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141A - 해제 메카니즘을 가진 토크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해제 메카니즘을 가진 토크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4141A
KR20020084141A KR1020027010651A KR20027010651A KR20020084141A KR 20020084141 A KR20020084141 A KR 20020084141A KR 1020027010651 A KR1020027010651 A KR 1020027010651A KR 20027010651 A KR20027010651 A KR 20027010651A KR 20020084141 A KR20020084141 A KR 2002008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transmission
clutch
drive
transmission device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군터 히르트
Original Assignee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filed Critical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 베타일리궁스 카게
Publication of KR2002008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14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9/00Clutches and systems of clutches involving both fluid and magnetic actuation
    • F16D29/005Clutches and systems of clutches involving both fluid and magnetic actuation with a fluid pressure piston driven by an 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2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of a clutch system with a plurality of fluid 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6Control of fluid pressure, e.g. using an accumul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91Clutch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43Clutch type
    • F16D2500/1045Frictio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1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from the in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24Drive-of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 F16D2500/7041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6Strategy of control
    • F16D2500/70668Signal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either one of the parallel flow p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28Multiple concentric clutch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클러치 작동기와 작동장치가 형성된 하나이상의 제 1 클러치 장치를 포함하는 토크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역시 작동장치로 전달되는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시스템의 전체탄성과 마찬가지로 클러치 작동기, 구동장치, 작동수단의 탄성은 결정된 판단기준에 부합한다.

Description

해제 메카니즘을 가진 토크 전송장치{TORQUE TRANSMISSION DEVICE COMPRISING A CLUTCH OPERATOR}
상기 다른 변속위치는 특히 하나이상의 변속 위치에서 회전 특성이 바뀌지 않고 전송되거나 하나이상의 변속위치에서 회전특성이 전송되지 않거나 하나이상의 변속위치에서 회전특성이 변형된 형태로 전송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토크 전송 장치는 본 발명에서 특히 클러치 장치와 변속장치와 토크 변환기 장치를 가진다.
회전특성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토크 또는 속도와 같은 회전 가동 요소부분의 회전상태를 서술하는 특성 값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클러치 장치는 특히 다른 변속위치로 변화될 수 있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여기서 다른 변속위치에서는 특히 힘 또는 토크인 하나이상의 입력신호의 비율은 하나이상의 출력신호와는 다르고, 여기서 다른 변속위치가 클러치 장치를 통한 힘전송을 다르게 하기위해 바람직하며 여기서 특히 힘 또는 토크는 클러치에 의해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송되어지는 힘 또는 토크의 부분이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장치는 신호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전송하는 하나이상의 제 1 변속위치 또는 신호를 부분적으로 전송하는 하나이상의 제 2 변속위치 또는 어떤 입력신호도 기본적으로 전송하지 않는 제 3 변속위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러치 장치는 파워분기를 가지고 또는 가지지 않고 설계될 수 있으며 특히 마찰 클러치 또는 스타팅 클러치 또는 터닝 셋 클러치 또는 다판클러치 또는 자기 분말 클러치 또는 변환기 잠금 클러치 또는 클로 클러치 또는 자동클러치 또는 그외 다른 클러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장치는 전자적 또는 다른 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변속장치는 특히 변속기어 또는 자동변속기어로 또는 연속적으로 변속가능한 기어 또는 수동변속기어 또는 다른방법의 변속기어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변속장치는 특히 동력 변속 전달장치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크를 변화시킬 수 있는 장치 및 특히 동력 변속기어로 설계된 장치는 이미 공지된 바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르게 설계된 토크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토크전송장치, 특히 그 기능이나 편안함을 더 악화시키지 않고 클러치 장치의 해제통로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 변속 클러치의 해제 통로를 줄이는 것이다. 여기서 특히, 편안함과 기능적인 행동이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상 간단하고 작동신뢰성이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토크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후술하는 명세서 또는 수술하는 청구범위 또는 첨부된 도면에서 서술된 특징으로부터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을 가진 토크 전송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1, 2 또는 3 또는 4에 따른 토크 전송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토크 전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통해 또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구동장치와 마찬가지로 하나이상의 해제 메카니즘과 하나이상의 작동장치를 가지는 하나이상의 제 1 클러치 장치를 가진 토크전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A 토크 전송 장치는 본 발명에서 특히 입력 샤프트를 출력샤프트와 같은 하나이상의 출력부분의 하나이상의 동일하거나 다른 회전 특성으로 변환하는 것과 같이 하나이상의 회전가능한 가동 입력 부분의 하나이상의 회전 특성을 변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토크 전송장치는 특히 다른 변속 위치로 변화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송장치의 다른 장치의 탄성을 예시하여 도시하는 제 1 힘-통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송장치의 다른 장치의 탄성을 예시하여 도시하는 제 2 힘-통로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본 출원인에게 공지된 토크 전송 장치 및 상기 토크전송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부분 또는 장치이 탄성이 명백하게 공개된 제 4 통로 다이어그램의 대조도이다.
* 부호설명
1: 토크전송장치
10: 제 1 클러치장치 12: 제 2 클러치장치
14: 구동장치 16: 작동장치
18: 입력부분 20: 출력부분
22: 크랭크 샤프트 26: 제 1 샤프트
28, 30, 32, 34, 36, 38, 40, 42, 44: 휠
48: 제 2 샤프트 50,52: 스퍼휠
56, 58, 60: 제 3 클러치 장치 62: 작동장치
64: 전달단계 66: 제 1 전기 모터
68: 제 2 전기 모터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송 장치는 하나이상의 제 1 클러치가 제공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클러치 장치는 하나이상의 해제 메카니즘과 하나이상의 구동장치와 마찬가지로 하나이상의 작동장치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구동장치는 특히 하나이상의 제 1 에너지 형태인 입력 에너지 형태를 하나이상의 제 2 에너지형태인 출력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여기서 출력에너지 형태는 구성요소 부분 또는 이와 같은 것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는 특히 본 발명에서 전기 모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가진다.
해제 메카니즘은 본 발명에서 특히 입력샤프트에 연결된 구성요소부분과 출력샤프트에 연결된 구성요소부분을 가지며 서로 관련되어 움직일 수 있고 다른 관련위치에서 상기 요소들사이의 다른 힘 또는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하며 여기서 상기 다른 힘 또는 토크 전송은 상기 구성요소부분들 사이의 연결상태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구성요소 부분들이 특히 하나이상의 관련위치에서 직접 접촉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하게된다.
상기 해제 메카니즘은 하우징 또는 스톱 또는 클러치 커버 또는 클러치 디스크 및 여기서 적용할 수 있는 접촉 압력 플레이트 또는 리셋팅 스프링 또는 해제 레버 플레이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클러치 메카니즘의 해제 메카니즘이 하나이상의 클러치디스크가 한측면에서 클러치 커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분이 연결된 스톱과 다른 측면의 접촉 압력 플레이트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접촉압력 플레이트가 클러치디스크와 스톱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경우, 마찰력이 스톱과 하나이상의 클러치 사이 또는 클러치 디스크들 사이 또는 하나이상의 클러치 디스크와 접촉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증가하도록 클러치디스크를 로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해제 기계 장치가 로드할 수 있고, 접촉 압력 플레이트를 느슨하게 할수 있는 해제 레버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해제 레버는 작동 장치에 의해 로드되고 여기서 클러치 커버에 대해 필수적으로 지지된다. 이에따라 접촉압력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해제레버의 힘연결점은 클러치커버상의 상기 해제레버의 힘연결점과 작동장치상의 상기 해제레버의 힘연결점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해제 메카니즘은 즉, 특히, 상기 적절한 구성요소부분의 탄성특성으로 인해 상기 해제 메카니즘의 최대 해제통로를 미리설정된 작동 로드로 결정하는 구성요소 부분들 또는 구성요소 부분을 가지는 특정장치를 의미한다.
토크 전송장치 또는 클러치 장치의 해제통로는 이에따라 해제 메카니즘의 작동시 미리 설정된 구성요소부분의 영역 또는 미리 설정된 지점 또는 미리 설정된 구성요소부분이 움직여질 수 있거나 움직일 수 있는 미리 설정된 통로 섹션을 따른 미리 설정된 통로 위치 또는 미리 설정된 통로 섹션이다.
해제 통로는 특히 어떤 다른 지점에서 또는 접촉 압력 플레이트의 미리설정된 지점 또는 작동장치를 위한 연결지점과 같은 해제 레버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측정된다.
특히, 상기 해제 메카니즘과 상기 작동장치 사이의 연결 지점은 해제 레버가 해제 베어링상에서 지지하는 지점이다.
유압, 압축공기, 기계적, 전기 또는 전자기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한 작동장치는 해제 메카니즘으로 진행시키는 힘과 같은 작동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작동신호는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 메카니즘이 다르거나 다른 변속위치로 변화시키도록 영향을 미친다.
상기 제 1 미리 설정된 조건은 특히 작동신호의 형태 또는 동일성 특히 작동힘의 값이 다른 변속위치사이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제 2 미리설정된 조건하에서 작동신호는 해제 메카니즘이 미리 설정된 변속위치로 고정되거나 미리설정된 변속 위치로 남아있을 필요가 있도록 영향을 미친다.
변속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변속위치가 변화하지 않도록 영향을 미친다. 이것의 끝에서 미리설정된 고정 로드가 적용될 수 있거나 느슨하게 하는 동작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토크 전송 장치는 전기 또는 압축공기 또는 유압 또는 기계 도는 전기기계 또는 다른방법으로 설계되고 작동장치가 구동신호에 따라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작동장치를 행해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되는 구동 장치를 가진다.
