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612A - 통기공을 갖는 병 - Google Patents

통기공을 갖는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612A
KR20020078612A KR1020010018387A KR20010018387A KR20020078612A KR 20020078612 A KR20020078612 A KR 20020078612A KR 1020010018387 A KR1020010018387 A KR 1020010018387A KR 20010018387 A KR20010018387 A KR 20010018387A KR 20020078612 A KR20020078612 A KR 20020078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liquid
inlet
vent
gas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한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아알미늄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아알미늄상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아알미늄상사
Priority to KR1020010018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612A/ko
Publication of KR2002007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61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2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F15D1/006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active means, e.g. supplying external energy or injecting fluid
    • F15D1/008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active means, e.g. supplying external energy or injecting fluid comprising fluid injection or su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의 입구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액상물을 따르기 위해 병을 기울일 때 병 내부의 기상부가 통기공을 통해 대기압과 항상 평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입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맥동을 억제하여 액상물이 보다 부드럽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한 통기공을 갖는 병에 관한 것으로, 병(50)의 입구(52) 상단부(52a)로부터 병(50)의 내부로 이어지는 복수의 통기공(54)을 병(50)에 형성하여 구성하여 액상물이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흘러내리게 되어 기존과 같이 옆으로 튀는 일이 없게 되며, 병 속의 액상물이 한꺼번에 쏟아지더라도 통기공을 통해 기상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액상물을 보다 빠르게 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기공을 갖는 병{bottle have vent}
본 발명은 통기공을 갖는 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의 입구에 통기공을 형성하여 액상물을 따르기 위해 병을 기울일 때 입구가 막히면 통기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의 기상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입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맥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액상물이 보다 부드럽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한 통기공을 갖는 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좁은 입구(32)를 갖으며, 그 입구(32)에는 뚜껑(39)을 설치하여 임의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병(30)의 입구(32)와 뚜껑(39) 사이에 패킹(38)을 두어 내부를 기밀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병(30)은 그 속의 액상물(20)을 따르기 위하여 기울이게 되면, 액상물(20)이 비교적 많이 담겨 있는 경우 액상물(20)에 의하여 입구(32)가 막히므로 공기가 병내로 유입되면서 액상물(20)이 쿨렁쿨렁 쏟아지게 된다.
즉, 병(30) 속에 가득찬 액상물(20)이 외부로 유출시키는 메커니즘은 먼저, 병(30)을 기울이게 되면, 입구(32)측으로 한꺼번에 몰리는 액상물(20)에 의해 병(30) 속의 기상부(36)가 순간 밀폐된 상태로 되는 동시에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가지게 되어 액상물(20)이 밑으로 흘러내리지 못하고 병(30) 속에 정채된 잠시 머물게 된다.
이후 막힌 입구(32)의 액상물(20)을 통해 병(30) 속의 기상부(36)로 유입되어 떠오르는 공기의 기포(40)에 의해 기상부(36)에 공기가 공급되면, 이번에는 기상부(36)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커지면서 일부 액상물(20)이 입구(32)를 통해 덩어리 형태로 떨어지는 동시에 배출된 액상물(20)이 머물고 있던 자리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기상부(36)의 체적이 커지게 되고, 다시 기상부(36)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병(30)의 입구(32)는 액상물(20)과 기포(40)에 의한 개폐작용과, 기상부(36)와 대기압의 평형작용에 의해 수시로 입구(32)가 열리고/막히는 것을 반복하면서 맥동이 일게 되는 동시에 액상물(20)은 덩어리 형태로 쿨렁쿨렁 거리면서 간헐적으로 쏟아지게 된다.
이때 액상물(20)이 주변의 물품이나 사용자의 손으로 튀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병(30)을 약간만 기울여서 처음부터 액상물(20)이 입구(32)를 막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천천히 따라내는 경우에는 액상물(20)의 인출속도가 떨어지고,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병 속의 액상물을 따를 때 내부의 기상부가 대기압과 항상 평형을 이루도록 하여 액상물이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는 동시에 병 속의 액상물을 보다 빠른 속도로 따라 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병의 입구 상단부로부터 병의 내부로 이어지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병형태의 병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병형태의 병으로부터 액상물이 쏟아지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공을 갖는 병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공을 갖는 병으로부터 액상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공을 갖는 병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공을 갖는 병의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공을 갖는 병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50 : 병52 : 입구
52a : 상단부52c : 최상단 턱
52d : 하단 턱54 : 통기공
60 : 뚜껑90 : 패킹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50)의 입구(52) 상단부(52a)로부터 병(50)의 내부로 이어지는 복수의 통기공(54)을 병(50)에 형성하여 병(50) 속의 액상물(70)을 따를 때 외부의 공기가 내부의 기상부(80)로 유입되도록 구성하였다.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공(54)은 입구(52)의 주변을 따라 서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원형으로 배열되며, 예컨대 9개 형성하였으나 꼭 이러한 개수에 한정하지 않으며, 병(50)의 크기나 저장 용량에 따라 적정한 개수로 증감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52)의 상단부(52a)에 병(50)의 중심을 향할 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형태로 형성하여 그 최상단 턱(52c)에는 뚜껑(60) 속의 패킹(90)이 접촉되고, 적어도 그 최상단 턱(52c)보다 낮은 위치의 하단 턱(52d)에는 통기공(54)이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액상물(70)을 따라내고, 병(50)을 세워 놓을 때 입구(52)의 끝에 남은 액상물(70)이 병(50) 속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병(50)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병(50)을 기울여서 액상물(70)을 따르게 되면, 액상물(70)이 입구(52) 단면을 꽉 채우면서 쏟아져 내리게 된다.
이때 병(50) 속의 기상부(80)가 입구(52)에 형성된 통기공(54)에 의해 대기압과 항상 평형을 이루기 때문에 액상물(70)은 정체되지 않고 연속해서 부드럽게 흘러내리게 되며, 액상물(70)이 입구(52)와 통기공(54)을 같이 막아도
입구(52)의 주변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기공(54)의 위치가 통기공(54)중 어느 한 통기공(54)이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압력의 편차가 생겨 높은 곳에 위치한 통기공(54)을 통하여 공기가 기상부(80)에 기포형태로 유입되며, 외부로 토출되는 액상물(70)은 정체되지 않고 연속해서 부드럽게 흘러내리게 된다.
즉, 병(50) 속의 기상부(80)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통기공(54)을 통해 기상부(80)로 공기가 유입되어 대기압과 같은 압력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병(50) 속의 액상물(70)이 정체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병(50)의 입구(52)를 뚜껑(60)으로 닫게 되면, 뚜껑(60) 속의 패킹(90)이 입구(52)를 폐쇄하여 병(50) 속은 기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병(50)의 최상단 턱(52c) 보다 하단 턱(52d)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액상물(70)을 따라내고 병(50)을 세워 놓게 되면, 그 상단부에 묻어 있던 액상물(70)이 병(50) 속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병(50)의 입구(52)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병 속에 담긴 액상물을 따를 때 통기공을 통해 병 속의 기상부 압력이 대기압과 항상 평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액상물이 연속적으로 부드럽게 흘러내리게 되어 기존과 같이 옆으로 튀는 일이 없게 되며, 더욱이 병을 큰 각도로 기울여서 액상물을 따를 때 액상물이 한꺼번에 쏟아지더라도 통기공을 통해 기상부로 공기가 공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액상물이 쿨렁거리거나 간헐적으로 쏟아지는 일이 없이 빠르게 따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병(50)의 입구(52) 상단부(52a)로부터 병(50)의 내부로 이어지는 복수의 통기공(54)을 병(50)에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을 갖는 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54)은 상기 입구(52)의 주변을 따라 복수개 원형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을 갖는 병.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52)의 상단부(52a)에 병(50)의 중심을 향할 수록 그 높이가 낮아지는 계단형태로 형성하여 그 최상단 턱(52c)에는 뚜껑(60) 속의 패킹(90)이 접촉되고, 적어도 그 최상단 턱(52c)보다 낮은 위치의 하단 턱(52d)에는 통기공(54)이 위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공을 갖는 병.
KR1020010018387A 2001-04-06 2001-04-06 통기공을 갖는 병 KR20020078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387A KR20020078612A (ko) 2001-04-06 2001-04-06 통기공을 갖는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387A KR20020078612A (ko) 2001-04-06 2001-04-06 통기공을 갖는 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657U Division KR200235163Y1 (ko) 2001-04-06 2001-04-06 통기공을 갖는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612A true KR20020078612A (ko) 2002-10-19

