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884Y1 -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884Y1
KR200264884Y1 KR2020010031526U KR20010031526U KR200264884Y1 KR 200264884 Y1 KR200264884 Y1 KR 200264884Y1 KR 2020010031526 U KR2020010031526 U KR 2020010031526U KR 20010031526 U KR20010031526 U KR 20010031526U KR 200264884 Y1 KR200264884 Y1 KR 200264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door
key
outdoo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창근
이인수
Original Assignee
(주)동광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광알파 filed Critical (주)동광알파
Priority to KR2020010031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884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Digital Door Locker)에 있어서, 자체 발전수단을 구비하여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에 수용된 전원부가 방전되었을 때에 자체 발전하여 작동할 수 있으며, 전력소모량이 적고 저전압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실외손잡이(11)가 일단에 체결된 실외축(13)과, 실내손잡이(91)가 일단에 체결된 실내축(93)과, 도어(1)의 외측면에 노출된 키패드(15)와, 실내축(93) 둘레에 체결되어 실내축(93)의 회전여부에 따라 도어(1)의 잠금 및 잠금해제하는 도어래치(7) 및, 도어래치(7)의 잠금해제암호를 저장하고 있는 제어부(70)를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로서, 마주하는 실외축(13)과 실내축(93)의 어느 한 축의 단부에 위치하여 실외축(13)과 실내축(93)을 함께 수용하도록 실외축(13)과 실내축(93)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파이프(40)와, 실내축(93)과 실외축(13)의 단부를 함께 수용하거나 혹은 어느 한 축의 단부만을 수용하도록 파이프(40)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부(50)를 포함하며, 키패드(15)로 입력된 일련번호와 제어부(70)에 저장된 암호가 일치하면 파이프(40)가 실외축(13)과 실내축(93)을 함께 수용하여 실외축(13)의 회전을 실내축(93)으로 전달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Digital door locker}
본 고안은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잠금기능을 해제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력소모량이 적고 저압의 전원에 의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고, 현관문 또는 자동차 도어에는 인증되지 않는 사람의 출입을 금지하기 위해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잠금장치는 잠금장치에 맞는 열쇠가 있어 열쇠를 가진 사람이 잠금장치의 슬릿에 열쇠를 삽입하고 회전시킴으로써, 잠금장치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런 열쇠에 의해 작동하는 잠금장치는 열쇠를 분실할 우려가 있으며, 열쇠를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인증된 사람이라도 출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런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는 키패드를 구비하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신호에 따라 잠금장치의 잠금해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런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는 열쇠가 없이도 잠금장치의 잠금해제가 가능함으로써, 종래의 열쇠식 잠금장치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한편,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잠금기능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잠금스위치를 작동하여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방식, 잠금레버를 작동하여 잠그는 방식 및, 도어를 닫으면 자동으로 잠겨지는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런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제는 키패드 상에서 입력하는 비밀번호 등과 같은 인식수단에 의해 온오프되는 전기적 구동장치에 의해이루어진다.
이러한 전기적 구동장치에 공급할 전원은 일반적으로 급전선을 경유하여 공급되는데, 정전시에는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제가 불가능해진다. 일부의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에서는 이러한 비상시에 사용할 전원으로서 배터리나 자체발전기 등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와 자체발전기의 용량은 매우 작으므로, 전기적 구동장치는 전력소모량이 적고 저전압으로 작동될 것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전기적 구동장치는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제를 안정적으로 행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외부에서의 고의적인 충격에 의해 쉽사리 손상되지 않아야 하고, 사용에 의한 마모도 적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제수단에서는 전력소모량이 적고 저전압에서 작동하면서도 잠금 및 해제를 안정적으로 행해야 하며, 내구성이 강해야 한다는 상충되는 요구가 존재한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전력소모량이 적고 저전압에서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잠금 및 해제수단을 구비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 고안은 그러한 잠금 및 해제수단을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비상전원을 구비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휠과 실내축 및 실외축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 10 : 외측샤시
11 : 실외손잡이 13 : 실외축
15 : 키패드 20 : 휠
35 : 발전기 40 : 파이프
50 : 모터 70 : 제어부
90 : 내측샤시 93 : 실내축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게 구성된 고정샤시와, 상기 고정샤시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된 제 1 축과, 상기 제 1 축이 회전함에 따라 도어잠금위치와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도어래치와, 상기 제 1 축과 단부끼리 맞대어진 채로 상기 고정샤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제 2 축과, 상기 제 1 축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홈과, 상기 제 2 축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홈과, 상기 제 1 축에 형성된 키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래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와, 상기 키에 형성된 래크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키가 상기 제 1 축의 키홈과 상기 제 2 축의 키홈에 공존하는 위치와 상기 제 1, 제 2 축 중에서 어느 한 축의 키홈에만 존재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키를 이동시키는 전기적 구동장치 및, 상기 전기적 구동장치에 대해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키가 공존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축도 동시에 회전하며, 상기 키가 상기 제 1, 제 2 축 중에서 어느 한 축의 키홈 속에만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축을 회전시켜도 상기 제 1 축이 회전하지 않게 구성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키가 상기 제 1 축을 둘러싸는 파이프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래크는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형성된다.
