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540A -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540A
KR20020084540A KR1020010023890A KR20010023890A KR20020084540A KR 20020084540 A KR20020084540 A KR 20020084540A KR 1020010023890 A KR1020010023890 A KR 1020010023890A KR 20010023890 A KR20010023890 A KR 20010023890A KR 20020084540 A KR20020084540 A KR 20020084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power
locking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식
Original Assignee
장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식 filed Critical 장동식
Priority to KR102001002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4540A/ko
Publication of KR2002008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54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측면에 접하는 도어프레임 중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와 도어프레임 중 타측을 향해 돌출 및 철회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파트와, 상기 구동파트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회전샤프트의 유동을 방지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로킹장치{LO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동을 방지하여 도어의 잠김이 견고하도록 한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킹장치는, 도어와 도어프레임이 상호 잠금 및 잠금 해제될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여 인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권한이 있는 사람에게만 그 잠금 및 잠금해제 수단을 제공하여 잠금 및 잠금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로킹장치는,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및 복귀되는 로킹샤프트를 갖는 로킹본체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로킹샤프트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는 고정부재를 갖는다. 이에 따라, 로킹샤프트가 고정부재와 접근 및 이반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수용홈에 수용되거나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잠김 및 잠김해제된다.
한편, 도어의 외측면에는 외부에서 로킹장치를 잠금 및 잠금해제할 수 있는 보턴이나 키가 설치되어 있고, 도어의 내측면에는 로킹장치에 결합된 노브가 설치되어 있다.
보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키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키를 소지하는 권한이 있는 사람만이 잠금해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로킹장치는 로킹샤프트가 수용홈에 수용 및 이탈되는 것이 원활하도록 수용홈이 로킹샤프트의 폭보다 소정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도어를 밀거나 흔드는 등 심하게 충격을 주게 되면, 로킹샤프트가 수용홈내에서 유동하게 되고, 로킹샤프트에 충격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하여 키나 보턴을 이용하여 잠금 및 잠금해제가 곤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로킹샤프트에 가해지는 충격이 클 경우에는 로킹샤프트가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로킹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도 도어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장치의 잠금해제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잠금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킹본체 2 : 전원공급부
3 : 구동모터 4 : 구동축
5 : 구동파트 6 : 조인트
7 : 구동판 8 : 동력전달파트
10 : 회전샤프트 11 : 로킹부
12 : 이동제한턱 13 : 전달부
14 : 수용슬롯 15 : 샤프트가이드
16 : 관통공 20 : 고정부재
21 : 접촉판 22 : 돌출부
23 : 수용공 24 : 나사공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측면에 접하는 도어프레임중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와 도어프레임중 타측을 향해 돌출 및 철회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파트와, 상기 구동파트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샤프트의 외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회전샤프트가 통과하고 그 내경면에 상기 회전샤프트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을 갖는 샤프트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파트는,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외부면에는 키, 버튼, 노브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파트는, 상기 키, 버튼, 노브 중 하나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도어프레임을 향해 접근 및 이반되는 로킹부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연장돌출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턱과, 상기 동력전달파트를 향해 연장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파트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판상의 구동판과, 상기 구동판과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로킹장치는, 도 1,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설치되는 로킹본체(1)와,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20)를 포함하며, 도어의 외측면에는 로킹본체(1)에 연결되어 로킹장치를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키 또는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도어의 내측면에는 버튼 또는 노브가 설치되어 있다.
로킹본체(1)는, 고정부재(20)를 향해 인출 및 철회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샤프트(10)와, 회전샤프트(10)의 회전을 안내하는 샤프트가이드(15)와, 회전샤프트(10)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파트(5)와, 구동파트(5)로부터의 동력을 회전샤프트(10)로전달하는 동력전달파트(8)를 포함한다.
구동파트(5)는, 외부전원이나 건전지로 마련되는 전원공급부(2)와, 전원공급부(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구동모터(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는 정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 모두 가능한 정역회전모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동파트(5)의 전원공급부(2)와 구동모터(3)를 연결하는 전원라인에는 키 또는 버튼으로부터의 신호를 제공받아 구동모터(3)를 구동시키는 도시않은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동력전달파트(8)는, 구동모터(3)의 구동축(4)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판상의 구동판(7)과, 구동판(7)과 구동축(4)을 연결하는 조인트(6)를 포함한다. 조인트(6)는 구동축(4)의 자유단부를 수용하는 결합공(6a)과, 구동판(7)을 수용하기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결합슬롯(6b)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결합공(6a)과 결합슬롯(6b)에는 구동축(4)과 구동판(7)이 수용된 다음, 나사 등으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회전샤프트(10)는, 고정부재(20)를 향해 접근 및 이반되는 로킹부(11)와, 회전샤프트(10)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연장돌출되어 회전샤프트(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턱(12)과, 동력전달파트(8)를 향해 연장되어 구동판(7)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전달부(13)를 포함한다.
