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2427A - 하물 취급 트롤리 - Google Patents

하물 취급 트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427A
KR20020082427A KR1020020021544A KR20020021544A KR20020082427A KR 20020082427 A KR20020082427 A KR 20020082427A KR 1020020021544 A KR1020020021544 A KR 1020020021544A KR 20020021544 A KR20020021544 A KR 20020021544A KR 20020082427 A KR20020082427 A KR 20020082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trolley
bogie
relatively movable
bogi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린핼그버나드
Original Assignee
블랙록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록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랙록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8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42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25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rigid mechanical lifting mechanisms, e.g. levers, cams or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0Loading cover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보통 채널 유도 트랙(channel led track)으로 움직이는 유형의 하물 취급 트롤리로서, 결합기(engager)(12)와 보기 어셈블리(bogie assembly)가 서로에 대해 세로로 움직이게 될 때 램프(40) 및 롤러 수단(34)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기 어셈블리(20)에 대해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기다란 하물 결합기(elongate load engager)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기와 상기 보기 어셈블리 사이의 포지티브 리텐션 수단(50)은 상기 하물 결합기에 고정되는 앵커 부재(60)와 상기 앵커 부재에 대한 추축 운동(pivotal movement)을 위해 장착되는 연장 불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재(52, 54; 52')를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는 상기 결합기와 보기 어셈블리의 상대적인 운동 중에 이동하도록 롤러 수단의 축 또는 다른 교차 연결부(cross-connection)를 수용하는 슬롯(56, 72, 74)을 구비한다.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는,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의 분절(articulation)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하물 결합기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인접 수단(abutment means)(64)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서 슬롯은 두 개의 오프셋 상호연결부(72, 74)를 갖는다.

Description

하물 취급 트롤리 {LOAD HANDLING TROLLEY}
본 발명은 보통 채널 트랙(channel track)으로 움직이며, 결합기(engager)와 보기(bogie)가 서로에 대해 세로로 움직이게 될 때 램프 및 롤러 수단을 통하여 보기에 대해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기다란 하물 결합기(elongate load engager)를 포함하는 유형의 하물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트롤리 인 트랙(trolly-in-track) 시스템의 성공한 그리고 공지된 예는 등록 상표 JOLODA라는 상품을 입수 가능하다.
상당히 강한 평면 플로어로 트랙들이 움직이고, 컨테이너(container)나팰릿(pallet)과 같은 상당히 단단한 하물이 트롤리를 삽입하여 들어올린 후 플로어 위의 하물에 자유 이동 여유를 주기에 적합한 적은 상승 높이 만큼만 상당히 얕은 트랙으로 현저히 로우 프로파일(low-profile) 트롤리로 움직였다.
플로어, 팰릿 및 컨테이너의 비용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요구되는 현재의 경향은 플로어의 경우 확실히 덜 강하고 덜 평평하며, 하물의 경우 덜 단단하여 트롤리로 하물을 이동하는 중에 하물과 플로어의 접촉을 항상 방지하기에는 불충분하지만 만족스러울 정도의 상승 높이까지로 굽힘(flexing)이나 새깅(sagging)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JOLODA 트롤리의 성공과 명성은 인터 에일리어(inter alia), 보기 측벽과 반전 채널부 하물 결합기(inverted channel section load engager) 종속벽(depending wall)의 상호 폐쇄 부속품(close interfitment), 트롤리 비상승 상태에서의 이러한 벽들의 실질적인 플러시 하부(flush bottom) 및 상기한 측벽들과 종속벽들 사이에 하나로 설계된 실제적인 포지티브 리텐션(positive retention) 수단을 포함한 안전하고 우수한 공학적 디자인에 기초한 것이지만, 강성(rigid) 핀 및 레지(pin-and-ledge), 홈(groove) 또는 슬롯형 포지티브 리텐션 수단에 의해 설정되는 제한들은 원하는 만큼의 상승량 증가의 달성을 방해한다.
따라서, 포지티브 리텐션 수단을 이용한 본 발명의 고 상승 트롤리는 고정되는 하나의 부품, 그리고 결합기와 보기 어셈블리의 상대적인 이동 중에 움직이도록 상기 부품에 연결되고 트롤리 부분에 결합되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품을 구비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다.