좀 더 양호하게는 상기 제 1 축의 외면 및 상기 제 2 축의 외면에는 각각 2개의 키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의 내면에는 2개의 키가 형성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전기적 구동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피니언기어에 전달하는 감속기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축의 단부에서는 길이방향으로 로드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 2 축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축의 로드를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가 상기 구멍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축의 축심이 서로 일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발전기 및, 상기 실린더의 회전운동을 상기 발전기에 전달하는 전동메카니즘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전동메카니즘이 상기 제 2 축에 부착되어 상기 제 2 축과 함께 회전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열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스위칭수단은 디지털 암호를 입력하여 작동하는 키패드, 화상인식장치, 또는 지문인식장치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제 1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좀 더 양호하게는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제 2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도 1에 도시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휠과 실내축 및 실외축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100)는 실외손잡이(1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사각의 실외축(13)과, 이런 실외축(13)과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실내손잡이(9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사각의 실내축(93)을 갖는다. 그리고, 실내축(93)과 실외축(13)의 마주하는 단부를 함께 수용하여 실외축(13)의 회전을 실내축(93)으로 전달하는 파이프(40)를 포함하며, 실외축(13) 둘레에 휠(20)이 고정되고 발전기(35)가 회전전달기어(31)를 거쳐 휠(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실외손잡이(11)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35)는 발전한다.
그리고, 휠(20)과 발전기(35) 및 파이프(40)는 키패드(15)가 설치된 외측샤시(10)에 수용되어 도어(1)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위치하며, 도어(1)의 내측면에는 내측샤시(90)가 고정되어 위치한다. 이런 내측샤시(90)와 외측샤시(10)의 사이에 도어(1)가 위치하며 실내축(93)은 내측샤시(90)와 도어(1)를 관통하여 외측샤시(10)를 관통한 실외축(13)의 단부와 맞대응하게 위치한다.
한편, 도어(1)의 내부에 위치한 실내축(93)을 실린더(9)가 감싸고 있으며, 실린더(9)를 관통한 일반적인 도어래치(7)가 실내축(93)에 체결된다. 도어래치(7)는 실내축(93)의 회전에 의해 작동하며 도어(1)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도어프레임(3)의 홈(도면에 도시안됨)에 삽입되어 도어(1)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의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100)는 실내손잡이(91)의 회전에 의해 도어래치(7)가 잠금 및 잠금해제 작동을 수행하며, 파이프(40)가 실외축(13)과 실내축(93)의 단부를 함께 수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실외손잡이(11)를 회전하더라도 도어래치(7)가 작동하지 않으며, 파이프(40)가 수평이동하여 실외축(13)과 실내축(93)의 단부를 함께 수용한 상태에서만 실외손잡이(11)를 회전하여 도어(1)를 열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100)의 제어부(70)에 기억된 일련번호의 암호와 일치하는 일련번호를 순차적으로 키패드(15)를 통해 입력하였을 때에 파이프(40)가 실외축(13)과 실내축(93)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이동하여 실외축(13)과 실내축(93)의 단부를 함께 수용하며, 이런 상태에서는 실외손잡이(11)를 회전하여 도어(1)를 열 수 있으나, 키패드(15)의 입력번호를 잘못 입력하거나 번호를 입력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파이프(40)가 수평이동하지 않고 실외축(13)의 단부만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외손잡이(11)를 회전시켜도 도어(1)를 열 수 없게 된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구성요소 및 그 구성요소의 유기적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축(13)은 외측샤시(10)와 휠(20)을 관통하여 실내축(93)의 단부를 향해 위치한다. 휠(20)에는 그 원주를 따라 치차(22)가 형성되고, 휠(20)에는 소정의 원주를 갖는 두 장공(29)이 실외축(13)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1)의 외측면과 마주하는 휠(20)의 일면이 휠(20)의 정면이라 하였을 때에 도어(1)의 내측면과 마주한 휠(20)의 배면에는 제 1 고정볼트(23)가 휠(20)과 외측샤시(10)를 관통하여 실외손잡이(11)에 체결되며, 휠(20)의 두 장공(29)에는 각각 제 2 고정볼트(26)가 삽입되어외측샤시(10)의 내면에 체결된다. 이런 상태에서 실외손잡이(11)의 선회에 의해 휠(20)이 회전하면 휠(20)의 장공(29) 양단부와 스토퍼 역할을 하는 제 2 고정볼트(26)가 간섭하여 실외손잡이(11)의 선회각도는 제한되며, 이런 실외손잡이(11)의 선회각도 범위는 90도 이하가 양호하다.
