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099B1 -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099B1
KR100961099B1 KR1020080017986A KR20080017986A KR100961099B1 KR 100961099 B1 KR100961099 B1 KR 100961099B1 KR 1020080017986 A KR1020080017986 A KR 1020080017986A KR 20080017986 A KR20080017986 A KR 20080017986A KR 100961099 B1 KR100961099 B1 KR 10096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ing device
restraining means
plate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2637A (ko
Inventor
박갑환
Original Assignee
박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환 filed Critical 박갑환
Priority to KR102008001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099B1/ko
Publication of KR2009009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고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며, 실내에서 도어의 구속을 수동 조작 가능한 조작수단이 구비되는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의 배면 일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에 제공되며,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잠그는 구속수단; 상기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구속수단들이 작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하나의 구동장치; 상기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리모콘에 의해 입력받아 전달하는 제어장치; 상기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 상기 구동장치와 구속수단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을 상기 구속수단으로 전달하는 전달기구; 상기 전달기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구속수단의 이동을 수동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어, 도어락, 리모콘, 구속

Description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 A doorlock and door system using this }
본 발명은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현관 또는 아파트의 현관의 입구에는 도어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도어는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회동 조작하는 것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원하지 않는 외부로의 침입이나 방범을 위해 잠금장치가 장착되어 도어를 내외부에서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잠금 장치는 통상 외부에서 열쇠로 잠그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열쇠를 이용하는 잠금장치는 열쇠의 분실시 도어를 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많은 경우 다수의 열쇠를 보유하여야 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열쇠를 이용한 잠금장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전자개폐방식의 도어락이 채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어의 외측에 번호키패드나, 지문인식 또는 알에프아이디(RFID)방식의 패드 및 카드 등을 이용하여 도어를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장착되는 도어락이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도어락은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드 및 카드의 소지가 용이하고,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 또한 전자식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한층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도어락 외에도 원거리에서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리모트 컨트롤방식의 도어락이 있으며, 이러한 리모트 컨트롤 방식의 도어락 또한 외부에서 조작가능한 조작부가 도어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락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도어락은 도어락의 일부가 도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태이며, 조작하는 부위가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도어의 잠금부위를 외부에서 정확하게 예측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침입하고자 하는 사람이 도어의 잠금부위를 파악하여 전기충격이나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도어락을 파손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내부로의 침입 등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내부에 장착되고 리모콘의 조작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며, 실내에서 도어의 구속을 수동 조작 가능한 조작수단이 구비되는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은, 다수의 구성이 장착되는 면을 제공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단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잠그는 구속수단;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되며, 상기 구속수단들이 작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하나의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구속수단을 연결하며,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좌우 양측단의 구속수단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달기구;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리모콘에 의해 입력받아 전달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전달기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구속수단의 이동을 수동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속수단과, 구동장치, 제어장치, 전원장치 및 전달기구는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매립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상기 플레이트 외측면에 장착되는 상기 구속수단과, 구동장치, 제어장치, 전원장치 및 전달기구는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수평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달기구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도어 일측의 구속수단으로 연장되는 제1로드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도어 타측의 구속구단으로 연장되는 제2로드와;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속수단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달기구는,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평기어 형상의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와 기어결합되며, 상기 연결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일측의 구속수단으로 전달하는 제1전달부재와; 상기 연결기어와 기어결합되며, 상기 연결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타측의 구속수단으로 전달하는 제2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수단은 충전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어의 외측단에는 외부의 전원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수단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을 이용한 도어 시스템은,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리모콘; 상기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리모콘의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도어락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락은, 판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좌우 양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를 구속하는 구속수단과;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구속수단이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속수단과 구동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속수단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전달기구;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구동장치 및 제어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달기구에는 사용자가 실내측에서 조작하여 상기 전달기구를 동작시킬 수 있는 조작수단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어락은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매립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도어락은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별도의 커버가 구비되어 내부의 구성이 차폐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은, 도어의 개폐를 위한 잠금 및 잠금해제가 리모콘으로 이루어지며, 도어락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이 도어의 외측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에서는 상기 도어의 잠금 위치를 전혀 알 수 없으며, 외부에서 무단 침입하고자 하는 시도를 원천적으로 차단 가능하게 된다.
특히, 구속수단이 양측에 존재하여 도어를 구속하는 경우에는 도어를 보다 완벽하게 잠금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외부에서의 침입을 위한 도어의 해체 및 물리적 시도가 어렵게 된다.