상기 작동장치는 구동장치로부터 도입되는 힘 또는 구동장치로부터 도입되는 토크를 해제 메카니즘이 로드되는 힘으로 변환하고 이에따라 작동장치내부에서 필요한 경우 힘이 오직 선형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동장치와 작동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작동장치내부의 선형 힘전달이 보증되도록 설계되도록 제안된다.
토크가 그 작동장치의 내부로 또는, 어떤 다른 방법으로도 전송될 수 있도록 특히, 그 작동장치와 그 구동 장치가 또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작동장치의 제 1 전체 탄성 또는 구동장치의 제 2 전체 탄성 또는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제 3 전체 탄성은 해제 매카니즘의 제 4 전체 탄성의 약 50%에 이른다.
장치, 특히 작동장치 또는 구동 장치 또는 작동장치와 구동장치의 완전한 유닛 또는 해제 메카니즘의 전체 탄성은 본 발명에서 특히 상기 장치의 둘 또는 각 두 신호 전송지점사이에 제공되는 탄성을 의미하며 상기 신호 전송지점에서 신호는 상기 장치로 도입되거나 신호가 상기 장치로부터 나온다.
전체 탄성이 둘 또는 인접한 구성요소부분들의 각각의 두 전송지점 사이의 장치의 탄성동작을 나타내도록 상기 신호는 특정 힘내에 있다.
장치의 전체 탄성은 구성요소부분 또는 유압 유체 또는 상기 장치의 가스와 같은 다른 매체의 개개의 탄성을 통하여 결정되고 신호는 특히 힘이 장치 내에서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치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른 확장수단은 특히 신호전송확장수단이라 불린다.
미리 설정된 장치의 신호 전송 확장수단은 따라서 특히 신호가 상기 장치를 통해 인접하는 요소부분들에 둘이상의 신호전송지점사이에서 전송됨에 따른 확장수단이다.
상기 장치로 도입되거나 장치로부터 방출 또는 해제되는 신호는 특히 신호전송확장수단이 역시 힘전송 확장수단으로 불리는 경우를 위한 힘이다.
해제 메카니즘의 신호의 전송 확장수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해제 메카니즘의 변속위치가 바뀌도록 신호가 해제 메카니즘으로 작동장치로부터 도입되거나 그 반대일 때 신호가 해제 메카니즘내부로 전송되도록 설계된다.
신호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러치 디스크로 그리고 상기 클러치 디스크로부터 하우징과 같은 스톱으로 접촉 압력 플레이트를 통과하는 신호 전송지점으로 상기 해제레버를 통하여 진행하는 해제레버로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작동장치에서 온 신호가 도입되도록 클러치 장치로써 설계된 하나의 토크전송장치에서 해제메카니즘의 신호전송 확장수단이 설계된다.
본 발명에서 클러치 장치로서 설계되는 토크 전송 장치의 경우 접촉압력플레이트와 스톱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와 특히 평행한 스톱으로 리셋팅 스프링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도록 신호전송확장수단이 역시 평행 변속회로로써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작동장치의 전송 확장수단이 특히 설계됨에 따라 신호가 일측에서는 구동 장치와 작동장치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전송지점 사이에서 전송되고 타측에서는 작동장치와 구동장치사이에서 하나이상의 신호전송 확장수단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구동장치의 신호전송 확장수단은 특히 신호가 구동장치와 작동장치사이의 신호전송지점으로 구동장치의 내부에서 전송됨에 따른 확장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확장수단은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수학적 의미에서의 확장수단이라는 의미 뿐만 아니고 두 끝지점사이의 선형 연결라인을 의미하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적절한 장치를 통해 힘 전송 확장수단을 따라 전송되고 인접하는 구성요소 부분사이의 힘전송지점들로 전송되는 힘을 참조로 설명된다. 본 발명은 힘인 신호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해제 메카니즘의 전체탄성은 해제메카니즘의 힘 전송 확장수단을 따라 제공되거나 힘이 해제메카니즘의 힘전송확장수단을 따라 전송될 때 주어진 해제 메카니즘의 탄성동작을 나타내는 탄성이다.
상기 작동장치의 전체 탄성은 특히 작동장치의 힘 전송 확장수단을따르는 작동장치의 탄성이며 따라서 특히 한편으로는 구동장치와 작동장치사이의 힘 전송지점사이에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장치와 해제장치사이이 힘전송지점에 있다.
상기 구동 장치의 전체 탄성은 특히 상기 힘 전송 확장수단의 미리 설정된 지점과 상기 작동장치와 구동장치사이에 제공된 구동장치의 탄성이다.
상기 구동 장치의 힘 전송 확장수단의 지점은 따라서 특히 힘과 같은 기계적인 신호가 그 작동장치의 방향에서 보이면서 처음으로 제공되는 힘 전송 확장수단에 있는 지점이다.
본 발명에서 구성요소 부분 또는 매체 또는 장치의 용어 강도는 해제 메카니즘 또는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구성부분인 구성부분 또는 장치 또는 매체에 관해 사용되며 상기 구성요소부분은 구동장치 또는 작동장치 또는 해제 메카니즘의 힘전송확장수단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힘전송 확장수단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성요소 부분들의 탄성은 두 힘전송지짐사이 또는 힘전송확장수단을 따라 탄성에 영향을 준다.
구동장치와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전체 탄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특히 구동장치와 작동장치를 통하여 힘 전송 확장수단을 한정하는 두 지점 또는 각 두 지점사이에 제공된 탄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장치 또는 작동장치 또는 구동 장치 및 작동장치의 유닛의 전체탄성은 해제 메카니즘의 전체탄성의 약 55%, 바람직하게는 60%, 70%, 75%, 80%, 100%, 130%, 170%, 200%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제 2항에 따른 토크 전송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작동장치 또는 구동 장치는 작동장치의 전체 탄성 또는 구동장치의 전체탄성 또는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전체 탄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가지는 하나이상의 탄성장치를 가진다.
따라서 탄성 장치는 고체, 유체, 또는 가스일 수 있거나 다른 골재상태의 매체 또는 다른 구성요소부분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는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힘전송 확장수단 내에서 연속하여 또는 평행하게 변화되거나 상기 힘 전송확장수단으로부터 분기하거나 다른 몇몇의 방법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제 3항에 따른 토크 전송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힘전송확장수단내부에서 하나이상의 상기 힘전송확장수단으로부터 분기하고 상기 탄성은 힘전송확장수단을 따라 장착된 상기 장치 또는 구성요소와 인접하는 구성요소부분의 탄성의 약 120%, 140%, 160%, 190%, 200%, 250%, 300%, 50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접하는 구성요소 부분은 연속하여 또는 평행하게 변경될 수 있거나 힘 전송확장수단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 구성요소부분 또는 상기 탄성장치에 의해 인접된 분기부분과 인접한 구성요소부분 또는 장치일 수 있으며 중간요소들을 통하여 필수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4항에 따른 토크 전송장치를 통하여 또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장치 내부 또는 구동장치내부에서 하나이상의 탄성장치가 있고 그 탄성은 작동장치의 전체탄성 또는 구동장치의 전체탄성 또는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전체탄성보다 크다. 상기 탄성장치는 구동장치의 작동장치의 힘전송확장수단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힘전송 확장수단중 하나로부터 분기되며 중간요소들을 통해 필수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탄성 장치나 탄성 구성요소 부분은 하나 또는 몇몇 조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토크 전송 장치는 적어도 제 2 클러치 메카니즘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크 전송 장치는 적어도 제 3 클러치 장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토크 전송 장치가 정확하게 1개의 제 1 클러치 장치, 정확하게 하나의 제 2 클러치 장치 및 몇몇 제 3 클러치 장치를 가지고 있으면 이는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토크 전송 장치는 동력 변속 전달장치를 가지거나 클러치 장치를 가진 동력변속 전달장치로 형성된다.
상기 동력변속 전달장치는 휠이 적어도 두개의 샤프트 상에 배치되고 동력변속전달장치의 다른 변속위치에서는 토크가 상기 샤프트들사이에서 다른 휠조합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속위치의 하나이상의 부분은 상기 샤프트들사이의 적절한 변속비를 통해 구별된다.
동력변속전달장치로 설계된 하나이상의 상기 변속단계는 제 1 클러치 장치가 부분적으로 닫히고 따라서 필수적으로 제한된 토크가 전송될 수 있을 때 상기 변속단계를 통하여 토크가 오직 본 발명에 따른 차량구동장치와 차량구동액슬사이에서만 전송되도록 설계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샤프트와 제 2 샤프트 사이에서 배치되는 적어도 둘이상의 전달단계를 통하여,상기 전송단계의 하나이상의 제 3 클러치장치가 부분적으로 닫힌 변속위치로 변속되고 따라서 토크를 전송할 수 있을 때 내연엔진과 같은,차량의 구동 장치와 차량의 구동액슬 사이에서 토크를 전송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둘 이상의 다른 전송단계가 공통의 제 3 클러치 장치와 결합하면 상기 제 3 클러치 장치는 다른 변속위치에서 다른 변속단계를 통하여 차량구동장치와 구동액슬사이에서 토크를 전송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송 장치가 차량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것만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동력변속 전달장치 또는 토크 전송장치는 하나이상의 제 1 및 제 2 샤프트사이에 배치된 전송단계와 결합된 다른 변속위치들사이의 변속시 토크가 토크전송장치로부터 특히, 차량구동장치와 차량구동액슬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크 흐름은 변속공정동안 하나이상의 동력 변속 전달 단계를 통하여 진행된다. 제 1 또는 제 2 클러치 장치가 각각 마찰 클러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 3 클러치는 닫힌 변속위치에서 키연결을 통해 토크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클러치는 동기장치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은 클로 클러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토크전송장치 또는 바람직한 동력변속 전달장치는 적절한 전송단계가 제 1 또는 제 2 샤프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제 3 클러치 장치를 통하여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만약 역시 기어단계 또는 기어로 설계된 적절한 변속단계 또는 전송단계가 변화된다면 적절한 제 3 클러치 장치는 닫힌 변속위치 내에 있다.