로킹부(11)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산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수나사산이다. 이 때, 나사산은 외주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된 암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달부(13)는 이동제한턱(12)을 중심으로 로킹부(11)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긴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전달부(13) 폭의 중앙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긴 수용슬롯(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슬롯(14)에는 동력전달파트(8)의 구동판(7)이 수용된다. 이 때, 구동판(7)과 수용슬롯(14)은 아무런 결합수단도 가지지 아니한다.
이러한 회전샤프트(10)를 지지하여 회전을 안내하는 샤프트가이드(15)는 도어의 도어프레임을 향한 단부에 설치되며, 샤프트가이드(15)에는 회전샤프트(10)의 로킹부(11)가 관통하는 관통공(16)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6)의 내경면에는 로킹부(11)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관통공(16)의 나사산과 로킹부(11)의 나사산이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고, 구동판(7)과 전달부(13)는 아무런 결합수단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구동모터(3)의 구동시 구동판(7)에 의해 회전샤프트(10)가 회전하면, 전달부(13)의 수용슬롯(14)에 수용된 구동판(7)과 전달부(13) 간의 거리가 점점 이격되거나 접근하게 되고, 이 때, 회전샤프트(10)가 관통공(16)을 따라 회전하면서 회전샤프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가능하게 된다.
한편, 고정부재(20)는, 도어프레임에 접하는 접촉판(21)과, 접촉판(21)의 중앙영역에 도어프레임을 향해 돌출한 돌출부(22)와, 접촉판(21)과 돌출부(22)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회전샤프트(10)의 로킹부(11)가 수용되는 수용공(23)과, 수용공(23)의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어 고정부재(20)를 도어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나사공(24)을 포함한다. 여기서, 수용공(23)에는로킹부(11)의 숫나사산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20)와 로킹본체(1)를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외부에 설치할 경우, 고정부재(20)의 돌출부(22)를 접촉판(21)의 전면에 설치하고, 돌출부(22)에 접촉판(21)의 판면방향을 따라 수용공(2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로킹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가 잠금해제된 상태에서 외부나 내부에서 키 또는 버튼 또는 노브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도록 조작하면, 제어부에서는 구동모터(3)에 전원공급부(2)로부터의 순방향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모터(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조인트(6)에 의해 구동모터(3)의 구동축(4)과 결합된 구동판(7)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판(7)이 회전하면, 구동판(7)이 수용된 회전샤프트(10)의 전달부(13)가 회전하게 되고, 이 때, 로킹부(11)의 숫나사산과 샤프트가이드(15)의 관통공(16)의 암나사산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로킹부(11)가 관통공(16)내에서 회전하면서 고정부재(20)를 향해 전진하게 된다. 이 때, 전달부(13)의 수용슬롯(14)내에서 구동판(7)과 전달부(13) 간의 거리가 이격되게 된다. 계속 전진하여 관통공(16)을 통과한 로킹부(11)가 고정부재(20)의 수용공(23)에 도달하면 로킹부(11)의 수나사산과 수용공(23)의 암나사산이 상호 맞물리어 로킹부(11)가 계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수용공(23)내에 삽입된다. 제어부에서는 구동모터(3)의 회전시간이 일정 시간에 도달하면 로킹부(11)가 수용공(23)내에 완전히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구동모터(3)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회전샤프트(10)의이동제한턱(12)이 샤프트가이드(15)의 벽에 접하게 되면, 구동모터(3)에 부하가 가해지므로, 이 때, 부하에 의해 구동모터(3)가 자동으로 전원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잠금해제되는 경우에는 잠금과정과 반대로, 먼저, 키 또는 버튼 또는 노브를 이용하여 도어를 해제하도록 조작하면, 제어부에서는 구동모터(3)에 전원공급부(2)로부터 역방향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모터(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축(4)과 구동판(7)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샤프트(10)의 로킹부(11)가 수용홈과 관통공(16)을 따라 회전하면서 로킹본체(1)를 향해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로킹장치는, 구동모터(3)를 이용하여 회전샤프트(10)를 회전시켜 회전샤프트(10)가 고정부재(20)의 수용공(23)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샤프트(10)가 고정부재(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공(23)과 로킹부(11) 사이에는 공간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수용공(23)과 로킹부(11)가 상호 나사산으로 맞물려 상호 긴밀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도어를 밀거나 흔드는 등의 충격을 가하더라도, 회전샤프트(10)가 수용공(23)내에서 유동하지 아니하므로, 회전샤프트(10)가 파손되거나 수용공(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잠금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3)를 사용하였으나, 솔레노이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솔레노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축의 축방향 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줄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 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랙과 피니언을설치함으로써,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회전샤프트(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3)를 구동축(4)과 회전샤프트(10)가 상호 직교하도록 배치한 경우에는 