또한, 도어락이 다수개 구비되고, 그 위치를 다양하게 할 경우 이와 같은 침입방지의 효과는 더욱 더 커지게 된다.
그리고, 도어의 잠금과 잠금해제를 리모콘 조작으로 가능하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는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하여 실내에서는 리모콘의 조작 없이 도어락의 상태를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한층 더 증대된다.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는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수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화재발생시 도어락의 훼손에 의해 리모콘에 의한 전자적인 조작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실내에서 수동조작에 의해 도어의 잠금해제가 가능하게 되므로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이 채용된 도어의 장착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이 채용된 도어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물의 벽체(W)에 도어(1)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는 회동에 의해 개폐가능한 구조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도어와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되며, 상기 도어(1)의 전면에는 손잡이(2)가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2)는 상기 도어(1)의 개폐조작을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는 일반적인 도어의 그것과 같이 회동조작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회동조작되지 않고 고정 장착되어 사용자가 도어(1)를 용이하게 밀고 당겨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1)와는 별도로 리모콘(10)이 제공된다. 상기 리모콘(10)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1)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 조작을 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리모콘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 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의 전면에는 상기 손잡이(2) 외에 상기 도어(1)의 잠금과 관련된 다른 어떤 구성도 노출되지 않게 된다
반면에, 상기 도어(1)의 후방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도어락(20)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1)의 배면에는 상기 도어락(2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형성된 도어락 장착부(3)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락 장착부(3)는 상기 도어락(20)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0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락(20)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 장착부(3)의 좌우 양측은 외측으로 개구되며, 개구된 부분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구속수단(200)이 출입되면서 상기 도어(1)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도 1 과 도 2 에는 상기 도어락 장착부(3)가 좌우로 개방되도록 구성되어있으나, 도어락(20)의 구성에 따라서 일측만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락 장착부(3)의 위치는 다양하게 배치 가능할 것이다. 예컨데 도면에서는 대략 중앙부에서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도어(1)의 상부 하부 어느 위치에도 가능하며, 가로방향이 아닌 세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1)의 구속을 위해 적어도 상기 도어락 장착부(3)의 일측이 상기 도어(1)의 외측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야만 할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요부구성인 전달기구의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도어락(2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어락(20)은 플레이트(100)와 구속수단(200), 구동장치(300), 제어장치(400), 전원장치(500), 전달기구(600) 및 조작수단(6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플레이트(100)는 상기 도어락(20)을 구성하는 다수의 구성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도어락 장착부(3)의 크기와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어락(20)의 장착시 상기 플레이트(100)는 상기 도어(1)의 배면 일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도어(1)의 배면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100)의 내측면 즉, 상기 도어(1)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는 구 속수단(200)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수단(200)은 상기 도어(1)가 선택적으로 잠금상태가 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도어(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으로, 벽체에 형성된 삽입구에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속수단(200)은 가이드블럭(210)과 락킹로드(22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블럭(210)은 상기 플레이트(100)의 좌우 양측단에 각각 배치되며,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블럭(210)은 상기 락킹로드(220)가 관통되어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락킹로드(22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장치(300)와 전달기구(6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럭(210)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도어(1)가 보다 안정적인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하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락킹로드(220)는 연결판(230)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00)의 배면에는 구동장치(3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장치(300)는 수평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방식에 의해 선택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도어락(20)의 장착위치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방식이 아닌 왕복운동 가능한 다른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0)의 배면 일측에는 제어장치(400)가 장착된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상기 구동장치(30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피씨비(PCB) 기판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400)에는 상기 리모콘(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가 내장되어 수신된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구동장치(300)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레이트(100)의 배면 다른 일측에는 전원장치(50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장치(500)는 상기 도어락(2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장치(400) 및 상기 구동장치(3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300)가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장치(500)는 교체 가능한 충전지(510)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장치(500)를 구성하는 충전지(510)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연결수단(52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전원연결수단(520)은 상기 충전지(510)의 일측과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상기 가이드블럭(210)의 일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단부(522)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외부로 노출된 단부(522)는 상기 벽체(W)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외부전원(도시되지 않음)과 선택적으로 접하게 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전원연결수단(520)의 단부(522)가 상기 벽체(W)의 외부전원과 접하여 통전상태가 되며, 따라서, 