다른 변속위치 또는 전송단계 또는 기어들사이에서 변속될 때, 모든 제 3 클러치 장치는 일시적으로 열려진다.
제 1 클러치 장치는 변속과정동안 토크가 힘 변화 전송단계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샤프트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닫힌 위치에 있게된다.
제어 장치는 다른 토크를 전송할 수 있는 다른 변속위치에서 제 1 클러치 장치가 변속될수 잇는 효과를 가지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클러치장치는 특히 미끄러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제 1 클러치 장치는 옛 기어단계가 아직 연결되어 있을 때 일시적으로 토크를 전송하고 새로운 기어단계가 막 연결되었을 때 토크를 일시적으로 전송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치하는 시간간격의 길이가 0으로 떨어지고 특히 토크가 차량구동장치와 차량구동액슬사이의 중단없이 전송되도록 보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클러치 장치와 제 2 클러치 장치는 연속적으로 특히 힘 변속 전달단계를 통하여 오직 차량구동장치와 차량구동액슬사이에서 제 1 클러치 장치와 제 2 클러치 장치가 닫힌 변속위치에 있을 때 전송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클러치 장치는 구동 액슬과 면하고 제 2 클러치 장치는 차량의 구동장치와 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클러치장치는 제 2 클러치 장치가 열려질 때 제 2 클러치 장치를 통하여 토크가 차량구동장치로부터 구동액슬로 전송될 수 있도록 평행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클러치 장치는 시작 클러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그 동력변속전달 단계는 기어 전달 단계보다 더 큰 전달 비율을 가진다.
상기 동력변속전달 단계는 상기 전달 단계를 통해 토크가 차량구동장치 및 차량구동액슬사이에서 더 긴기간동안에도 전달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6 기어는 동력변속전달 단계 및 기어 전달 단계로써 제 1에서 제 5 기어 또는 동력변속전달단계로써 제 5기어 및 기어전달단계로써 제 1에서 제 4기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클러치 장치 또는 제 2 클러치 장치는 가압되거나 자립 클러치 장치로서 형성된다.
가압된 클러치 장치는 이것이 작동장치에 의해 로드되지 않을 때 스프링장치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열린 변속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립 클러치 장치는 이것이 작동장치에 의해 로드되지 않을 때 스프링 장치를 통해 실질적으로 닫힌 변속위치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또는 제 2 클러치 장치는 가압된 클러치 장치로 형성되고 다른 클러치 장치들이 자립 클러치 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클러치 장치는 공통의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되고 제 1 변속단계에서 제 2 클러치 장치가 닫히도록 작동하며 제 2 변속단계에서 제 1 및 제 2 클러치 장치 둘다가 닫히도록 작동되며 제 1 및 제 2 클러치 장치가 열려지도록 제 2 변속단계에서 적용가능하게 작동된다.
제 1 클러치 장치와 제 2 클러치 장치는 공통의 클러치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또는 제 2 클러치장치는 자립 클러치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해제 메카니즘의 제 4 전체 탄성은 해제 메카니즘의 해제 통로 방향으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클러치 장치의 최대 해제 통로는 실질적으로 해제 메카니즘의 제 4 전체 탄성에 의존한다.
해제 장치의 상기 제 4 전체 탄성은 스톱과 접촉압력판이 로드되도록 특히 하나이상의 클러치 디스크 또는 클러치 디스크에 평행하게 배치된 하나이상의 리셋팅 스프링의 탄성과 마찬가지로 해제 레버의 탄성, 클러치 커버의 탄성을 고려한다.
해제 장치의 해제 통로 특히 제 1 클러치 장치의 최대 해제 통로의 해제 통로는 제 1 구성요소 부분의 제 1 탄성 도는 제 2 구성요소부분의 제 2 탄성 또는 작동장치의 제 1 또는 제 6 전체 탄성 또는 작동장치의 제 2 또는 제 5 전체 탄성 또는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이 제 3 또는 제 7 전체 탄성에 독립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장치의 제 1 전체 탄성은 특히 작동장치의 힘 전송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 부분의 탄성에 따른다. 즉, 특히 힘전송 통로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구동 장치의 제 2 전체 탄성은 구동 장치의 힘 전송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 부분의 탄성에, 즉 특히 구동장치의 힘 전송 확장수단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장치와 구동 장치를 구성하는 유닛의 제 3 전체 탄성은 특히, 구동 장치와 상기 유닛의 힘 전송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작동장치의 구성요소 부분의 탄성에, 즉 특히 그 힘 전송 확장수단에 좌우된다.
상기 구동 장치의 제 5 전체 탄성은 제 2탄성과는 반대로 구동장치의 제 5 전체 탄성이 실질적으로 제 1 (탄성) 구성요소부분 또는 상기 구동장치의 전체 탄성상의 하나이상의 탄성장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동장치의 제 2 전체탄성과는 다르다.
상기 구동 장치의 제 6 전체 탄성은 제 1탄성과는 반대로 작동장치의 제 6 전체 탄성이 실질적으로 제 1 (탄성) 구성요소부분 또는 상기 구동장치의 전체 탄성상의 하나이상의 탄성장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동장치의 제 1 전체탄성과는 다르다.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제 7 전체 탄성은, 제 3전체탄성과는 반대로 제 7 전체 탄성이 본질적으로 제 1 (탄성) 구성요소부분 또는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전체탄성상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작동장치와 구동 장치를 실질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유닛과 다르다.
상기 구동 장치와 작동장치는 특히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힘 전송 확장수단내에서 작동하는 하나이상의 전달단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을 가지는 제 1 구성요소 부분 또는 탄성장치 또는 구성요소부분과 장치는 하강적, 선형적 또는 진행적으로 즉, 특히 힘전송확장수단방향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장치, 작동장치, 탄성 장치 또는 제 1 구성요소 부분은 특히 기계적, 압축공기, 유압, 전기, 또는 전자기 스프링 장치로 형성되는 하나이상의 스프링장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장치는 코일스프링, 플레이트 스프링, 자석코일 또는 자석 또는 긴장 스프링 또는 다른 스프링장치를 가질 수 있다.
댐핑 장치는 상기 스프링장치중 하나아상과 평행하게 또는 연속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장치는 부분적으로 유압 장치로 설계되고, 피스톤 실린더 기계 장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시프톤 실린더 유닛의 피스톤 또는 실린더는 스피링장치에 의해 로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장치의 스프링 힘은 특히 구동장치에 의해 적용되는 로드와 역작용, 즉, 힘전달확장수단방향으로 역작용한다.
상기 피스톤이나 실린더를 로드하는 스프링 장치는 코일 스프링이나 플레이트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장치는 실린더내부 도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 장치는 피스톤이 표면 및 실린더에 대해 실린더 내부의 다른 면에서 지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플레이트 스프링은 실린더 내부공간으로부터 이격되고 유압유체에 의해 로드되는 피스톤의 단부면에 배치된다.
상기 작동장치는 유압 확장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힘 전송 확장수단을 따라 배치되는 유압 라인으로부터 분기되는 유압 파이프는 힘 전송확장수단의 외부에 실질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분기되는 유압파이프에는 피스톤 또는 피스톤 실린더 조립체가 있으며 피스톤은 스프링의 장치의 힘에 대하여 유압 유체에 의해 편향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 장치 내부 또는, 작동장치의 내부에는 회전방향에서 로드되는 장치가 있으며, 상기 회전운동은 스프링 장치의 힘에 의해 역작용된다.
상기 스프링 장치는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으며, 또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장치의 원부방향으로 배치된 다수의 코일 스프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또는 제 2 클러치 장치는 통로-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49항에 따른 토크 전송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통해 또한 달성된다. 용어 "제어"는 본 발명에서 DIN의 의미로 특히 "규제" 또는 "제어"를 의미한다.
이와 동일한 것이 "제어"로부터 나온 용어에 대해 적용되며 출원된 특허청구범위는 광범위한 특허보호를 얻기위해 편견없는 용어를 제한하고 있다.
본 출원인은 오직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서 공개된 특징을 주장하는 권리를 보유한다.
종속항에 사용된 참조는 또한 관련성이 있는 각각의 종속항의 특징을 통해 독립항의 주제의 구성을 언급한다 이들은 언급된 종속항의 특징으로 독립된 주제 보호를 달성하기에 배제되는 것으로 고려되는 것이 아니다.
종속항의 주제가 우선일에 공개된 선행기술에 대해 독립적이고 적절한 발명을 형성하기 때문에, 본 출원인은 이들을 독립항과 부분적인 선언의 주제로 할 권리를 보유한다.
이들은 역시 상기 종속항의 주제와 독립적인 특징을 가지는 독립적인 발명을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수많은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변경, 구성요소 및 조합 또는 도면내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서술 및 실시에와 관련되어 서술된 개별특징 또는 구성요소 또는 방법단계의 변경 또는 조합을 통하여 이들의 변경, 구성요소 및 조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의해 제기되는 문제점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방법 단계의 순서 또는 새로운 주제 또는 새로운 방법단계에 의해 초래되는 특징의 조합을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해 제기된 문제점을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예시로서 주어지고 제한하지 않는 실시예를 참조로 더욱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토크전송 장치(1)는 제 1 클러치 장치(10)와 제 2 클러치 장치(12)를 가진다.
상기 제 2 클러치장치(12)는 표시된 다이어그램형태에서 도시되고 이에 연결된 작동장치(16)와 마찬가지로 구동장치(14)를 가진다.