동일한 기본 트롤리 높이 내에서 더 큰 상승을 위해서는 램프 수단이 보기를 둘러싸는 반전 채널형 하물 결합기 내 공간의 가능한 높이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여야 하는 것은 명백하고, 하물 결합기의 종속 측면(depending side)에 의한 중첩에 기인하여, 비록 여전히 접근한 채로 트롤리의 전체 상승 높이인 채로 있는 보기 측면의 실제적인 옆 위치가 약간 덜 유지되어야 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그 길이 전체에 밀접하게 이웃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승 높이는 보통 접근함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램프가 전체 높이에서 위치 침하(location depression)를 경험하는 경우 더 커질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보기의 롤러와 결합하고 효과적으로 그 결합(engagement)을 안내/유지(guiding/retaining)하는 스프링 링크 형태의 리텐션 수단을 사용하였고, 이것은 롤러와 함께 작용하는(coact) 웨지들(wedges) 아래에 단단히 고정되고 클램핑되는 한편 이 링크의 슬롯 내에서 그 축 또는 로드를 둘러싼다. 이러한 실시예의 기본적인 작용은 하물 결합기의 보기 롤러 장착 램프로서 롤러 축(axle)을 위한 스프링 억제기(spring restrainer)의 굽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트롤리는 필연적으로 콘크리트 바닥에 던져지지 않으면 떨어지는 매우 험한 취급을 받을 것이고, 본 발명의 트롤리가 쉽게 그러한 취급에 고장/파손 없이 견딜 수 있다는 사실에 자부심을 갖는다.
그러한 기술적 사상으로, 그리고 그러한 취급의 경우, 보기가 설계 최고점들(design maxima)에 해당하는 위치로부터 "내던져지고(flirted)" 잡아채일 수 있는 가능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선호한다. 만약 전적으로 스프링 링크에의존하면 실제로 악 영향을 미치는 하물 결합기의 측벽들을 넘어서 연장하지만, 엄밀히 그것은 롤러 축/보기 교차 연결부/보기 스터드와의 관계에 좌우된다. 그러한 보호는 하물 결합기 램프의 아래에서 스프링 링크의 단부로 연장하는 와이어 링크(쟉?? link)를 포함하며, 램프 아래에 바이트 캡티브(bight captive)를 가지는 U자형 와이어 장치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스프링 링크를 위한 연장 불가능한 제한 수단(inextensible limiting means)에 의해 제공되었다.
이 스프링 링크는 스프링 강철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구조물(construction)에 의해 보기 측벽들의 이웃하는 각 면을 결합하기 위해 형성되며, 보기의 램프 부분 아래에 클램핑될 제1 부분과 상기 램프 부분의 각 측면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가지는 시트(sheet) 형태이다. 이들 확장하는 부분들은 제1 부분으로부터 적당한 거리에서 자신에게로 복귀되고, 또 결합기, 예를 들어 롤러 축의 최대 변위에 상당하는 거리 다음에 복귀되며, 그런 다음 램프 부분의 상승에 따라 상기한 최대 변위에 상당하는 슬롯을 규정하기 위하여 제1 복귀 벤드(bend)로 되돌리고, 나아가 상기 제1 복귀 벤드를 통해, 바람직하게는 앞의 연장 부분을 따라서 복귀된다.
그러나, 전술한 스프링 유지 수단 및 제한 수단의 대안은 동일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더 우수한 신뢰성을 제공할 더욱 단순하고 더 경제적인 구조로써 원하는 포지티브 리텐션(positive retention)을 제공하고, 동작에 대한 원하는 제한을 달성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통 채널 유도 트랙(channel led track)으로 움직이는유형의 하물 취급 트롤리를 제공한다.