상기 전원연결수단(520)과 연결된 상기 충전지(510)를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도어(1)는 닫혀있는 상태에서만 도어(1)의 잠금 및잠금해재 조작이 필요하므로, 상기 전원장치(500)는 충전지(51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전원연결수단(520)이 직접 상기 제어장치(400)와 구동장치(300)에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300)와 구속수단(200)은 전달기구(60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전달기구(600)는 상기 구동장치(300)의 동력을 상기 구속수단(200)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동장치(300)의 수평왕복운동을 전달하여 상기 구속수단(200)이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달기구(600)는 제1로드(610)와 제2로드(620), 제3로드(630) 그리고 연결부재(64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1로드(610)는 상기 구속수단(200) 중 상기 플레이트(100)의 좌측(도 3 에서 볼 때)에 위치한 구속수단(20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2로드(620)는 상기 구속수단(200) 중 상기 플레이트(100)의 우측(도 3 에서 볼 때)에 위치한 구속수단(20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로드(610)와 제2로드(620)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서 상기 구속수단(200)은 상기 도어(1)의 외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로드(610)와 제2로드(62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대략 중앙부까지 길게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로드(610)와 제2로드(620)의 연장된 단부는 각각 연결부재(64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640)는 상기 구동장치(300)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제1로드(610)와 제2로드(62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폭의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하단이 각각 상기 제1로드(610)와 제2로드(620)의 단부에 각각 회동 가 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640)의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부재(640)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축(64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로드(620)와 대향되는 방향에는 제3로드(630)가 구비되며, 상기 제3로드(630)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구동장치(3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3로드(630)의 양단 중 일단은 상기 구동장치(300)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640)의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300)의 좌우 수평운동은 상기 제3로드(630)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640)를 회동시키게 되고, 상기 연결부재(64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640)의 상하단에 연결된 상기 제1로드(610)와 제2로드(620)는 좌우로 수평운동 하게 되어 상기 구속수단(200)이 상기 도어(1)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전달기구(600)를 구성하는 상기 제3로드(630)에는 조작수단(632)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수단(632)은 상기 제3로드(63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로드(630)의 일단에서 돌출형성되며, 상기 도어(1)의 배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내에서 상기 도어(1)의 배면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조작수단(632)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조작수단(632)의 좌우 수평방향의 조작으로 상기 제3로드(630)를 수동으로 좌우 수평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구속수단(2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 템의 작용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도어락(20)이 잠금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도 3 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640)는 수직한 상태가 되고, 상기 구속수단(200)을 구성하는 락킹로드(220)는 상기 가이드블럭(2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도어(1)가 개폐되는데 있어 아무런 장애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1)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전원장치(500)의 전원연결수단(520)이 상기 벽체(W)의 외부전원과 접하는 상태가 되어 외부의 전원을 상기 충전지(510)로 전달하게 되어 상기 충전지(510)가 항상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1)를 열거나 닫아 출입하게 되며, 외출시 상기 도어(1)를 닫은 후 잠그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1)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10)의 스위치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리모콘(10)을 통해 전달되는 닫힘신호는 상기 제어장치(400)의 수신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장치(400)에서는 상기 구동장치(300)의 동작을 지시하게 된다. 상기 제어장치(400)의 동작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장치(300)는 동작하게 되고 상기 제3로드(630)를 우측방향(도 3 에서 볼 때)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3로드(630)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640)은 회전축(64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도 3 에서 볼 때)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640)의 회전으로 상기 연결부재(640)의 상하단에 연결된 상기 제1로드(610)와 제2로드(620)는 각각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로드(610)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로드(620)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락킹로드(220)가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1)의 외측으로 돌출된 각각의 상기 락킹로드(220)는 상기 도어(1)가 닫혀있는 벽체(W)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는 완전한 잠금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도어(1)가 닫힌 후 잠금상태가 된 후에는 외부에서 상기 도어(1)를 바라볼때 상기 손잡이(2) 외에는 상기 도어락(20)을 구성하는 어떠한 구성도 노출되지 않아 상기 도어(1)의 구속 위치를 알 수 없게 되며, 상기 도어락(20)을 파손하기 위한 시도를 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1)를 실외에서 잠금해제 하기 위해서는 상기 리모콘(1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도어락(20)의 잠금해제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400)에서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장치(300)의 동작을 지시하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3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3로드(630)는 좌측방향(도 3 에서 볼 때)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3로드(6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640)은 상기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640)의 회전으로 상기 제1로드(610)와 제2로드(620)는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로드(610)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로드(62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로드(610)와 제2로드(620)에 연결된 상기 좌우측의 락킹로드(220)는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구속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는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사용자는 손잡이(2)를 파지하여 상기 도어(1)를 회동하여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수단(632)의 조작을 통해 상기 도어(1)의 잠금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되다.