상기 구동장치(14)는 제 2 클러치장치(12)가 다른 변속위치로 변화되도록 하는 작동장치(16)를 로드할 수 있다.
상기 변속위치는 제 1 변속위치에서는 토크가 입력부분(18)과 제 2 클러치 장치(12)와 제 2 클러치 장치(12)의 출력부분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고 제 2 변속위치에서는 입력부분(18)이 상기 부분들(18,20)사이에서 토크가 전송되지 않도록 출력부분(20)으로부터 해제되도록 설계된다.
필수적으로 제 2 클러치의 제 3 변속위치에서 제한된 토크가 입력부분(18)과 출력부분(20)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것은 제 2 클러치장치(12)로 도입되는 토크가 미리 설정된 제한 토크보다 적은한 완전하게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클러치 장치로 도입되는 토크가 미리설정된 제한 토크보다 크다면, 오직 상기 미리 설정된 제한 토크가 전송된다.
제 2 클러치 장치(12)는 제 3 변속위치에서 도입된 토크가 미리 설정된 제한 토크보다 클 때 미끄러지도록 마찰클러치이다.
제 2 클러치 장치(12)가 특히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촉 압력플레이트와 마찬가지로 입력부분(18)에 연결되는 스톱이다.
하나이상의 클러치 디스크는 상기 스톱과 상기 접촉 압력 플레이트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출력부분(20)에 연결되거나 작동 출력부분이 된다.
특히 클러치 디스크는 스프링 또는 댐퍼 장치를 통해 출력측면에 연결되고 미리설정된 조건하에서 상기 스프링 또는 댐핑 장치를 통해 토크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클러치장치는 제 2 클러치 장치(12)가 작동되지 않거나 작동장치에 의해 로드되지 않을 때 실질적으로 닫힌위치에서 변속되도록 자립 시작클러치이다.
제 2 클러치장치(12)의 입력 부분(18)은 실린더(24)가 도시된 내연엔진에 의해 로드되는 차량의 크랭크 샤프트(22)에 연결된다.
제 2 클러치장치(12)의 출력 부분(20)은 필수적으로 스프링 또는 댐퍼 장치를 통한 제 1 샤프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샤프트(26)로 부분적으로 토크를 전송할 수 있다.
몇몇 휠(28, 30, 32,34, 36)은 각각 변속단계 또는 기어단계와 연결되며 이경우에는 스퍼휠인 제 1 샤프트(26)에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휠(28, 30, 32, 34, 36)은 제 2 샤프트(48)에 장착된 휠(38, 40, 42, 44)에 연결된다. 제 2 샤프트(48)는 제 1 샤프트(26)에 평행하게 장착된다.
상기 휠쌍(28-38, 30-40, 32-42, 34-44, 36-46)들은 전달 단계나 기어 단계에 바람직하게는 제 5에서 제 1 기어의 순서로 연결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단계 또는 기어단계는 제 1 샤프트(26) 또는 제 2 샤프트(48)에 배치된다. 가장 높은 기어단계는 제 2 클러치 장치(12) 또는 내연기관엔진(도시되지 않음)과 면하고 제 1기어의 전달단계는 출력측면에 장찰되거나 토크 전송장치(1)를 가진 모터차량의 구동액슬에 면한다. 제 1 및 제 5 기어단계사이에서 나머지 기어단계는 번호순서로 정렬된다.
상기 각각의 기어 단계(28-38, 30-40 , 32-42 , 34-44, 36-46)는 제 1 샤프트(26) 또는 제 2 샤프트(48)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퍼 휠(28, 30, 42, 44, 46)을 가진다.
상기 전달단계의 또 다른 휠 또는 다른 휠(32, 34, 36, 38, 40)은 각각 상기 샤프트들(26,48)에 서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장착된다.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퍼 휠(28, 30, 42, 44, 46)은 특히 제 1 샤프트(26) 또는 제 2 샤프트(48)에 장착되어 하나이상의 다른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퍼휠(28, 30, 42, 44, 46)이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퍼휠(28, 30, 42, 44, 46)과 각각 인접하게 장착된다.
제 1 샤프트(26)에 장착된 다른 스퍼 휠(50)과 제 2 샤프트(48)에 장착된 다른 스퍼휠(52)은 다른 전달단계 또는 기어 단계와 결합된다.
다른 나사산이 형성된 휠(54)은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휠들(50,52)사이에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휠(50)은 나사산이 형성된 휠(54)에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휠(54)은 나사산이 형성된 휠(52)에 연결된다.
삽입된 나사산이 형성된 휠(54)의 효과는 나사산이 형성된 휠(50,52)의 회전방향이 동일하거나 전달단계(28-38, 30-40, 32-42, 34-44, 36-46)와 비교해서 스위치된 전달단계(50-54-52)를 가진 제 2 샤프트의 회전 방향이 반대라는 것이다.
상기 전달 단계 또는 기어 전달 단계(28-38, 30-40, 32-42, 34-44, 36-46)는 정기어로 설계되는 반면 전달 또는 기어단계(50-54-52) 역기어로 설계된다.
하기하는 동력 변속 전달 단계는 마찬가지로 정기어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기어단계 또는 전달단계(50-54-52)의 스퍼휠(52)은 제 2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퍼휠(50)은 제 1 샤프트(2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각각 제 1 샤프트(26) 및 제 2 샤프트(48)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기어 또는 기어단계 또는 전달단계(28-38, 30-40, 32-42, 34-44, 36-46 또는 50-54-52)의 인접한 스퍼휠(28, 30, 42, 44, 46, 52)은 각각 다른 변속위치로 변화된다.
상기 제 3 클러치 장치(56, 58, 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방법으로 적절한 샤프트(26,48)에 각각 제 1 샤프트(26) 및 제 2 샤프트(48)에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 스퍼 휠(28, 30, 42, 44, 46, 52)을 연결할 수 있게된다.
도 1에서 제 3 클러치 장치(56, 58, 60)와 마찬가지로 각각 제 1 샤프트(26)와 제 2 샤프트(48)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퍼 휠(28, 30, 32, 44, 46, 52)이 설계되고 배치되어 제 3 클러치 장치(56, 58, 60)가 전달단계의 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퍼 휠 사이에 장착되고 다른 변속위치에서 적절한 샤프트(26, 48)에 각각 인접한 스퍼 휠중 각각 하나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따라, 상기 제 3 클러치 장치(56, 58, 60)가 특히 제 1 샤프트(26)와 제 2 샤프트(48)에 각각 이들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인접하는 스퍼 휠(28, 30, 42, 44, 46, 52)과 연결되지 않는 다른 변속위치에서 변속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제 3 클러치 장치(56, 58, 60)가 전달단계의 두 스퍼 휠과 각각 연결되는 것이 제안된다. 제 3 클러치 장치(56, 58, 60)는 전달단계(64)가 필요한 경우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되거나 변속된다.
상기 작동장치(62)는 제 1 전기 모터(66)를 제 2 전기 모터(68)와 마찬가지로 가지는 구동 장치에 의해 로드된다.
상기 작동장치(62)는 제 1 전기모터(66)를 통해 로드되는 경우, 상기 작동장치가 각각 하나의 미리 설정된 기어 단계가 연결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기어단계가 제 2 전기모터(66)를 통해 연결될 수 있음에 따라 변속위치로 변화된다.
기어가 연결될 수 있는 미리설정된 변속위치로 변속할 때, 한편으로는 이른바 선택작동동안 다른한편으로는 선택작동동안 미리설정된 기어단계로 변속하는 작동장치(62) 또는 변속 샤프트와 같은 작동장치(62)의 미리설정된 구성요소부분(도시되지 않음)은 움직일 수 있거나 다른 방향으로 로드될 수 있다.
상기 다른 운동이나 로드 방향은 특히 다른 전기 모터(66) 중 하나를 통해 각각 발생된다.
상기 다른 운동이나 로드 방향은 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원주방향에서 로드되거나 움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변속 샤프트의 경우이다.
제 1 샤프트(26)와 제 2 샤프트(48)사이에서는 제 2 샤프트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는 휠(72)과 마찬가지로 스퍼휠과 같이 여기서 형성되고 제 1 샤프트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휠(70)을 가지는 다른 전달단계가 존재한다. 상기 전달 단계(70-72)는 동력변속전달 단계로 설계된다.
상기 동력변속전달 단계의 전달 비율은 기어 단계의 전달 비율보다 더 크도록 설계된다. 상기 동력변속전달 단계(70-72)는 기어 전달 단계(28-38, 30-40, 32-42, 34-44, 36-46, 50-52)의 출력 측면상에 장착된다.
제 1 샤프트(26)상에 회전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동력 변속 전달단계의 스퍼 휠(70)은 제 1 클러치 장치(10)의 출력 부분(7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된다. 상기 제 1 클러치 장치(10)의 입력부분(74)은 제 1 샤프트(2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연결된다.
마찰 클러치로서 형성되는 제 1 클러치 장치(10)는 작동장치(80)와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78)에 의해 다른 변속위치로 변화될 수 있고 이에따라 제 1 변속위치에서 입력부분(74)은 실질적으로 출력부분(72)과 연결이 해제되고 다른 변속위치에서 연결되며 하나이상의 다른 변속위치 내에 설계되어 토크가 부분적으로 전송될 수 있게된다. 따라서 특히 제 1 클러치 장치(10)의 입력부분(74)과 출력부분(72)사이의 미리설정된 값으로 제한된다.
상기 끝에서, 제 1 클러치장치(10)의 구동장치(78)는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이것을 해제 메카니즘(82)이 로드되는 작동힘이 구동신호에 따라 발생되는 제 1 클러치장치(10)의 작동장치(80)로 전송한다.