도 1은 하강 또는 비상승 상태의 트롤리의 내부 부분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응하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트롤리가 상승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하나의 보기(bogie) 부품과 램프 및 앵커 수단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하물 취급 트롤리는 결합기(engager)와 보기 어셈블리(bogie assembly)가 서로에 대해 세로로 움직이게 될 때 램프 및 롤러 수단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기 어셈블리에 대해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기다란 하물 결합기(elongate load engager), 그리고 상기 결합기와 상기 보기 어셈블리 사이에 포지티브 리텐션 수단을 포함한다. 또 상기 포지티브 리텐션 수단은 상기 하물 결합기에 고정되는 앵커 부재, 그리고 상기 앵커 부재에 대한 피벗 운동(pivotal movement)을 위해 장착되며 상기 결합기와 보기 어셈블리의 상대 운동 중에 이동하도록 롤러 수단의 소정의 다른 교차 연결부(cross-connection) 또는 축을 수용하는 슬롯을 구비하는 연장 불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는,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의 분절(articulation)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하물 결합기와 함께 동작할 수 있는 인접 수단(abutment means)을 구비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는 상기 롤러 수단의 반대편에 두 개 배치된다. 상기 롤러 수단의 교차 연결부 또는 축은 트롤리 부분에서 저널 작용을 한다(journalled).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보기 어셈블리의 반대편 프레임으로 이동된다.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는 강철로 이루어지는 링크 부재를 포함한다. 이것은 종래 연강(mild steel)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의 슬롯은 두 개의 상호연결 오프셋부(interconnected offset part)를 가지며, 이하에서 기다란 생성 슬롯(elongate generated slot) 또는 기다란 꼬임 슬롯(elongate kinked slot)이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기다란 트롤리(10)는 반전 채널부(inverted channel section)의 하물 결합기(12)를 구비하여, 그것의 웨브(web)(14)가 하물을 결합하기 위해 위로 향하게 하고 측벽(16, 18)은 아래쪽으로 매달리게(depend) 한다. 측벽(16, 18)과 이것에 밀접하게 인접한 틈(clearance) 사이에 보기 어셈블리(20)가 있으며, 도면에서 보듯이 스터드(stud)(26)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측벽(22, 24), 롤러 축(28) 및 보기 어셈블리 사이의 분절 링크(articulation link)(32)를 위한 저널형 로드(journalled rod)(30)를 구비하며, 보통 하물 결합기 마다, 즉 트롤리 또는 트롤리 연장 유닛(trolley extension unit) 마다 적어도 두 개 있고, JOLODA 상표의 상품을 입수 가능하다.
롤러(34)의 외경은 보기 측벽(22, 24)의 하부 에지(bottom edge)와 정렬한다. 그 웨브(14) 하면에 고정된 하물 결합기(12)는 롤러(34)를 위한 적합한 상승 표면(42)이 있는 램프 블록(40)을 구비한다. 이 표면(42)은 립(lip) 또는 에지(44)를 트롤리(10)의 상승 상태 동안에 롤러 위치 침하(roller locating depression)(46)로 안내한다. 트롤리(10)의 상태간 변화는 하물 결합기(12)와 보기(20)의 상대적인 세로 운동, 실제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의 보기(20)에 대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운동을 필요로 한다.
보기(20)는 또한 트랙으로부터 돌출하여 상승되어 하물을 싣거나 트랙 마우스(track mouth) 아래로 하강되어 하물을 내려놓기 위해 트랙(도시하지 않음)을 따라서 트롤리(10)를 이동시키는 롤러(48)를 구비한다. 롤러(48)는 보기 측벽(22, 24)의 하부 에지로부터 약간 돌출한다.
도 3에서 트롤리의 상승된 위치에서 벽(16, 18)과 벽(22, 24) 사이가 조금 중첩되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한층 더 작은 중첩, 예를 들면 3mm 정도로 작은 중첩이 롤러(34)가 립 또는 에지(44)를 통과할 때의 위치에서 앞서 일어날 것이다. 트롤리(34)의 직경은 보기 측벽(22, 24)의 하부 에지와 정렬한다.