즉, 상기 조작수단(632)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전달기구(60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속수단(200)의 외부 돌출을 조작가능하게 되어 상기 도어(1)의 잠금상태를 수동 조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들의 구성 중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요부구성인 전달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사시도로서, 도 3 과 도 5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도어락(20)의 구동장치(7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장치(70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축(720)이 돌출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기어(711)가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700)를 구성하는 모터는 정역회전이 가능하며, 제한된 각도 만큼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700)의 동력을 구속수단(200)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기구(710)는 연결기어(711)와 제1전달부재(712) 및 제2전달부재(713)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연결기어(711)는 상기 구동장치(70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에 기어이가 형성된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720)에 장착되어 모터의 동작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기어(711)의 직경은 상기 제1전달부재(712)와 제2전달부재(713)가 각각 외측에 접하여 기어결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전달부재(712)는 상기 연결기어(711)의 회전을 상기 좌측의 구속수단(20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제1전달부재(712)의 좌측단은 좌측에 위치한 상기 락킹로드(220)에 연결되고, 우측단은 렉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기어(711)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기어(7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전달부재(712)는 좌우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락킹로드(220)의 선택적인 돌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전달부재(713)는 상기 연결기어(711)의 회전을 상기 우측의 구속수단(200)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제2전달부재(713)의 우측단은 우측에 위치한 상기 락킹로드(220)에 연결되고, 좌측단은 렉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기어(711)의 외측면과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기어(7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전달부재(713)는 좌우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락킹로드(220)의 선택적인 돌출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모콘(10)을 통한 조작신호를 상기 제어장치(400)로 전달하게 되면, 상기 구동장치(700)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장치(7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전달부재(712)와 제2전달부재(713)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속수단(200)이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1)는 잠금상태 또는 잠금해제상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잠금해제상태에서 상기 도어(1)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720)의 상단에는 조작수단(73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수단(730)은 실내에서 상기 도어락(20)의 잠금상태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축(72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1)의 배면을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수단(730)을 파지한 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구속수단(200)의 선택적인 돌출을 조절하여 상기 도어(1)의 잠금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도어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도어락(20)을 구성하는 플레이트(100)는 상기 도어(1)의 배면에 장착되며, 실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배면에는 구속수단(200)과 구동장치(300), 제어장치(400), 전원장치(500), 전달기구(600) 및 조작수단(632)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00)의 후방에는 상기 플레이트(100)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 다수의 구성들을 모두 차폐하는 커버(110)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110)는 일면이 개구된 통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 레이트(100) 또는 도어(1)의 배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작수단(632)과 대응하는 커버(110)의 일측에는 상기 조작수단(632)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1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2)를 통해 상기 조작수단(632)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또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도어락의 장착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도어락(20)은 플레이트(120)와 구속수단(200), 구동장치(300), 제어장치(400), 전원장치(500) 그리고 조작수단(241)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20)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120)의 일단 예컨데 좌측단에는 락킹수단(220)과 가이드블럭(230)으로 구성되는 구속수단(20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수단(200)의 우측에는 상기 구동장치(30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40)가 더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40)에는 상기 구속수단(200)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선택적으로 돌출시킬 수 있는 조작수단(241)이 형성된다. 상기 조작수단(241)은 상기 연결부(240)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도어(1)의 배면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좌우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좌우조작에 따라 상기 구속수단(200)이 좌우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20)의 우측에는 좌우 수평이동 가능한 구동장치(300) 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300)는 상기 구속수단(200)의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300)의 좌우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구속수단(200)이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장치(3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기모터와 같이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구속수단(200)의 수평운동을 위해 랙과 같은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플레이트(120)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리모콘(1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장치(300)의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장치(400)가 장착되며, 상기 제어장치(400) 및 구동장치(3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장치(500)가 더 장착된다. 상기 전원장치(500)는 충전지로 구성되며, 상기 구속수단(20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연결수단(520)과 연결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락(20)은 상기 플레이트(120)가 상기 도어(1)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기 플레이트(120)에 장착된 구성들이 상기 도어(1)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매립되어 장착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플레이트(120)가 상기 도어(1)의 배면에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120)에 장착된 구성들을 차폐하는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어락(20)은 도 8 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도어(1)의 내측 또는 배면 다양한 위치에 장착 가능하게 될 것이며, 다수개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외부인은 상기 도어(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락(20)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개수 또한 짐작할 수 없게 되어 외부인의 침입시도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이 채용된 도어의 장착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이 채용된 도어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요부구성인 전달기구의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요부구성인 전달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도어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락의 또 다른 실시예가 채용된 도어락의 장착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

Claims (15)

  1. 다수의 구성이 장착되는 면을 제공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좌우 양측단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를 잠그는 구속수단;
    상기 플레이트에 제공되며, 상기 구속수단들이 작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하나의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구속수단을 연결하며,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좌우 양측단의 구속수단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달기구;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리모콘에 의해 입력받아 전달하는 제어장치;
    상기 제어장치 및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 및
    상기 전달기구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구속수단의 이동을 수동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수단과, 구동장치, 제어장치, 전원장치 및 전달기구는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매립되는 도어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상기 플레이트 외측면에 장착되는 상기 구속수단과, 구동장치, 제어장치, 전원장치 및 전달기구는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차폐되는 도어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수평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구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도어 일측의 구속수단으로 연장되는 제1로드와;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서 상기 도어 타측의 구속구단으로 연장되는 제2로드와;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연결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를 회전시키는 제3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속수단의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구는,
    상기 구동장치의 회전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평기어 형상의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와 기어결합되며, 상기 연결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일측의 구속수단으로 전달하는 제1전달부재와;
    상기 연결기어와 기어결합되며, 상기 연결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타측의 구속수단으로 전달하는 제2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락.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수단은 충전지로 이루어지는 도어락.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측단에는 외부의 전원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충전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연결수단이 더 구비되는 도어락.