그리고, 실외축(13)의 단면 중심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구멍(19)이 실외축(13)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실내축(93)의 단면 중심에는 탐침봉(94)이 형성되어 실외축(13)의 구멍(19)에 삽입된다.
이런 실외축(13)과 실내축(93)이 마주하는 각 단부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원기둥의 둘레에는 두 개의 키홈(17, 97)이 원기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런 키홈(17, 97)의 위치는 원기둥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고, 실외축(13)과 실내축(93)에 각각 형성된 키홈(17, 97)은 일직선 상에서 상호 맞대응하도록 위치한다.
한편, 실외축(13)의 단부 둘레에는 파이프(40)가 위치하는데, 이런 파이프(40)의 내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2개의 키(42)가 위치하며, 키(42)가 실외축(13)의 키홈(17)과 실내축(93)의 키홈(97)에 삽입된 상태로 파이프(40)는 실외축(13)과 실내축(93)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한다. 이런 파이프(40)는 실외축(13)의 단부를 감싼 상태로, 실외축(13)의 길이를 따라 수평이동하면서 실내축(93)의 단부를 함께 수용하도록 왕래한다. 또한, 파이프(40)의 외면에는 래크(44)가 형성되는데, 파이프(4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래크(44)는 파이프(40)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파이프(40)의 하부에는 피니언(52)이 래크(44)와 맞물려 있고 이런 피니언(52)은 감속장치가 설치된 모터(50)의 회전축에 고정된다.
한편, 휠(20)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치차(22)에는 회전전달기어(31)가 맞물려 위치한다. 그리고, 회전전달기어(31)에는 구동기어(33)가 맞물리고, 구동기어(33)는 발전기(35)의 회전축이 고정된다. 따라서, 휠(20)의 회전은 회전전달기어(31)를 통해 구동기어(33)로 전달되며 발전기(35)의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발전한다. 이렇게 생성된 전원은 충전지(38)에 충전된다.
한편, 이 실시예에 따른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는 내측샤시(9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어부(70)는 키패드(15)를 통해 입력되는 일련번호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암호의 일련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일치하면, 충전지(38)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80)를 회전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출입자가 실내에서 실외로 외출하기 위해 실내손잡이(91)를 선회시키면, 실내축(93)은 회전하면서 도어프레임(3)에 체결된 도어래치(7)를 도어(1) 안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런 상태에서 도어(1)를 열고 외출하며, 도어(1)가 닫혀지게 되면 도어래치(7)는 도어프레임(3)에 다시 체결된다.
한편, 외부에서 도어(1)를 열고자 입력번호를 잘못 입력하거나 입력하지 않고 실외손잡이(11)를 회전시켰을 때에는 모터(50)가 구동하지 않아, 파이프(40)는 실외축(13)의 단부만을 수용하는 상태가 되어 실외축(13)은 실내축(93)과 상대회전하면서 그 회전력은 실내축(93)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래치(7)는 도어프레임(3)의 홈에 삽입된 상태로 잠금이 해제되지 않아 도어(1)를 열 수 없게 된다.
한편, 출입자가 키패드(15)를 통해 옳은 일련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70)에서는 이를 기억된 암호의 일련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 후에 일치하면, 모터(50)를 구동시킨다. 모터(50)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52)이 회전하며 피니언(52)에 맞물려 있는 파이프(40)는 실외축(13)과 실내축(93)의 마주하는 단부를 함께 수용하는 방향, 즉 실외축(13)의 단부와 실내축(93)의 단부가 상호 마주하는 쪽으로 수평이동하여 실내외축(93, 13)의 단부를 함께 수용한다. 이런 상태에서 실외손잡이(11)가 선회하게 되면 실외손잡이(11)의 선회는 파이프(40)를 통해 실내축(93)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실내축(93)이 회전하면서 도어래치(7)를 도어(1)의 안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도어(1)와 도어프레임(3)의 잠금을 해제한다.