트롤리의 보기/하물 결합기를 정렬하는 리텐션 링크 수단은 도면 부호 50으로 나타낸다. 이 링크 장치(50)는 각각 기다란 슬롯(56)과 보어(58)를 구비하는 간격을 두고 평행한 두 개의 링크 부재(52, 54)를 포함한다. 슬롯(56)은 2.2㎜의 여유를 가지고 롤러 축(28)을 밀접하게 수용한다. 이 슬롯은 평행한 측면(56a, 56b)을 가질 수 있다. 보어(58)는 하물 결합기(12)에 확고하게 장착되는 앵커 부재(62)에 의해 지탱되는 피벗 핀(60)을 수용한다.
링크 장치(50)는 앵커 부재에 의해 하물 결합기에 단단히 부착되고 피벗 핀과 결합된다. 롤러가 램프부(40)를 장착할 때, 암(arm)(52)은 피벗 핀(60)을 축으로하여 피벗 운동한다.
이러한 암의 피벗 운동 범위는 하물 결합기의 하부면 웨브(14)를 가지는 각각의 암(52, 54)에 형성된 인접 표면(abutment surface)(64)의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사용하는 경우, 트롤리가 도 1의 위치에서 상승될 때, 보기(20)는 하물 결합기(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링크(52, 54)는 롤러 축(28)이 슬롯을 따라서 이동할 때, 롤러(34)가 홈(groove)(46)으로 넘어갈 때까지 피벗 운동한다. 이 시간 동안, 롤러 축(28)은 링크의 슬롯(56)을 가로지르고, 이 슬롯은 적당한 정도로 최대 필요 이동을 수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의 피벗 운동은 하물 결합기와 접촉하는 인접 표면(64)에 의해 제한된다. 이 인접 표면은 트롤리의 정상 동작(normal operation)중, 하물 결합기와 보기의 과도한 분리를 피하기 위하여 하물 결합기와 보기가 억제되지 않은 경우에 트롤리가 환경(circumstance)으로 취급되고 있을 때에만 활동을 시작하지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에 링크 부재(5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도 1 내지 도 4의 링크(52, 54) 대신에 리텐션 링크 수단(50)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 링크 부재(52')는 보통 기다랗고, 대응 보어(58) 및 대응 인접 표면(64)을 갖는다. 기다란 슬롯(56)은 다른 구성을 가지며, 평행 면(72a, 72b, 74a, 74b)을 가지는 두 개의 오프셋부(offset part)(72, 74)를 구비하지만 그 중심선은 오프셋이다. 두 오프셋부는 평행 면을 또한 구비한 연결 슬롯부(76)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기다란 슬롯은 꼬여 있다.
링크된 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 부재 세이브(link element save)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슬롯의 꼬임은 롤러가 램프 상에서 위로 이동할 때 롤러의 경로를 반영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기와 보기 어셈블리가 서로에 대해 세로로 움직이게 될 때 램프 및 롤러 수단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기 어셈블리에 대해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기다란 하물 결합기(elongate load engager), 그리고 상기 결합기와 상기 보기 어셈블리 사이에 포지티브 리텐션 수단을 포함하는 보통 채널 유도 트랙으로 움직이는 유형의 하물 취급 트롤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보통 채널 유도 트랙(channel led track)으로 움직이는 유형의 하물 취급 트롤리로서,
    결합기(engager)와 보기 어셈블리(bogie assembly)가 서로에 대해 세로로 움직이게 될 때 램프 및 롤러 수단(34, 4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기 어셈블리(20)에 대해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기다란 하물 결합기(elongate load engager), 그리고
    상기 결합기와 상기 보기 어셈블리 사이에 포지티브 리텐션 수단(50)
    을 포함하며,
    상기 포지티브 리텐션 수단이
    상기 하물 결합기에 고정되는 앵커 부재(60), 그리고
    상기 앵커 부재에 대한 피벗 운동(pivotal movement)을 위해 장착되며 상기 결합기와 보기 어셈블리의 상대 운동 중에 이동하도록 축(28) 또는 롤러 수단(34)의 소정의 다른 교차 연결부(cross-connection)를 수용하는 슬롯(56, 72, 74)을 구비하는 연장 불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부재(52, 54, 52')를 포함하고,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는,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의 분절(articulation)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하물 결합기와 함께 작용할 수 있는 인접 수단(abutment means)(64)을 구비하는
    하물 취급 트롤리.