제 1 클러치 장치(10)의 해제 메카니즘(82)은 구동신호 또는 작동힘에 따라다른 변속위치로 변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장치(78)와 작동장치(80)를 구성하는 유닛의 탄성은 해제 메카니즘(82)의 탄성의 50%에 해당한다.
동력변속전달단계(70-72)와 마찬가지인 50-54-52와 마찬가지로 기어변속단계(28-38, 30-40, 32-42, 34-44, 36-46)는 제 1 샤프트(26)의 축방향에서 보여지는 제 1 클러치 장치(10)와 제 2 클러치 장치(12) 사이에 장착된다.
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따른 토크 전송장치는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송 장치(1)를 가진 차량이 미리 설정된 기어 단계에서 작동되고 다른기어들사이의 변속공정이 초기화 되지 않거나 끝나지 않는다면, 이에따라 제 1 및 제 2 샤프트사이에서 토크가 전송단계(28-38, 30-40, 32-42, 34-44, 36-46,또는 50-54-52)에 따라 전송되고 제 2 클러치 장치(12)는 닫힌 변속위치에 제 1 클러치 장치( 10)는 열린 변속위치에 있게된다.
따라서, 토크는 크랭크 샤프트(22)로부터 제 2 클러치 장치(12)의 입력 부분(18)까지 전송된다.
제 2 클러치장치(12)가 닫힌 변속위치에 있게 되므로, 상기 토크는 제 1 샤프트 (26)를 부분적으로 통과하게된다.
제 3 클러치 장치(56, 58, 60)중 하나는 제 1(26) 및 제 2 샤프트(48)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스퍼휠(28, 30, 42, 44, 46, 52) 중의 하나와 연결된다.
나머지 제 3 클러치 장치(56, 58, 60)는 열린위치에서 변속되어 나머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나사산이 형성된 휠이 샤프트(26,48)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 시작 전송단계가 예시된다. 이와 같이 다른 변속단계로 이루어진 변속이 최종점에서 시간내의 변속단계로써 제 1 기어의 변속단계는 제 1 샤프트(26)로부터 토크가 스퍼휠(36)을 통하여 스퍼휠(46)로 전송되고 상기 스퍼휠(46)로부터 닫힌 제 3 클러치 장치(60)를 통하여 제 2 샤프트(48)로 전송되게된다.
제 1 클러치 장치(10)가 열린 변속위치에서 변속되기 때문에 제 1 클러치 장치(10)의 입력부분(74)을 로드하는 제 1 샤프트(26)로부터온 토크는 제 1 클러치 장치(10)의 출력부분에 제 1 클러치 장치(10)를 통하여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력변속전달단계(70-72)의 스퍼휠(70)로 전송되지 않게되어 제 2 샤프트(48)상에 장착된 동력전달단계의 스퍼휠(72)은 실질적으로 제 1 샤프트(26)상에 장착된 동력변속전달단계의 스퍼휠(70)에의해 실질적으로 로드되지 않는다.
만약 다른 기어 단계로 변속된다면 여기서 제 3 기어의 기어단계로 변속되고 신호는 제어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 1 구동 장치(78)로 보내진다. 상기 신호는 클러치 장치(10)가 부분적으로 닫히는데 영향을 미친다.
제어장치 또는 구동장치(78) 또는 작동장치(80)에 의해 초기에 제어된 제 1 클러치 장치(10)의 구체적인 변속위치는 특히 미리설정된 특성 값에 따른다.
상기 특성값은 특히 출력기어의 연결된 기어단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 제 1 기어의 기어단계 또는 상기 기어단계의 전달 또는 출력기어의 제 3 클러치 장치가 장착된 샤프트 또는 제 1샤프트(26) 또는 제 2 샤프트(48)의 속도 또는 토크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제 1 클러치 장치(10)의 제어된 변속위치 또는 상기 제 3 클러치 장치(10)의 해제메카니즘(82)은 특히 제 3 클러치 장치(60)가 출력기어 또는 여기서 제 1 기어단계의 나사산이 형성된 휠(46)과 제 3 클러치 장치(60)사이에서 토크가 전송되지 않는 변속위치로 변속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상기 변속은 모든 제 3 클러치장치들(56, 58, 60)이 연린 변속위치에서 변속되고 토크가 오직 동력 변속 전달단계(70-72)를 통하여 제 1 샤프트(26)와 제 2 사프트(48)사이에서 전송되도록 설계된다.
제 1 클러치 장치(10) 또는 제 1 클러치 장치의 해제 메카니즘(82)은 상기 해제 메카니즘(82) 또는 이 제 1 클러치 장치(10)로부터 제 1 클러치 장치(10)의 제 1 샤프트(26) 또는 입력부분(74)과 제 1 클러치 장치(10) 또는 나사사이 형성된 휠(70) 또는 전송된 동력 또는 제 1 샤프트(26)의 속도 또는 제 2 샤프트(48)의 속도의 출력부분(72)사이에서 상기 제 3 클러치 장치(58)와 동기화 링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동기와 되어지는 제 3 클러치 장치(58)와 연결되는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휠(42)이 없는 제 3 클러치 장치에 의해 변속되어지는 목표기어-여기서는 제 3 기어-의 변속단계가 가능하도록 상기 토크가 전송된다. 그후 상기 목표기어가 변속된다.
예를들어, 상기 목표기어가 제 3 기어이고, 상기 제 3 클러치 장치(58)는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방법으로 상기 제 2 샤프트(48)로 제 2 샤프트(48)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나사산이 형성된 휠(42)이 연결되도록 변속된다.
제 1 샤프트(26)와 제 2 샤프트(48) 사이의 토크가 목표 기어 단계( 여기서는 제 3 기어의 전송단계(32-42))를 통하여 완전하게 전송되도록 다시 제 1 클러치 장치(10)가 열린다.
도 2에 따른 실시예는 제 1 클러치 장치(10)와 제 2 클러치 장치(12)가 기어 단계( 28-38, 30-40, 32-42, 34-44, 36-46, 50-52)의 입력 측면에서와 마찬가지로 동력 변속 전달단계(70, 72)의 입력측면상에 장착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다르다.
또한, 제 2 클러치 장치(12)와 마찬가지로 제 1 클러치 장치(10)는 공통의 클러치 하우징(100)내에 장착된다.
또한, 공통 작동 장치(104)와 마찬가지로 공통 구동장치(102)는 제 2 클러치 장치(12)와 마찬가지로 제 1 클러치 장치(10)를 위해 제공된다.
상기 작동장치(104)와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102)의 탄성은 작동장치(104)와 마찬가지로 구동장치(102)를 포함하는 유닛의 탄성이 힘전송확장수단방향에서 이방향의 해제메카니즘(82)의 탄성의 50%에 이른다.
도 3은 해제장치(114)와 마찬가지로 구동장치(110)의 예시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제 1 클러치 장치(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구동 장치(110)는 전기의 모터이다.
작동장치(112)는 표시된 다이어그램형태로 도시된다.
상기 작동장치는 변속단계(11), 구성요소부분(120, 122, 124)과 마찬가지로 해제베어링(118)을 가진다.
상기 구동 장치의 탄성과 그 구성요소 부분은 스프링(126,128)을 통하여 다이어그램형태로 도시된다.
제 1 클러치 장치(10)는 클러치커버(134)와 마찬가지로 스톱(132)을 가지는 입력 부분(130)을 가진다. 클러치 장치(10)는 또한 출력 부분(72)을 가진다.
접촉 압력 플레이트(138)는 스톱(132)에 대해 다른 변속위치에서 도 3에서 도시되고 작동장치(112)에 의해 로드될 수 있는 해제레버(136)를 통하여 또는 탄성이 있도록 설계된 클러치 디스크에 대해 치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프링(140)으로 표시된다.
해제 레버(136)는 클러치 커버(134)와 마찬가지로 접촉 압력 플레이트(138)에 대해 지지된다.
상기 클러치 커버(134)는 스프링(142)의 탄성으로 도면에서 도시된 화살표(140)와 같이 해제통로방향에서 탄성을 가진다.
리셋팅스프링(144)은 해제레버(136)가 느슨해지거나 해제레버(136)에 의해 접촉압력플레이트(138)에 가해지는 로드가 감소될 때, 디스크가 느슨해지거나 접촉압력플레이트(138)가 그 시작위치를 향하여 움직이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클러치 디스크는 출력 부분(7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된다.
상기 해제 메카니즘(82)은 클러치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해제 레버(136), 클러치 커버(134)를 특히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장치(110)와 작동장치(112)를 포함하는 유닛의 탄성이 특히 힘전달 확장수단방향에서 해제메카니즘(82)의 탄성의 50%에 해당한다.
해제메카니즘(82)이 특히 최대 해제통로에 영향을 미치는 탄성이고 엄밀히말해서 상기 해제통로는 역시 연결통로라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힘 전송 확장수단 방향에서 주어지는 탄성에 의해, 미리설정된 로드 연결지점사이에 주어진 탄성이 존재한다.
토크에 의해 로드된 해제레버와 더불어, 힘 도입 및 힘 전송 영역에서 힘전달 확장수단방향 또는 힘 또는 초기화 또는 전송된 힘방향으로 클러치 커버상의 힘연결 지점(150)과 상기 지점들(146,148)사이 또는 접촉 압력 플레이트 영역에서 해제 베어링의 영역내의 힘연결지점(146)과 힘연결지점(148)사이에 주어진 결정적인 탄성이 존재한다.
토크에 의해 로드된 이 해제레버와 함께, 레버 축의 방향에 있는 탄성은 절대적으로 결정적인 것이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토크 전송장치의 예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따른 상기 예시에서 도 3에 따른 도시와 비교하면 클러치 디스크(160)는 개략적인 스프링을 도시하지 않으나 클러치디스크로써 도시하며 여기서, 탄성(142, 126, 128)은 도시되지 않는다.
