여, 상기 그룹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를 θ(도)로 하며, 또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한 골프채 세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0.0025 이하인 골프채 세트.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0.0025 이상인 골프채 세트.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와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30 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한 골프채 세트.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이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인 골프채 세트.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가 섬유 강화 수지제인 골프채 세트.
  15.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관련지어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골프채 샤프트 세트.
  17.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가 가장 긴 번수로부터 순서대로 1부터 시작되어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0.01이하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0.01이상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이,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30 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22.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각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의 비율의 크기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골프채 샤프트 세트.
  24.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을 포함하여, 상기 그룹의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를 L(mm)로 하며, 또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0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0.00077이상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0.00077이하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이,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와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30 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29. 제 15 항 내지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선단으로부터 3O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이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30. 제 15 항 내지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가 섬유 강화 수지제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31.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한 골프채 세트.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골프채 세트.
  33.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는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의 그룹을 포함하여,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를 로프트 각도가 최소의 번수로부터 순번대로 1부터 시작하여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상기 자연수 X에 대하여 하기의 수학식 1에서 정해지는 범위로 설정하는 골프채 세트.
    aX+b≤Y≤aX+b+12 (1)
    단, 계수 a, b는 임의의 정수이다.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a가 24 이하인 골프채 세트.
  35.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a가 24 이상인 골프채 세트.
  36.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한 골프채 세트.
  37.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는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의 그룹을 포함하여,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를 로프트 각도가 최소의 번수로부터 순번대로 1부터 시작하여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한 골프채 세트.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24 이하인 골프채 세트.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24 이상인 골프채 세트.
  40.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한 골프채 세트.
  41.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여,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에 관해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한 골프채 세트.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로프트 각도의 크기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골프채 세트.
  43.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는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를 θ(도)로 하며, 또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하여 하기의 수학식 2에서 정해지는 범위로 설정한 골프채 세트.
    cθ+d≤Y ≤cθ+d+12 (2)
    단, 계수 c, d는 임의의 정수이다.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c가 6 이하인 골프채 세트.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 c가 6이상인 골프채 세트.
  46.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한 골프채 세트.
  47.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에 골프채 헤드를 장착한 복수개의 골프채를 구비하고, 이들 복수개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가 번수마다 다른 골프채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는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에 있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의 골프채의 로프트 각도를 θ(도)로 하며, 또한 각 골프채를 구성하는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한 골프채세트.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6이하인 골프채 세트.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6이상인 골프채 세트.
  50.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에 관해서, 상기 로프트 각도 θ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한 골프채 세트.
  51. 제 31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가 섬유 강화 수지제인 골프채 세트.
  52.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의 번수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골프채 샤프트 세트.
  54.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가 가장 긴 번수로부터 순번대로 1부터 시작되어 연속하는 자연수 X로 나타내며, 또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24 이하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56.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24 이상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57.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이,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
  58.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자연수 X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59.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 중,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관련지어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의 합의 크기를,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의 순서에 대응하여 대략 선형적으로 변화시킨 골프채 샤프트 세트.
  61. 골프채 세트를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골프채 샤프트는 적어도 3개의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을 포함하여, 상기 그룹의 골프채 샤프트의 길이를 L(mm)로 하며, 또한 각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후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선단부에서 선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와,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선단으로부터 178mm의 길이로 구속함과 동시에 후단부에서 후단으로부터 30mm의 길이에 걸쳐 질량 200g의 중량체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후단부를 진동시켜 측정한 단위 시간당의 진동수의 합을 Y(cpm)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8(cpm)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합 Y를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1.85 이상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63.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합 Y의 회귀 직선의 기울기가 -1.85 이하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64.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그룹이, 로프트 각도가 16도 내지 41도의 범위의 골프채에 장착되는 골프채 샤프트로 이루어지는 골프채 샤프트 세트.
  65.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후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자로 하고, 상기 골프채 샤프트의 선단부를 고정한 상태에서 측정한 진동수를 분모로 하는 진동수의 비율을 Z로 하였을 때, 상기 그룹의 모든 골프채 샤프트에 관해서, 상기 길이 L에 대한 상기 진동수의 비율 Z의 분포를 회귀 직선으로 회귀하였을 때, 상기 회귀 직선에 대한 추정 오차가 0.15 이하가 되도록 상기 진동수의 비율 Z를 설정한 골프채 샤프트 세트.
  66. 제 52 항 내지 제 6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채 샤프트가 섬유 강화 수지제인 골프채 샤프트 세트.
KR1020020023908A 2001-05-02 2002-05-01 골프채 세트 및 골프채 샤프트 세트 KR1006750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35355 2001-05-02
JPJP-P-2001-00135355 2001-05-02
JP2001135342 2001-05-02
JPJP-P-2001-00135342 2001-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810A true KR20020084810A (ko) 2002-11-11
KR100675035B1 KR100675035B1 (ko) 2007-02-28

Family

ID=3749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908A KR100675035B1 (ko) 2001-05-02 2002-05-01 골프채 세트 및 골프채 샤프트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26233A1 (en) * 2008-08-12 2018-05-10 Acushnet Company Golf club shaft with high balance point and golf club includ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26233A1 (en) * 2008-08-12 2018-05-10 Acushnet Company Golf club shaft with high balance point and golf club including same
US10350466B2 (en) * 2008-08-12 2019-07-16 Acushnet Company Golf club shaft with high balance point and golf club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5035B1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2831Y2 (ko)
US4082286A (en) Direction and slope indicating putter head
US7169056B2 (en) Golf club set and golf club shaft set
JP2004065964A (ja) 測定用ゴルフクラブおよび適したゴルフクラブを判定する方法ならびにゴルフクラブ
US20110256948A1 (en) Multiple flex shaft method and system for golf clubs
KR100675035B1 (ko) 골프채 세트 및 골프채 샤프트 세트
JP2006223461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ゴルフクラブおよび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5646345A (en) Acceleration responsive device
JP2006223460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ゴルフクラブおよび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4107375B2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及び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セット
US20090298606A1 (en) Golf Club With Level Indicator
JP4107374B2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及び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セット
US20070213140A1 (en) Golf putter and system incorporating that putter
JP2006247169A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及び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JP2007044315A (ja) ペタンク用距離計測器
JP4393981B2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JP4233886B2 (ja) ゴルフクラブ
JP4286026B2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および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セット
JP2569334B2 (ja) ゴルフクラブセット
US10272305B2 (en) Golf club set
US20020177493A1 (en) Measuring device for golf playing
JP2006129980A (ja) ゴルフクラブ
JP2005040232A (ja) ゴルフクラブ
US20170167941A1 (en) Method of balancing a golf club head using a balancing fulcrum.
JP2002331052A (ja) ゴルフクラ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