  10. 도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리모콘;
    상기 도어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리모콘의 조작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도어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도어락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도어락은,
    판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좌우 양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를 구속하는 구속수단과;
    상기 플레이트에 구비되며, 구속수단이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구속수단과 구동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속수단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전달기구;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리모콘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구동장치 및 제어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기구에는 사용자가 실내측에서 조작하여 상기 전달기구를 동작시킬 수 있는 조작수단이 더 구비되는 도어 시스템.
  12. 삭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상기 도어의 내측에 매립되도록 장착되는 도어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은 상기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며, 별도의 커버가 구비되어 내부의 구성이 차폐되는 도어 시스템.
  15. 삭제
KR1020080017986A 2008-02-27 2008-02-27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KR100961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986A KR100961099B1 (ko) 2008-02-27 2008-02-27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986A KR100961099B1 (ko) 2008-02-27 2008-02-27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637A KR20090092637A (ko) 2009-09-01
KR100961099B1 true KR100961099B1 (ko) 2010-06-07

Family

ID=4130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986A KR100961099B1 (ko) 2008-02-27 2008-02-27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57B1 (ko) * 2012-01-19 2013-02-12 청 장 통전금구
CN105525814A (zh) * 2014-10-21 2016-04-27 一键锁屏有限公司 紧凑型通电铰链总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881B1 (ko) * 2018-04-12 2020-05-21 김영은 방범기능 및 방화기능이 개선된 도어락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98Y1 (ko) * 2005-08-01 2005-11-02 (주)라이코 디지탈 방식의 도어록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998Y1 (ko) * 2005-08-01 2005-11-02 (주)라이코 디지탈 방식의 도어록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57B1 (ko) * 2012-01-19 2013-02-12 청 장 통전금구
CN105525814A (zh) * 2014-10-21 2016-04-27 一键锁屏有限公司 紧凑型通电铰链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2637A (ko) 200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277B2 (en) Vehicle door opening/close device
US8199011B2 (en) Lock with electric locking function
JP2015512005A (ja) 自動ドアコントローラ及びドア作動機器
KR100961099B1 (ko) 도어락 및 이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TW202302977A (zh) 改良式門鎖
KR101990918B1 (ko) 슬라이드형 연동도어 모티스
KR100961878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록
AU2017383096B2 (en) An electric strike
JP4487458B2 (ja) 住宅用ドア自動開閉システム
KR200212695Y1 (ko) 전자 도어락
KR100923093B1 (ko) 도어락
JP2007092407A (ja) 開閉ドア
KR100734032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자동해정장치
KR200311370Y1 (ko) 전자식 도어록에 적용되는 전동 모티스 록킹 장치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JP2013049977A (ja) 引き違い窓の安全装置
JP6853672B2 (ja) ラ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ドア装置
KR100821308B1 (ko) 무선 도어락 장치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US20240125146A1 (en) Door assembly comprising an electrically driven drive assembly of the door lock
KR100562053B1 (ko) 보조 자물쇠 개폐장치
KR102580801B1 (ko) 디지털 도어락
ES2927180T3 (es) Disposición para la manipulación de un dispositivo de control remoto de cerradura de puerta de vehículo
KR100574688B1 (ko) 전자식 도어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