한편, 출입자가 장기간 외출하였을 경우에는 충전지(38)의 전원이 방전되어 옳은 일련번호를 입력하더라도 모터(50)가 구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 출입자는 실외손잡이(11)를 다수 회 선회시키면, 실외손잡이(11)에 고정된 휠(20)이 회전하면서 발전기(35)의 회전축을 구동시키는데, 발전기(35)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원은 충전지(38)에 충전되고, 이렇게 생성된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50)를 구동시켜 잠금을 해제한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이 실시예의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100)에 있어서는 키패드(15)를 통해 입력되는 일련번호가 맞는지의 여부에 따라 출입자를 인증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입자의 신체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과 저장된 영상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출입자를 인증하는 화상인식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출입자의 지문을 스캐닝하여 출입자를 인증하는 지문인식장치를 설치될 수 있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는 잠금장치 내의 충전지가 방전되더라도 발전하여 잠금장치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3)

  1. 도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게 구성된 고정샤시와,
    상기 고정샤시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조립된 제 1 축과,
    상기 제 1 축이 회전함에 따라 도어잠금위치와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도어래치와,
    상기 제 1 축과 단부끼리 맞대어진 채로 상기 고정샤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 제 2 축과,
    상기 제 1 축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홈과,
    상기 제 2 축의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홈과,
    상기 제 1 축에 형성된 키홈에 삽입되어 있으며 래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와,
    상기 키에 형성된 래크에 결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키가 상기 제 1 축의 키홈과 상기 제 2 축의 키홈에 공존하는 위치와 상기 제 1, 제 2 축 중에서 어느 한 축의 키홈에만 존재하는 위치 사이에서 상기 키를 이동시키는 전기적 구동장치 및,
    상기 전기적 구동장치에 대해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스위칭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키가 공존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 1 축도 동시에 회전하며, 상기 키가 상기 제 1, 제 2 축 중에서 어느 한 축의 키홈 속에만 있을 때에는 상기 제 2 축을 회전시켜도 상기 제 1 축이 회전하지 않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가 상기 제 1 축을 둘러싸는 파이프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래크는 상기 파이프의 외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의 외면 및 상기 제 2 축의 외면에는 각각 2개의 키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의 내면에는 2개의 키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구동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피니언기어에 전달하는 감속기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축의 단부에서는 길이방향으로 로드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 2 축의 단부에는 상기 제 1 축의 로드를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가 상기 구멍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축의 축심이 서로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전기 및, 상기 실린더의 회전운동을 상기 발전기에 전달하는 전동메카니즘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메카니즘이 상기 제 2 축에 부착되어 상기 제 2 축과 함께 회전하는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디지털 암호를 입력하여 작동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디지털 암호를 입력하여 작동하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화상인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도어잠금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지문인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제 1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제 2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KR2020010031526U 2001-10-16 2001-10-16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KR200264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26U KR200264884Y1 (ko) 2001-10-16 2001-10-16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526U KR200264884Y1 (ko) 2001-10-16 2001-10-16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1584A Division KR100380758B1 (ko) 2001-07-11 2001-07-11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884Y1 true KR200264884Y1 (ko) 2002-02-25

Family

ID=73082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526U KR200264884Y1 (ko) 2001-10-16 2001-10-16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88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69B1 (ko) * 2002-02-28 2004-08-21 (주)중경 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KR100752498B1 (ko) 2004-10-29 2007-08-30 백운 도어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1143449B1 (ko) * 2005-10-06 2012-05-23 한옥순 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69B1 (ko) * 2002-02-28 2004-08-21 (주)중경 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KR100752498B1 (ko) 2004-10-29 2007-08-30 백운 도어 회전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1143449B1 (ko) * 2005-10-06 2012-05-23 한옥순 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20109B (fi) Lukkorunko
KR200456982Y1 (ko) 일체형 구동부 데드 볼트를 구비한 튜블러형 디지털 도어록
EP3782503B1 (en) Electronic key storage case
EP2710208B1 (en) A locking device
JPS61286479A (ja) 安全組合わせロツク
US7686354B2 (en) Lock bolt release system and method
WO2016068459A1 (ko) 전자식 잠금장치
JP4474740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操作制御装置
KR20100001156A (ko) 캠 방식의 자동 잠금장치를 갖춘 전자식 금고
KR200264884Y1 (ko)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KR100380758B1 (ko)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JPH07119533B2 (ja) 電動式施錠装置
KR100446255B1 (ko)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KR20180106707A (ko) 디지털 도어락
KR200264870Y1 (ko) 디지털 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전기작동식 도어잠금장치
KR200311370Y1 (ko)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 록킹 장치
KR100961099B1 (ko)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KR100380836B1 (ko) 잠금장치
EP0704015A1 (en) Superlock feature for an automotive door locking actuator
KR100418212B1 (ko) 도어록의 열쇠구멍 개폐장치
KR200334250Y1 (ko) 디지털 도어록
KR20050100215A (ko) 자동차용 도어손잡이 숨김장치
CN112469878B (zh)
KR102163599B1 (ko) 잠금 장치
JP2733830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