작동장치(112)에서 해제베어링(118)과 전달단계(116) 사이에는 구동장치(110)와 작동장치(112)를 포함하는 유닛의 탄성이 해제메카니즘(82)의 탄성의 약 50%에 해당하도록 하는 탄성장치가 있다.
상기 탄성 장치(162)는 특히 작동확장수단 또는 구동장치(112)의 탄성이 실질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강체 요소부분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 부분에 의해 대체될 수 있고 여기서 필요한 경우 해제 장치가 탄성이 있도록 설계되는 장치이다.
따라서, 특히 상기 해제 장치가 공지된 장치에 비하여 감소된 탄성을 갖는 반면 작동장치(112) 또는 구동장치(110)는 증가된 탄성을 갖게된다.
도 5는 실질적으로 탄성 장치가 전송단계(116)와 구동 장치(110) 사이에 장착된다고 하는 점에서 도 4에 따른 도시와 다른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예시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해제 메카니즘(82)이 도 4 및 5에 대해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설계된다.
제 3 클러치 장치의 작동장치(112)는 주실린더(172), 주 피스톤(174), 부 피스톤(178)과 마찬가지로 부 실린더(176)를 가지는 유압 확장수단을 가진다.
상기 주 피스톤은 기계적인 구성요소(180, 182)에 의해 로드되고, 상기 구성요소 영역에서 필요한 경우 전달단계(186)에 도달된다.
상기 주 실린더(172)는 유압 파이프라인 조립체(188)를 통해 부 실린더(176)에 연결된다. 상기 유압 파이프라인 조립체내에서 파이프라인(190)이 실린더(192)로 분기되고 열린다.
실린더(192)는 그 내부에 실린더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사이에서 긴장된 스프링장치 또는 탄성 장치(194)가 존재한다.
기계적인 구성요소 부분(180, 182, 184)은 구성요소 부분(2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 연결된다.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요소 부분은 전기 모터(110) 또는 그 출력샤프트( 202)에 의해 로드된다.
전기모터(110)에 의해 로드되게 되어 있는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이 구성요소 부분(220)의 회전 운동은, 실질적으로 상기 기계적인 구성요소 부분(180, 182, 184)에 의해 선형 운동으로 변환된다.
상기 선형 운동이나 선형 힘은 주 피스톤(174)에 작용하고 따라서 유압 파이프라인 조립체(188)내의 유체에 작용한다.
따라서, 부 피스톤은 작동장치(112)의 인접하는 구성요소부분들이 해제 레버(136)에 작용함에 따라 로드된다.
작동확장수단(170) 또는 작동장치(112)내의 부가적인 탄성은 주피스톤(174)을 통해 로드되는 유압유체의 부분이 실린더 조립체(188)내에서 가압되고 분기파이프(1900를 통하여 실린더(192)로 보내져서 상기 유압유체의운동이 스프링장치(194)의 스프링힘에 의해 집중되도록 영향을 미친다. 이에따라 작동장치(112)내의 힘전달확장수단의 탄성이 증가하도록 한다.
도 7은 작동장치(112)의 특징을 통해 도 6에 따른 실시예와는 다른 예시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작동장치(112)는 내부에 스프링 장치(242)가 제공되는 기계적 확장수단(240)을 가진다.
상기 스프링장치는 특히 피스톤(244)이 실린더(246)에 스프링장치(242)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배치된다.
상기 장치(242, 244, 246)는 작동장치(112)의 탄성을 증가시키는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도 8은 탄성 장치가 그 내부에 제 1 클러치장치(10)의 구동 장치(272)가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송 장치의 예시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구동장치(272)는 전기모터(110)에 의해 로드되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장치( 200)이며 특히 구성요소부분(182)의 선형 운동으로 상기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요소부분(200)의 회전운동을 변환할 수 있고 구성요소부분(184)이 연결되며 특히 워엄기어이다.
스프링장치(274, 276, 278, 280)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장치상의 원주방향에서 지지되고 만일 전기 모터(110)를 통해 로드되는 경우 상기 로드가 스프링 장치(274, 276, 278, 280)의 스프링힘에 의해 역작용되도록 영향을 미친다.
상기 제 1 클러치 장치(10)의 구동 장치(272)의 전체 탄성이 증가한다.
상기 작동장치(112)는 도 8에 표시되어 도시된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탄성(부가적인)장치의 조합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탄성 장치의 힘 통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특성라인(280)으로 힘통로가 도시되는 것과 같이 탄성장치의 동작은 특성 라인(282)으로 또는 특성라인(284)으로 또는 진행하도록 보여지거나 나타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전송장치의 구성요소부분의 탄성동작을 예시로 도시한다.
관련 영역의 우측경계라인은 상기 관련영역의 좌측경계라인에 대한 장치의각각의 시간에 따른 힘-통로 특성라인이다.
영역(290)은 구동 장치의 탄성을 도시한다. 영역(292)은 작동장치의 확장수단의 탄성을 도시한다. 영역(290, 292)은 이렇게 해서 구동 또는 작동장치내부의 부가적인 탄성요소의 탄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영역(294)은 작동장치 또는 해제 메카니즘내에 장착된 (부가적인)탄성장치의 탄성을 도시한다.
상기 부가적인 탄성 장치의 탄성은 구동 및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탄성 또는 작동장치의 탄성 또는 구동장치의 탄성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296)은 해제 레버의 탄성과 클러치 커버(134)의 탄성영역(298)을 도시한다. 상기 영역(300)은 해제 메카니즘의 클러치 디스크와 리셋팅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닛 또는 클러치 디스크의 탄성을 도시한다.
도 10에서, 해제 메카니즘의 구동힘 또는 구동장치에 의해 발생된 힘 또는 작동장치가 해제레버를 로드하는 힘은 수직축상에 가해진다.
영역(290, 292, 294)은 작동 또는 구동장치의 탄성을 도시한다. 영역(296, 298, 300)은 해제 메카니즘의 탄성을 도시한다.
최대 힘(304)의 경우 주어진 통로(302)는 클러치 장치의 해제 통로와 일치한다.
도 10에 예시로서 주어진 도시에서, 클러치 디스크와 리셋팅 스프링의 탄성은 클러치 커버(134)의 탄성보다 더 크다.
클러치 레버의 탄성은 클러치 커버(134)의 탄성보다 마찬가지로 더 크다.
리셋팅 스프링 또는 클러치디스크와 리셋팅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닛과 마찬가지로 클러치 디스크의 탄성은 클러치 레버의 탄성보다 적거나 크다.
장치 또는 구동 장치에 장착된 탄성장치의 탄성은 클러치 디스크와 리셋팅 스프링을 포함하는 유닛의 탄성보다 크고 클러치 커버(134)의 탄성보다 큰 것과 마찬가지로 해제레버의 탄성보다 크다.
영역(294)에 나타난 상기 탄성 장치의 탄성은 도 10에 따른 예시에서 선형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탄성을 나타내는 힘-통로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여기서 영역(294)으로 나타난 탄성 장치의 탄성은 여기서 하강적으로 표시된다.
특히 탄성장치의 진행특성라인 또는 진행탄성 동작을 통하여 더 낮은 토크를 위한 전체시스템을 정밀하게 조정하는 반면 하강특성을 통해 더 높은 토크로 시스템을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탄성 크기 비율은 특히 구동 장치가 작동시 해제 메카니즘을 로드하는 최대 로드인 경우 주어진 탄성과 관련되며 또한 더 낮은 로드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12는 도 10 및 11의 도시와 일치하며 공지된 토크전송장치의 탄성이 본 발명에 따른 토크전송장치의 탄성과 반대이며 우측의 도시는 도 10의 도시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공지된 토크 전송 장치의 구동 장치의 탄성은 영역(320)을 통해 나타난다.
탄성 확장수단의 탄성이나 공지된 토크 전송 장치의 작동장치는 영역(322)을 통해 도시된다.
공지된 토크 전송 장치의 해제 레버의 탄성은 영역(324)을 통해 도시된다.
공지된 토크 전송장치의 클러치 커버(134)의 탄성은 영역(326)을 통해 도시된다.
공지된 토크 전송 장치의 리셋팅 스프링과 마찬가지로 클러치 디스크의 탄성은 영역(328)을 통해 도시된다.
도 12에 따른 도시와 비교하여 보여지는 바와 같이, 공지된 토크전송장치는 영역(294)에 의해 나타난 부가적인 탄성장치의 탄성을 가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해제 통로(330)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공지된 해제 메카니즘의 탄성은 최대 로드(304)의 경우 구동장치와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332)의 탄성보다 명백히 크다.
동일한 최대 로드(304)를 가진 것과는 반대로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탄성(334)은 해제 메카니즘의 탄성의 50%이다.
결과적으로, 최대 로드(304)에서 공지된 해제 메카니즘의 해제 통로(330)는 구동 장치 또는 작동장치 내에서 움직이는 통로 배치(332)보다 명확히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전송장치에서 최대로드(304)에서 구동장치와 마찬가지로 작동장치에 영향을 주는 통로배치는 해제 통로(302)의 약 50%이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출된 특허청구범위는 광범위한 특허보호를 얻기위해 편견없는 단어를 선택했다. 본 출원인은 다만 명세서 또는 도면에서 공개된 특징에 대한 권리를 보유한다. 종속항에 사용된 참조는 또한 관련성이 있는 각각의 종속항이 특징을 통해 독립항의 주제의 설계를 인용하며, 이들은 상기 종속항의 특징부로써 독립적인 보호를 얻을 수 있다.