구동축(4)의 단부와 조인트(6)이 단부에 각각 베벨기어를 설치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3)나 솔레이노이드 등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키나 노브를 사용하여 직접 회전력을 전달할 경우에는, 조인트(6)의 단부에 베벨기어를 설치하고, 이 베벨기어에 직교하여 맞물리는 베벨기어를 설치하고, 베벨기어의 단부에 키홈이나 노브를 설치하여 베벨기어를 직접 회전시키도록 하는 방법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샤프트를 회전시켜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시킴으로써, 회전샤프트의 유동을 방지하여 도어의 잠금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도어를 잠금 및 잠금해제시키는 로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의 적어도 일측면에 접하는 도어프레임중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어와 도어프레임중 타측을 향해 돌출 및 철회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파트와, 상기 구동파트로부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전달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의 외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이동을 안내하며, 상기 회전샤프트가 통과하고 그 내경면에 상기 회전샤프트의 나사산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을 갖는 샤프트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파트는,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부면에는 키, 버튼, 노브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파트는, 상기 키, 버튼, 노브 중 하나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전원을 상기 구동모터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도어프레임을 향해 접근 및 이반되는 로킹부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연장돌출되어 상기 회전샤프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턱과, 상기 동력전달파트를 향해 연장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파트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판상의 구동판과, 상기 구동판과 상기 구동축을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장치.
KR1020010023890A 2001-05-02 2001-05-02 로킹장치 KR20020084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890A KR20020084540A (ko) 2001-05-02 2001-05-02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3890A KR20020084540A (ko) 2001-05-02 2001-05-02 로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540A true KR20020084540A (ko) 2002-11-09

Family

ID=2770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890A KR20020084540A (ko) 2001-05-02 2001-05-02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45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072A (ko) * 2002-12-02 2004-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닫음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852Y1 (ko) * 1991-04-17 1993-05-24 임성규 견지낚시대
KR960027326U (ko) * 1995-01-24 1996-08-17 박동연 도어록
KR19980045044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차량의 루프패널 보강구조
US5911460A (en) * 1997-02-25 1999-06-15 Georgia Tech Research Corp. Jamb pocket latch bolt assembly release apparatus
JP2001028310A (ja) * 1999-07-14 2001-01-30 Takigen Mfg Co Ltd 電動ロ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852Y1 (ko) * 1991-04-17 1993-05-24 임성규 견지낚시대
KR960027326U (ko) * 1995-01-24 1996-08-17 박동연 도어록
KR19980045044U (ko) * 1996-12-27 1998-09-25 김영귀 차량의 루프패널 보강구조
US5911460A (en) * 1997-02-25 1999-06-15 Georgia Tech Research Corp. Jamb pocket latch bolt assembly release apparatus
JP2001028310A (ja) * 1999-07-14 2001-01-30 Takigen Mfg Co Ltd 電動ロッ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8072A (ko) * 2002-12-02 2004-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닫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1967B1 (en) Handle device
TWI564465B (zh) 具有自由旋轉盤座的手動驅動電子門栓總成
WO1998002630A1 (en) Lockset with motorized system for locking and unlocking
KR20020084540A (ko) 로킹장치
EP4023844A1 (en) Lock cylinder and lock
EP3907353A1 (en) Door lock and door system
JP2008100643A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20180106707A (ko) 디지털 도어락
EP1396308B1 (en) Cutter driving apparatus in boring machine
KR20070060695A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수동해제장치
KR102218094B1 (ko) 전자식 도어 잠금 장치
CN111472612A (zh) 一种门用锁体防盗结构以及防盗门
KR100479978B1 (ko) 도어록 백세트
CN218117490U (zh) 一种内置驱动装置的解锁面板
CN114541879B (zh) 电动锁具
CN217326833U (zh) 一种锁具
JPH09193043A (ja) 嵌挿体の引抜き装置
KR200264884Y1 (ko)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EP4019719B1 (en) Locking device
JP2005139853A (ja) 電子式ドアロック装置
JP3219824U (ja) 扉開閉装置
CN216043175U (zh) 一种具有应急装置的全自动三向保密柜锁
CN214835477U (zh) 一种锁体防暴装置
CN217326844U (zh) 一种锁具
JP7178708B2 (ja) 扉用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