  2. 제1항에서,
    상기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는 상기 롤러 수단의 반대편에 두 개 배치되는 하물 취급 트롤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롤러 수단의 교차 연결부 또는 축은 트롤리 부분에서 저널작용을 하는(journalled) 하물 취급 트롤리.
  4. 제3항에서,
    상기 롤러 수단의 교차 연결부 또는 축은 상기 보기 어셈블리의 반대편 프레임으로 이동되는 하물 취급 트롤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슬롯(56)은 직선 슬롯인 하물 취급 트롤리.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슬롯(56)은 두 개의 오프셋 상호 연결부(72, 74)를 가지는 하물 취급 트롤리.
KR1020020021544A 2001-04-20 2002-04-19 하물 취급 트롤리 KR200200824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109702.1 2001-04-20
GBGB0109702.1A GB0109702D0 (en) 2001-04-20 2001-04-20 Load handling trolle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427A true KR20020082427A (ko) 2002-10-31

Family

ID=991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544A KR20020082427A (ko) 2001-04-20 2002-04-19 하물 취급 트롤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251056A1 (ko)
JP (1) JP2003012138A (ko)
KR (1) KR20020082427A (ko)
AU (1) AU3436802A (ko)
BR (1) BR0201359A (ko)
DE (1) DE1251056T1 (ko)
GB (1) GB0109702D0 (ko)
MX (1) MXPA02004013A (ko)
NZ (1) NZ5185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617661D0 (en) * 2006-09-08 2006-10-18 Blackrock Engineering Ltd Load handling trolley
GB201117549D0 (en) 2011-10-11 2011-11-23 Joloda International Ltd Load handling trolley
JP6336366B2 (ja) * 2014-09-25 2018-06-06 オールセーフ株式会社 積荷移動台車
US20240051762A1 (en) * 2022-08-12 2024-02-15 Simec Systems Oy Hauling beam and a hauling transpor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20641A (en) * 1963-05-16 1966-02-23 Joloda Transp Equipme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olleys, bogies and the like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and movement of articles, and particularly heavy articles
MX159453A (es) * 1983-07-30 1989-06-09 Joloda Loading Systems Ltd Un trole para manejar carga
GB9408312D0 (en) * 1994-04-27 1994-06-15 Joloda International Ltd Load handling trolle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436802A (en) 2002-10-24
BR0201359A (pt) 2003-06-10
GB0109702D0 (en) 2001-06-13
MXPA02004013A (es) 2005-06-20
NZ518509A (en) 2003-06-30
EP1251056A1 (en) 2002-10-23
DE1251056T1 (de) 2003-09-18
JP2003012138A (ja)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7369B1 (en) Reciprocating floor conveyor and floor member
CA2759605C (en) Conveyor for the transport of bulk materials
JPS6364400B2 (ko)
CA2477188C (en) Carriage type conveyor
SK283241B6 (sk) Dopravník na systém dopravujúci náklad
KR20020082427A (ko) 하물 취급 트롤리
JP2004502617A (ja) コンベアのためのスライドレール装置
AU707343B2 (en) Chain conveyor
US10046951B2 (en) Fixing modules and pallets for a pallet conveyor
US4655141A (en) Load handling trolley
EP1897749B1 (en) Load handling trolley
EP1318086A3 (en) Guide for reciprocally movable slats
KR20160124617A (ko) 바닥용 트롤리
KR101905017B1 (ko) 하중 핸들링 트롤리
CN108883885B (zh) 对齐斜面设备以及运输集装箱和该对齐斜面设备的组合
AU724550B2 (en) Chain conveyor
JPH0233015A (ja) ローラコンベヤ
KR0117556Y1 (ko) 드롭리프터
CN217921115U (zh) 一种防啃轨的电动葫芦半门式起重机
SU132651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изделий
KR200167205Y1 (ko) 행가가 부설된 파렛트
JPS6044416A (ja) 荷扱いトロリ−
RU1787878C (ru) Тележка подвесного толкающего конвейера
SU1257028A2 (ru) Грузонесуща платформа вертикального конвейера
SU1283168A1 (ru) Роликовый конвей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