종속항의 주제가 우선일에 공지된 선행기술에 대해 적절하고 독립적인 발명을 구성하기 때문에 본 출원인은 독립항의 주제와 부분적인 선언을 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한다.
이들은 역시 선행하는 종속항의 주제와 독립적인 특성을 가지는 독립적인 발명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공개적인 번호이 변경과 개정이 가능하고 부분적으로 이들의 변경, 구성요소 조합 또는 청구범위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서술과 연결된 개별특성의 조합 또는 방법단계를 통한 변경이 가능하며, 도면내에는 본 발명에 의해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면 내에 포함된 변경이 가능하다. 새로운 주제 또는 새로운 방법단계 또는 방법단계의 순서에 따른 특징의 조합을 통해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은 제조, 시험 또는 작업공정에 관련된다.

Claims (49)

  1. 하나이상의 구동장치와 마찬가지로 하나이상의 작동장치와 하나이상의 해제 메카니즘을 가지는 하나이상의 제 1 클러치 장치를 가지는 토크 전송 장치에 있어서,
    - 상기 해제 메카니즘이 다른 변속위치로 변속될 수 있고;
    - 상기 구동장치가 작동장치로 전송되는 하나이상의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 작동장치가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메카니즘으로 전송되는 작동신호를 발생하고 제 1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 메카니즘이 다른 변속위치로 변속되고 제 2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 메카니즘이 미리설정된 변속위치로 고정되도록 영향을 미치고;
    - 상기 작동장치의 제 1 전체탄성 또는 구동장치의 제 2 전체 탄성 또는 작동장치 및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제 3 전체탄성이 해제 메카니즘의 제4 전체탄성의 50%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 하나이상의 구동장치와 마찬가지로 하나이상의 작동장치와 하나이상의 해제 메카니즘을 가진 하나이상의 제 1 클러치 장치를 가진 토크전송장치에 있어서,
    - 상기 해제 메카니즘이 다른 변속위치로 변속될 수 있고;
    -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작동장치로 전송되는 하나이상의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고;
    - 작동장치가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메카니즘으로 전송되는 작동신호를 발생하고 제 1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 메카니즘이 다른 변속위치로 변속되고 제 2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 메카니즘이 미리설정된 변속위치로 고정되도록 영향을 미치고;
    - 상기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내부에는, 작동장치의 제 1 전체탄성 또는 구동장치의 제 2 전체 탄성 또는 증가되어지는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제 3 전체 탄성을 일으키는 하나이상의 탄성장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 하나이상의 구동장치와 마찬가지로 하나이상의 작동장치와 하나이상의 해제 메카니즘을 가진 하나이상의 제 1 클러치 장치를 가진 토크전송장치에 있어서,
    - 상기 해제 메카니즘이 다른 변속위치로 변속될 수 있고;
    -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작동장치로 전송되는 하나이상의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고;
    - 작동장치가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메카니즘으로 전송되는 작동신호를 발생하고 제 1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 메카니즘이 다른 변속위치로 변속되고 제 2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 메카니즘이 미리설정된 변속위치로 고정되도록 영향을 미치고;
    - 상기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내부에는, 하나이상의 제 1 구성요소부분 또는 제 1 탄성과는 다른 하나이상의 인접하는 제 2 구성요소부분의 제 2 탄성의120%가 되는 제 1 탄성을 가지고 부분적으로 배치된 하나이상의 탄성장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 하나이상의 구동장치와 마찬가지로 하나이상의 작동장치와 하나이상의 해제 메카니즘을 가진 하나이상의 제 1 클러치 장치를 가진 토크전송장치에 있어서,
    - 상기 해제 메카니즘이 다른 변속위치로 변속될 수 있고;
    -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작동장치로 전송되는 하나이상의 구동신호를 발생시키고;
    - 작동장치가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메카니즘으로 전송되는 작동신호를 발생하고 제 1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 메카니즘이 다른 변속위치로 변속되고 제 2 미리 설정된 조건하에서 해제 메카니즘이 미리설정된 변속위치로 고정되도록 영향을 미치고;
    - 상기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내부에는, 하나이상의 제 1 구성요소부분 또는 구동장치의 제 5 전체탄성보다 큰 제 1 전체탄성 또는 작동장치의 제 6 전체탄성 또는 구동장치 및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이 제 7전체탄성을 가지고 부분적으로 배치된 하나이상의 탄성장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5.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장치 또는 제 1 구성요소부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6.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 도는 제 1 구성요소부분이 룸온도에서 집합적인 상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7.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제 2 클러치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8.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클러치 장치가 시작 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9.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러치 장치가 가압된 클러치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10.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러치장치가 마찰클러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11.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클러치 장치가 자립클러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12.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클러치 장치가 공통 클러치 하우징 또는 공통 클러치 커버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13.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클러치 장치가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되거나 변속될 수 있고 특히 공통작동장치에는 제 1 및 제 2 클러치 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14.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송장치가 다른 전달단계가 변속되는 다른 변속위치로 변속될 수 있는 전달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15. 전항중 한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송장치 또는 전달장치가 하나이상의 제 3 클러치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제 3 클러치 장치가 미리설정된 로드방향의 닫힌 변속위치에서 양성잠금연결의 두 구획부를 연결하고 특히 클로클러치를 가지는 양성잠금클러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17.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가 수개의 휠을 가지고 미리설정된 조건하에서, 상기 토크전송장치 또는 전달장치가 다른 휠의 조합을 통하여 다른 변속위치로 토크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18.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장치가 특히 다른 전달 단계가 변속될 수 있고 다른 전달비율을 부분적으로 가지는 하나이상의 제 1 및 제 2 샤프트를 가지고,
    - 상기 전달단계의 한 휠이 제 1 샤프트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제 1 클러치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 1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연결될 수 있고, 제 2 샤프트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장착되는 다른 휠내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도록 동력 변속 전단단계로써 설계되고 제 1 및 제 2 샤프트사이에 장착되는 상기 전달단계중 하나가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19.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송 장치 또는 전달장치가 필수적으로 다른 전달비율이 변화되는 다른 변속단계로 로드하에서 변속될 수 ldT는 동력 변속 전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0.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러치 장치가 전달장치가 작동되거나 닫힌 변속위치로 변속되는 동력 변속 클러치이거나 특히 다른 변속위치로 변화될 때만 변속되는 동력변속 클러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1.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미리설정된 조건하에서, 제 1 및 제 2 샤프트사이에 장착된 전달단계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샤프트 사이에 토크가 전송되고,
    미리조정된 상태하에서 닫힌 위치에서 변속되는 특히 동력 변속 클러치 장치인 제 1 클러치와 마찬가지로 특히 기어 전달 단계이고,
    모든 제 3 클러치 장치가 열린 위치에서 변속될 때 제 1 및 제 2 샤프트사이에서 토크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닫힌 변속위치에서 가지는 하나이상의 제 3 클러치 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2.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제 1 구성요소부분의 제 1 탄성 또는 제 2 구성요소 부분의 제 2 탄성 또는 작동장치의 제 1 또는 제 6 전체탄성 또는 구동장치의 제 2 또는 제 5 전체탄성 또는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제 3 또는 제 7 전체 탄성이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신호전송 확장수단 방향에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3.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메카니즘의 제 4 전체 탄성이 해제메카니즘의 신호전송 확장수단 방향에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4.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메카니즘의 제 4 전체 탄성이 해제메카니즘의 해제통로의 방향에서 정렬되거나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5.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러치 장치의 최소 또는 최대 해제 통로가 해제 메카니즘의 제 4 전체 탄성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6.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클러치의 최소 또는 최대 해제 통로가 제 1 구성요소 부분의 제 1 탄성 또는 제 2 구성요소 부분의 제 2 탄성 또는 작동장치의 제 1 또는 제 6 전체 탄성 또는 구동장치의 제 2 또는 제 5 전체 탄성 또는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제 3 또는 제 7 전체탄성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7.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의 제 1 전체탄성이 상기 탄성들에 좌우되고 작동장치의 신호전송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부분의 배열상에서 요구되는 경우 상기 탄성들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8.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구동장치의 제 2 전체 탄성이 상기 탄성들에 좌우되고 구동장치의 신호전송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 부분들의 필수적인 배치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29.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제 3 전체 탄성이 상기 탄성들을 고려하고, 작동장치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유닛의 신호전송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구획부분의 배치가 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0.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메카니즘이 구성요소부분들을 가지고 상기 구성요소부분들의 탄성이 해제 메카니즘의 최소 또는 최대 해제 통로를 결정하거나 부분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1.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 및 작동장치가 오직 상기 구획부분들만을 가지고 구획부분들의 탄성은 해제 메카니즘의 최소 또는 최대 통로에 좌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2.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메카니즘이 하나이상의 클러치 커버 또는 하나이상의 접촉 압력 플레이트 또는 하나이상의 스톱 또는 하나이상의 해제 레버 또는 하나이상의 클러치 디스크 또는 하나이상의 리셋팅 스프링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3.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 또는 제 1 구성요소 부분 또는 탄성장치가 유압 또는 압축공기 또는 전기적 또는 전자기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4.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 또는 제 1 구성요소 부분 또는 탄성장치의 신호 전송 확장수단이 유압 또는 압축공기 또는 전기적 또는 전자기기적 또는 기계적 또는 유체 정역학적 또는 유체역학적 또는 전자기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5.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 또는 작동장치가 이들의 신호 전달 확장수단방향에서 특히 작동하는 하나이상의 기어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6.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성요소 부분 또는 구동장치 또는 작동장치의 탄성장치 또는 구동장치 또는 작동장치의 유닛이 특히 신호 또는 힘전송 확장수단방향에서 하강 또는 선형 또는 진행 힘통로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7.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 또는 제 1 구성요소 부분 또는 탄성장치가 하나이상의 스프링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8.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 또는 제 1 구성요소 부분 또는 탄성장치가 평행하게 연결되는 댐퍼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39.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가 피스톤 실린더 유닛을 가지고 상기 피스톤 실린더 유닛의 피스톤 또는 실린더가 스프링장치에 의해 로드되고 상기 스프링장치는 특히 구동장치의 로드에서 역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0.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가 회전방향에서 신호전송을 위해 위치한 하나이상의 구성요소부분을 가지고, 상기 스프링장치의 스프링 힘이 미리설정된 조건하에서 상기 회전방향으로 상기 구성요소부분의 회전운동에 대해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1.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탄성 장치에서 상기 하나이상의 제 1 구성요소 부분과 제 2 구성요소부분이 구동장치의 제 1 신호 확장수단 또는 작동장치의 제 2 신호 확장수단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거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2.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 또는 제 1 구성요소 부분이 전송확장수단으로부터 분기되고, 특히 전송확장수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3.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이 신호전달확장수단이 부분적으로 유압으로 설계되고, 하나이상의 제 1 유압 챔버 또는 하나이상의 제 1 유압 파이프라인이 배치되는 유압 유체에 의해 힘이 신호전송 확장수단방향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 1 유압 챔버 또는 상기 제 1 유압 파이프라인으로부터 하나이상의 제 2 유압파이프라인 또는 하나이상의 제 2 유압챔버가 특히 신호전송확장수단의 외부에 배치되고 탄성장치 또는 탄성 매체를 가지도록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 또는 탄성매체가 작동장치의 제 1 전체 탄성이 증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5.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 또는 제 1 구성요소부분 또는 탄성매체가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제 1 전체 탄성을 오직 증가시키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6.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전송장치가 상기 해제 베어링과 인접하는 해제레버와 마찬가지로 해제베이링을 가지고, 신호전송확장수단을 따라 해제베어링으로부터 이격된 해제레버의 측면에서 상기 해제레버와 인접하는 해제레버와 마찬가지로 상기 해제레버가 헤제 메카니즘의 구획부분들이고, 신호전송확장수단을 따라 해제 레버로부터 이격된 해제베어링의 측면상의 해제베이링과인접하는 토크전송장치의 구성요소부분과 마찬가지로 상기 해제베어링이 작동장치 또는 구동장치의 구성요소부분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7.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러치 장치가 통로제어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8. 전항중 최소한 두 항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49. 전항중 한 항에 있어서, 토크전송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전송장치.