Family

ID=27700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387A KR20020078612A (ko) 2001-04-06 2001-04-06 통기공을 갖는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6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251A1 (ko) * 2009-10-14 2011-04-21 씨제이 제일제당(주) 병마개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251A1 (ko) * 2009-10-14 2011-04-21 씨제이 제일제당(주) 병마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10658A1 (en) Liquid Container
JP5960037B2 (ja) 泡吐出容器
US6758375B2 (en) Spill-resistant, smoother pouring container for liquids
JPH02255153A (ja) 流体貯蔵器
KR200235163Y1 (ko) 통기공을 갖는 병
KR20020078612A (ko) 통기공을 갖는 병
US4971230A (en) Container for liquids
KR20070062383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JPH09118338A (ja) 吸気口を備えた壜およびその補助口
JP2000079946A (ja) 液体容器
KR200196149Y1 (ko) 공기 유입관이 구비된 용기
KR100708415B1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JP7249626B2 (ja) キャップ
JP2007112490A (ja) 液体充填用ノズル
JP2008273600A (ja) 液体容器の注出口の構造
JP4999451B2 (ja) スクイズ容器
JPH0834422A (ja) 液体入り瓶形容器
KR960038199A (ko) 밸브 장치
KR200389030Y1 (ko) 배출이 용이한 페트병
US11556094B2 (en) Fluid timer
JP6887731B2 (ja) 注出容器
KR100558759B1 (ko) 배출이 용이한 페트병
JP6973938B2 (ja) 粉体吐出容器
KR19980072999A (ko) 공기유입구와 토출구가 일체로 구획 형성된 액체수납용기의 토출부
KR200242766Y1 (ko) 몸체와 일체형인 뚜껑겸용 공기인입구를 갖는 프라스틱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