KR1020027010651A 2000-02-15 2001-01-16 해제 메카니즘을 가진 토크 전송장치 KR200200841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6541.4 2000-02-15
DE10006541 2000-02-15
PCT/DE2001/000182 WO2001061205A1 (de) 2000-02-15 2001-01-16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mit ausrück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141A true KR20020084141A (ko) 2002-11-04

Family

ID=763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651A KR20020084141A (ko) 2000-02-15 2001-01-16 해제 메카니즘을 가진 토크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712189B2 (ko)
JP (1) JP2004512471A (ko)
KR (1) KR20020084141A (ko)
CN (1) CN1416510A (ko)
AU (1) AU4042701A (ko)
BR (1) BR0108349A (ko)
DE (2) DE10190517D2 (ko)
FR (1) FR2805021B1 (ko)
GB (1) GB2378492B (ko)
IT (1) ITMI20010304A1 (ko)
RU (1) RU2002124582A (ko)
WO (1) WO20010612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28260D0 (en) * 2000-11-20 2001-01-03 Prodrive 2000 Ltd Clutch mechanism
AT5722U1 (de) * 2001-09-18 2002-10-25 Steyr Powertrain Ag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des von einer reibungskupplung übertragenen drehmomentes
DE10163438A1 (de) 2001-12-21 2003-07-03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erfahren zur Ermittlung des Kupplungsanlegepunktes
DE10252570B4 (de) * 2002-11-12 2014-09-25 Zf Friedrichshafen Ag Kupplungssystem,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mit wenigstens einer Reibungskupplung und einer Betätigungseinrichtung
DE102004009832A1 (de) * 2003-03-03 2004-09-16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usrücksysteme
DE10348886A1 (de) * 2003-10-14 2005-05-12 Hydraulik Ring Gmbh Ansteuereinrichtung für Kupplungen von Fahrzeugen, vorzugsweise von Kraftfahrzeugen
JP2005201372A (ja) * 2004-01-15 2005-07-28 Toyota Motor Corp 摩擦係合装置
DE102004019280A1 (de) * 2004-04-21 2005-11-17 Zf Friedrichshafen Ag Kupplung
FR2895774B1 (fr) * 2006-01-05 2008-04-1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mmande d'un embrayage pilot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 commande
US8726763B2 (en) * 2006-06-07 2014-05-20 John P. Davis Binary gearbox
DE502007005777D1 (de) * 2007-10-08 2011-01-05 Siemens Ag Verfahren zur Ermittlung von Kenngrössen einer angetriebenen nicht horizontal ausgerichteten Achse, insbesondere einer Werkzeugmaschine, sowie geeignete Anwendungen, korrespondierende Vorrichtungen und deren Verwendung
DE102009010136B4 (de) * 2008-03-06 2018-11-0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system mit einer Nachstelleinrichtung
DE102011014572A1 (de) * 2010-04-08 2011-12-15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automatisierten Kupplung
CN105393014A (zh) * 2013-08-07 2016-03-09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用于摩擦离合器的操纵装置
JP6210017B2 (ja) * 2014-04-17 2017-10-1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変速機
CN105090476A (zh) * 2015-09-06 2015-11-25 重庆钟华机械有限责任公司 防止换挡蜗轮轴齿轮磨损后失效的换挡导向轴机构
JP6771648B2 (ja) * 2016-08-04 2020-10-21 シェフラー テクノロジーズ アー・ゲー ウント コー. カー・ゲー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組み付けが簡単なクラッチ
JP7156189B2 (ja) * 2019-07-05 2022-10-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ラッチ
US10870423B1 (en) 2019-08-12 2020-12-22 Fca Us Llc Transfer case control to relieve front driveline residual torqu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9622A (en) * 1982-09-28 1984-12-25 Borg-Warner Corporation Dual wet output clutch for power selection in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3239927A1 (de) * 1982-10-28 1984-05-03 Porsche Ag Einrichtung zum steuern einer folgebetaetigung fuer eine doppelkupplung
DE19504935A1 (de) * 1994-02-23 1995-08-24 Luk Getriebe Systeme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s Drehmomenten-Übertragungssystems
IT1266918B1 (it) * 1994-08-09 1997-01-21 New Holland Fiat Spa Cambio di velocita' per un veicolo, particolarmente un trattore agricolo.
DE19713423C5 (de) * 1996-04-03 2015-11-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s Getriebes
JP3817297B2 (ja) * 1996-04-17 2006-09-06 ヴァレオユニシアトランスミッション株式会社 自動クラッチ
JPH1081158A (ja) * 1996-06-05 1998-03-31 Luk Getriebe Syst Gmbh 自動車
DE19857707A1 (de) * 1997-12-23 1999-06-24 Luk Getriebe Systeme Gmbh Kraftfahrzeug
US6044719A (en) * 1998-09-15 2000-04-04 Chrysler Corporation Electro-mechanical 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dual input shafts
DE59902830D1 (de) * 1998-12-24 2002-10-31 Daimler Chrysler Ag Zahnräderwechselgetriebe mit zwei im Kraftfluss parallel zueinander angeordneten Teilgetrieb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05021A1 (fr) 2001-08-17
US6712189B2 (en) 2004-03-30
WO2001061205A1 (de) 2001-08-23
BR0108349A (pt) 2003-03-11
AU4042701A (en) 2001-08-27
ITMI20010304A1 (it) 2002-08-14
GB0218779D0 (en) 2002-09-18
US20030051965A1 (en) 2003-03-20
DE10101598A1 (de) 2001-08-16
CN1416510A (zh) 2003-05-07
FR2805021B1 (fr) 2005-09-09
DE10190517D2 (de) 2003-02-27
RU2002124582A (ru) 2004-04-10
JP2004512471A (ja) 2004-04-22
GB2378492B (en) 2004-09-01
GB2378492A (en)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4141A (ko) 해제 메카니즘을 가진 토크 전송장치
US7300375B2 (en) Hydraulic circuit for the control of a drive train
CA1130112A (en) Variable pulley transmission
US6808054B2 (en) Torque transfer device
US7127961B2 (en) Integrated control module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US689899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gagement force of the synchronizers of a dual clutch transmission
US7073407B2 (en) Integrated control module for use in a dual clutch transmission having integrated shift actuator position sensors
US20020002878A1 (en) Hydraulic circuit for an automated twin clutch transmission for motor vehicles
EP2125419B1 (en) Hydraulic actuation valve arrangement for dual clutch transmission
US102538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xing gear engagement control and providing fault protection in a toroidal traction drive automatic transmission
US20060101933A1 (en) Dual clutch transmission having a synchronizer actuation interlock circuit
US20010041640A1 (en) Infinite speed ratio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8504492A (ja) ギアボックスの多くのギアの係合を防止するためのギアシフト要素固定装置を備えたギアボックス配置構成
WO2008044049A2 (en) Actuator arrangements
CN109826945B (zh) 一种液压自动择流变速系统
KR100394684B1 (ko) 자동 변속기 유압 제어 시스템의 레귤레이터 밸브
US9188176B2 (en) Transmission with countershaft brake and method for braking a countershaft
US6860832B2 (en) Transmission assembly
JP2012013148A (ja) レンジ切換え装置
JPH0861495A (ja) 自動変速機用油圧制御装置
KR20060089036A (ko) 수동변속기의 래틀 소음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